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771B1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8771B1 KR100848771B1 KR1020067020759A KR20067020759A KR100848771B1 KR 100848771 B1 KR100848771 B1 KR 100848771B1 KR 1020067020759 A KR1020067020759 A KR 1020067020759A KR 20067020759 A KR20067020759 A KR 20067020759A KR 100848771 B1 KR100848771 B1 KR 1008487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oon
- endoscope
- expansion
- control device
- state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98 duoden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98 organs belonging to the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mechanical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48—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anch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의 삽입부(2B)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9) 및 상기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 튜브(3)의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11)에 기체를 공급하는 제1, 제2 펌프(32a, 32b)와, 이 제1, 제2 펌프(32a, 32b)를 동작시켜 상기 각 벌룬(9, 11)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5)를 갖고, 상기 제어부(35)는 각 벌룬(9, 11)의 팽창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출력부(35a)에 의해 검출한 팽창 상태 정보를 기초로 리모트 컨트롤러(8)의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의 표시를 제어한다. A first balloon for supplying gas to a fixing balloon 9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end portion of the endoscope and a fixing balloon 11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overtube 3 through which the endoscope is inserted; The control part 35 has the 2nd pump 32a, 32b and the control part 35 which operates this 1st, 2nd pump 32a, 32b, and controls the pressure in each said balloon 9,11. The balloon expansion / contraction display units 18a and 18b and the balloo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8 are based on the expansion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output unit 35a which detects the expansion state of each of the balloons 9 and 11.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s 19a and 19b is controlled.
고정용 벌룬, 펌프, 오버 튜브, 리모트 컨트롤러, 표시부 Fixing balloon, pump, over tube, remote controller, indic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에 설치된 벌룬 및 오버 튜브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에 설치된 벌룬의 팽창 상태를 시술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and relates to an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that enables the operator to recognize the expansion state of the balloo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end of the endoscope and the balloo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end of the overtube.
일반적으로, 소화관 검사에 있어서는 내시경 검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시경의 검사에 있어서, 내시경의 삽입부를 심부 소화관, 예를 들어 소장으로 삽입하는 경우, 단순히 상기 삽입부를 밀어넣는 것만으로는 복잡한 장관의 굴곡때문에 상기 삽입부 선단부로 힘이 전해지기 어려워, 심부로의 삽입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상기 내시경은 심부 삽입에 의해 생긴 상기 내시경의 여분의 굴곡이나 휨을 연신하고자 하여 다시 당기면, 상기 삽입부 선단부도 빠지기 때문에, 굴곡이나 휨이 취해지지 않아, 심부 삽입이 곤란해진다.In general, endoscopy is widely used in the examination of the digestive tract. In the examination of such an endoscope, whe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is inserted into the deep gastrointestinal tract, for example, the small intestine, it is difficult to transmit force to the insertion portion tip due to complicated bowel bending simply by pushing the insertion portion. Insertion of furnace is difficult. For example, when the endoscope is pulled again in order to draw out extra bending or bending of the endoscope caused by deep insertion, the tip of the insertion portion is also pulled out, so that bending and bending are not taken, and deep insertion becomes difficult.
그래서,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 선단부 외주에 벌룬을 설치하고, 이 벌룬을 팽창시켜 상기 장관에 일시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시경에 생긴 여분의 굴곡이나 휨을 연신할 때에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내시경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Thus, by installing a balloon on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end of the endoscope and inflating the balloon to temporarily fix it to the intestine, the tip of the insertion part is prevented from escaping when stretching the extra bending or bending generated in the endoscope. One endoscopy device is proposed.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를 삽입 관통하는 오버 튜 브를 설치하고, 이 오버 튜브의 선단부 외주에 벌룬을 설치하고, 이 벌룬과 상기 내시경의 벌룬을 적절하게 팽창시키거나, 오므려 상기 내시경 장치에 대해 시술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내시경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1019호 공보에는 상기 내시경의 상기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상기 벌룬에 대해, 제어 장치에 의해 각 벌룬 내의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각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펌프 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내시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Further, in the prior art, an over tube penetrat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is provided, a ballo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of the overtube, and the balloon and the balloon of the endoscope are properly inflated or closed. An endoscopy device which aim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 endoscopy device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01019 discloses, with respect to the balloon of the endoscope and the balloon of the overtube, by controlling a pressure of air in each balloon by a control device while controlling the pressure in each balloon. An endoscope apparatus is disclosed in which air is supplied from a pump apparatus.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1019호 공보에 기재된 내시경 장치는 상기 각 벌룬이 환자의 상기 소화 기관 내에 배치되게 되므로, 시술자에게는 각 벌룬이 어떤 팽창 상태인 것인지, 예를 들어 벌룬에 송기 중이며 확장 중인지, 확장이 종료되어 있는지, 혹은 수축 중인지, 수축이 종료되어 있는지 등의 인식을 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상기 내시경 장치는 시술자에 의해 송기 버튼 등의 조작이 행해져도 각 벌룬이 원하는 상태로 팽창되는 데 필요로 한다고 예상되는 충분한 시간, 시술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혹은, 상기 내시경 장치에서는, 시술자는 각 벌룬의 상태가 불완전한 상태에서 시술을 계속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심부로 삽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없는 일이 있다. However, the endoscope apparatu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01019 discloses that each balloon is placed in the patient's digestive organs, so that the operator knows which balloon is in an expanded state, for example, is in the air and is inflated to the balloon.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it is in progress, whether the expansion is completed, whether it is contracting, or whether the contraction is finished. For this reason, the endoscope apparatus needs to stop the procedure for a sufficient time, which is expected to be required for each balloon to be inflated to a desired state even if the operato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an air delivery button. Alternatively, in the endoscope apparatus, the operator may continue the procedure in a state where the state of each balloon is incomplete. In such a case, it may not be possible to effectively insert the insertion part of an endoscope into a core part.
