[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76956B1 -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956B1
KR100876956B1 KR1020080051942A KR20080051942A KR100876956B1 KR 100876956 B1 KR100876956 B1 KR 100876956B1 KR 1020080051942 A KR1020080051942 A KR 1020080051942A KR 20080051942 A KR20080051942 A KR 20080051942A KR 100876956 B1 KR100876956 B1 KR 10087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additive
huma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to KR102008005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9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피브이씨) 수지, 상기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복합안정제 5~10 중량부, 충격보강제 5~10 중량부, 및 첨가제 3~8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첨가제 총 중량에 대하여 패류 껍질 분말 60~80 중량%, 견운모 분말 5~20 중량%, 귀양석 분말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이 방출되며 화재시에도 유독 가스의 발생이 차단되므로 실내 및 실외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용도의 피브이씨 닥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닥트, 피브이씨, 패류분말, 견운모, 귀양석, 음이온

Description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PVC duct composition}
본 발명은 패류 껍질 분말 및 천연광석 분말을 이용한 피브이씨 닥트(duct)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브이씨 닥트 제조에 있어서, 피브이씨는 열과 광에 의해서 불안정하고 쉽게 분해되므로 안정제나 기타 첨가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브이씨의 이론적인 융점은 220℃이나 그보다 훨씬 낮은 온도인 10O℃에서부터 열분해(유리전이거동)를 시작하며 자외선에 의해서 노화(degradation)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으며, 비교적 연화점(softening point)이 낮아서 80℃부근에서는 기계적인 강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그러나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불꽃이 제거되면 바로 불이 꺼지는 난연성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다른 고분자물질들과도 상당히 잘 섞이므로 그 가공범위가 매우 넓다.
최근에는 내열성 경질염화비닐관이 개발되어 10O℃까지 사용이 가능하여 급탕이나 난방배관에도 사용되고, 또한 내충격성 염화비닐관의 개발로 상온에서 일반 비닐관에 비해 20~30배의 내충격강도를 가지게 되어 수도관, 급수관, 배수관, 가스관, 실내 환기관 등의 닥트(duct)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브이씨 파이프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발생시키고, 화재시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용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피브이씨 파이프가 건물 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의 환기를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 환기관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의 발생은 새집증후군 등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며,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인명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여러 가지 특,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피브이씨수지에 패류 껍질 분말 및 천연광석 분말을 첨가하여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이 방출되며 화재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차단되는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피브이씨) 수지, 상기 수지 고형분 100 중량 부에 대하여 복합안정제 5~10 중량부, 충격보강제 5~10 중량부, 및 첨가제 3~8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첨가제 총 중량에 대하여 패류 껍질 분말 60~80 중량%, 견운모 분말 5~20 중량%, 귀양석 분말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이 방출되며 화재시에도 유독 가스의 발생이 차단되므로 실내 및 실외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용도의 피브이씨 닥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피브이씨) 수지, 상기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복합안정제 5~10 중량부, 충격보강제 5~10 중량부, 및 첨가제 3~8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첨가제 총 중량에 대하여 패류 껍질 분말 60~80 중량%, 견운모 분말 5~20 중량%, 귀양석 분말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안정제는 주안정제로서 염기성 납화합물인 TLS(Tribasic Lead Sulfate)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안정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적인 열안정적 특성은 TLS에 의해 주어지고 그 외 다른 보조안 정제에 의해 상승효과가 나타나며, 압출제품의 흐름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주 효율적인 활제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 안정제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안정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주)단석산업에서 생산하는 KN-506, KN-506G, KN-506K, KN-506B 등과 같은 상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안정제의 함량은 피브이씨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목적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나 신장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충격보강제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LG 화학의 LG 808과 같은 제품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격보강제는 염화비닐수지의 내충격성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 내백화성, 및 투명도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충격보강제의 함량은 피브이씨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목적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나 신장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피브이씨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발생 및 화재시 유독 가스의 발생 차단의 효과가 미약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나 신장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첨가제에 포함되는 패류 껍질 분말은 산화칼슘(CaO) 성분이 90% 이상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이 밖에 유기질, 산염, 규산염, 유산염 염화물 등의 이온들과 요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칼슘은 무기질과는 결합하고, 유기물질은 분해하는 힘이 강하여 유기 휘발성 화합물(VOCs)을 분해하며,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 칼슘(Ca(OH)2)을 일부 생성 시키는데 생성된 Ca(OH)2는 화재시 피브이씨 닥트에 난연성을 부여하여, 인체에 유해한 가스(HCl)의 발생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패류 껍질 분말은 첨가제 총 중량에 대하여 60~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60 중량% 미만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이 미약하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다.
상기 패류 껍질로는 대표적으로 전복 껍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견운모(LLITE)는 용수 중의 양이온 부유입자와 전기적인 중화응집으로 침전을 유발하여 정수작용이 우수하며, 자체함수기능으로 보습효과가 크고, 활성도가 높은 고유의 특성 이외에도 상온에서 5 내지 20 마이크로 파장의 원적외선을 90%이상 방사하는 특징이 있고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흡착력이 우수한 광물이다. 또한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세포를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 VOCs 같은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 및 분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습도조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귀양석(KIYOSEKI)은 "6500만년전의 지각변동과 같이 고온열수작용에 의해 형성된 광산에 존재해 있는 특수광물로써 적색과 백색의 2종류가 있으며, 그 특성을 다음 표에 나타었다. 백색의 귀양석은 음이온 발생량이 최대 24.140ed/cc(안기 토루마린의 약 10배)로 천연광석 중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백색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상온(25도)에서 96%로 천연광석중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물의 정화, 도료, 필터, 화장품, 기능성카펫트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출처: 장삼식(2005),"음이온을 이용한 배수재의 배수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부산 동서대학원 석사논문 p.45-p.46 인용)
[참고표1]
Figure 112008076430125-pat00001


