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38770B1 -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 Google Patents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770B1
KR100838770B1 KR1020070020164A KR20070020164A KR100838770B1 KR 100838770 B1 KR100838770 B1 KR 100838770B1 KR 1020070020164 A KR1020070020164 A KR 1020070020164A KR 20070020164 A KR20070020164 A KR 20070020164A KR 100838770 B1 KR100838770 B1 KR 100838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mbination switch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상식
김창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48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combination switch and a combination switch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bination switch by preven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liding terminal from being unstable by a foreign substance.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combination switch includes a substrate body(21), a contact point unit(25), and an emission slit(28). The substrate body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tact point unit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bstrate body. The emission slit is installed between the contact point units to penetrate the substrate body. The emission slit is form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point unit. The emission slit is formed to be a slant line between the contact point units.

Description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Printed circuit board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same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도 1은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 핸들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general vehicle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 combination switch.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mbination switch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the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단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ing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2: 조작레버10: housing 12: operation lever

13: 손잡이 14: 회전축13: handle 14: rotating shaft

20: 인쇄회로기판 21: 기판몸체20: printed circuit board 21: substrate body

22,23: 부품장착공 25: 접점부22,23: Component mounting hole 25: Contact part

28: 배출슬릿 50: 단자홀더28: discharge slit 50: terminal holder

60: 슬라이딩단자 62: 단자몸체60: sliding terminal 62: terminal body

64: 걸이후크 67: 접점돌기64: hook hook 67: contact projection

본 발명은 컴비네이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ation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ination switch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combination switch and a combination switch having the same.

컴비네이션 스위치조립체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각종 전기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모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비네이션 스위치조립체는 다수의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한 레버 형태의 스위치로서 턴시그널 스위치, 라이트 컨트롤 스위치, 프런트 파워 스위치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combination switch assembly is used in automobiles, and is a collection of switches for operating various electric devices of the automobile. In general, a combination switch assembly is a lever-type switch i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are integrated into one, and a turn signal switch, a light control switch, and a front power switch are integrally formed.

도 1에는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 핸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컴비네이션스위치(1)에는 레버(3)가 장착된다. 상기 레버(3)는 Ⅰ또는 Ⅱ 방향으로 조작되면서, 컴비네이션스위치(1) 내부의 장치들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vehicle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is, the combination switch 1 is equipped with a lever 3. The lever 3 is operated in the I or II direction, thereby activating the devices inside the combination switch 1.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1)의 내부에는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암(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암의 선단에는 상기 연동암에 연결되 고, 상기 연동암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단자홀더(미도시)가 구비된다. The combination switch 1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arm (not shown)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operating the lever 3. A terminal hold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linkage arm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age arm into a linear motion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linkage arm.