본 발명은 이들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내시경의 벌룬과 오버 튜브의 벌룬의 팽창 상태를 시술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apparatus which can make an operator recognize the expansion state of the balloon of an endoscope and the balloon of an over tu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벌룬의 팽창 상태를 검출하는 팽창 상태 검출부와, 상기 팽창 상태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는 표시를 행하기 위한 팽창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팽창 상태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doscop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mp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gas to a fixed balloon install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endoscop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 the balloon, and the expansion state of the balloon An expanded stat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d an expanded state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expanded state information for performing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expanded state detection unit.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oscope system to which an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of FIG. 1; FIG.
도3A는 도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Fig. 3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2;
도3B는 도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Fig. 3B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2;
도4는 도2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of FIG.
도5 내지 도11은 각 벌룬을 이용하여 내시경 및 오버 튜브의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5는 각 벌룬을 오므려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 관통하여 장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Figures 5 to 11 are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doscope and the over tube using each balloon, Figure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balloon is retracted and the endoscope is inserted into the over tube and inserted into the intestine.
도6은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관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of the over tube is inflated and fixed to the intestine;
도7은 도6의 상태로부터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oscope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overtube from the state of Fig. 6;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내시경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 내는 설명도.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of the endoscope is inflated and fixed to a barrier in the state of FIG. 7; FIG.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오므려 오버 튜브를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r tube is further inserted by closing the balloon of the over tube in the state of Fig. 8;
도10은 도9의 상태로부터 오버 튜브의 선단부가 내시경 선단부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p portion of the overtube moves from the state of Fig. 9 to the endoscope tip;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of the over tube is inflated and fixed to the barrier in the state of Fig. 10;
도12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의 메인 프로그램을 도시하는 흐름도.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and showing a main program of the controller.
도13 내지 도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13은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13 to 2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oscope system to which an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is applied.
도14는 도13에 도시하는 비디오 프로세서(5)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15 내지 도26은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위한 것으로, 도15는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15 to 26 are for explaining display control operation by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5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16은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16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17은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17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18은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18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19는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19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20은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20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21은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21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22는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22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23은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23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24는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24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25는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25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doscope system.
도26은 긴급 정지 버튼이 눌린 경우의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Fig. 26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the monitor when the emergency stop button is pressed;
도27은 도4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에 있어서의 관로 절환부를 도시하는 블럭도. Fig. 2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duit switching section in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in Fig. 4;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갖는 내시경 시스템(1)은 내시경(2), 오버 튜브(3), 광원 장치(4), 비디오 프로세서(5), 모니터(6),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리모트 컨트롤러(8)를 갖고 있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oscope system to which an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내시경(2)은, 예를 들어 소화관 내 내시경 검사에 이용되는 것으로, 체강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2B)와, 이 삽입부(2B)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조작부(2A)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명 광학계 및 촬상 소자(CCD)를 포함하는 관찰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어, 피검체의 소화관 내의 관찰 부위를 조명하여 피검체의 소화관 내의 관찰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The
상기 조작부(2A)에는 유니버설 코드(2C)가 연장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C)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선 및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C)의 기단부는 상기 광원 장치(4)의 커넥터(4a),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의 커넥터(5a)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조명 광학계에는 상기 유니버설 코드(2C) 내의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을 거쳐서 광원 장치(4)로부터의 조명광이 공급되어 관찰 부위를 조명하고, 상기 CCD로부터 출력되는 소화관 내의 촬상 신호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The
이와 같은 내시경(2)은 시술 시, 상기 오버 튜브(3)에 삽입 관통되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버 튜브(3)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상기 광원 장치(4)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 내의 라이트 가이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상기 내시경(2)에 설치된 조명 광학계에 대해 조명광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CCD로부터의 촬상 신호로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촬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내시경 라이브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6)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6)는 접속 케이블(5A)에 의해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6)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내시경 화상을 표시한다. The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1)은,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외주부에는 고정용 벌룬(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벌룬(9)에는 상기 삽입부(2B)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걸쳐서 상기 삽입부(2B)를 따라서 설치한 공기 공급 튜브(1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 튜브(10)의 상기 조작부(2A)측 기단부는 상기 조작부(2A)의 하부에 설치된 커넥터(2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2a)에는 일단부를 후술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되어 내시경 벌룬 송기용 튜브(이하, 제1 송기용 튜브라 칭함)(13)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3A)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로부터의 송기에 의해 상기 벌룬(9) 내를 팽창시켜 장관 등의 소화관에 일시 고정한다. In the
