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22068B1 -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068B1
KR100822068B1 KR1020067005180A KR20067005180A KR100822068B1 KR 100822068 B1 KR100822068 B1 KR 100822068B1 KR 1020067005180 A KR1020067005180 A KR 1020067005180A KR 20067005180 A KR20067005180 A KR 20067005180A KR 100822068 B1 KR100822068 B1 KR 10082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block
wall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8103A (en
Inventor
요시오 슈마츠
Original Assignee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0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양수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시공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급수용 용기 및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container and a retaining wall that can supply water without using a pumping member, and can easily perform construction work.

그래서 전방벽(2)에는 상기 전방벽(2)의 내외면을 관통하여, 블럭 본체(1)내에 저장된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급수용 구멍(13),(13),…이 전방벽(2)의 폭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고, 각 급수용 구멍(13),(13),…에 의해 급수로(1O),(10),…가 구성되어 있다. 급수로(10)의 전방벽(2) 외면에 개구된 토수구(11)는, 전방벽(2)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급수로(10)의 전방벽(2) 내면에 개구된 취수구(12)는, 바닥벽(6)의 내면(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Thus, the front wall 2 penetrate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ont wall 2 and supplies a plurality of water supply holes 13, 13,...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block body 1 to the outside. It is establish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ll 2, and each of the water supply holes 13, 13,... Water supply furnace (10), (10), Is composed. The water discharge port 11 open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s loca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2, and the water intake opening open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s opened. 12 is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6.

급수용 용기, 옹벽, 급수로, 토수구, 취수구 Container for water supply, retaining wall, water supply passage, water jet, intake

Description

급수용 용기 및 옹벽{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Water container and retaining wall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수의 옹벽용 블록을 법면(法面)으로 면정합하여 중첩하고, 각 옹벽용 블록의 내부에 객토(客土)를 충전하여 이루어진 옹벽에 적용되며, 상기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한 흙(객토)에서 생육하는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용 용기 및 상기 옹벽용 블록 및 급수용 용기를 구비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taining wall formed by, for example, face-align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with a normal surface, and filling an interior soil with each retaining wall block. It relates to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to a plant grown in soil (a clay) put in the inn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and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시공 대상의 법면으로 면정합되어, 직사각형 통 형상의 옹벽용 블록 복수개를, 각 옹벽용 블록 내에 중입재(inner filling material)를 충전하면서 계단 형상으로 중첩하여 이루어진 옹벽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옹벽에 있어서는, 중입재의 일부에 객토를 사용함으로써, 각 옹벽용 블록의 객토 충전부분에 식물을 생육시킬 수가 있는데, 이러한 식물을 순조롭게 생육시키려면 식물에 물을 안정하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자는 일본특개 2000-104268호 공보에서 다음과 같은 급수용 블록(급수용 용기)을 개시했다.The retaining wall which is face-match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of a construction object, and piles several rectangular cylindrical retaining wall blocks in step shape, filling each retaining wall block with an inner filling material, is utilized. In such a retaining wall, by using a loam on a part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it is possible to grow a plant in the fill area of each retaining wall block. In order to grow such a plant smoothly, it is important to stably supply water to the plant.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or has disclosed the following water supply block (water supply container)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104268.

도 10은 본 발명자가 개시한 종래의 급수용 블록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면 중 71은 옹벽용 블록, 81은 옹벽용 블록(71)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용 블록이다. 직사각형 통형상의 옹벽용 블록(71)의 후벽(74)은 전방벽(72)보다 낮 게 되어 있고, 옹벽용 블록(71)의 양측벽(73)(73)은 전방벽(72)에서 후벽(74)으로, 전방벽(72)과 같은 높이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설치 한 후, 후벽(74)과 같은 높이로 한 단차부를 거쳐 후벽(74)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72)의 바닥부에는, 짧은 바닥벽(76)이 연결되어 있다.     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age form of a conventional water supply block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 in which 71 is a retaining wall block and 81 is a water supply block provided inside the retaining wall block 71. The rear wall 74 of the rectangular cylindrical retaining wall block 71 is lower than the front wall 72, and both side walls 73 and 73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re the rear wall from the front wall 72. After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wall 72 by 74, it is connected to the rear wall 74 via a stepped portio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rear wall 74. In addition, a short bottom wall 76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wall 72.

한편, 급수용 블록(81)은 전면이 바닥이 있는 점 이외는 옹벽용 블록(71)과 대략 유사한 형상을 하고 있고,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의 높이는 옹벽용 블록(71)의 측벽(73)의 단차부에서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상단까지의 치수와 대략 비슷하다. 또한 급수용 블록(81)의 바닥벽(86)의 전방벽(82) 근방의 위치에는 상술한 옹벽용 블록(71)내에 충전된 객토를 받치는 띠 형상 판 형태의 객토 수납벽(87)이 바닥벽(86)의 전체 폭에 걸쳐서 늘어 뜨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block 81 has a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retaining wall block 71 except that the front surface has a bottom, and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82 of the water supply block 81 is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t is approximately similar to the dimension from the step portion of the side wall 73 of the side wall)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7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n addition,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wall 82 of the bottom wall 86 of the water supply block 81, the floor storage wall 87 in the form of a strip-shaped plate supporting the clay fill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71 described above is bottomed. It runs down the entire width of the wall 86.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의 바닥벽(86)으로부터 조금 높은 위치에는, 전방벽(82)을 관통하는 관통공(88)이 바닥벽(86)과 평행하게 개설되어 있다. 이 관통공(88)내에는 급수용 블록(81)내의 물을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리는 끈 형상의 양수부재(90)가 삽통되어 있고, 양수부재(90)의 일단측은 급수용 블록(81)내의 바닥벽(86)까지 양수 부재(90)의 타단측은 급수용 블록(81)의 바깥 쪽으로 적정 거리만큼 각각 연장되어 있다.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bottom wall 86 of the front wall 82 of the water supply block 81, a through hole 88 penetrating the front wall 82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wall 86. In this through-hole 88, a string-shaped pumping member 90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block 81 by capillary rise. One end of the pumping member 90 is a water supply block 81. The other end side of the pumping member 9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block 81 by an appropriate distance to the bottom wall 86 in the inner space.