상기 단자홀더에는 슬라이딩단자(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단자는 상기 단자홀더가 동작됨에 따라 컴비네이션 스위치조립체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상면에서 습동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단자가 상기 접점부에 접함에 따라, 상기 접점부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sliding terminal (not shown) is coupled to the terminal holder. As the terminal holder is operated, the sliding terminal sli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combination switch assembly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s the sliding terminal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the contact portio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슬라이딩단자가 습동하는 부분에는 그리스가 도포된다. 상기 그리스는 상기 슬라이딩단자의 습동을 원활하게 하고, 슬라이딩단자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grease is appli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ore precisely, a portion in which the sliding terminal slides. The grease smoothly slides the sliding terminal and prevents wear of the sliding terminal.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사용자가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 상에서 반복하여 미끌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단자와 상기 접점부 사이의 마찰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미세한 먼지나 마모가루 등이 상기 접점부의 상면에 쌓이게 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단자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 접점부를 둘러 도포된 그리스가 슬라이딩단자의 이동경로를 따라 한 쪽으로 집적된다. As the user uses the combination switch, the sliding terminal is repeatedly sli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process, abrasion occurs at por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friction between the sliding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and fine dust or wear powder i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In particular, the grease applied around the contact portion is accumulated on one sid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sliding terminal by the repeated operation of the sliding terminal.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단자와 상기 접점부 사이에 마모가루나 그리스 등이 집적되어, 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완전하게되거나, 심할 경우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결국,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1)의 동작신뢰성이 떨어 지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wear powder, grease, etc. are accumulated between the sliding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is incomplete or, in some cases, the connection is severely disconnect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bination switch 1 is inferi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비네이션스위치에 구비된 슬라이딩단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liding termina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combination switch.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판몸체와, 상기 기판몸체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사이에 상기 기판몸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배출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body, a contact portion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bstrate body, and penetrating the substrate body between the contact portion It consists of a discharge slit.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접점부의 사이에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각각의 접점부 사이마다 다수개가 형성된다. The discharge slits are formed to form diagonal lines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or a plurality of discharge slits ar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접점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discharge slit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각각의 접점부 사이마다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출슬릿은 상기 배출슬릿의 사이로 상기 접점돌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A plurality of discharge slits ar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slits ar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ontact protrusions between the discharge slits.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을 관통하여 레버가 장착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면에는 접점부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 사이에는 배출슬릿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접점부 상면을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접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딩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body through which a lever is mounted, and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body,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And a sliding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ver, the sliding terminal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tact parts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by interlocking with the lever.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접점부의 사이에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단자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점단자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배출슬릿 상을 통과한다. The discharge slit is formed to form an oblique lin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terminal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slit.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이 습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들이 배출슬릿을 통해 배출되므로,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 슬라이딩단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완전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various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sliding termina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lid through the discharge sli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liding termina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complete by these foreign substances. It is prevented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bination switch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combination switch and a combination switch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내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bination switch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bination switch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부품들을 차폐하여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mbination switch are formed by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serves to shield and protect various components mounted therein.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조작레버(12)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외부로 관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12)는 일정한 방향으로 동작됨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들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레버(12)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조작되는 손잡이(13)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조작레버(12)의 동작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이 루어진다.One side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lever 12 penetrates into and out of the housing 10. The operation lever 12 is oper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reby activ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The operation lever 12 is provided with a handle 13 which is gripped and operated by a us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2 is made around the rotating shaft 14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 .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20)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12)의 동작에 따라 차량의 와이퍼나 라이트의 작동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골격은 기판몸체(21)가 형성하는데, 상기 기판몸체(21)는 에폭시 수지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로 만든 얇은 판에 구리박을 입혀 형성된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 circuit pattern is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to activate various functions such as wiper or light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2. The skelet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s formed by a substrate body 21, the substrate body 21 is formed by coating a copper foil on a thin plate made of epoxy resin or bakelite resin.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몸체(21)를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부품장착공(22,23)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품장착공(22,23)에는 트랜지스터나 저항 또는 커넥터(70)와 같은 다양한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component mounting holes 22 and 23 are formed through the substrate body 21. The component mounting holes 22 and 23 are equipped wit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ransistors, resistors, or connectors 70.

상기 기판몸체(21)의 일면에는 접점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접점부(25)는 슬라이딩단자(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6개의 접점부(25)들이 2열로 구비된다. 상기 접점부(25)는 인쇄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 중 일부가 표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21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25. The contact portion 25 i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liding terminal 60, and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25 ar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six contact portions 25 are provided in two rows. The contact portion 25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circuit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s exposed on the surface.

이때, 상기 접점부(25)를 둘러싸는 구역(A)에는 그리스가 도포된다. 이는 상기 접점부(25)와 슬라이딩단자(60) 사이의 마찰을 줄여,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grease is applied to the area A surrounding the contact portion 25. This is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5 and the sliding terminal 6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mbination switch can be made more smoothly.