또한, 귀양석은 자연계의 에너지를 응축한 신비의 물질로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일본 군마현에서만 생산되는 장석 계열의 천연석으로, 귀양석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인터넷 자료(출처: http://srs.co.kr/gys/gys_1.htm)를 살펴보면, "귀양석의 특징(공인기관의 시험성적서 근거에 의하여 작성)은 1) 토르마린의 10배정도의 다량의 음이온 발생 2) 96%의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3) 높은 계면활성 효과[101% 증가] 4) 방사능원소를 함유하지 않은 인체에 유익한 천연물질 4) ORP 및 SOSA 능력 우수"라고 기재하고 있으며, 귀양석의 음이온 발생수치와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챠트들의 결과를 얻었음을 개시하고 있다.
[참고차트1] : 귀양석의 음이온 발생추이
Figure 112008076430125-pat00002

[참고챠트2] : 귀양석의 원적외선 방사율
Figure 112008076430125-pat00003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견운모 및 귀양석은 첨가제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5~20 중량% 및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운모 및 귀양석이 상기 기재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음이온 발생 및 원적외선 방출 기능이 미약하여 VOCs 등의 유해물질의 흡착 및 분해능이 저하되며, 상기 기재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패류 껍질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그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류 껍질 분말, 견운모 분말 및 귀양석 분말의 사이즈는 1500~2000 메쉬(mesh)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크기를 갖는 분말인 경우에 피브이씨 및 다른 수지와 상용성이 좋고, 피브이씨 닥트가 바람직한 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된 성분들 외에 피브이씨 닥트의 연성에 따라 적당한 량의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제한 없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피브이씨 1Kg 1Kg
복합안정제((주)단석산업, KN-506) 70g 70g
충격보강제(LG화학, LG808) 70g 70g
첨가제 패류분말 35g 0
견운모 분말 7.5g 0
귀양석 분말 7.5g 0
시험예 1: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s )의 발생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의 발생 정도를 시험하고,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시험항목 단위 결과 시험방법
실시예 1 VOCs 정량 mg/kg 0 EPA 5021 (headspace-GC/MS)
비교예 1 VOCs 정량 mg/kg 12.6
*시험기관: 한국화학시험연구원

Claims (3)

