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175B1 - 집수구 - Google Patents
집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3175B1 KR100843175B1 KR1020070050277A KR20070050277A KR100843175B1 KR 100843175 B1 KR100843175 B1 KR 100843175B1 KR 1020070050277 A KR1020070050277 A KR 1020070050277A KR 20070050277 A KR20070050277 A KR 20070050277A KR 100843175 B1 KR100843175 B1 KR 100843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lower cylinder
- catchment
- cylinder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등에 설치되는 집수구 또는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거푸집 상면의 특정 위치에 올려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하부통(4); 깔때기 형태로서 상부는 그레이팅(8)이 안착되는 입수관(10)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하부통(4)의 상부를 통해 끼워지게 되는 출수관(12)으로 구성되는 상부통(2); 상기 상부통(2)과 하부통(4)의 결합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통(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1 나사공(14)이 마련되는 제1 플랜지(16), 상기 상부통의 출수관(12)의 외주벽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2 나사공(18)이 마련되는 제2 플랜지(20), 상기 제1,2 플랜지(16,20)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1,2 나사공(14,18)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볼트(22)를 포함하는 설치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수구, 배수구, 하수, 교량, 도로, 그레이팅, 콘크리트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 상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집수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수구의 시공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완성된 상태의 교량 상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배수관이 더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상부통 4 ; 하부통
6 ; 배수관 8 ; 그레이팅
14,18 ; 제1,2 나사공 16,20 ; 제1,2 플랜지
22 ; 조정볼트 34 ; 고정판
36 ; 하부근 38 ; 철끈
40 ; 상부근 106 ; 시멘트 몰탈
M ; 거푸집
본 발명은 집수구 또는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또는 도롯가에 설치되어 우수 등을 도로로부터 배수하여 하수관에 보내기 위한 도로 또는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포장 또는 시멘트 포장에 의해 불투수층으로 된 도로 또는 교량의 표면에 떨어지는 우수 등은, 도로가장자리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는 집수구를 통해 지면 아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구로 배수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를 직접적인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 또는 건물에도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이를 위해 교량을 주된 대상으로 선택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 상판의 단면도이다.
교량의 상판(100) 시공에 있어서, 통상 거푸집(102)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인장력 보강을 위한 철근(미도시됨)이 격자형태로 배근된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철근은 상부근 및 하부근의 2층 구조를 가지도록 배근된다. 철근의 배근과 더불어 통형상의 집수구(104)가 거푸집 상면에 설계된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집수구의 설치과정에서 그의 높이는 곧 도로표면의 높이가 되므로 설치시에 세밀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집수구(104)가 설치된 이후 거푸집 위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몰탈(106, 이하, 시멘트 몰탈로 대표하여 칭하기로 한다)이 일정한 두께로 타설 및 양생되고 거푸집이 제거됨으로써 상판 공사가 완료된다.
설명된 것과 같이 집수구를 설치함에 있어 그 설치높이의 조정에 상당한 인력이 소요된다. 때에 따라서는 거푸집 표면과 시공하고자 하는 도로 상판의 표면이 상호 평행하지 않은 경우가 있게 마련인데, 이 경우에는 집수구를 요망하는 위치대로 고정 설치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그리고 설계된 두께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소정의 기준을 필요로 하는데 통상은 세로로 설치된 거푸집 상에 먹줄을 표시하거나 무명실을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등을 위한 집수구를 설치함에 있어서 그 설치높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집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수구를 쉽게 설치하게 함으로써 이로 하여금 시멘트 몰탈의 타설 척도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집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거푸집 상면의 특정 위치에 올려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하부통;
깔때기 형태로서 상부는 그레이팅이 안착되는 입수관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하부통의 상부를 통해 끼워지게 되는 출수관으로 구성되는 상부통;
상기 상부통과 하부통의 결합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통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1 나사공이 마련되는 제1 플랜지, 상기 상부통의 출수관의 외주벽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2 나사공이 마련되는 제2 플랜지, 상기 제1,2 플랜지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1,2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볼트를 포함하는 설치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통의 아래로부터 그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으로부터 갈고리 또는 제이(J) 형태의 걸이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2곳 이상에 마련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걸이홈이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통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집수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만, 도 2에는 배수관이 함께 표현된다. 도 3은 도 2의 집수구의 시공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완성된 상태의 교량 상판의 단면도이다.