상기 접점부(25) 사이에는 배출슬릿(28)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슬릿(28)은 상기 기판몸체(21)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접점부(25)와 슬라이딩단자(60)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모가루나 그리스, 기타 이물질들이 배 출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슬라이딩단자(60)가 상기 접점부(25)에 습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판몸체(21) 상면에 집적된 이물질들을 상기 배출슬릿(28) 쪽으로 유도하여 이물질들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ischarge slits 28 are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25. The discharge slit 28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ubstrate body 21, which is worn out by abrasion powder, grease,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5 and the sliding terminal 60. This is to make it out. That is,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liding terminal 60 slides to the contact portion 25,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21 are guided toward the discharge slit 28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이때, 상기 배출슬릿(28)은 상기 접점부(25)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기판몸체(21) 집적된 이물질들이 되도록 많은 위치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slit 28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5. This is to allow the substrate body 21 to be discharged from as many locations as possible.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슬릿(28)은 상기 접점부(25) 사이에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슬릿(28)은 상기 접점부(25) 사이에 비스듬하게 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단자(60)의 접점돌기(67)들이 상기 배출슬릿(28) 상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접점돌기(67)와 기판몸체(21)의 상면이 접하는 면적은 상기 배출슬릿(28)의 폭에 비해 작으므로, 상기 슬라이딩단자(6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점돌기(67)가 상기 배출슬릿(28)에 일부 빠지게 되는데, 상기 사선을 이루는 배출슬릿(28)은 다수개의 접점돌기(67)가 동시에 하나의 배출슬릿(28)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discharge slit 28 is formed to be diagonal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25. That is, the discharge slit 28 is formed to be inclined obliquely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5, which is the contact projections 67 of the sliding terminal 60 to be described below on the discharge slit 28. This is to pass through sequentially, not through at the same time. That is,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 67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21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ischarge slit 28, the contact protrusion 67 is mov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liding terminal 60. Partly falls into the discharge slit 28, the slanted discharge slit 28 is to prevent the plurality of contact projections 67 fall into one discharge slit 28 at the same time.

즉, 이러한 사선 형상의 배출슬릿(28)은 슬라이딩단자(60)의 접점돌기(67)들이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두 개 이상의 접점돌기(67)가 상기 배출슬릿(28)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왜냐하면, 상기 배출슬릿(28)이 사선으로 형성되므로, 나란한 접점돌기(67) 중에서, 도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접점돌기(67)가 상기 배출슬릿(28)에 먼저 접하게 되기 때문이다. That is, the oblique discharge slits 28 have two or more contact protrusions 67 when the contact protrusions 67 of the sliding terminal 60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center of the drawing. The discharge slit 28 can be prevented from passing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discharge slit 28 is formed in an oblique line, among the side contact projections 67, the contact projections 67 located below the drawing are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tact with the discharge slit 28.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작동가이드(30)가 장착된다. 상기 작동가이드(30)는 상기 조작레버(12)에 연동하여 상기 단자홀더(50)의 작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차량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An operation guide 30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 The operation guide 30 serves to activate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while reciprocat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holder 50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lever 1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레버(12)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연동암(40)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암(40)은 상기 조작레버(12)가 작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되어 단자홀더(5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암(40)은 상기 조작레버(12)가 도 2의 ①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①'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단자홀더(50)는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작레버(12)가 ②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②'방향으로 회전하고, 단자홀더(5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연동암(40)은 회전운동하지만, 단자홀더(50)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0)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An interlocking arm 4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so as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12. As the operation lever 12 operates, the interlocking arm 40 interlocks with the operation arm 12 to operate the terminal holder 50. More precisely, when the operating lever 12 rotates in the direction ① in FIG. 2, the linkage arm 40 rotates in the direction ① ′ correspondingly, and thus the terminal holder 50 is viewed in the center of the drawing. To the right.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on lever 12 rotates in the direction of ②, i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2' and the terminal holder 50 moves to the left side. That is, the linkage arm 40 rotates, but the terminal holder 50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correspondingly.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단자홀더(50)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홀더(50)는 상기 연동암(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0)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홀더(50)는 슬라이딩단자(60)와 결합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단자(60)와 상기 접점부(25)가 서로 습동되도록 한다. The terminal holder 5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The terminal holder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 40 to perform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n addition, the terminal holder 50 is coupled to the sliding terminal 60 to move together, so that the sliding terminal 60 and the contact portion 25 slides with each other.