그리고 법면으로 면정합하여 배치한 옹벽용 블록(71)내에 적절한 크기의 자잘 및 쇄석 등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 쪽은 얇고, 후벽(74)쪽은 두껍게 깔아서 채운 후, 급수용 블록(81)을 옹벽용 블록(71)의 후벽(74) 쪽의 중입재(F) 위에 얹어서 배치하여, 옹벽용 블록(71) 내의 급수용 블록(81)에서 후벽 (74) 쪽으로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 위치까지 투입 함과 동시에, 급수용 블록(81) 내에 옹벽용 블록(71) 내에 투입한 중입재(F)보다 큰 사이즈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까지 투입한다. 이로 인해 빈틈의 비율을 높여 급수용 블록(81) 내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용량을 크게 함과 동시에 중입재(F)에서 양수 부재(90)의 일단측을 급수용 블록(81)의 바닥벽(86)에 고정한다.In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rranged in a face-to-face manner, an intermediate material F of appropriate size such as jars and crushed stones is thinner in the front wall 7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nd the rear wall 74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fter filling and filling thickly, the water supply block 81 is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material F on the rear wall 74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nd the rear wall is formed by the water supply block 81 in the retaining wall block 71. The intermediate filling material F was thrown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n the water supply block 81 while feeding the intermediate filling material F toward the height position of the front wall 7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toward 74. The intermediate material F having a size larger than (F) is introduced to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7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s a result, the ratio of the gap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water that can be stored in the water supply block 81, and at the same time, the bottom wall 86 of the water supply block 81 has one end side of the pump member 90 in the intermediate material F. ).

이와 같이 시공한 하단의 옹벽용 블록(71) 위에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을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의 바닥벽(76)이 하단의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에 의해 지지되도록 얹어 놓은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하여 상단의 옹벽용 블록(71)및 상단의 급수용 블록(81)을 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 후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급수용 블록(81),(81),…에서 전방벽(72),(72),…쪽에 각각 객토(G),(G),…를 투입함으로써, 복수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에 각각 급수용 블록(81),(81),…을 매설한 옹벽을 시공한다.The bottom wall 76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t the upper end is the front wall 82 of the water supply block 81 at the lower end on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t the lower end. After mounting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ame operation as above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nd the water supply block 81 of the upper end. And after repeating this operation, each retaining wall block 71, 71,... Internal water supply blocks 81, 81,... In front wall 72, 72,... On the other side, it is 토 (G), (G),… By insert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Water supply blocks 81, 81,...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embedded in the wall.

이러한 옹벽에서는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에 식물(P),(P),…을 각각 이식할 수 있다. 한편 상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위에 내리는 비는 해당 객토(G),(G),…내로 침투하여 하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에 매설한 급수용 블록(81),(81),…의 내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급수용 블록(81),(81),…내에 저장된 빗물은 양수 부재(90)의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져 옹벽용 블록(71),(71),…의 객토(G),(G),…에 침투하며, 상기 객토(G),(G),…를 통하여 식물(P),(P),…에 공급된다.In such a retaining wall, each retaining wall block 71, 71,. In the land (G), (G),… To plants (P), (P),... Can be implanted individually.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In the land (G), (G),… Rain falls on the corresponding soil (G), (G),… Penetrates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Water supply blocks 81 and 81 embedded in the inside; Is stored inside. And water supply blocks 81, 81,...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is pumped up by the capillary rise of the pumping member 90 to retain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Of land (G), (G),... Penetrates into the soil (G), (G),... Through plants (P), (P),... Supplied to.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급수용 용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급수용 블록(81)내에 저장된 빗물은, 양수부재(90)내를 모관 상승에 의해 객토(G)로 퍼 올려지는데, 이러한 양수용 부재(90)가 모세 상승에 의해 양수 할 수 있는 높이는 겨우 15cm정도이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의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저수 량수가 적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양수부재(90)에는 그 내부에 객토(G) 및 식물(P)의 뿌리 등이 침입하여 막히는 일이 쉽게 발생되고, 이 때문에 양수능력이 저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수부재(90)의 양단 부분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적당한 연장 상태로 시공해야 하므로, 상기 시공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ater supply contain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lock 81 is pumped up into the soil G by raising the capillary tube 90, and the height of the pumping member 90 that can be pumped by the capillary rise is only high. Since it is about 15 c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w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On the other hand, in the pumping member 90, clogging of the roots of the soil G and the plant P, etc., easily occurs, and thus the pumping capacity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pumping member 90 must be constructed in an appropriately extend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is cumbersom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양수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는 급수용 용기 및 옹벽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water supply container and a retaining wall that can supply water without using a pump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and can easily perform a construction work.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며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된 급수용 용기이며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吐水口)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取水口)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 water supply container which penetrates the peripheral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body for storing water and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th for supplying water in the container body outward.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급수로는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assage h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peripheral wall.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취수구의 하단 테두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i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은,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흙이 투입되어 있으며,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옹벽이므로,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 내에 모관 상승에 의해 양수되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the soil is put inside the retaining wall block that protects the legal surface, and penetrates the peripheral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body for storing water. Since the retaining wall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soil from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th for supplying water out,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water supply path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th. The furnace is filled with a particulate medium pumped by the capillary rise.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soil is filled as the particulate medi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III-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by the III-III line of the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4는 급수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급수 블록의 측단면도이다.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ater supply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실시예 3에 따른 급수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급수용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9는 다른 급수용 관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water supply pipe part.

도 10은 본 발명자가 개시한 종래의 급수용 블록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age form of a conventional water supply block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는,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out of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peripheral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body for storing water.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water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in the water supply passage.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용 구멍은 그 측단면 형상이 토수구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한 변과 취수구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또한 상기 한 변의 치수는 상기 다른 변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한 변의 하단 위치는 다른 변의 하단 위치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급수용 구멍의 토수구 및 취수구의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다각형이어도 된다. 이 때 급수용 구멍의 측단면 형상에 있어 상기 사각형의 상하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양변은 직선 형상 또는 만곡선 형상이어도 된다.More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hole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one side whos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s to the height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and an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and the dimension of one side is equal to that of the other side. It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and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aid one side is high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other side. The shape of the water jetting port and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hole for water supply is preferably circular, but may be polygonal. At this time, both sides pai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quadrangle in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ater supply hole may be linear or curved.