상기 오버 튜브(3)는 상기 내시경(2)을 삽입 관통시켜 상기 삽입부(2B)를, 예를 들어 소화관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2B)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오버 튜브(3)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와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오버 튜브(3)의 선단부 외주부에는 튜브 고정용 벌룬(11)이 설치되어 있다. The
상기 벌룬(11)에는 상기 오버 튜브(3)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걸쳐서 설치된 공기 공급 튜브(1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 튜브(12)의 상기 벌룬(11)과는 역측의 기단부[상기 오버 튜브(3)의 내시경(2)을 삽입하는 삽입구측]는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삽입구 근방에 설치된 커넥터(3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3a)에는 일단부를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되어 오버 튜브 벌룬 송기용 튜브(이하, 제2 송기용 튜브라 칭함)(14)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4A)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로부터의 송기에 의해 상기 벌룬(11) 내를 팽창시켜 장관 등의 소화관에 일시 고정한다. The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송기 유량 등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The endoscope
도2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역류 방지용 탱크(15)가 설치되고, 전방면에는 압력 표시기(16), 전원 스위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류 방지용 탱크(15)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탱크(15A)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탱크(15B)를 갖고 있다. 이들 탱크(15A, 15B)에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가 접속되어 있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As shown in Fig. 2, the endoscope
상기 탱크(15A, 15B)는 각각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제어에 의해 후술하는 제1, 제2 펌프(32a, 32b)(도4 참조)를 거쳐서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를 거쳐서 각 벌룬(9, 11)으로 송기한다. 이 경우, 상기 탱크(15A, 15B)는 도시하지 않은 역류 방지 기구에 의해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로부터의 액체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에 접속되는 공기 공급 튜브(10), 제1 송기용 튜브(13), 상기 탱크(15A)를 경유하는 송기 관로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 접속되는 공기 공급 튜 브(12), 제2 송기용 튜브(14), 상기 탱크(15B)를 경유하는 송기 관로가 설치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ndoscope
또한, 상기 압력 표시기(16)는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벌룬(9, 11)에 접속되어 있는 관로의 압력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압력 표시기(16)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표시기(16A)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표시기(16B)를 갖고 있다. 상기 표시기(16A)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관로 내의 압력치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기(16B)는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관로 내의 압력치를 표시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17)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원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는 스위치다. In addition, the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한 면에는 접속 케이블(8A)을 거쳐서 리모트 컨트롤러(8)가 접속되어 있다. 이 리모트 컨트롤러(8)는 상기 접속 케이블(8A)을 거쳐서 후술하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1 and 2,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시술 중, 시술자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벌룬(9, 11)의 압력 제어 및 송기량 제어를 위한 조작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oscope
도3A 및 도3B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3A는 상면도, 도3B는 측면도이다. 3A and 3B are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과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상태를 시술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표시 수단인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를 갖고 있다.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는 상기 내시경측 벌룬(9)의 표시용이고,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b)는 상기 오버 튜브측 벌룬(11)의 표시용이다. 이들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는 시술자가 내시경측 벌룬용과 오버 튜브측 벌룬용의 식별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 상에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A, the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는 시술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내시경측 벌룬 제어용 각종 버튼과 오버 튜브측 벌룬 제어용 각종 버튼이,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의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좌측에는 상기 내시경측 벌룬용 표시 수단으로서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와, 상기 내시경측 벌룬 제어용 조작 버튼으로서 확장/수축 버튼(20a), 정지 버튼(21a)이 설치되어 있다. In the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우측에는 상기 오버 튜브측 벌룬용 표시 수단으로서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b)와, 상기 오버 튜브측 벌룬 제어용 조작 버튼으로서, 확장/수축 버튼(20b), 정지 버튼(2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하부에는 전원 버튼(22), 긴급 정지 버튼(23)이 설치되어 있다. On the right side of the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는 시술자의 상기 확장/수축 버튼(20a) 또는 상기 정지 버튼(21a)에 의한 조작을 기초로 구동 제어되었을 때의 상기 내시 경(2)의 벌룬(9)의 확장 상태, 또는 수축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는 확장 상태 시의 표시와 수축 상태 시의 표시를 식별하기 위해, 예를 들어 확장 상태 시에는 점등 표시하는 한편, 수축 상태 시에는 소등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The balloon expansion /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이 확장 중이거나, 혹은 수축 중 등의 동작 중인 것을 표시하여 시술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확장/수축 버튼(20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내로의 송기/흡기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전원 투입 후의 누름으로 확장, 그 후의 누름으로 수축, 이후, 스위치의 누름마다 벌룬(9)의 확장/수축을 교대로 행한다. 상기 정지 버튼(21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내의 관로의 압력 유지를 지시하여 상기 벌룬(9)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한편,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b)는 시술자의 상기 확장/수축 버튼(20b) 또는 상기 정지 버튼(21b)에 의한 조작을 기초로 구동 제어되었을 때의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확장 상태, 또는 수축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B)는 확장 상태 시의 표시와 수축 상태 시의 표시를 식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확장 상태 시에는 점등 표시하는 한편, 수축 상태 시에는 소등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lloon expansion /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b)는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이 확장 중이거나, 혹은 수축 중 등의 동작 중인 것을 표시하여 시술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During the balloon operation, the
상기 확장/수축 버튼(20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 내로의 송기/흡기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전원 투입 후의 누름으로 확장, 그 후의 누름으로 수축, 이후, 스위치의 누름마다 벌룬(11)의 확장/수축을 교대로 행한다. 상기 정지 버튼(21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 내의 관로의 압력 유지를 지시하여 상기 벌룬(11)의 상태를 유지한다. The expansion /
또한, 상기 전원 버튼(22)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원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는 버튼이다.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를 직접적으로 오프하여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의한 각 벌룬(9, 11)의 송기 제어 등을 긴급 정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조작면 상의 상부 및 하부에는 오조작 방지용 돌기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24)는,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개시 버튼(20a, 20b)이나 수축 개시 버튼(21a, 21b) 등의 각종 버튼의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술자가 잘못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를 낙하시킨 경우라도 상기 돌기부(24)에 의해 상기 확장 개시 버튼(20a, 20b)이나 수축 개시 버튼(21a, 21b) 등의 각종 버튼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A, upper and lower portions on the operation surfac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는,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는 상기 벌룬(9, 11)의 상태를 시술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면 다른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lloon expansion /
