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882B1 - Device for protecting an ankle to wear in footwear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tecting an ankle to wear in footwe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2882B1 KR100832882B1 KR1020070006204A KR20070006204A KR100832882B1 KR 100832882 B1 KR100832882 B1 KR 100832882B1 KR 1020070006204 A KR1020070006204 A KR 1020070006204A KR 20070006204 A KR20070006204 A KR 20070006204A KR 100832882 B1 KR100832882 B1 KR 100832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plate
- wearing
- side cover
- ankle
- long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rigid, e.g. resis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lateral arch, i.e. the cuboid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상 방지기구의 일실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부상 방지기구를 신발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Figure 1 in a shoe,
도 3은 도 1의 부상 방지기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상 방지기구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부상 방지기구를 신발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FIG.
도 6은 도 4의 부상 방지기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FIG. 4 seen from the front;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날개부10: base plate 11: wing
12 : 수평장공 15 : 지압돌기12: horizontal long hole 15: acupressure protrusion
20 : 측면커버플레이트 21 : 쿠션부재20: side cover plate 21: cushion member
22 : 수직장공 23 : 다른 수직장공22: vertical hole 23: other vertical hole
24 : 착용구멍 25 : 밸크로테이프24: wearing hole 25: Velcro tape
26 : 밴드 30 : 전면커버플레이트26: band 30: front cover plate
31 : 다른 날개부 33 : 다른 수평장공31: another wing 33: another horizontal long
34 : 다른 착용구멍 35 : 밸크로테이프34: other wearing hole 35: Velcro tape
P : 핀P: pin
본 발명은 신발에 착용하는 부상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에 발목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비를 내장하여 발목 부분의 골절상 및 인대손상 등의 부상 위험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신발 착용용 부상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ury prevention mechanism to be worn on shoes, and more particularly, to wear shoes that have built-in protective equipment to protect the ankle inside the shoe to block the risk of injury such as fractures of the ankle and ligament damage. For injury prevention mechanism.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 부분의 보호와 장식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착용 용도나 기능 그리고 계절 등의 영향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흔히 착용할 수 있는 운동화에서부터 구두, 슬리퍼, 다양한 레저용 스포츠화 등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종류의 신발들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shoes are used to protect and decorate the foot, and various types of shoes ar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wearing, function, and season. In other words, innumerable types of shoes are used, such as shoes that can be commonly worn, shoes, slippers, various leisure sports shoes, and the like.
일례로, 상기한 신발 중에서 등산을 할 때 신는 신발의 경우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투습성과 방수성 등을 갖춘 고기능성의 등산화를 착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다른 일례로 모터바이크를 즐길 때 신는 신발의 경우에는 모터바이크의 혹시 모를 슬립에 의한 찰과상에 대비할 수 있는 길고 두꺼운 재질의 바이크용 부츠를 착용하는 것이 적절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hoes worn during climbing, it is appropriate to wear high-performance hiking boots that prevent slippage, are light in weight, and have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ness. In case of shoes, it is appropriate to wear a long, thick bike boots that can prepare you for the scratches of the motorbike.
즉, 신발의 선택은 신발의 디자인이나 전체적인 옷차림과의 조화도 중요하나, 상기와 같은 레저용 스포츠화의 경우에는 신발 착용자의 안전이 우선되어야 하 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election of shoes is also important in harmony with the design of the shoe or the overall attire, but in the case of the leisure sports shoes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of the shoe wearer should be a priority.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는 등산화의 경우에는 발목을 보호할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이 없어, 산의 특성상 고르지 못한 지면으로 인해 발목이 삐거나 접질리게 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심하게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골절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hiking boots that are generally commercialized, there is no special means to protect the ankles. Due to the nature of the acid, the uneven ground may cause the ankle to sprain or crush, resulting in an increase in ligaments or fractures. There was a danger of wearing.
특히, 모터바이크의 경우에는 모터바이크의 특성상 슬립 사고가 발생하면서 다리 부위에 심각한 부상 우려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용화되고 있는 모터바이크용 부츠의 경우 발 부위의 골절을 보호할 수 있는 별다른 수단이 없어 운전자는 골절 부상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torbikes, although there is a risk of serious injury to the leg area due to slip acciden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bike, commercially available motorbike boots have no means to protect the fractures of the foot area. Will always be at risk of fracture injury.