이러한 급수용 용기는 급수용 구멍 내에 예를 들면 적정 입자인 토사 등,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를 충전해 둔다. 이 때 급수용 구멍의 측단면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경우, 시공 작업 중에 입자형 매체가 급수용 구멍에 자연 낙하에 의해 충전되기 때문에,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변의 치수는 상기 다른 변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의 주조시, 급수용 구멍의 형틀을 쉽게 뺄 수 있다.Such a water supply container is filled with a particulate medium that causes a rise in capillary, such as earth and sand, which is appropriate particles, in the water supply hole. At this time, when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ater supply hole forms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illing medium can be easily carried out because the particulate medium is filled by the natural drop in the water supply hole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mension of one side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other side, the mold of the water supply hole can be easily removed at the time of cast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이러한 급수용 용기 내에는 토수구의 바닥부의 높이까지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은, 토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저장된 물에 잠긴 취수구에서 토수구로, 급수로 내의 입자형 매체 속을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릴 수 있어 토수구에서 급수용 용기 밖으로 공급된다.In such a water supply container, water may be stored up to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discharge por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can be pumped from the water intake port submerged in the stored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can be pumped by capillary rise. Supplied.

이러한 급수로는 용기 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용 용기의 구성을 비교적 단순하게 할 수 있다.Such a water supply passage may comprise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made relatively simple.

또한 급수로는 주위벽을 관통하는 제 1 관통공 및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내면에 설치된 볼록부를 관통하여, 제 1 관통공에 연통된 제 2 관통공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용기 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어 주위벽의 내면에서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관 형상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위벽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급수로는 필요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내부에 충분한 양의 입자형 매체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급수량이 확보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constituted by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peripheral wall and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through the 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tubular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configured. Therefor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surrounding wall is thin, the water supply passage can secure the necessary capacity and can fill a sufficient amount of particulate media therein, thereby ensuring the required water supply amount.

상기 급수로의 취수구는 용기 본체의 바닥벽 내면인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이에 의해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모든 물이 외부로 공급된다.The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install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n inn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Thereby, all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는 급수로의 취수구에서 용기 본체 내로 흙의 유입을 방지하는 흙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급수로 내에 충전된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인 흙이 급수로에서 용기 본체 내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모관상승을 저해하는 공극이 급수로 내에 생기는 것이 피할 수 있고, 내부에 유입된 흙에 의해 용기 본체의 저수량이 감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oil inflow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soil into the container body from the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Accordingly, since the soil, which is a particulate medium that causes the capillary rise,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container body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voids in the water supply passage that inhibits the rise of the capillary, and the soil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is can prevent the storage amount of the container body from being reduced.

또한, 용기 본체의 취수구의 주위에 판 형상의 흙 유입 방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 중 판 형상의 흙 유입 방지부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you may provide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plate-shaped soil inflow prevention part around the water intake port of a container main body. Thereby, it can prevent that a plate-shaped soil inflow prevention part shifts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of a water supply contain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흙이 투입되어 있어,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이 주위벽을 관통하고,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까지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 내에 모관 상승에 의해 양수되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끈 형상의 양수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을 옹벽용 블록의 안쪽으로 투입된 객토로 공급할 수 있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il is put inside the retaining wall block protecting the legal surface, and the penetrating wall penetrates the surrounding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surrounding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body for storing water,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from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outward, and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take opening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particulate medium pumped by the capillary rise is filled. Therefore, even without using a string-shaped pumping member as in the related ar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supplied to the pit land introduc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so that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용 용기를 시공할 때에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된 객토를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soil is filled as the particulate medium.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for water supply is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fill the land filled in the in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nto the water supply furnace by the natural fall. Thereby, the construction work of a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performed easily.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based on drawing.

도 1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III-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면 중 1은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블 록 본체이다. 용기 본체인 콘크리트제의 블록 본체(1)는 장방형의 바닥벽(6)의 주연부 위에 전방벽(주위벽)(2), 후벽(주위벽)(4) 및 양측벽(주위벽)(3),(3)이 세워 설치하고 있으며, 후벽(4)의 높이는 전방벽(2)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1 to 3 are front and plan views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a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box-shaped block body for storing water. The block body 1 made of concrete, which is a container body, has a front wall (peripheral wall) 2, a rear wall (peripheral wall) 4 and both side walls (peripheral wall) 3 on the periphery of the rectangular bottom wall 6. , (3) stands up, and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2).

또한 양측벽(3),(3)을 전방벽(2)으로부터 후벽(4)을 향하여,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치수로 적정 거리(도 3에서는 전방벽(2)의 내면에서 후벽(4)의 내면까지의 거리)만큼 연장 설치 한 후, 후벽(4)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단차부를 거쳐, 단차부와 같은 높이로 후벽(4)의 바깥면 위치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측벽(3),(3)에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치수의 부분을 설치해 둠으로써, 복수의 급수용 블록을 세로로 중첩시킬 수 있고 좁은 스페이스에 복수의 급수용 블록을 비축할 수 있다. 한편 양측벽(3),(3)이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높이 부분 이외의 부분은 후벽(4)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블록 본체(1)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총량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한 제조 코스트를 절감 할 수 있다.Also, the two side walls 3 and 3 are directed from the front wall 2 to the rear wall 4 at an appropriate distance in the same dimension as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2 (in Fig. 3, the rear wall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After exte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4), it is extended to the outer surface position of the rear wall 4 at the same height as the level | step difference part through the step part of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As shown in FIG. Thus, by providing a part having the same dimensions as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2 on both side walls 3 and 3, a plurality of water supply blocks can be vertically overlapped, 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blocks can be arranged in a narrow space. I can stock up. On the other hand, since both side walls 3 and 3 are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except for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2, the total amount of raw materials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block body 1 is obtained. Since it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reby.

한편 블록 본체(1)내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후벽(4)의 높이와 대략 같은 높이의 중벽(5)이, 측벽(3),(3)과 평행하게 블록 본체(1)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형태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in the block main body 1, the middle wall 5 which is abou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has the inside of the block main body 1 parallel to the side walls 3 and 3.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dividing into two areas.