집수구는 상부통(2), 하부통(4) 및 이 양자 간의 결합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한다. 나아가 집수구의 정의를 광의로 해석한다면 배수관(6)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배수관(6)은 교량용 집수구에 한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통(2)과 하부통(4)은 통상 스테인레스 재질이 이용되지만, 주강이어도 무방하다. 하부통(4)은 거푸집 상면의 특정 위치에 올려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이다.
깔때기 형태의 상부통(2)은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상부는 그레이팅(8)이 안착되는 입수관(10)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하부통(4)의 상부를 통해 큰 유격 없이 끼워질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지는 출수관(12)으로 구성된다. 상부통(2)은 주조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구성도 배제되지 않는다.
그레이팅(8)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턱이 입수관(10)의 개구부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입수관(10)은 사각형의 관체로 되어 있고 출수관(12)은 원통형이다.
본 고안의 핵심은 상부통(2)과 하부통(4)의 결합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설치높이조정수단에 있다. 이는 하부통(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1 나사공(14)이 마련되는 제1 플랜지(16)와; 상부통의 출수관(12)의 외벽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2 나사공(18)이 마련되는 제2 플랜지(20)와; 제1,2 플랜지(20) 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1,2 나사공(14,18)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볼트(22)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16)와 하부통(4)은 티(T)자 형태로 일체를 이루고 있다. 제1 플랜지(16)의 내주면은 상부통의 출수관(12)의 외벽에 접하게 된다. 출수관(12)의 외벽과 하부통(4)의 외벽 사이에는 링 형태의 간격이 마련된다. 이 간격을 통해 배수관(6)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각 나사공(14,18)은 원주방향을 따라 3곳에 균등 간격으로, 즉 120°간격으로 설치된다. 제2 플랜지(20)는 제2 나사공(18)을 중심으로 재료의 절감 등을 위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2 플랜지(20)는 출수관(12)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성상(星狀)을 이룬다.
각 나사공(14,18)을 3곳에 마련하는 것은 하부통(4)에 대하여 수평을 포함하여 원하는 경사도 및 높이로 상부통(2)을 결합하여 고정시키기에 적당하기 때문이다. 4개 이상의 나사공을 만들 경우 높이조정이 오히려 번거로워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제1 플랜지(16)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개의 연결공(24)이 타공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철끈을 이용하여 하부통(4)을 하부근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연결공(24)은 2 ~ 4개 정도면 무난하다.
제1 나사공(14)은 제1 플랜지(16)에 탭가공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너트가 용접으로 부착됨으로써도 만들어질 수 있다. 기다란 조정볼트(22)는 설치높이 조정을 마친 후 로크너트(26)에 의해 잠금 될 수 있다.
하부통(4)의 외벽에는 볼트공(28)이 대칭되게 타공되어 있는데, 이는 특히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를 위한 것이다. 즉, 교량용 집수구는 우수를 집수하여 교각을 따라 설치되는 배수관(6)을 통해 낙수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하여야 한다. 하부통의 볼트공(28)을 통해 연결볼트(30)를 결합시킴으로써 볼트몸체가 하부통 내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볼트공(28)은 하부통 원주방향을 따라 2곳에 대칭되게 마련 된다.
한편, 집수관에 연결되는 첫번째 배수관(6)의 원주벽에는 상단으로부터 갈고리 또는 제이(J) 형태의 걸이홈(32)이 마련된다. 걸이홈(32)은 원주방향을 따라 2곳 이상에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배수관(6)은 하부통(4)의 측벽을 관통하여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연결볼트(30)에 의해 교량 하부로 연장되게끔 설치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특히 상부통(2)과 하부통(4)간의 결합정도를 조정하는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볼트헤드에 고리가 달린 기다란 아이볼트가 전실시예에서의 조정볼트(22)로 사용되고 있다. 조정볼트(22)는 입수관(10)의 경사측벽(11)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20)에 설치된다. 제2 플랜지상의 제2 나사공(18)은 횡방향으로 타공되어 있으며 조정볼트(22)는 제2 나사공(18)에 결합되는 핀부재(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통의 제1 플랜지(16)에 마련된 제1 나사공(14)은 방사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조정볼트(22)가 제2 플랜지(2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1 나사공(14)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잠금너트(26)는 2개가 사용되며 조정볼트(22)를 제1 플랜지(16)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집수구 내지 교량의 시공방법을 도 3을 통해 단계별로 설명한다. 다만, 도 2에 표시된 실시 예를 모델로 한다. 도 3(a)는 거푸집의 상면에 고정판을 못으로 고정시킨 상태가 도시된다. 고정판(34)은 거푸집(M)의 일 요소로서 거푸집과 함께 제거될 것이다. 고정판(34)은 하부통(4)에 끼워질 수 있는 원판 형태일 수 있다. 고정판(34)의 설치와 함께 하부근(36)이 격자형태로 거푸집(M)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배근된다. 하부근(36)은 집수구가 설치될 위치를 피하여 배근되어야 할 것이다.