상기 단자홀더(50)의 양측에는 걸이턱(5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7)은 후술할 슬라이딩단자(60)의 걸이후크(64)와 체결되어, 상기 단자홀더(50)와 슬라이딩단자(60) 사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Hanging jaws 57 ar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terminal holder 50. The hooking jaw 57 is coupled to the hook hook 64 of the sliding terminal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terminal holder 50 and the sliding terminal 6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단자홀더(50)에는 슬라이딩단자(60)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단자(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점부(25) 상면에서 미끌어지면서, 상기 접점부(2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단자(6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A sliding terminal 60 is coupled to the terminal holder 50. The sliding terminal 60 sli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more precisel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25, and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 portions 25. To this end, the sliding terminal 6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단자(60)의 골격은 단자몸체(62)가 형성한다. 상기 단자몸체(62)는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걸이후크(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64)에는 걸이공(6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65)은 상기 걸이턱(57)에 걸어져, 상기 슬라이딩단자(60)가 상기 단자홀더(5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6, the skeleton of the sliding terminal 60 is formed by the terminal body 62. The terminal body 62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bent from both ends thereof to form a hook hook 64. In addition, the hook hook 64 is formed so that the hook hole 65 passes through. The hook hole 65 is hooked on the hook jaw 57, and serves to maintain the sliding terminal 60 is coupled to the terminal holder 50.

상기 단자몸체(62)의 상기 접점부(25)와 접하는 면에는 접점돌기(67)가 형성된다. 상기 접점돌기(67)는 상기 접점부(25)와 접하는 부분으로서, 접점부(25)와 용이하게 접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점돌기(6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몸체(62)의 저면에 양측으로 나란히 형성되는데, 이는 두 접점부(25) 사이에 동시에 접함으로써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Contact protrusions 67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62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5. The contact protrusion 67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5 and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easily contact the contact portion 25.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act protrusion 6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terminal body 62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tacting the two contact portions 25 at the same time.

상기 슬라이딩단자(60)는 상기 하나의 단자홀더(60)에 다수개가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결합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25)는 총 6개가 2열을 이루면서 구비되므로, 각각의 열에 대응되는 슬라이딩단자(60)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A plurality of the sliding terminal 60 is coupled to the one terminal holder 60, in this embodiment two are coupled.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ure 2, the contact portion 25 is provided with a total of six in two rows, the sliding terminal 60 corresponding to each row is required.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는 커넥터(70)가 장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70)에 구비된 다수개의 터미널(72)들이 상기 부품장착공(23)에 삽입된 후, 솔더링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고정되는 것이다. The connector 7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More precisely, the plurality of terminals 72 provided in the connector 70 are inserted into the component mounting holes 23, and then soldered and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실시예의 도면부호를 차용하기로 한다. Next,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reference numerals of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used.

배출슬릿(128)은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에 구비된 접점부(125) 사이마다 형성되는데, 상기 단자홀더(50)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배출슬릿(128)이 상기 단자홀더(5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에 비해, 접점단자의 접점돌기(67)의 이동경로 상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슬릿(128)과, 상기 접점돌기(67) 사이의 접촉될 수 있는 기회가 많이지게 하기 위함이다. The discharge slits 128 are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12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ar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holder 50. The discharge slit 128 is form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contact protrusion 67 of the contact terminal, whereas the discharge slit 128 is formed paralle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holder 50, and This is to increase the chance of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s 67.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Next,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배출슬릿(228)은 인쇄회로기판(220)의 상면에 구비된 접점부(225) 사이마다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슬릿(228)은 상기 각각의 접점부(225) 사이마다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배출슬릿(228)은 그 사이로 상기 접점돌기(67)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조작레버(12)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The discharge slit 228 is formed between each contact portion 22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20, as shown, the discharge slit 228 is a plurality of each of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 225 Dogs are form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ischarge slits 228 are disposed to allow the contact protrusion 67 to pass therebetween. This is to improve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operation lever 12.