그런데 상술한 전방벽(2)에는, 상기 전방벽(2)의 내외면을 관통하며, 블록 본체(1)내에 저장된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도 2에서는 4개)의 급수용 구멍 (13),(13),…이, 전방벽(2)의 폭방향으로 적정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어, 각 급수용 구멍(13),(13),…에 의해 급수로(1O),(1O),…가 구성되어 있다. 급수로(10) 의 전방벽(2) 외면에 개구된 토수구(11)는, 전방벽(2)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급수로(10)의 전방벽(2) 내면에 개구된 취수구(12)는, 바닥벽(6)의 내면(바닥면)과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즉 토수구(11)의 높이는 취수구(12)의 높이보다 높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front wall 2 penetrate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ont wall 2, 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holes 13 (four in FIG. 2)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block main body 1 to the outside. ), (13),… The openings are provided at appropriate distanc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ll 2, and the respective water supply holes 13, 13,... Water supply furnace (10), (10), Is composed. The water discharge port 11 ope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s loca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2 and the water intake opening ope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12 is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6. That is,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11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12.

또한 급수로(10)는 그 측단면 형상이 토수구(11)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한 변과 취수구(12)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토수구(11)의 높이는 취수구(12)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사각형의 상변의 입상 각도(α2)는 하변의 입상 각도(α1)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용 블록의 주조시, 급수용 구멍(13)의 형틀을 쉽게 떼어 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10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sid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11 and an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12, and the water discharge port 11 The height of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12. That is, the granularity angle (alpha) 2 of the upper side of the said rectangle becomes larger than the granularity angle (alpha) 1 of the lower side. Therefore, when casting the water supply block, the mold of the water supply hole 13 can be easily removed.

한편, 이와 같이 급수로(10)는 그 내경이 전방벽(2)의 외면측 상부에서 내면측 하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대략 메가폰형을 하고 있어 시공 작업 중에 토사와 같은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가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10)내에 충전된다. 따라서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passage 10 has a substantially megaphone shap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front wall 2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side. Is fi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10 by a natural fall. Therefore,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water supply block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또한 급수로(10)는 상술한 측단면의 하변의 입상 각도(α1)가 대략 3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술한 입자형 매체의 자연 낙하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로(10)의 토수구(11)는 그 일부가 전방벽(2)의 상면에 걸쳐져도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path 10 has a granular angle α1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cross section described above of approximately 30 degrees or more. Thereby, the natural fall of the above-mentioned particulate medium can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a part of the water jetting port 11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로(10)의 측단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이 사각형의 상하 양변은 직선 형상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만곡형상을 이루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forms a quadrangular shape, and both sides of the quadrangle form a straight li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curved shape is formed. You may also

블록 본체(1)의 내부에는, 각 급수용 구멍(13),(13),…으로부터 블록 본체(1)의 내부로 후술하는 객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금속 판 형상의 지부재(止部材)(21),(21),…가 각각 취수구(12),(12),…에 대향 배치되고, 바닥벽(6)의 취수구(12),(12),…로부터 조금 거리를 둔 위치에는, 지부재(21),(21),…를 고정하기 위한 사각뿔 사다리꼴의 볼록부(15),(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볼록부(15),(15),…는 전방벽(2)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형상의 간격에 지부재(21),(21),…를 각각 끼워 맞춰서, 지부재(21),(21),…의 면내측 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있다.Inside the block body 1, each of the water supply holes 13, 13,...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flow of the below-mentioned soil into the inside of the block main body 1 from the side, and the sheet members 21, 21,... Intake ports 12, 12,...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water intakes 12, 12,... At the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support members 21, 21,... Square convex trapezoidal convex portions 15, 15 for fixing the ... Are installed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protrusions 15, 15,... The supporting members 21, 21,... Are spaced apart in the groove-shaped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wall 2 and the front wall 2. To each other, the supporting members 21, 21,... Is fixed in the in-plane direc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벽(6)에 설치된 볼록부(15)에 의해 지부재(21)를 끼워 맞춰 고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벽(6)에, 지부재(21)를 안으로 끼워 넣는 홈부를 설치하여, 상기 홈부에 지부재(21)를 안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해도 되고, 전방벽(2)의 취수구(12)의 주위에 지부재(21)를 고정지지하는 훅부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훅부에 의해 지부재(21)를 안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지부재(21)가 블록 본체(1)내로 고정되므로 후술 하는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branch member 21 is fitted and fixed by the convex part 15 provided in the bottom wall 6,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branch part is attached to the bottom wall 6,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ash 21 is inserted may be provided to fix the edge member 21 in the groove to fix the edge portion 21, and the edge member 21 is fixedly supported around the intake port 12 of the front wall 2. The hook portion may be provided, and the branch member 21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by the hook portion. Thereby, since the paper member 21 is fixed in the block main body 1, the construction work of a water supply block mentioned later can be performed easily.

그런데 지부재(21)와 전방벽(2)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밀봉 처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부재(21)을 전방벽(2)의 내면에 접속하는 경우이어도, 블록 본체(1)내에 저장된 물은, 지부재(21)와 전방벽(2)의 내면과의 간격으로부터 급수로(10)내에 용이하게 침입된다.However, since the sealing process is not performed between the paper member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even when the paper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the inside of the block body 1 The stored water easily penetrates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10 from the gap between the paper member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부재(21)를 깨끗한 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본 발 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부재(21)의 상술한 취수구(12)에 대향하는 부분에 1 또는 복수의 관통공을 개설해 두어도 된다. 이로 인해 급수로(10) 내로 침입되는 물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통공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 시트 형상의 지부재를 관통공에 대향 배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급수로(10) 내의 객토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급수로(10)로부터 블록 본체(1) 내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nch member 21 is in a clean plat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one or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of the branch member 21 facing the aforementioned water intake port 12 are provided. You can open a ball. This can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infiltrating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10. Moreover, when the diameter of such a through hole is comparatively large, you may arrange | position a sheet-shaped paper member to face a through hole. As a result, the lan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s prevented from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flowing ou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nto the block body 1.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로(10)의 취수구(12)에 대향하여 지부재(21)를 배치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부재(21)를 대신하여 적정 크기의 복수의 작은 돌로 취수구(12)를 막아도 된다. 이에 따라, 블록 본체(1)내로 객토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각 작은 돌의 간격에 의해, 블록 본체(1)내의 물을 급수로(10)내로 통과하여 흐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branch member 21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water intake opening 12 of the water supply path 10,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replaces the branch member 21, The water intake port 12 may be blocked by a plurality of small stones. As a result, the soil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block main body 1, and the water in the block main body 1 can flow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10 by the interval of each small stone.