예를 들어,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는 상태에 따라서 색을 바꾸어 표시해도 좋다. 또한,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는 액정 등으로 구성된 액정 화면 내에 설치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는 아이콘 등의 도안을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뿐만 아니라,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방면에 설치해도 좋다. For example, the balloon expansion /
다음에,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ndoscope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스위칭 전원부(30),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 제1, 제2 펌프(32a, 32b),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관로 절환부(33),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 및 상기 제어 수단인 제어부(제어 유닛)(35)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endoscope
상기 스위칭 전원부(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코드를 거쳐서 외부의 상용 전원부로부터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전원부(30)는 공급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 제어부(35)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에 공급한다. AC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ing
상기 제1 브레이커(31a)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브레이커(31a)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로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제2 브레이커(31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브레이커(31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관로 절환부(33)로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제3 브레이커(31c)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3 브레이커(31c)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로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The third breaker 31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의 입력측에 각각 공기 라인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는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The said 1st,
상기 관로 절환부(33)의 출력측에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가 각각 공기 라인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는 상기 제어부(35)에 의해 개폐 조정 가능한 밸브이고,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출력하는 공기의 유량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The first and second flow
상기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와 접속되어 있는 관로의 압력을 계측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에 의한 계측 결과를 상기 제어부(35)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35)는 각각 공급된 계측 결과를 기초로 원하는 공기압이 되도록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 관로 절환부(33), 제1 유량 조정 밸브(32c), 제2 유량 조정 밸브(32d)를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는 각각 송기 라인, 커넥터(7A, 7B, 13B, 14B)를 거쳐서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와 접속되어 있다. The said 1st,
이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제1 펌프(32a),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거쳐서 제1 유량 조정 밸브(32c), 제1 압력 센서(34a)로 구성되는 송기 관로와, 상기 제2 펌프(32b),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거쳐서 제2 유량 조정 밸브(32d), 제2 압력 센서(34b)로 구성되는 송기 관로를 갖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ndoscope
또한, 상기 관로 절환부(33)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내의 실행 모드에 따른 관로 상태가 되도록 내부에 설치된 관로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기 실행 모드로서는, 도27에 도시하는 관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기 모드, 흡기 모드, 유지 모드, 개방 모드의 4개의 실행 모드를 실현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제1 흡인 밸브(33a), 제1 토출 밸브(33b), 제2 흡인 밸브(33c), 제2 토출 밸브(33d), 제1 유량 조정 밸브(32c), 제2 유량 조정 밸브(32d)는 상하 일방향만의 경로를 온으로 하는 밸브이다. The first suction valve 33a, the first discharge valve 33b, the second suction valve 33c, the second discharge valve 33d, the first flow regulating valve 32c, and the second
제1 펌프(32a)의 관로를 송기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제1 흡인 밸브(33a), 제1 토출 밸브(33b),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각각 하, 상, 상의 경로를 온으로 한다. In order to make the pipe line of the
제1 펌프(32a)의 관로를 흡기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제1 흡인 밸브(33a), 제1 토출 밸브(33b),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각각 상, 하, 상의 경로를 온으로 한다. In order to bring the pipe line of the
제1 펌프(32a)의 관로를 유지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제1 흡인 밸브(33a), 제1 토출 밸브(33b),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각각 하, 하, 상의 경로를 온으로 한다. In order to maintain the pipeline of the
제1 펌프(32a)의 관로를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제1 흡인 밸브(33a), 제1 토출 밸브(33b),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각각 하, 하, 하의 경로를 온으로 한다. In order to open the conduit of the
제2 펌프(32b)의 관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밸브를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관로 상태를 실현시킨다. Similarly with respect to the pipeline of the
이 절환은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후단측에 접속된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측의 관로와 상기 오버 튜브측(3)의 벌룬(11)측의 관로를 각각 원하는 실행 모드를 기초로 하는 관로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전체를 제어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상태 검출 수단 및 상기 상태 정보 출력 수단인 상태 검출 출력부(35a), 유량 카운터(35b), 타이머 카운터(35c), 기억부(35d)를 갖고 있다. This switching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aid control part 35. FIG. As a result, the pipeline on the
상기 상태 검출 출력부(35a)는, 예를 들어 제1, 제2 펌프(32a, 32b), 관로 절환부(33),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및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의 상태로부터 해당하는 벌룬(9), 또는 벌룬(11)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상태 검출 출력부(35a)에 의해 검출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The said state
상기 유량 카운터(35b)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으로의 송기/흡기 유량을 카운트하는 상기 유량 검출 수단이다. 또한, 상기 타이머 카운터(35c)는 상기 각 벌룬(9, 11)의 각 송기 시간이나 흡기 시간 등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이고, 소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갖고 있다. The
상기 기억부(35d)는 후술하는 메인 프로그램이나 각종 모듈을 기초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The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유량 카운터 및 타이머 카운터를 이용하면 서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35 executes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과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으로의 송기 시간이나 흡기 시간, 송기 유량 시간 등을 계측할 수 있고, 이들 계측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의 벌룬(9)과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 대한 송기/흡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is way, the endoscop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제어부(35)에 의한 제어에 의해 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에 표시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oscope
다음에, 상기 내시경 시스템(1)의 기본적인 조작 상태에 대해 도5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Next, the basic operation state of the