본 실시예에서는 총 4 개의 배출슬릿(228)이 상기 접점부(225) 사이마다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배출슬릿(228)이 상기 접점부(225) 사이에 반드시 4개가 형성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2개나 3개 혹은 5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고, 반드시 나란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discharge slits 228 are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225. Of course, four discharge slits 228 are not necessarily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225. That is, for example, two, three or five or more may be formed, not necessarily formed side by side, various arrangements are possibl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bination switch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mbination switch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12)를 움직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의 전후면와이퍼나 헤드라이트의 점멸작동과 같은, 전원이 공급되어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mbination switch, the user first moves the operation lever 12 to activate the desired function. For example, the user activates power-driven functions, such as the front and rear wipers of the vehicle or the flashing of the headlights.

이때, 작업자가 상기 조작레버(12)를 도 2에 도시된 ①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조작레버(12)는 상기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결된 상기 연동암(40)은 ①'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홀더(50)와 슬라이딩단자(60)조립체는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연동암(40)의 회전운동이 단자홀더(50)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바뀌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operation lever 12 in the direction of ① shown in Figure 2, the operation lever 12 is rotated about the rotary shaft 14, the linkage arm 40 connected thereto is ① ' Direction of rotation. Accordingly, the terminal holder 50 and the sliding terminal 60 assembly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hat i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age arm 40 is changed into a linear movement by the terminal holder 50.

이 과정에서, 상기 단자몸체(62)의 저면에 형성된 접점돌기(67)는 상기 기판몸체(21)의 상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판몸체(21)의 상면에 구비된 접점부(25)와 마찰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단자몸체(62)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점돌기(67)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접점부(25)에 각각 접함으로써, 상기 접점부(2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활성화된다.In this process, the contact protrusion 67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62 friction with the contact portion 2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21, more precisely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21. As you mov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67 formed on the terminal body 62 ar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s 25 adjacent to each other,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s 25, and a user desired function. Is activated.

이때, 상기 접점부(25) 및 이의 주변에 집적되었던, 예를 들어 그리스나 상 기 접점돌기(67)와 접점부(25) 사이의 반복된 마찰에 의해 발생한 마모가루와 같은 이물질들은 상기 배출슬릿(28)을 통해 배출된다. 즉, 이물질들이 집적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딩단자(6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상기 배출슬릿(28)으로 유도한다. 이는 상기 배출슬릿(28)이 상기 슬라이딩단자(6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능하다.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such as abrasion powder generated by repeated friction between the contact part 25 and the contact part 67 and the contact part 25 that have been accumulated around the contact part 25 and the contact part 25, are discharged from the slit. Ejected through 28. That is, even if foreign matters are accumulated, the sliding terminal 60 guides them to the discharge slit 28 in the process of moving.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discharge slit 28 is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liding terminal 60.

그리고, 상기 배출슬릿(28)은 사선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딩단자(6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점돌기(67)는 상기 배출슬릿(28)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접점돌기(67)가 한꺼번에 상기 배출슬릿(28)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부드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slits 28 are formed in diagonal lines, the contact protrusions 67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discharge slits 28 while the sliding terminal 60 moves.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67 are not caught by the discharge slits 28 at a time, the user can operate more smoothly.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정지시키거나, 혹은 반대동작을 위해, 상기 조작레버(12)를 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단자(60)는 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이 과정에서도 집적된 이물질들은 상기 배출슬릿(28)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stops the function or reverses the operation lever 12 in the ② direction, the sliding terminal 60 moves in the ② 'direction. In addition,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is proces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lit 28.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the combination switch and the combination switch provided with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이 습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들이 배출슬릿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 슬라이딩단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완전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sliding termina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lid through the discharge slit.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incomplet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liding termina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this foreign matter,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bination switch.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배출슬릿이 사선형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슬라이딩단자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점돌기들이 순차적으로 배출슬릿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점돌기들이 배출슬릿에 동시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레버조작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slits are formed to be inclined diagonally,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formed on the sliding terminals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discharge slits. Accordingly, the contact protrusions ar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discharge slit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the lever operation feeling.