그런데 상술한 후벽(4)의 높이는, 전방벽(2)에 설치된 급수로(10)의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만일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보다 높게 한 경우, 블록 본체(1)내의 토수구(11)의 바닥부보다 높은 부분에 일시적으로 머무는 물은, 이 부분의 수압에 의해 단시간에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까지 이르러 급수로(10)에서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보다 높게 해도, 급수용 블록의 실질적인 저수량은 증대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한 경우, 블록 본체(1)를 제조하기에 필요한 원료를 절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낮다.By the way,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mentioned above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bottom part of the water jetting port 11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provided in the front wall 2. If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is mad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jetting port 11, the water temporarily staying in the part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water jetting port 11 in the block body 1 is the water pressure of this part. As a result, it reaches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jetting port 11 in a short time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Therefore, even if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jetting port 11, the substanti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lock does not incre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ight of the rear wall 4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jetting port 11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w material required to manufacture the block body 1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면 중 71은 옹벽용 블록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벽(6)의 전방벽(2) 근방의 위치에, 옹벽용 블록(71)내로 충전된 객토(G)를 수납하는 띠 형상 판의 객토수납벽(7)을, 바닥벽(6)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71 is a retaining wall block. As shown in FIG. 5, the sloping-wall storage wall 7 of the strip | belt-shaped board which accommodates the pit G fill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n the position near the front wall 2 of the bottom wall 6, It is disposed over approximately the entire width of the bottom wall 6.

법면으로 면정합하여 배치된 옹벽용 블록(71)내에, 적정 크기(예를 들면, 직경이 대략 20mm-40mm)의 쇄석 등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 쪽은 얇고, 후벽(74) 쪽은 두껍게 깔아서 채운 후,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를, 옹벽용 블록(71)의 후벽(74) 쪽의 중입재(F) 위에 얹어 배치하며, 옹벽용 블록(71)내의 급수용 블록에서 후벽(74) 쪽으로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내에, 옹벽용 블록(71)내로 투입된 중입재(F)와 같은 크기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 높이까지 투입한다.The front wall 7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s loaded with an intermediate material F such as crushed stone having an appropriate size (for example, approximately 20 mm to 40 mm in diameter) in the retaining wall block 71 disposed in surface matching with a normal surface. The side is thin and the rear wall 74 is thickly filled, and then the block body 1 of the water supply block is placed on the intermediate material F on the rear wall 74 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nd placed thereon. The intermediate body F is fed from the water supply block in the water supply block 71 toward the rear wall 74 to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7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nd the block body 1 of the water supply block ), The intermediate material F having the same size as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ntroduc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s introduced to the height of the front wall 72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또한 급수용 블록에 투입하는 중입재(F)의 사이즈는, 옹벽용 블록(71)에 투입한 중입재(F)의 사이즈보다 크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중입재(F) 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급수용 블록 내의 저수량이 많아 진다. 한편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에 투입되는 중입재(F)의 사이즈와 옹벽용 블록(71)에 투입된 중입재(F)의 사이즈를 같게 한 경우, 시공 작업중 중입재(F)의 종류를 변경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아 진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njected into the water supply block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njec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n this case, since the space in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s large,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lock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njected into the block main body 1 of the water supply block and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njec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re the same, the kind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F during construction works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changing the operation efficiency.

이와 같이 시공한 하단의 옹벽용 블록(71) 위에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을,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의 바닥벽(76)이 하단의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의 전 방벽( 2)에 의해 지지되도록 얹어 놓은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상단의 옹벽용 블록(71)및 상단의 급수용 블록을 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 후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1),…에서 전방벽(72),(72),…쪽으로, 각각 객토(G),(G),…를 투입함으로써, 복수단의 옹벽용 블록 (71),(71),…내에 각각 급수용 블록을 매설한 옹벽을 시공한다.The bottom retaining wall block 71 of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71 on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71 constructed in this way, and the bottom wall 76 of the retaining wall block 71 of the upper end of the block main body 1 of the water supply block After mounting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ront barrier (2), the above operation is carried out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block 71 and the water supply block of the upper end. And after repeating this operation, each retaining wall block 71, 71,... Block main body 1, 1 of the water supply block in the inside,. In front wall 72, 72,... Towards the site (G), (G),... By insert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A retaining wall in which water supply blocks are embedded in each is constructed.

이 때 옹벽용 블록(71)내에 투입된 객토(G)는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용 블록의 급수로(10) 내로 진입되어 거기에서 충전된다. 급수로(10)에 충전된 객토(G) 속에는 적정한 간극이 형성되어 이 간극에 의해 모관 상승이 일어난다. 따라서 급수로(10)에 모관 상승을 일으키는 다른 부재를 삽입하지 않고, 블록 본체(1) 내에 저장된 물을 모관 상승에 의해 급수로(10)에서 밖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옹벽용 블록(71)내로 투입된 객토(G)가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10)로 충전되기 때문에,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이 용이하다.At this time, the objective soil G injec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71 enters into the water supply path 10 of the water supply block by natural fall and is charged there. In the objective soil G fi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10, an appropriate gap is formed, and a capillary rise occurs by this gap. Therefore, the water stored in the block main body 1 can be supplied ou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by raising the mother tube, without inserting another member causing the capillary rise to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n addition, since the filling soil G introduc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71 is filled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10 by natural fall,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water supply block is easy.