즉, 모터바이크가 쓰러지게 되면 뜻하지 않게 운전자의 발이나 다리 부분을 중량의 모터바이크가 누르게 되면서 운전자의 복사뼈(복숭아뼈)나 정강이뼈 등이 골절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motorbike falls down, the motorbike of the weight is accidentally pressed on the driver's foot or leg portion, and there is a risk of fracture of the driver's ankle (peach bone) or shin bon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신발 내부에 발목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비를 내장하여 발목 부분의 골절상 및 인대손상 등의 부상 위험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신발 착용용 부상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earing a shoe to protect the ankle inside the shoe to prevent the risk of injury such as fractures and ligament damage of the ankle portion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inju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구성은, 신발 뒤축에 끼워지되, 발뒤꿈치와 근접된 발목의 좌우 부분을 커버할 수 있게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한 지지플레이트와; 제1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각각의 날개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양쪽의 복사뼈를 커버하는 각각의 측면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양측의 측면커버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어 측면커버플레이트를 다리에 견고히 착용하는 착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late is fitted on the heel of the shoe, the wing plate formed on both sides to cover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ankle close to the heel; Each side cover plat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wing by first coupling means to cover both astragalus;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cover plate of both sid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aring means for wearing the side cover plate firmly on the le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은 신발 뒤축에 끼워지되, 발뒤꿈치와 근접된 발목의 좌우 부분을 커버할 수 있게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한 지지플레이트와; 제1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각각의 날개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복사뼈를 커버하는 각각의 측면커버플레이트와; 제2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각각의 측면커버플레이트 내측면에 결합되어 정강이뼈를 커버할 수 있게 양측에 다른 날개부를 형성한 전면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양측의 측면커버플레이트 상부와 전면커버플레이트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측면커버플레이트와 전면커버플레이트를 다리에 견고히 착용하는 착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hoe heel, the support plate formed wings on both sides to cover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ankle close to the heel; Each side cover plat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wing by a first coupling means to cover the astragalus; A front cover plate coupl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each side cover plate by a second coupling means and forming wing parts on both sides thereof to cover the shin b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aring means for firmly wearing the side cover plate and the front cover plat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cover plate of the side cover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착용용 부상 방지기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착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re for one embodiment of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for wearing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mprises a
설명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는 신발 뒤축 부분에 내장되어 끼워지는 것으로, 발뒤꿈치와 근접된 발목의 좌우 부분을 커버할 수 있게 상방향으로 부드럽게 절곡 형성된 날개부(11)를 양측에 형성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부상 방지기구는 왼쪽 신발에 착용하는 일례로, 다리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날개부(11)의 높이(L1)를 다리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날개부(11)의 높이(L2)보다 낮게 성형하여 신발 착용시 착용자의 바깥쪽 복사뼈 하단에 날개부(11)가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앙 부분은 발바닥의 오목진 중심 부분이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게 다소 볼록하게 형성하고, 후방 단부는 발뒤꿈치를 편안하게 커버할 수 있게 상방향으로 부드럽게 절곡 형성하여,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다.And, as shown in Figure 2 the central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15)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 돌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안착되는 발바닥 중심의 홈 부분을 지압할 수 있게 구성한다.Here, a plurality of
측면커버플레이트(20)는 제1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11) 외측면에 결합되어 발목 양쪽의 복사뼈를 커버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20)는 복사뼈와 근접되는 내측면이 오목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만곡 형성하여, 신발 착용시 착용자의 복사뼈가 측면커버플레이트(20)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는 쿠션부재(21)를 장착하여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복사뼈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한다.Such, the