이후, 도 3(b)와 같이 거푸집 상면에 임시로 고정되는 고정판(34)에 하부통(4)이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하부통(4)의 제1 플랜지(1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개의 연결공(24)이 마련되는데, 이 연결공(24)과 직경 2 ~ 4mm 정도의 철끈(38)을 이용하여 도 3(c)에 도시되는 것처럼 하부근(36)과 하부통(4)을 연결하게 된다. 이로써 하부통(4)은 거푸집(M) 상에서 상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못 움직이게 된다. 이는 이후에 시멘트 몰탈이 타설될 때 집수구 전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단계이다.
이후, 도 3(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통(4)의 상부를 통해 상부통(2)이 끼워지고 제1,2 플랜지(16,20)의 제1,2 나사공(14,18)에는 조정볼트(22)가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조정볼트(22)의 체결정도를 조정하여 상,하부통(2,4)의 결합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요망하는 집수구의 설치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근(40)이 상부통(2)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하게 밑으로 내려간 상태로 배근된다.
조정볼트에 의한 높이조정작업은 통상 줄자 내지 지그를 이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집수구의 설치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집수구를 하나의 높이표준으로 하여 시멘트 몰탈을 알맞은 두께로 타설할 수 있게 된다.
시멘트 몰탈이 타설된 상태가 도 3(d)에 함께 도시된다. 도 4는 양생 후 거푸집 및 고정판이 제거되어 교량의 상판이 완성된 상태이다. 교량용 집수구인 경우에는 배수관(6)이 하부통(4) 아래에 더욱 결합된다. 배수관(6)이 집수구에 더 연결된 상태의 단면이 도 5에 도시된다. 배수관(6)과 집수구는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하부통(4)의 연결볼트(30)에 배수관(6)의 걸이홈(32)을 맞춰 끼운 후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관(6)은 도면상 아래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집수구로부터 분리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참고로 하부통(4) 및 배수관(6)은 긴밀하게 암수 결합할 수 있는 정도의 단면차이를 가지며, 그들의 직경은 150 ~ 200mm 의 범위에서 결정된다. 배수관(6)은 클램프와 같은 수단에 의해 교각에 부착되어 지면으로 연장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우수의 배수를 위해 교량, 도로 또는 건물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있어서, 집수구의 높이를 요망하는 높이로 설치 고정하기가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설치시에도 양호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몰탈의 타설 두께를 결정하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 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 거푸집 상면의 특정 위치에 올려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하부통(4);깔때기 형태로서 상부는 그레이팅(8)이 안착되는 입수관(10)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하부통(4)의 상부를 통해 끼워지게 되는 출수관(12)으로 구성되는 상부통(2);상기 상부통(2)과 하부통(4)의 결합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통(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1 나사공(14)이 마련되는 제1 플랜지(16), 상기 상부통의 출수관(12)의 외주벽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2 나사공(18)이 마련되는 제2 플랜지(20), 상기 제1,2 플랜지(16,20)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1,2 나사공(14,18)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볼트(22)를 포함하는 설치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나사공(14,18)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3곳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20)는 상기 출수관(12)의 원주를 따라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성상(星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4)의 아래로부터 그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으로부터 갈고리 또는 제이(J) 형태의 걸이홈(32)이 원주방향을 따라 2곳 이상에 마련되는 배수관(6); 상기 배수관의 걸이홈(32)이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통(4)의 측벽을 관통하여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연결볼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277A KR100843175B1 (ko) | 2007-05-23 | 2007-05-23 | 집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277A KR100843175B1 (ko) | 2007-05-23 | 2007-05-23 | 집수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3175B1 true KR100843175B1 (ko) | 2008-07-02 |
Family
ID=3982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0277A KR100843175B1 (ko) | 2007-05-23 | 2007-05-23 | 집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3175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200B1 (ko) | 2008-10-21 | 2009-04-02 | 윤재경 | 외부표면에서의 분리가 방지되는 교량집수구 |
KR100941146B1 (ko) | 2009-05-11 | 2010-02-10 | 김원주 | 덮개 이탈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 장착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
KR101231693B1 (ko) * | 2012-11-16 | 2013-02-13 | 삼우기연 주식회사 |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524985B1 (ko) * | 2014-11-03 | 2015-06-01 | 최두호 | 가변형 집수정 |
