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76057B1 - 원통형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원통형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057B1
KR100876057B1 KR1020080023765A KR20080023765A KR100876057B1 KR 100876057 B1 KR100876057 B1 KR 100876057B1 KR 1020080023765 A KR1020080023765 A KR 1020080023765A KR 20080023765 A KR20080023765 A KR 20080023765A KR 100876057 B1 KR100876057 B1 KR 100876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grostat
thermo
evaporator
casing
dr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491A (ko
Inventor
김영용
Original Assignee
김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용 filed Critical 김영용
Priority to KR102008002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0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0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항온항습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는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흡입그릴; 상기 케이싱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토출그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송풍기; 및 상기 흡입그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 내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도 전열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증발기의 상부 또는 하부 공간에 항온항습기의 구성설비가 종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항온항습기는, 실내 중앙이나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흡입공기와 토출공기가 360도 전 방향에서 흡입되고 토출되어 원활한 공기 흐름이 형성되어 항온항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고, 항온항습시스템을 상하 이단 이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냉난방 부하가 큰 경우도 기존 장비에 비해 작은 면적으로도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항온항습기, 증발기

Description

원통형 항온항습기{A cylinder shape Thermo-hygrostat}
본 발명은 특정 공간에서 정해진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유지하도록 하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 재열시스템 및 가습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항온항습기는 벽면에 세워 상대편 벽 쪽으로 공기를 불어주는 방식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왔다(도 3 참조). 그러다 보니 넓은 공간에 설치되는 항온항습기의 경우 모든 공간에서 항온 및 항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토출되는 바람의 속도나 양이 증가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축동력이 증가되어야 하고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수반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냉방 시스템이나 역사이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항온항습기는 직사각형 형태로 한쪽 방향으로만 공기가 토출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일 측면 또는 그 구석에 설치할 수밖에 없어 설치공간이 제약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 항온항습기의 크기는 증발기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기존 1자형 증발기로는 항온항습기의 몸체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에 부딪혀 왔으며, 따라서 종래 항온항습기는 자체의 큰 부피로 인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넓은 평수와 냉난방 부하가(kcal/h) 큰 장소에서 설치면적이 작은 원통형 항온항습기를 개발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내 중앙에도 방향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한 방향이 아닌 360도 전 방향에서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져 공조 흐름의 배분이 전 방향으로 균일한 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 증발기를 원통형 항온항습기에 설치가 적합하도록 변형하고, 부품 배열을 횡 방향이 아닌 세로 방향으로 설계 구성하면서도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이 발휘되도록 하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항온항습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는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흡입그릴; 상기 케이싱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토출그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송풍기; 및 상기 흡입그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 내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도 전열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증발기(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증발기의 상부 또는 하부 공간에 항온항습기의 구성설비가 종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통형 케이싱 내에 좁은 공간에서도 증발기가 전열면적을 확장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종래 1자형 증발기를 원통형으로 새롭게 형성함으로써 증발기가 차지하는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그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설비를 종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원통형 케이싱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항온항습기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두 배 이상 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이 360도 전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 한 방향 토출식 항온항습기에 비해 필요공간의 중앙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작은 축동력으로도 필요한 모든 공간에 대한 항온항습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항온항습기는, 상기 증발기 하부에 가습기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 상부에 재열히터를 설치하며, 상기 재열히터 상부에 상기 가습기와 연결된 가습기 노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종래 항온항습기와는 달리 가습기를 증발기 하부에 배치하면서도 이와 연결된 가습기 노즐은 재열히터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을 줄이면서도 습기에 의한 재열히터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온항습기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외부에 설치하고, 종래 항온항습기와는 달리 팽창밸브를 상기 증발기 상부에 설치하여 설치 면적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온항습기의 구체적인 구성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 하부에 설치된 가습기; 상기 증발기 상부에 설치된 재열히터; 상기 재열히터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습기와 연결되는 가습기 노즐; 상기 가습기 노즐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 상기 증발기 주위를 둘러 상기 케이싱 상에 형성되는 흡입그릴; 및 상기 송풍기 상부 주위를 둘러 상기 케이싱 상에 형성되는 토출그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증발기 하부에 배수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증발기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수취하는 