여기서, 상기 쿠션부재(21)로는 스펀지나 메모리 폼 등이 사용되는 것이 적 절하나, 상기한 스펀지나 메모리 폼의 구성이 쿠션부재(21)의 재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스펀지나 메모리 폼과 동일 및 유사한 기능의 완충 작용을 갖는 다른 쿠션부재를 사용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재(21)는 측면커버플레이트(20)에 핀 결합하는 것이 적절하나, 접착제 등을 통해 간편하게 접착할 수도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베이스플레이트(10)를 결합하는 제1결합수단에 대해 설명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 성형한 날개부(11)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수평장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20)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수직장공(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장공(12)과 수직장공(22)을 관통하여 핀(P) 결합하되, 상기 핀(P)이 수평장공(12)과 수직장공(22)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장착하여 신발 착용시 발목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다.And, when the first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계속해서, 착용수단은 도 1과 같이 상기 양측의 측면커버플레이트(20) 상부에 구비되어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다리에 견고하게 착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면 측면커버플레이트(20) 전, 후방 상부에 착용구멍(24)을 각각 형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측면커버플레이트(20)의 착용구멍(24)에 탈, 부착이 가능한 밸크로테이프(25)를 연결하여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다리에 접촉 및 고정시킨다.Subsequently, the wearing means is provided on the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신발 착용용 부상 방지기구의 다른 일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전면커버플 레이트(30)와, 착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4 to 6 is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for wearing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만, 베이스플레이트(10)와, 측면커버플레이트(20)의 구성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배제하고 그 구성이 다소 상이한 전면커버플레이트(30)와, 착용수단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먼저, 전면커버플레이트(30)는 측면커버플레이트(20) 내측면에 결합되어 정강이뼈를 커버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리에 감겨지듯 커버될 수 있게 하단부의 양측 후방으로 다른 날개부(31)를 부드럽게 절곡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플레이트(3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전면커버플레이트(30)가 정강이뼈를 커버할 수 있게 구성한다.First, the
이때, 상기 전면커버플레이트(30)는 정강이뼈를 커버하는 특성상 착용자가 통상의 모터바이크용 무릎보호대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전면커버플레이트(30) 상단에 무릎보호대와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더 장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플레이트(30)와 측면커버플레이트(20)는 제2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데,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측면커버플레이트(20) 전방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다른 수직장공(23)을 형성하고, 전면커버플레이트(30) 후방에 형성된 다른 날개부(31)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다른 수평장공(3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수직장공(23)과 다른 수평장공(33)을 관통하여 핀(P) 결합하되, 상기 핀(P)이 다른 수직장공(23)과 다른 수평장공(33)을 따라 유동될 수 있게 장착하여 신발 착용시 발목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다.In addition, the
계속해서, 착용수단은 상기 양측의 측면커버플레이트(20) 후방 상부와 전면커버플레이트(30)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전면커버플레이트(30)를 다리에 견고하게 착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면 측면커버플레이트(20) 후방 상부에 착용구멍(24)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측면커버플레이트(20)의 착용구멍(24)에 폭이 넓고 신축성을 갖는 밴드(26)를 연결하여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다리에 접촉 및 고정시킨다.Subsequently, the wear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rear upper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플레이트 양측에 다른 착용구멍(3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다른 착용구멍(34)에 탈, 부착이 가능한 밸크로테이프(35)를 연결하여 전면커버플레이트(30)를 다리에 접촉 및 고정시킨다.Then, different wearing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전면커버플레이트(30)의 재질은 피부에 접촉되는 부품 특성상 소프트하면서도 견고한 합성수지재로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등산을 할 때 신는 등산화에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부상 방지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상기한 부상 방지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양측의 측면커버플레이트(20)에 연결된 밸크로테이프(25)를 탈착한 후,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양쪽으로 벌리고, 그 사이로 발을 넣어, 발바닥을 베이스플레이트(10) 위에 안정감 있게 안착시킨다.If you want to wear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imbing shoes when climbing,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shown in FIG. In order to use the above-mentioned injury prevention mechanism, first remove the Velcro
이 후,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다리 쪽으로 밀착시키면서 밸크로테이프(25) 를 부착함으로써, 측면커버플레이트(20)는 발목 양측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의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Thereafter,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착용예에서는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한 이 후, 신발을 신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신발 착용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신발에 미리 부상 방지기구를 내장한 후, 신발을 착용할 수도 있다.Here, in the wear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earing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but described as wearing shoes, which is only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wearing shoes, the shoe after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is built in the shoe in advance, It can also be worn.