도5 내지 도11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을 이용하여 내시경 및 오버 튜브의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각 벌룬을 오므려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 관통하여 장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6은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관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7은 도6의 상태로부터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내시경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오므려 오버 튜브를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오버 튜브의 선단부가 내시경 선단부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5-11 is 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operation state of an endoscope and an overtube using the balloon of the said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오버 튜브(3) 내에 내시경(2)을 삽입 관통시킨다. 이 경우,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은 각각 내부의 공기를 빼고 오므린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피험자에 대한 내시경(2)의 삽입을 개시한다. As shown in FIG. 5, the operator inserts the
다음에, 시술자는 내시경(2) 및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예를 들어 십이지장 하행각(下行脚)까지 삽입한 후,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확장/수축 버튼(20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상기 벌룬(11)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관(40)에 고정한다. 다음에, 시술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장관(40)에 대해 유지하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만 심부에 삽입해 간다. Next, the operator inserts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를 소정 거리 삽입한 상태에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확장/수축 버튼(20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내시경(2)의 선단부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벌룬(9) 내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9)을 팽창시켜 장관(41)에 고정한다. Then, the operator inserts the
다음에,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확장/수축 버 튼(20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벌룬(11)을 오므린다(도9 참조). Next, the operator presses the expansion /
계속해서, 시술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상기 내시경(2)을 따르도록 하여 심부에 삽입해 가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근처까지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Subsequently, the operator inserts the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근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확장/수축 버튼(20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벽(41)에 고정한다. Then, the operator inserts the distal end of the over
또한,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확장/수축 버튼(20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개방하고,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상기 내시경(2)의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벌룬(9)을 오므려 상기 삽입부(2B)를 심부에 더 삽입시킨다. Further, the operator presses the expansion /
이상과 같은 도5 내지 도11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심부 삽입을 진행시켜 가게 되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FIGS. 5 to 11 as described above, the deep end insertion of the
다음에, 본 실시예의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12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의 메인 프로그램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현재, 시술자가 도1의 내시경 시스템(1)을 이용하여 소화관 내 내시경 검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시술자가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8)의 전원 버튼(22)[혹은 도2에 도시하는 전원 스위치(17)]을 누르면, 제어부(35)는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로부터 도12에 도시하는 메인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동시킨다.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and showing a main program of the controller. At present, it is assumed that the operator performs endoscopy of the digestive tract using the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의 처리에서 전원의 온 상태를 확인하면, 스텝 S2의 처리에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내의 각종 기기 등의 초기화를 행한다. 이 초기화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를 시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관로 개방 상태가 되도록 초기화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어부(35) 내의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 카운터(9) 등의 리셋을 행하여 초기화한다. When the said control part 35 confirms the ON state of a power supply in the process of step S1, in the process of step S2, the control part 35 initializes the various equipment etc. in the said endoscope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계속되는 스텝 S3의 판단 처리에서 20 msec 타이머 중단을 판단하여,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하고, 없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계속해서 이 판단 처리를 행한다. Then, the control unit 35 judges the 20 msec timer interruption in the subsequent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3,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r is stopp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또한, 상기 타이머는 도1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을 20 msec마다 동작시키기 위해 20 msec를 계측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The timer is used to measure 20 msec in order to operate the processing routine shown in FIG. 12 every 20 msec.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의 20 msec마다 1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 값이 10과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의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9)를 리셋하여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카운터 값이 10과 동등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The control unit 35 judges whether or not the counter value of the timer counter that counts 1 every 20 msec of the timer is equal to 10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4.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을 10회, 즉 200 msec의 시간 단위로 상기 시술자의 컨트롤러(8)에 의한 각종 버튼 조작에 따른 벌룬 제어를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ing routine shown in Fig. 12 is performed 10 times, that is, balloon control in accordance with various button operations by the operator's
다음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6의 처리에서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실행하고, 이 처리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스위치 상태를 확인하여 조작 신호를 취입하고, 이 취입한 조작 신호를 기초로 하는 관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펌프(32a)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Next, the control part 35 executes a 1st pump switch state confirmation module in the process of step S6, and by this process, confirms the switch state of the
그리고, 상기 스텝 S6의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완료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7의 처리에서 제2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실행하고, 이 처리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스위치 상태를 확인하여 조작 신호를 취입하고, 이 취입한 조작 신호를 기초로 하는 관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 펌프(32b)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And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ss based on the 1st pump switch state confirmation module of said step S6, the said control part 35 performs a 2nd pump switch state confirmation module in the process of step S7, and by this process the said remote controller The switch state of (8) is checked to accept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8의 처리에서 동작 상태 표시 모듈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스텝 S2, 스텝 S6 및 스텝 S7의 처리에서 얻게 된 각 블럭[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도 포함함]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 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동작 상태의 검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태 검출 출력부(35a)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35 executes the processing of the operation state display module in the processing of step S8, and operates each block (each
상기 제어부(35)에 의한 벌룬의 팽창 동작 상태에 따른 표시 제어예가 하기의 표1에 나타나 있다.An example of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the balloon inflation state by the controller 35 is shown in Table 1 below.