드레인판; 상기 드레인판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판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드럼; 및 상기 배수드럼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배수드럼 외부에 설치되었던 배수펌프를 배수드럼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에는 1차 필터가 장착되며; 상기 송풍기 상부에는 고성능 2차 필터가 장착되어, 1차로 흡입공기를 걸러주고 2차로 토출공기가 고성능 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까지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 상부에는 상부 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판은 길이 조절 수단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 상부에 고정되어 다양한 높이의 설치 공간에서도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항온항습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항온항습기로서;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항온항습기가 상하로 설치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증발기 용량을 2개로 분리하여 설치면적을 줄이면서도 동일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원통형 항온항습기는 종래 항온항습기에 비해 몸체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작은 설치면적으로도 기존 항온항습기에 비해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360도 전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됨으로써, 기존 항온항습기에 비해 풍량은 동일하면서 풍속은 1/2 감소해도 되므로 소음과 송풍기 축동력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넓은 평수를 갖는 공간의 중앙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 항온항습기에 비해 설치 위치에 제한이 없으며, 바닥에서 천장까지 동시에 고정할 수 있어 몸체가 가늘어도(설치면적이 적어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케이싱을 기존의 사각형에서 벗어나 원통형, 기둥형, 8각 기둥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도 있어, 디자인적으로도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기존 항온항습기, 냉난방기의 정형화된 형태를 탈피할 수 있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원통형 항온항습기는, 압축기(2), 응축기(1), 팽창밸브(21), 증발기(8)로 이루어지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는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100), 케이싱(100)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흡입그릴(10), 케이싱(100)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토출그릴(3), 토출그릴(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송풍기(5), 및 흡입그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흡입그릴(10) 내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도 전열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증발기(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증발기(8)는 원통형 케이싱 내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도 전열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원통형(횡단면이 원형-도면부호 8 참조)으로 형성된다. 항온항습기의 크기는 증발기의 크기에 좌우되게 되므로, 새로운 원통형 항온항습기에 기존 1자형 증발기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 증발기의 길이만큼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직경이 증가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직경을 줄여 좁은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증발기의 흡열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그 크기를 줄이기 위해 원통형의 증발기(8)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원통형 증발기(8)는 흡입그릴(10)을 통하여 360 전방향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원통형 증발기(8)는 그 변형예로서 ㅁ형(횡단면이 ㅁ형 - 원통형 증발기(8)와 유사한 형태로 횡단면이 원형이 아닌 ㅁ형)뿐만 아니라 상기 ㅁ형에서 일면이 개방된 ㄷ형(횡단면이 ㄷ형) 또는 상기 ㅁ형에서 두면이 개방된 ㄴ형(횡단면이 ㄴ형)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전술한 증발기들은 동일한 전열 면적을 갖는 기존 1자형 증발기와 비교하여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좁은 원통형 공간 내에서도 효율적으로 열전달을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원통형 항온항습기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1자형 증발기를 원통형(또는 ㅁ형, ㄷ형, ㄴ형)으로 새롭게 형성함으로써 증발기가 차지하는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그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설비를 종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원통형 케이싱의 직경을 줄여 종래 항온항습기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이 360도 전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 한 방향 토출식 항온항습기에 비해 필요공간의 중앙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작은 축동력으로도 필요한 모든 공간에 대한 항온항습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항온항습기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기 위하여, 부품의 배열을 횡 방향이 아닌 종 방향(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배치하여 원통형에 맞도록 구성하게 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냉동사이클 구성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기(냉방) 사이클의 사대 주요 부품 응축기(1), 압축기(Compressor)(2), 증발기(열교환기)(8), 팽창밸브(21) 중 증발기(8)와 팽창밸브(21)는 원통형 실내기 안에 구성하고 응축기(1)와 압축기(Compressor)(2)는 응축기유니트(40)(Condensing Unit)(실외기)에 구성한다. 증발기(8)는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좁은 공간 내에서도 전열면적을 확장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각 유닛의 구성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온항습기는, 원통형 케이싱 내부에 각 구성 유닛을 종 방향으로 배치 설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배수드럼(16) 안에 배수 펌프(15)를 장착하고 최하부에 고정하고 그 위에 가습기(17)를 설치한다. 이때 가습기(17)는 횡사각형이 아닌 원통형으로 상(上)방향으로 부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항온항습기의 몸체를 줄이기 위해, 기존 에어콘이나 항온항습기 등과 달리 드레인판(12) 하부에 가습기(17)를 위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가습기 노즐(6)은 가습기 증기 배관(14)을 통하여 재열히터(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재열히터(7)의 부식을 방지하고 재열히터(7)를 통과하는데 따라 습도가 낮아진 공기를 가습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가습기(17) 옆에 콘트롤 박스(23)를 고정한다.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원형 드레인판(12) 위에 원통형으로 변형하여 설계 제작 한 증발기(8)를 설치한다(증발기는 원통형 이외에 ㄷ형, ㄴ형 또는 ㅁ형 등으로도 형성 가능). 또한, 증발기 상부 프레임(200) 위에 철판을 이용하여 마감 처리하고 보온재를 부착하여 결로를 방지한다.
증발기 입구 냉매 액관(18) 라인에 팽창밸브(21)를 조립한다.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고정용 프레임(63) 위에 정사각형으로 구성된 재열히터(7)를 설치하고 그 위에 재열히터(7)에 닿지 않도록 가습기 노즐(6)을 고정한다.