이처럼, 신발 내부에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하게 됨으로써, 발목 부분을 측면커버플레이트(20)가 견고하게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 또는 특히 등산시에 발을 헛디디거나 발목을 접질리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인대 손상과 발목 및 복사뼈 골절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by wearing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shoe, the
더욱이,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제1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측면커버플레이트(20)의 움직임을 편안하게 조절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이동 중에 측면커버플레이트(20)는 착용자의 발 움직임에 맞춰서 상, 하, 전, 후로 적절하게 유동됨으로써, 착용자는 발목을 편안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더욱이,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는 발바닥 중심부에 접촉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 부분에 지압돌기(15)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이동하고 있을 때 뿐만 아니라 정지시에도 계속해서 발바닥을 지압하게 되어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한편, 모터바이크를 탈 때 신는 부츠에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하고 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부상 방지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상기한 부상 방지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양측의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양쪽으로 벌리면, 양측의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연결하고 있는 신축성의 밴드(26)가 이완되고, 그 사이로 발을 넣어, 발바닥을 베이스플레이트(10) 위에 안정감 있게 안착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wear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ots worn when riding the motorbike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shown in FIG. In order to use the above-mentioned injuries prevention mechanism, first, when the
이 후,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놓게 되면 밴드(26)가 축소되면서, 측면커버플레이트(20)가 발목 양측에 안정감 있게 커버된다. 그리고, 전면커버플레이트(30) 상부에 연결된 밸크로테이프(35)를 탈착한 후, 전면커버플레이트(30)를 다리 쪽으로 밀착시키면서 밸크로테이프(35)를 부착함으로써, 전면커버플레이트(30)는 발목 앞쪽과 그 윗부분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의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착용예에서는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한 이 후, 신발을 신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신발 착용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신발에 미리 부상 방지기구를 내장한 이 후, 신발을 착용할 수도 있다.Here, in the wear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earing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but described as wearing shoes, which is just to explain an example of wearing shoes, after the shoe is built in advance injuries prevention shoes, You can also wear
이처럼, 신발 내부에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하게 됨으로써, 발목 부분 특히, 복사뼈 부분을 측면커버플레이트(20)가 확실하게 커버 및 보호하게 되고, 정강이뼈 부분을 전면커버플레이트(30)가 확실하게 커버 및 보호하게 된다.As such, by wearing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shoe, the
따라서, 모터바이크의 운행시 모터바이크의 슬립사고에 의한 다리 골절상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모터바이크가 넘어지게 되면, 이륜 차의 특성상 모터바이크가 운전자와 함께 일측으로 넘어지게 되면서 운전자의 다리를 중량의 바이크가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측면커버플레이트(20)는 복사뼈 부분을 커버하므로 복사뼈의 골절을 방지하게 되고, 전면커버플레이트(30)는 정강이뼈 부분을 커버하므로 정강이뼈의 골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risk of leg fracture due to slip accident of the motorbike can be blocke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motorbike. That is, when the motorbike falls down, the motorbike falls to one side with the dri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wheeled vehicle, and the bike of the weight is pressed against the driver's leg, and the
더욱이,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와 측면커버플레이트(20)를 제1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측면커버플레이트(20)의 움직임을 편안하게 조절할 뿐만 아니라,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전면커버플레이트(30)를 제2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움직임을 편안하게 조절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이동 중에 측면커버플레이트(20)와 전면커버플레이트(30)는 착용자의 발 움직임에 맞춰서 상, 하, 전, 후로 적절하게 유동됨으로써, 착용자는 발목을 편안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
즉,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의 착용예를 등산화와 모터바이크용 부츠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신발에 한정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발목 부분의 부상 우려가 있거나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를 착용하고 신을 수 있는 신발의 경우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wearing example of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cribed as limited to the boots for hiking boots and motorbikes, but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oes, there is a fear of injury of the ankle part or wear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hoes can be us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부상 방지기구를 신발 내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을 신게 됨으로써, 복사뼈 부분과 정강이뼈 부분을 측면커버플레이트와 전면커버플레이트가 확실하게 커버 및 보호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등산 또는 모터바이크의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다리 부상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wearing the shoe in the state wearing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inside the shoe, the side cover plate and the front cover plate reliably cover and protect the astragalus portion and the shin bone portion, thereby climbing 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risk of leg injury that can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bike.
더욱이,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는 제1결합수단 및 제2결합수단을 통해 측면커버플레이트와 전면커버플레이트를 착용자의 발 움직임에 맞춰 편안하게 조절하게 됨으로써, 착용자는 발목을 편안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Furthermore,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fortably adjust the side cover plate and the front cover plate according to the wearer's foot movement through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so that the wearer can move the ankle comfortably and freely. It also works.