[표1]Table 1
상기 표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시경(2)의 벌룬(9)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5)는, 벌룬(9)의 동작 상태가 초기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및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를 오프하도록 표시 제어한다. 이 경우의 관로 상태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With reference to the said Table 1, the
상기 제어부(35)는, 벌룬(9)의 동작 상태가 확장 상태이고 확장 중인 경우에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및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를 온으로 한다. 이 경우의 관로 상태는 송기 상태로 되어 있다. The control unit 35 turns on the balloon expansion /
상기 제어부(35)는, 벌룬(9)의 동작 상태가 확장 상태이고 확장 종료인 경우에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를 온으로 하지만,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에 대해서는 오프로 한다. 이 경우의 관로 상태는 유지 상태로 되어 있다. The control unit 35 turns on the balloon expansion /
상기 제어부(35)는, 벌룬(9, 11)의 동작 상태가 수축 상태이고 수축 중인 경우에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를 오프로 하고,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 부(19a)에 대해서는 온으로 한다. 이 경우의 관로 상태는 흡기 상태로 되어 있다. The control unit 35 turns off the balloon expansion /
상기 제어부(35)는, 벌룬(9)의 동작 상태가 수축 상태이고 수축 종료인 경우에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및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를 오프로 한다. 이 경우의 관로 상태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The control unit 35 turns off the balloon expansion /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의 누름에 의해 벌룬(9)의 동작 상태가 긴급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및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를 오프로 한다. 이 경우의 관로 상태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또한, 상기 제어부(35)에 의한 표시 제어는 내시경(2)의 벌룬(9)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하는 것이지만,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b) 및 상기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b)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9의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에 의한 카운터 값에 1을 더한 후, 처리를 상기 스텝 S3의 판단 처리로 복귀시켜 반복 처리를 계속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isplay control by the said control part 35 is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상기 상태 검출 출력부(35a)와, 상기 상태 검출 출력부(35a)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표시 제어되는 상기 벌룬 확장/수축 표시부(18a, 18b) 및 벌룬 동작 중 표시부(19a, 19b)를 설치한 것에 의해 환자의 상기 소화 기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를 시술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2) 및 오버 튜브(3)의 심부로의 삽입을 안전하고 또한 빠르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환자의 고통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by the state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제1 유량 조정 밸브(32c), 제2 유량 조정 밸브(32d)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각 벌룬(9, 11)에 대한 송기 유량 및 흡기 유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재질의 벌룬이나 다양한 부위에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유량 카운터(5b)를 이용하여 연속 송기/흡기 시간을 측정하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 등의 관로가 제거되었던 경우에 생기는 연속된 송기 동작 또는 흡기 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the endoscope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최대 송기 시간, 최대 송기압 및 최대 흡기압을 넘은 것을 검출하여 관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장벽에 대해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 시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endoscop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를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시술자의 손잡이인 상기 내시경(2)의 조작부(2A) 상이나, 시술자의 발 아래인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를 컨트롤하는 풋 스위치를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connected the said
또한, 상기 컨트롤러(8)는 적외선이나 무선을 이용하여 각종 리모콘 조작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설치된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적외선이나 무선을 수신하여 상기 리모콘 신호를 취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 해, 시술자에 의한 조작이 더 용이해진다. In addition, the
(제2 실시예)(2nd Example)
도13 내지 도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13은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14는 도13에 도시하는 비디오 프로세서(5)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15 내지 도26은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위한 것으로, 도15 내지 도25는 내시경 시스템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 도26은 긴급 정지 버튼이 눌린 경우의 모니터의 화면 표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13 to 2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oscope system to which an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is applied. FIG. 14 is a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1)의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접속 케이블(5B)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endoscope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상태 검출 출력부(35a)에 의해 검출된 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상기 접속 케이블(5B)을 거쳐서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적외선이나 무선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설치된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적외선이나 무선을 수신하여 상기 정보를 취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The endoscope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도14를 참조하면서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 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는 CCD 드라이버(42), 내시경 화상 생성부(43), 통신 유닛(44),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정보 화상 생성부(이하,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 생성부라 칭함)(45) 및 화상 합성부(46)를 갖고 있다. 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ideo proces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14, the
상기 CCD 드라이버(42)는 광원 장치(4), 유니버설 코드(2C), 내시경(2)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신호선을 거쳐서 삽입부(2B)의 선단부 내부에 설치된 CCD(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CCD 드라이버(42)는 상기 CCD(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이고, CCD를 구동함으로써 얻게 된 촬상 신호를 취입하여 상기 내시경 화상 생성부(43)에 공급한다. 상기 내시경 화상 생성부(43)는 상기 CCD로부터의 촬상 신호로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촬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내시경 라이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 합성부(46)에 공급한다. The