그 다음 송풍기(5)를 송풍기 고정용 프레임(62) 하부에 고정한다. 송풍기(5) 선정은 기존 풍량은 동일하면서 풍속 도달 거리 감소를 계산하여 선정한다(도 3 및 도 4 참조). 그 다음 필터 고정용 프레임(61) 상부 중앙에 필터에 맞는 크기의 사각형으로 타공하여 조립된 고성능필터(4)를 고정한다. 고성능 필터(4)에 의해 장치 내 미세먼지까지 제거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판(105) 그리고 상부고정판(20)을 조립하는 것과 케이싱 조립순으로 들어간다. 반원형으로 제작된 케이싱에 보온재를 붙여 조립하고 1차 필터(9)와 흡입 그릴(10)과 토출 그릴(3)을 조립한다.
응축기 유니트(40)는 실외에 배치하고 응축기 유니트(40)의 냉매 액관(18)과 냉매 가스(GAS)관(19)을 실내기 냉매 액관(18)과 냉매 가스(GAS)관(19)에 연결하여 냉동사이클의 회로를 구성하였다. (고압차단 스위치의 위치와 저압차단 스위치의 위치는 실내기와 실외기에 상관없이 통상 동일하게 제어되므로 표기를 제외함.)
< 증발기의 구성 >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형태로 소형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증발기(열교환기)는 기존 한 면에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1자형 증발기(301)와 달리, 여러 방향에서 공기흡입이 이루어지도록 원통형 증발기(8)로 설계 제작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증발기는 전열면적은 변하지 않고 원통형 안에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증발기(열교환기) 면풍속이 2.5m/s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원통형 증발기(302)일 경우 A=πD2 (A:단면적, π:3.14, D: 반지름)이므로, 동일 열교환 면적에 대하여 원통형 증발기(8)가 1자형 증발기보다 폭이 적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냉매가스가 아닌 액체로 인한 열교환으로 냉난방 시스템을 형성할 때는 상부에 에어벤트를 부착하고 정유량 밸브를 후단에 부착하여 일정한 유량이 흐르도록 하였다.
< 공기 흐름 >
송풍기(5)가 작동되면 실내 공기(41)는 1차 필터(9)에 의해 먼지가 제거되고 증발기(8)에 의해 통과하면서 공기의 온도를 내리는 기능과 재열히터(7)를 통과하여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 제습 기능도 포함된다. 가습기 노즐(6)에 의해 필요에 따라 습도가 더해지고 고성능필터(4)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는 제거한다. 깨끗한 공기로 만들어진 토출 공기(42)는 요구된 항온항습조건에 맞는 공기로 만들어진다.
< 그릴, 필터, 배수 >
흡입 그릴(10) 및 토출 그릴(3)은 원통형 케이싱(100)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어 360도 전방향에서 흡입되고, 360도 전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또한, 몸통의 원통형에 맞게 반달모양으로 2개를 만들어 앞뒤에 부착하여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1차필터(9)는 흡입 그릴(10)에 반달모양(반원형)으로 2개를 만들어 양쪽에 삽입하여 분진을 제거하도록 구성하였다.
증발기(8) 아래에는 가습기 및 배수수단이 종 방향으로 설치된다. 증발기(8)와 실내 공기(41)와 열교환이 되면 응축수가 생기는데 이 응축수는 드레인호스(배관)(11)를 통과하여 배수드럼(16)에 모이게 된다. 가습기(17)에 의해서 퇴수된 물도 드레인호스(배관)(11)에 의해 배수드럼(16)에 모이게 된다. 배수드럼(16)에 모인 물은 배수펌프(15)에 의해 배수배관(13)에 의해 배수배관(13)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므로 배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온항습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설치면적을 줄이기 위해 배수드럼 내부에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상부고정판(20)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천정과 바닥을 동시에 간단하게 피스(볼트)류로 고정할 수 있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함에 견고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상하 이중으로 구성하여 제작된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항온항습기는, 압축기(2), 응축기(1), 팽창밸브(21), 증발기(8)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항온항습기로서;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항온항습기가 상하로 설치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증발기 용량을 2개로 분리하여 설치면적을 줄이면서도 동일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 항온항습기 직사각형은 증발기 하나에 용량의 100% 기준에서 50%의 50% 2개의 독립적인 사이클회로를 구성하여 하나의 증발기(100%)로 제작하여 몸체가 커질수 밖에 없으나 이 원통형 항온항습기는 기존 증발기 하나의 용량을 2개(50%×2)로 만들어 원통형 공기조화기에 맞도록 원통형(8)으로 변형하여,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상부 시스템 및 하부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원통형이면서 성능에 비해 설치 면적이 작도록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상하 이중으로 구성하여 제작된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기존 항온항습기의 공기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공기 흐름도이다.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항온항습기의 외형도이다.