Claims (7)

인쇄회로기판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기판몸체와;A substrate body forming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기판몸체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접점부와;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substrate body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접점부의 사이에 상기 기판몸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배출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combination switch comprising a discharge slit provided through the substrate body between the contac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접점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The printed circuit board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slit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접점부의 사이에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The printed circuit board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slit is formed to form an oblique line between the contact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각각의 접점부 사이마다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출슬릿은 상기 배출슬릿의 사이로 상기 접점돌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The printed circuit boar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discharge slits ar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slits ar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contact protrusions between the discharge slits.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접점부의 상면을 접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단자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접점부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The printed circuit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ischarge slit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along a movement path of the sliding terminal moving while contacting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Board. 일측을 관통하여 레버가 장착되는 하우징몸체와;A housing body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housing is mounted;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면에는 접점부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 사이에는 배출슬릿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과;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inside the housing body, and having a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having a discharge slit penetrating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상기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접점부 상면을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접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딩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비네이션스위치. And a sliding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v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tact parts while reciprocating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by interlocking with the lev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접점부의 사이에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단자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점단자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배출슬릿 상을 통과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 The combination switch of claim 6, wherein the discharge slits are formed to be diagonally formed between the contact parts,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terminal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discharge slits.
KR1020070020164A 2007-02-28 2007-02-28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KR100838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64A KR100838770B1 (en) 2007-02-28 2007-02-28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64A KR100838770B1 (en) 2007-02-28 2007-02-28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770B1 true KR100838770B1 (en) 2008-06-17

Family

ID=3977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164A KR100838770B1 (en) 2007-02-28 2007-02-28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7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9312A (en) * 2013-12-30 2015-01-07 苏州旲烔机电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On Right Bottom Of Automobile Steering Whe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399A (en) 1996-09-26 1998-04-24 Niles Parts Co Ltd Combination switch structure for vehicle
KR200284437Y1 (en) 2002-04-30 2002-08-13 이수호 Tact switch form pcb printed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399A (en) 1996-09-26 1998-04-24 Niles Parts Co Ltd Combination switch structure for vehicle
KR200284437Y1 (en) 2002-04-30 2002-08-13 이수호 Tact switch form pcb printed circuit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9312A (en) * 2013-12-30 2015-01-07 苏州旲烔机电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On Right Bottom Of Automobile Steering Wheel
KR101521431B1 (en) * 2013-12-30 2015-05-19 주식회사 대동 A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354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098290B2 (en) FFC connector
US20080050958A1 (en) Connector
US7514643B1 (en) Lighted pushbutton switch assembly
KR20070045125A (en) Connector improved in dust tightness
US7297020B2 (en) Cable connector
JP200722703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ircuit board
KR970031105A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flexible boards
KR101001738B1 (en) Connector
US72292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US4355856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using non-noble metal contact plating
WO2010031492A1 (en) Terminal box for the electric connection to an electric motor
US7564004B2 (en) Switch device
WO1997001876A1 (en) Switching contact mechanism with wipe and backwipe
KR20080088336A (en)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38770B1 (en) A pcb for combination switch and combination switch having this
KR100889448B1 (en) Flat circuit connector
US6127638A (en) Combination switch
EP2710296B1 (en) Lighting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2565908B1 (en) connectors and electronics
KR20080031769A (en) Connector for a double-sid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38771B1 (en) A sliding-terminal for combination-switch and combination-switch having this
EP1410953B1 (en) Operating unit for installation on the roof lining of a vehicle
KR200442527Y1 (en) A terminal holder for combination-switch and sliding terminal assembly having this
JP2000012163A (en) Connector for ic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