이러한 옹벽에서는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에 식물 (P),(P),…을 각각 이식할 수 있다. 한편, 상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로 내리는 비는, 상기 객토(G),(G),…내에 침투되며, 각각 하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에 매설된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1)…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급수용 블록 내에 저장된 빗물은, 급수로(10),(l0)…내에 충전된 객토(G),(G),…의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져 옹벽용 블록(71),(71),…의 객토(G),(G),…에 침투되고, 상기 객토(G),(G),…를 통하여 식물(P),(P),…로 공급된다.In such a retaining wall, each retaining wall block 71, 71,. In the land (G), (G),… To plants (P), (P),… Can be implanted individually.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In the land (G), (G),… Rain falling down in the said land (G), (G), ... Penetrates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Block main bodies 1, 1 of the water supply block embedded in the housing; Stored within.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lock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ths 10, 10,. The filled soil (G), (G),... The retaining wall blocks (71), (71),. Of land (G), (G),... Penetrates into the soil (G), (G),... Through plants (P), (P),... Is suppli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용 블록의 급수로(10) 내에 객토(G)를 충전한 경 우에 대해 나타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급수로(10) 내에 끈 형상의 양수 부재를 삽통시켜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경사의 급수로(10)내에 양수 부재가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양수 부재에 의한 양수 작용이 중입재(F)의 압박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lling soil G is fi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10 of the water supply block is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tring-shaped pump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10. Needless to say, you can insert it. In this case, since the pump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water supply passage 10, the pumping action by the pumping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ppressed by the pressing of the intermediate member F.

(실시예 2)(Example 2)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급수용 블록의 측단면도이며, 도 3에 나타낸 평판 형상의 지부재(21)를 대신하여, L자형의 지부재(22)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나타냈다. 또한 도면 중,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L-shaped paper member 22 is used in place of the flat paper member 21 shown in FIG. 3.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part corresponding to FIG. 3 in the figur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블록 본체(1)의 전방벽(2) 내면은 바닥벽(6)에 대해서 대략 직각을 이루고 있고, 바닥벽(6)의 상기 취수구(12),(12),…에 이어진 부분에는, 각각 직사각형의 오목부(16),(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판을 L자형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지부재(22),(22),…가 각각 지부재(22),(22),…의 세로 부분을 취수구(12),(12),…에 대향시켜 취수구(12),(12),…에 면한 주위 부분을 전방벽(2)의 내면에 접하게 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지부재(22),(22),…의 낮은 부분을 바닥벽(6)에 설치된 상기 오목부(16),(16),…에 각각 끼워 맞춰, 지부재(22),(22),…를 오목부(16),(16),…에 고정하고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of the block body 1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ottom wall 6, and the water intake ports 12, 12,... In the portions connected to the rectangular recesses 16, 16,... Is formed. And the members 22, 22,... Form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in an L-shape. The support members 22, 22,... The vertical part of the inlet (12), (12),… Facing the water inlets 12, 12; The peripheral portions facing the front surface 2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and the supporting members 22, 22,... The recesses 16, 16,... The respective members 22, 22,... To the recesses 16, 16,... It is fixed to.

이에 따라, 급수로(10),(1O),…로부터 블록 본체(1) 내로 토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지부재(22)가 블록 본체(1) 내에 고정되기 때문에,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passages 10, 10,... Soil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block main body 1 from the surface, and since the branch member 22 is fixed in the block main body 1,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water supply block can be easily performed.

(실시예 3)(Example 3)

도 7은 실시예 3에 따른 급수용 용기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면 중, 60은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폭방향의 치수가 긴 가로로 긴 상자 형상의 플랜터이고, 30은 플랜터(60) 내에 장치된 급수용 용기이다. 합성 수지제의 급수용 용기(30)의 용기 본체(31)는 플랜터(60)와 마찬가지로 가로로 긴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높이 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는 플랜터(60)의 높이 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와 각각 동일하게 되어 있고, 그 깊이의 치수는 플랜터(60)의 깊이의 치수의 1~3할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는 상술한 각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랜터(60) 내로 장입할 수 있는 치수이면 된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age form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60 is a horizontally long box-shaped planter having a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longer than that in the depth direction, and 30 is a planter ( 60 is a water supply container installed in the tank. The container body 31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 made of synthetic resin is formed in a horizontally long box like the planter 60, and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are the height of the planter 60. The dimension of the direction and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the same, and the dimension of the depth becomes about 1-3 of the dimension of the depth of the planter 6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ntainer main body 31 is not limited to each dimension mentioned above, What is necessary is just the dimension which can be charged in the planter 60. As shown in FIG.

용기 본체(31)의 전방벽(32)의 상단 근방의 위치에는 복수(도 7에서는 2개)의 급수로(40),(40)를 구성하며고, 전방벽(32)을 관통하는 제 1 관통공(41),(41)이, 전방벽(32)의 폭방향으로 적정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고, 전방벽(32)의 외면에는 급수로(4O),(40)의 토수구(43),(43)가 각각 개설되어 있다. 용기 본체(31)의 전방벽(32)의 내면측이며, 제 1관통공(41),(4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바닥벽(36)에서 전방벽(32)의 대략 상면 높이에 이르는 사각 기둥형상의 볼록부(38),(38)가 설치되어 있다. 양 볼록부(38),(38)의 후벽(34)에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급수로(40),(40)의 취수구(44),(44)가, 용기 본체(31)의 바닥면과 대략 같은 높이가 되도록 개설되고, 양볼록부(38),(38)에는 취수구(44),(44)와 대응하는 제 1관통공(41),(41)을 이어 통과시키는 제 2관통공(42),(42)이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양 취수구(44),(44)는 지부재(45),(45)로 블로킹 되어 있다. 또한 이 지부재(45)는 판재 이외에 메쉬재 또는 다공질재 등의 매트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osition near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32 of the container body 31,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assages 40 and 40 are formed (two in FIG. 7), and the first penetrating the front wall 32 is provided. The through-holes 41 and 41 are form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ll 32, and the water discharge port 43 of the water supply passage 40 or 4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wall 32. And 43 are respectively establishe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ront wall 32 of the container main body 31,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1st penetration hole 41 and 41 is a square which reaches the height of the substantially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32 from the bottom wall 36. The columnar convex parts 38 and 38 are provided. Water inlets 44 and 44 of the water supply passages 40 and 40 are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rear wall 34 of the two convex portions 38 and 38, respectively.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convex portions 41 and 41 and the first through holes 41 and 41 corresponding to the intake holes 44 and 44, respectively. 42 and 42 are established. Both intake ports 44 and 44 are blocked by the supporting members 45 and 45. In addition to the plate member, the support member 45 may use a mat such as a mesh member or a porous member.