또한, 본 발명의 부상 방지기구는 발바닥 중심부에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 부분에 지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발바닥을 계속해서 지압하게 되어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효과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cupressure protrusion on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sole, thereby continuing to press the sole of the wearer, thereby improving the health of the weare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6204A KR100832882B1 (en) | 2007-01-19 | 2007-01-19 | Device for protecting an ankle to wear in footwe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6204A KR100832882B1 (en) | 2007-01-19 | 2007-01-19 | Device for protecting an ankle to wear in footwe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2882B1 true KR100832882B1 (en) | 2008-05-28 |
Family
ID=3966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6204A KR100832882B1 (en) | 2007-01-19 | 2007-01-19 | Device for protecting an ankle to wear in footwe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28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800010517A1 (en) * | 2018-11-22 | 2020-05-22 | Ober Alp Spa | SKI BOOT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50784A2 (en) | 1988-07-12 | 1990-01-17 | KLEYLEIN, Horst | Surgical insert for shoes, in particular a sports shoe |
US4955149A (en) | 1988-11-22 | 1990-09-11 | Ottieri Marco T | Ski boot with ankle support |
WO1991007889A1 (en) * | 1989-12-05 | 1991-06-13 | Alfa Skofabrik A/S | Device for cross-country ski boot |
US5778563A (en) * | 1994-02-16 | 1998-07-14 | Ahlbaeumer; Georg | Shoe, in particular sport shoe or orthopaedic stocking with ankle stabilization |
JP2001149105A (en) | 1999-11-30 | 2001-06-05 | Keiai Gishi Zairyo Hanbaisho:Kk | Surgical shoes for child |
KR20050072411A (en) * | 2005-06-20 | 2005-07-11 | 박숙희 | Functional sole of shoe |
KR20050079376A (en) * | 2004-02-05 | 2005-08-10 | 정진현 | Insole and shoe that use ankle protector and this |
-
2007
- 2007-01-19 KR KR1020070006204A patent/KR10083288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50784A2 (en) | 1988-07-12 | 1990-01-17 | KLEYLEIN, Horst | Surgical insert for shoes, in particular a sports shoe |
US4955149A (en) | 1988-11-22 | 1990-09-11 | Ottieri Marco T | Ski boot with ankle support |
WO1991007889A1 (en) * | 1989-12-05 | 1991-06-13 | Alfa Skofabrik A/S | Device for cross-country ski boot |
US5778563A (en) * | 1994-02-16 | 1998-07-14 | Ahlbaeumer; Georg | Shoe, in particular sport shoe or orthopaedic stocking with ankle stabilization |
JP2001149105A (en) | 1999-11-30 | 2001-06-05 | Keiai Gishi Zairyo Hanbaisho:Kk | Surgical shoes for child |
KR20050079376A (en) * | 2004-02-05 | 2005-08-10 | 정진현 | Insole and shoe that use ankle protector and this |
KR20050072411A (en) * | 2005-06-20 | 2005-07-11 | 박숙희 | Functional sole of sho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800010517A1 (en) * | 2018-11-22 | 2020-05-22 | Ober Alp Spa | SKI BOOT |
EP3656238A1 (en) * | 2018-11-22 | 2020-05-27 | Ober Alp S.P.A. | Ski bo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1085B1 (en) | A Free wearing construction shoes structure | |
EP3145304B1 (en) | Dog shoe | |
KR102377163B1 (en) | Leg protector | |
KR100832882B1 (en) | Device for protecting an ankle to wear in footwear | |
KR101054066B1 (en) | Shoe insole | |
US20120198731A1 (en) | Pant Leg Protector Insole | |
KR101288691B1 (en) | Sole of shoe | |
KR200450562Y1 (en) | Versatile shoes | |
KR100263584B1 (en) | Crampons | |
CN220458704U (en) | Safety sho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protection for metatarsal and ankle | |
CN217038974U (en) | Waterproof toe protection socks | |
CN218303634U (en) | Multi-functional ms's sandals | |
CN214047749U (en) | Shoes with anti-counterfeit mark | |
CN217136973U (en) | Ankle protection climbing boot | |
CN215913475U (en) | Sandal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otecting toes | |
CN218245956U (en) | Foot-protecting sports shoes | |
CN216701802U (en) | Women's sandals | |
CN215124807U (en) | Fire-fighting boot convenient to wear | |
CN215303371U (en) | Shoes with integrated formed rear-push fixing shoelace structure | |
KR101067487B1 (en) | Hiking boots | |
CN215775875U (en) | Special children's shoes convenient to infant learns to walk | |
CN210870059U (en) | Lightweight safety shoes that shocks resistance | |
KR200296322Y1 (en) | Roller skate | |
KR20120072272A (en) | A heel protecter | |
JPH0625124Y2 (en) | Athletic s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