KR101920360B1 (ko) * | 2018-02-21 | 2018-11-20 | 삼우기연 주식회사 | 2단 높이 조절용 집수구 |
CN113235418A (zh) * | 2021-05-12 | 2021-08-10 |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 一种用于桥梁的一体化预制泄水构造施工方法 |
KR102571397B1 (ko) * | 2022-09-13 | 2023-08-28 | 김기종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KR102678969B1 (ko) * | 2023-06-21 | 2024-06-28 |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 높이 가변형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7327Y1 (ko) * | 2000-04-25 | 2000-09-15 | 한국도로공사 | 배수로용 집수구 |
KR200262740Y1 (ko) * | 2001-10-06 | 2002-03-18 |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 교량 배수구조 |
KR100572510B1 (ko) * | 2004-01-16 | 2006-04-19 | (주)석탑엔지니어링 | 배수용 집수구 |
KR20060102831A (ko) * | 2005-03-25 | 2006-09-28 | 이창수 |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2007
- 2007-05-23 KR KR1020070050277A patent/KR10084317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7327Y1 (ko) * | 2000-04-25 | 2000-09-15 | 한국도로공사 | 배수로용 집수구 |
KR200262740Y1 (ko) * | 2001-10-06 | 2002-03-18 |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 교량 배수구조 |
KR100572510B1 (ko) * | 2004-01-16 | 2006-04-19 | (주)석탑엔지니어링 | 배수용 집수구 |
KR20060102831A (ko) * | 2005-03-25 | 2006-09-28 | 이창수 |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200B1 (ko) | 2008-10-21 | 2009-04-02 | 윤재경 | 외부표면에서의 분리가 방지되는 교량집수구 |
WO2010076953A1 (ko) * | 2008-10-21 | 2010-07-08 | 다산기업(주) | 외부표면에서의 분리가 방지되는 교량집수구 |
KR100941146B1 (ko) | 2009-05-11 | 2010-02-10 | 김원주 | 덮개 이탈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 장착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
KR101231693B1 (ko) * | 2012-11-16 | 2013-02-13 | 삼우기연 주식회사 |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524985B1 (ko) * | 2014-11-03 | 2015-06-01 | 최두호 | 가변형 집수정 |
KR101920360B1 (ko) * | 2018-02-21 | 2018-11-20 | 삼우기연 주식회사 | 2단 높이 조절용 집수구 |
CN113235418A (zh) * | 2021-05-12 | 2021-08-10 |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 一种用于桥梁的一体化预制泄水构造施工方法 |
KR102571397B1 (ko) * | 2022-09-13 | 2023-08-28 | 김기종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KR102678969B1 (ko) * | 2023-06-21 | 2024-06-28 |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 높이 가변형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3175B1 (ko) | 집수구 | |
US4878782A (en) | Drain channel alignment and installation apparatus | |
CN100510280C (zh) | 用于风能设备的埋沉基础的土方工程方法 | |
US7699981B2 (en) | Drain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 |
US8858114B2 (en) |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utility access cover | |
KR102017871B1 (ko) |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635868B1 (ko) | 걸이식 교량 배수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
US20120297691A1 (en) |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utility access cover | |
US9822498B2 (en) | Precast concrete bridge unit and headwall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tion | |
KR101776805B1 (ko) |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 |
KR101013008B1 (ko) | 교량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US20160376756A1 (en) | Precast concrete bridge unit and headwall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tion | |
KR20100114436A (ko) |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맨홀 보수공법 | |
KR102594401B1 (ko) | 수로덮개 제조장치 및 제조된 수로덮개 | |
KR101231693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378967B1 (ko) | 경계석 시공장치 | |
KR102363892B1 (ko) | 원심력 사각 수로관 결합용 빗물받이, 이의 프리캐스트 상부 구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20080113517A (ko) | 매립형 빗물받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571397B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70511B1 (ko) |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 |
KR101639311B1 (ko) |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 |
JP3092202U (ja) | トンネル内監視員通路の擁壁構造 | |
KR102728404B1 (ko) | 우수받이 개구부 인상용 거푸집 | |
US20080078126A1 (en) | Drain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 |
KR20090010314U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