이러한 급수용 용기(30)에서는 용기 본체(31)을 플랜터(60)내로, 용기 본체(31)의 후벽(34)이 플랜터(60)의 긴 변측의 주위 벽 내면에 대향하도록 넣은 후, 플랜터(60)내에 객토를 투입한다. 이 때 플랜터(60) 내에 투입된 객토의 일부가 급수용 용기(30)의 토수구(43),(43)에서 급수로(4O),(40)내에 충전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31) 내에 물을 토수구(43),(43)의 거의 바닥부까지 주입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31) 내에 저장된 물은 급수로(4O),(40)내에 충전된 입자형 매체인 객토의 모관상승에 의해 취수구(44),(44)로부터 토수구(43),(43)로 퍼 올려져 토수구(43),(43)로부터 플랜터(60) 내의 객토로 공급된다. 이 경우 플랜터(60) 내의 바닥부에 필요 이상의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플랜터(60)의 바닥부에, 배수용의 구멍을 개설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ter supply container 30, the container main body 31 is put into the planter 60, and the rear wall 34 of the container main body 31 faces the inner wall inner surface of the long side of the planter 60, The land is injected into the planter 60. At this time, a part of the turbidity injected into the planter 60 is fi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s 40 and 40 at the water discharge ports 43 and 43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 T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31 to the bottom of the water jetting ports 43 and 43. Thereby, the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31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intake openings 44 and 44 to the water discharge opening 43 by the rise of the capillary rise of the clay which is a granular medium fi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s 40 and 40. 43 is supplied to the soil in the planter 60 from the water discharge port 43, 43.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more than necessary in the bottom part of the plant 60,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drainage hole in the bottom part of the plant 60.

이와 같이, 급수로(4O),(40)는 볼록부(38),(38)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벽(32)의 두께가 얇은 용기 본체(31)이어도, 급수로(4O),(40)내에 객토 등의 입자형 매체를 충분히 충전할 수 있어 필요한 모관 상승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플랜터(60) 내의 객토에는 급수용 용기(30)에서 물이 서서히 공급되기 때문에, 플랜터(60) 내의 객토에 매일 물을 주지 않아도, 객토 내의 식물은 순조롭게 생육된다.Thus, since the water supply paths 40 and 40 are formed in the shape which penetrates the convex parts 38 and 38, even if the container main body 31 of the thickness of the front wall 32 is thi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fill the particulate medium such as the clay in the 40O and 40 so that the necessary capillary synergy can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since water is gradual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 to the land in the planter 60, the plants in the land are grown smoothly without watering the land in the plant 60 daily.

(실시예 4)(Example 4)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급수용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에 나타낸 볼록부(38)를 대신하여, 급수용 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도 7에 나타낸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a water supply pipe 52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onvex portion 38 shown in FIG. 7. In addition, the same part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part shown in FIG. 7 in the figur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1)의 전방벽(32)의 상단 근방에는, 토수구[53(53)]에 연통되어, 전방벽(32)을 관통하는 관통공[51(51)]이 개설되어 있고, 전방벽(32) 내면의 관통공[51(51)]의 주위As shown in FIG. 8, a through hole 51 (51)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jetting port 53 (53) near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32 of the container body 31 and penetrating the front wall 32. Is established and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51 (51)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32)

에서 용기 본체(31)의 바닥면에 적정 경사로, 용기 본체(31)내로 저장된 물을 용기 본체(31)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용 관부[52(52)]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용 관부[52(52)]의 하단에 취수구[54(54)]가 용기 본체(31)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급수용 관부[52(52)] 및 관통공(51),(51)에 의해, 급수로[55(55)]가 구성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pipe part 52 (52)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31 out of the container main body 31 by the appropriate inclination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31 is extended. And the intake port 54 (54) is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part 52 (52)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31. As shown in FIG. The water supply passage 55 (55) is constituted by these water supply pipe sections 52 (52), and through holes 51, 51.

이러한 급수용 용기에서는, 급수로(55)가 급수용 관부(52)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벽(32)의 두께가 얇은 용기 본체(31)이어도, 상기와 같이 급수로(55),(55)내에 객토 등의 입자형 매체를 충분히 충전할 수가 있어 필요한 모관 상승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급수용 관부(52)의 용적은 도 7에 나타낸 볼록부(38)의 용량보다 적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용기 본체(31)와 동일한 내측 치수의 용기 본체(31)를 이용한 경우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용량이 많게 된다.In such a water supply container, since the water supply passage 55 is constituted by the water supply pipe portion 52, the water supply passage 55,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ront wall 32 has a thin container body 31.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fill a particulate medium such as kale in the filtrate 55 to maintain the necessary capillary synerg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volume of the water supply pipe part 52 is smaller than the capacity of the convex part 38 shown in FIG. 7, when it uses the container main body 31 of the same inner dimension as the container main body 31 shown in FIG. The capacity of the water can be larg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부재(45)에 의해 급수용 관부(52)로부터 용기 본체(31)의 내부로, 객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용 관부(52)의 취수구(54)를 막고, 블로킹부(56)의 적정 위치를 관통하는 1 또는 복수(도 9에서는 2개)의 가는 취수구(57),(57)를 개설해 두어도 된다. 상기 블로킹부(56)에 의해, 지부재(45)를 이용하 지 않고, 급수용 관부(52)로부터 용기 본체(31)의 내부로, 객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il memb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main body 31 from the water supply pipe portion 52 by the branch member 4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9, one or more (two in FIG. 9) thin intake ports 57 and 57 which block the intake port 54 of the water supply pipe part 52 and penetrate the proper position of the blocking part 56. You can open a. By the blocking portion 5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the pit soil from the water supply pipe portion 52 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31 without using the paper member 45.