  1. 폴리비닐클로라이드(피브이씨) 수지, 상기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복합안정제 5~10 중량부, 충격보강제 5~10 중량부, 및 첨가제 3~8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첨가제 총 중량에 대하여 패류 껍질 분말 60~80 중량%, 견운모 분말 5~20 중량%, 및 귀양석 분말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껍질 분말, 견운모 분말, 및 귀양석 분말의 사이즈가 1500~2000 메쉬(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껍질이 전복 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KR1020080051942A 2008-06-03 2008-06-03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Active KR10087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942A KR100876956B1 (ko) 2008-06-03 2008-06-03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942A KR100876956B1 (ko) 2008-06-03 2008-06-03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956B1 true KR100876956B1 (ko) 2009-01-07

Family

ID=4048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942A Active KR100876956B1 (ko) 2008-06-03 2008-06-03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9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672B1 (ko) * 2015-07-08 2016-03-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친환경 환기 덕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37972A (zh) * 2016-04-19 2016-08-10 叶青 一种硬聚氯乙烯燃气管材料
KR101727304B1 (ko) * 2015-08-19 2017-04-17 진강중 견운모를 이용한 합성수지 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483A (ko) 1999-03-19 1999-07-05 이현재 악취및휘발성유기화합물의생물학적처리용담체제조방법
KR200193055Y1 (ko) * 1995-11-29 2000-09-01 이구택 리미터스위치를 이용한 위치제어장치
KR20020028029A (ko) 2000-10-06 2002-04-15 권문구 전선용 pvc 절연재료
KR20060129593A (ko) 2005-06-07 2006-12-18 주식회사 제일테크 필터부재에 코팅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기능성 친환경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필터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55Y1 (ko) * 1995-11-29 2000-09-01 이구택 리미터스위치를 이용한 위치제어장치
KR19990046483A (ko) 1999-03-19 1999-07-05 이현재 악취및휘발성유기화합물의생물학적처리용담체제조방법
KR20020028029A (ko) 2000-10-06 2002-04-15 권문구 전선용 pvc 절연재료
KR20060129593A (ko) 2005-06-07 2006-12-18 주식회사 제일테크 필터부재에 코팅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기능성 친환경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필터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672B1 (ko) * 2015-07-08 2016-03-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친환경 환기 덕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7304B1 (ko) * 2015-08-19 2017-04-17 진강중 견운모를 이용한 합성수지 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837972A (zh) * 2016-04-19 2016-08-10 叶青 一种硬聚氯乙烯燃气管材料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956B1 (ko) 피브이씨 닥트 조성물
KR101649052B1 (ko) 왕겨를 포함하는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96652A (ko) 라돈저감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KR20100124396A (ko) 기능성 숯 바름재 조성물
KR101899115B1 (ko) 환경친화형 벽바름재 조성물
KR101796823B1 (ko) 기능성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CN107686611A (zh) 一种聚氯乙烯电工套管
KR101044239B1 (ko)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2630270B1 (ko) 라돈 차폐를 위한 기능성 도료
CN104874348B (zh) 一种降低混凝土中氡析出率的复合吸附材料
KR100850037B1 (ko) 기능성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JPH07188487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シート状物及び壁装材
KR20120043459A (ko) 건축 내장재 및 외장재용 첨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한 몰탈 제조방법
CN102199358A (zh) 释放负离子高分子天然沥青复合材料
KR101735162B1 (ko) 천일염을 포함하는 건축 내장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9400B1 (ko) 항균 탈취 및 인체 유해성분 중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KR20050090896A (ko) 맥상 점토 광석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건축 자재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제품
JP2008266547A (ja) 悪臭の吸着と遠赤外線放射能力を備えた住宅産業用塗料
TW200951208A (en) Composite material for imparting flame retardancy
KR20110096777A (ko) 라돈 저감을 위한 백색도료 조성물
KR20160115391A (ko) 바이오 벽지 제조용 조성물
KR100855035B1 (ko) 수용성 무기질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885943B1 (ko) 음이온 방출 석고 조성물, 이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 자재및 상기 건축 자재의 제조 방법
KR102468145B1 (ko)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합성수지관
JP4990921B2 (ja) 塩素含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