한편, 상기 통신 유닛(44)은 상기 접속 케이블(5B)을 거쳐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상기 제어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통신 유닛(44)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제어부(35)와의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35)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상태 검출 출력부(35a)에 의해 검출된 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유닛(44)은 수신하여 취입한 상기 정보를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 생성부(45)에 공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5 of the endoscope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 생성부(45)는 공급된 정보를 기초로, 예를 들어 기억하고 있는 캐릭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기초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화상 합성부(46)에 공급한다. 상기 화상 합성부(46)는 상기 내시경 화상 생성부(43)로부터의 내시경 화상과,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 생성부(45)로부터의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중첩 처리하여 합성하고, 합성하여 얻은 합성 영상 신호를 모니터(6)에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The endoscope balloon information image generation unit 45 generates an endoscope balloon information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supplied information, for example, using character information stored therein,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이 경우의 모니터에 의한 상기 합성 영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 표시예가 도15에 나타나 있다. 즉,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에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6b)을 표시하는 영역인 제1 화면(6B)과, 내시경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면(6C)이, 예를 들어 2화면으로 분할하여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화면(6B)은 상부에 배치된 환자 ID 등의 환자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과, 하부에 배치된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6b)을 갖고 있다. An example of image display based on the composite video signal by the monitor in this case is shown in FIG. That is, as shown in Fig. 15, on the
상기 영역(6b)에 표시되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으로서는, 「내시경측 벌룬」 및 「오버 튜브측 벌룬」의 명칭에 상당하는 문자 화상과, 이 문자 화상에 해당하는 벌룬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내시경측 벌룬(9)이 「수축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11)이 「수축 종료」 등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화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the endoscope balloon information image displayed in the said area |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은 문자 화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아이콘 등의 도안을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The endoscope balloon information image is not limited to a character image, but may be displayed using, for example, an icon or the lik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의한 신호 처리에 의해 모니터(6)의 화면(6A) 상에, 예를 들어 제1, 제2 화면(6B, 6C)의 2화면 표시를 행하여 상기 제1 화면(6B)에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화면(6C)에 상기 내시경 화상(내시경 라이브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way, the endoscope
다음에,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15 내지 도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내시경 시스템(1)의 기본적인 조작 상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의한 표시 제어 동작에 대해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5 내지 도11에 대응시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basic operating state of the
시술자가 도1의 내시경 시스템(1)을 이용하여 소화관 내 내시경 검사를 행할 때에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8)의 전원 버튼(22)[혹은 도2에 도시하는 전원 스위치(17)]을 눌렀다고 한다. 그러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12에 도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각 벌룬(9, 11)의 구동 제어 및 모니터(6)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When the practitioner performs an endoscopy examination using the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오버 튜브(3) 내에 내시경(2)을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은 각각 내부의 공기를 빼고 오므린 상태라고 하고,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피험자에 대한 내시경(2)의 삽입을 개시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이때,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수축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수축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제2 화면(6C)에 내시경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원 투입 시나 초기화 시에 있어서도 상기 동일한 모니터 화면(6A)(도15 참조)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화면(6C)에는 항상 내시경 화상(내시경 라이브 화상)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이후의 설명은 생략한다. At this time, the endoscope
다음에, 시술자는 내시경(2) 및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예를 들어 십이지장 하행각까지 삽입한 후,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확장/수축 버튼(20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상기 벌룬(11)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관(40)에 고정한다. Next, the operator inserts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이 경우,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벌룬(11)의 공기 공급 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수축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중」을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6b)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벌룬(11)의 공기 공급을 종료하여 이 벌룬(11)이 원하는 상태로 팽창되어 장관(40)에 고정했을 때에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수축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한다. In this case, when the endoscope
다음에, 시술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장관(40)에 대해 유지하여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만 심부에 삽입해 간다. Next, the operator holds the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를 소정 거리 삽입한 상태에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확장/수축 버튼(20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내시경(2)의 선단부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벌룬(9) 내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9)을 팽창시켜 장관(41)에 고정한다. Then, the operator inserts the
이 경우,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벌룬(9)의 공기 공급 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확장 중」,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6b)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벌룬(9)의 공기 공급을 종료하여 장관(41)에 고정했을 때에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확장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한다. In this case, when the air supply of the
다음에,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확장/수축 버튼(20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벌룬(11)을 오므린다(도9 참조). Next, the operator presses the expansion /
이 경우,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벌룬(11)의 공기 흡기 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확장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수축 중」을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6b)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벌룬(11)의 공기 흡기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확장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수축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한다. In this case, when the air intake of the