도 7은 종래 1자형 증발기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ㄷ자 기둥형, ㄴ자 기둥형, ㅁ자 기둥형 증발기의 외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응축기 2 - 압축기(Compressor)
3 - 토출 그릴 4 - 고성능필터
5 - 송풍기 6 - 가습기 노즐
7 - 재열히터 8 - 증발기(열교환기)
9 - 1차 필터 10 - 흡입 그릴
11 - 드레인호스(배관) 12 - 드레인판
13 - 배수배관 14 - 가습기 증기 배관
15 - 배수펌프 16 - 배수드럼
17 - 가습기 18 - 냉매 액관
19 - 냉매 가스(GAS)관 20 - 상부고정판
21 - 팽창밸브 22 - 급수관
23 - 콘트롤박스(Control Box) 100 - 케이싱
삭제
40 - 응축기 유니트 41 - 실내 공기
42 - 토출 공기 43 - 급수 전자밸브
50 - 하단 항온항습기 위치 105 - 상판
106 - 길이조절용 볼트 200 - 증발기 상부 후레임
301 - 1자형 증발기(열교환기) 302 - 원통형 증발기(열교환기)
303 - ㄷ자 기둥형 증발기(열교환기)
304 - ㄴ자 기둥형 증발기(열교환기)
305 - ㅁ자 기둥형 증발기(열교환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는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흡입그릴;
    상기 케이싱 상에 원통 둘레를 둘러 형성되는 토출그릴;
    상기 토출그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송풍기; 및
    상기 흡입그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 내부의 좁은 공간 내에서도 전열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증발기;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증발기의 상부 또는 하부 공간에 항온항습기의 구성설비가 종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항온항습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항온항습기는,
    상기 증발기 하부에 배수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증발기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수취하는 드레인판;
    상기 드레인판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판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드럼; 및
    상기 배수드럼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항온항습기는,
    상기 흡입그릴에 1차 필터가 장착되며;
    상기 송풍기 상부에는 고성능 2차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항온항습기는,
    상기 케이싱 상부에는 상부 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판은 길이 조절 수단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항온항습기는,
    상기 증발기 하부에 가습기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 상부에 재열히터를 설치하며,
    상기 재열히터 상부에 상기 가습기와 연결된 가습기 노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10.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항온항습기로서;
    청구항 5의 항온항습기가 상하로 설치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KR1020080023765A 2008-03-14 2008-03-14 원통형 항온항습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76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765A KR100876057B1 (ko) 2008-03-14 2008-03-14 원통형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765A KR100876057B1 (ko) 2008-03-14 2008-03-14 원통형 항온항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815A Division KR20070108581A (ko) 2006-05-08 2006-05-08 원형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91A KR20080027491A (ko) 2008-03-27
KR100876057B1 true KR100876057B1 (ko) 2008-12-26

Family

ID=3941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7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6057B1 (ko) 2008-03-14 2008-03-14 원통형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448B1 (ko) * 2016-02-29 2016-10-12 (주)지앤씨엔지니어링 전산센터 환경유지 시스템
KR20170016665A (ko) 2015-08-04 2017-02-14 (주)티원엔지니어링 항온항습 공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4057B (en) * 2021-12-17 2024-08-14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KR102696510B1 (ko) * 2024-03-08 2024-08-21 주식회사 레프텍 냉각 및 가열효율이 향상된 청소차량용 냉난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665A (ko) 2015-08-04 2017-02-14 (주)티원엔지니어링 항온항습 공조시스템
KR101665448B1 (ko) * 2016-02-29 2016-10-12 (주)지앤씨엔지니어링 전산센터 환경유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91A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777B2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US7185513B2 (en) Low profile evaporator coil
WO2016103441A1 (ja) 室外機
JP2012242026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11023288A (zh) 一种一体式空调器
KR2011013983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76057B1 (ko) 원통형 항온항습기
US20040237559A1 (en)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063525B1 (ko) 창문형 에어컨
JP2019522165A (ja) 部屋の天井の下に設置するための冷却装置
KR100593084B1 (ko) 에어컨 실외기의 흡입관 구조
JP579714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050012223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200436139Y1 (ko) 원형 항온항습기
KR20070108581A (ko) 원형 항온항습기
CN213272829U (zh) 一种空调室内机
JP2013160391A (ja) 空気調和機
KR100896805B1 (ko) 항온항습 기능을 갖는 증기식 공기조화기
KR20080028401A (ko) 원형 항온항습기
KR100953199B1 (ko) 공기조화기
CN219889754U (zh) 挂式空调
KR20060017395A (ko) 유니터리 에어콘의 열교환기 구조
KR100768165B1 (ko) 천정형 에어컨의 드레인패널
CN221279570U (zh) 空调室内机
WO2019150720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080314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91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