그런데 취수공(57),(57)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는, 또한 지부재(45)를 병행하여, 용기 본체(31)의 내부에 객토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미리 지부재(45)에 그것을 관통하는 작은 구멍을 개설해 둠으로써, 상술한 모관 상승 작용에 의한 양수의 량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급수용 관부(52)의 취수구(54)의 주위에 홈 또는 요철부를 설치하여 지부재(45)와 취수구(54)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켜, 상기 간극으로부터 취수구(54)내로 물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부재(45)에 작은 구멍을 개설하지 않고, 상술한 양수의 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By the way, when the diameters of the water intake holes 57 and 57 are comparatively large, the ground member 45 is further paralleled, and the soil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main body 31. In this case, the amount of amniotic fluid due to the capillary synergism described above can be adjusted by providing a small hole penetrating the branch member 45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a groove or uneven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intake port 54 of the water supply pipe part 52 to form a gap between the branch member 45 and the intake port 54, so that water enters the intake port 54 from the gap. By making it possible, the amount of pumping water mentioned above can also be adjusted, without providing a small hole in the branch member 45. FIG.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 내에는 토수구의 바닥부의 높이까지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로 내에 예를 들면, 적당한 입자인 토사 등 모관 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를 충전하여 둠으로써,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은 토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저장된 물에 잠겨 있는 취수구로부터 토수구로 급수로 내를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 토수구로부터 급수용 용기 밖으로 공급된다. 이 토사 등의 입자형 매체는, 통상적으로 급수용 용기를 시공할 때에, 주위의 토사의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로 충전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끈 형상의 양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is invention of Claim 1, the water supply path for penetrating the said peripheral wall and supplying water in a container main body is provided in the suitable posi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main body which stores water, Since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furnac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can be stored up to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discharge port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n addition, by filling the water supply passage with a particulate medium that causes a rise in the capillary, such as soil, which is a suitable particl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discharged from the intake port stored in the water stor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discharge port.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pumped up by capillary rise and supplied ou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from the water discharge port. When constructing a container for water supply, the particulate medium such as earth and sand is filled into the water supply furnace by the natural fall of the surrounding earth and sand. Therefore, the stor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without using a string-shaped pumping member as in the related art, so that the construction work for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토사 등의 입자형 매체에 의한 모관 상승 작용은, 종래의 양수 부재의 모관 상승 작용보다 크기 때문에, 토수구와 취수구와의 높이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수용 용기의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저수량을 종래보다 많이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pillary synergism by the particulate medium such as earth and sand is larger than the capillary synergism of the conventional pumping member,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jetting port and the intake port can be increased, thereby supplying i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s much water storage as possible can be achieved.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급수로는 용기 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고, 따라서 급수용 용기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since the water supply passage is composed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vessel is relatively simple, and thus, the production of the water supply vessel is easy, thus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하단 테두리부는, 용기 본체의 바닥벽 내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내에 저장된 대략 모든 물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since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it is possible to supply almost all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vessel to the outside and is efficient.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흙이 투입되어 있고,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어, 이 급수로 내에 모관상승에 의해 양수되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끈 형상의 양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을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된 객토로 공급할 수 있고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the soil is introduc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that protects the normal surface, and the container main body penetrates the peripheral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main body for storing water. Water is supplied from the container for water supply which supplies the water inside out to the said soil, and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a water supply path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of a water supply path, Since the particulate medium pumped by the capillary rise is fille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supplied to the land fill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without using a string-shaped pumping member as in the prior art. Construc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고, 따라서 급수용 용기를 시공할 때에,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된 객토를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soil is filled as the particulate medium, and thus, when the container for water supply is constructed, the mud thrown into the in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an be filled into the water supply furnace by natural fall. Thereby, the construction work of a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performed easily.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흙이 투입되어 있고,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옹벽이고,Water is supplied into the in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prot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urrounding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body for storing water. Is a retaining wall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soil from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with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 내에 모관 상승에 의해 양수되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A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assag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particulate medium which is pumped by the raising of the capillary is fi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A retaining wall, wherein soil is filled as said particulate medium.
KR1020067005180A 2003-09-17 2004-09-15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KR1008220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4282A JP4012133B2 (en) 2003-09-17 2003-09-17 Water supply container
JPJP-P-2003-00324282 200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103A KR20060088103A (en) 2006-08-03
KR100822068B1 true KR100822068B1 (en) 2008-04-16

Family

ID=3430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180A KR100822068B1 (en) 2003-09-17 2004-09-15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12133B2 (en)
KR (1) KR100822068B1 (en)
CN (1) CN1853019A (en)
WO (1) WO2005026452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044U (en) * 1989-12-12 1991-08-23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949B2 (en) * 1991-10-25 2000-02-14 ランデス株式会社 Ecosystem Conservation Waterway Block
JPWO2001087051A1 (en) * 2000-05-19 2004-01-08 関家 臣二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2212965A (en) * 2001-01-19 2002-07-31 Toei Shoko Kk Retaining wall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044U (en) * 1989-12-12 1991-08-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3019A (en) 2006-10-25
JP2005090071A (en) 2005-04-07
KR20060088103A (en) 2006-08-03
JP4012133B2 (en) 2007-11-21
WO2005026452A1 (en)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4689B2 (en) Rainwater storage device
US4192628A (en) Flow distributor for leaching fields
US5484234A (en) Building module for plantable walls with a bulk filling material
US1073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JP2003201722A (en) Rainwater storage and/or infiltration equipment and fill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101835881B1 (en) Water permeable sidewalk-block
US8028713B2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JP5190287B2 (en) Rainwater storage structure with ground seepage function
KR100822068B1 (en)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KR20150065476A (en) 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50065477A (en) 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947845B1 (en) A shore protection block having excellent ground fixing force
KR200389226Y1 (en) A breast wall with water supply container
JP2008133598A (en)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tank
CN212388592U (en) Prevent subsiding retaining wall structure
JP2001115507A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system
JP2009097151A (en) Permeable structure
KR101312604B1 (en) Revetment Block
JP3118346U (en) Seawall block
WO2006021987A1 (en) Retaining wall for vegetation
CN219992646U (en) Airport area can wear surrounding area and prevent escape canal that bores
JP2000064326A (en) Caisson for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KR10118599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horeline block with seawater distribution port
KR101790939B1 (en) Retaining Wall Blocks with Reservoir
WO2007049773A1 (en) Retaining wall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