계속해서, 시술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상기 내시경(2)을 따르도록 하여 심부에 삽입해 가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근처까지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Subsequently, the operator inserts the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근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확장/수축 버튼(20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벽(41)에 고정한다. Then, the operator inserts the distal end of the over
이 경우,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벌룬(11)의 공기 공급 시,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확장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중」을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6b)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벌룬(11)의 공기 공급을 종료하여 이 벌룬(11)이 원하는 상태로 팽창되어 장관(41)에 고정했을 때에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확장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한다. In this case, when the air balloon of the said
그 후,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확장/수축 버튼(20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개방하고,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상기 내시경(2)의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벌룬(9)을 오므려 상기 삽입부(2B)를 심부에 더 삽입시킨다. Thereafter, the operator presses the expansion /
이 경우,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벌룬(9)의 공기 흡기 시,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수축 중」,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6b)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벌룬(9)의 공기 흡기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수축 종료」, 「오버 튜브측 벌룬」→ 「확장 종료」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6b)을 표시한다. In this case, when the air intake of the
이상과 같은 도5 내지 도11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심부 삽입을 진행해 가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그 조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를 도15 내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과 함께 모니터(6)의 화면(6A) 상에 표시시키도록 되어 있다.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Figs. 5 to 11 as described above, the deep end insertion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시경 시스템(1)의 조작 중에 시술자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도3 참조)이 눌린 경우에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6A) 상의 제1 화면(6B)에 「내시경측 벌룬」→ 「수축 중」, 「오버 튜브측 벌룬」→ 「수축 중」을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제2 화면(6C)에 내시경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새롭게 상기 제1 화면(6B)의 영역(6X)에 「과송기 긴급 정지」 등의 경고 문자를 표시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emergency stop button 23 (see FIG. 3) of the
또한, 상기 경고 문자 표시는 시술자에게 확실하게 통지하기 위해 점멸 표시하거나, 혹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해도 좋다. In addition, the warning letter display may be blinked or may be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endoscope balloon information image in order to reliably notify the operato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6)의 화면(6A) 상에 내시경 화상과 함께 각 벌룬(9, 1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정보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에 대해 각 벌룬(9, 11)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endoscope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본 발명에 있어서는 넓은 범위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가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 이외에는, 그 특정한 실시예에 의해서는 제약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other embodiments can be configured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 wide rang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ex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는 내시경의 벌룬과 오버 튜브의 벌룬의 팽창 상태를 시술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으므로, 각 벌룬을 이용한 심부의 관찰, 처치 등의 증세의 예나 심부의 다양한 부위의 관찰, 처치 등의 증세의 예를 행하는 경우에는 특히 유효하다. The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expanded state of the balloon of the endoscope and the balloon of the over tube,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symptoms such as the observation and treatment of the core using each balloon, the observation of various parts of the core, treatment, etc. This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giving examples of symptoms.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20759A KR100848771B1 (en) | 2004-04-09 | 2005-04-07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115849 | 2004-04-09 | ||
KR1020067020759A KR100848771B1 (en) | 2004-04-09 | 2005-04-07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8902A KR20070018902A (en) | 2007-02-14 |
KR100848771B1 true KR100848771B1 (en) | 2008-07-28 |
Family
ID=4164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0759A KR100848771B1 (en) | 2004-04-09 | 2005-04-07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877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0462A (en) * | 2000-06-05 | 2001-12-11 | Hironori Yamamoto | Tube with balloons for assisting insertion of endoscope |
JP2003144378A (en) * | 2001-11-15 | 2003-05-20 | Olympus Optical Co Ltd | Sheath for endoscope |
-
2005
- 2005-04-07 KR KR1020067020759A patent/KR10084877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0462A (en) * | 2000-06-05 | 2001-12-11 | Hironori Yamamoto | Tube with balloons for assisting insertion of endoscope |
JP2003144378A (en) * | 2001-11-15 | 2003-05-20 | Olympus Optical Co Ltd | Sheath for endosco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8902A (en) | 2007-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09340B2 (en)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
JP5019757B2 (en) | Balloon control device | |
EP1570778B1 (en) | Endoscope system | |
JP5307420B2 (en) | Treatment system | |
EP1902661B1 (en) | Endoscope device | |
EP1582141B1 (en) | Balloon control apparatus | |
JP5502645B2 (en) | Endoscope insertion aid and endoscope system | |
US20080177142A1 (en) | Endoscope with dilating insertion tube | |
KR100840050B1 (en)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
JP4481692B2 (en)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
JP5242733B2 (en)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
US8409078B2 (en) | Endoscope | |
JP3918100B2 (en) | Endoscope device | |
KR100848771B1 (en) |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 |
JP2005279072A (en) | Endoscope inserting guide,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P2003010105A (en) | Endoscope system | |
JP5400841B2 (en) | Endoscope system | |
JP2009160219A (en) | Balloon , balloon endoscope, and balloon fitting method | |
JP2008023102A (en) | Endosco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