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068B1 -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2068B1 KR100822068B1 KR1020067005180A KR20067005180A KR100822068B1 KR 100822068 B1 KR100822068 B1 KR 100822068B1 KR 1020067005180 A KR1020067005180 A KR 1020067005180A KR 20067005180 A KR20067005180 A KR 20067005180A KR 100822068 B1 KR100822068 B1 KR 100822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water
- block
- wall
- retaining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양수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시공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급수용 용기 및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container and a retaining wall that can supply water without using a pumping member, and can easily perform construction work.
그래서 전방벽(2)에는 상기 전방벽(2)의 내외면을 관통하여, 블럭 본체(1)내에 저장된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급수용 구멍(13),(13),…이 전방벽(2)의 폭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고, 각 급수용 구멍(13),(13),…에 의해 급수로(1O),(10),…가 구성되어 있다. 급수로(10)의 전방벽(2) 외면에 개구된 토수구(11)는, 전방벽(2)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급수로(10)의 전방벽(2) 내면에 개구된 취수구(12)는, 바닥벽(6)의 내면(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Thus, the front wall 2 penetrate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ont wall 2 and supplies a plurality of water supply holes 13, 13,...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block body 1 to the outside. It is establish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ll 2, and each of the water supply holes 13, 13,... Water supply furnace (10), (10), Is composed. The water discharge port 11 open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s loca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2, and the water intake opening open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2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 is opened. 12 is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6.
급수용 용기, 옹벽, 급수로, 토수구, 취수구 Container for water supply, retaining wall, water supply passage, water jet, inta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수의 옹벽용 블록을 법면(法面)으로 면정합하여 중첩하고, 각 옹벽용 블록의 내부에 객토(客土)를 충전하여 이루어진 옹벽에 적용되며, 상기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한 흙(객토)에서 생육하는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용 용기 및 상기 옹벽용 블록 및 급수용 용기를 구비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taining wall formed by, for example, face-align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with a normal surface, and filling an interior soil with each retaining wall block. It relates to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to a plant grown in soil (a clay) put in the inn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and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시공 대상의 법면으로 면정합되어, 직사각형 통 형상의 옹벽용 블록 복수개를, 각 옹벽용 블록 내에 중입재(inner filling material)를 충전하면서 계단 형상으로 중첩하여 이루어진 옹벽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옹벽에 있어서는, 중입재의 일부에 객토를 사용함으로써, 각 옹벽용 블록의 객토 충전부분에 식물을 생육시킬 수가 있는데, 이러한 식물을 순조롭게 생육시키려면 식물에 물을 안정하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자는 일본특개 2000-104268호 공보에서 다음과 같은 급수용 블록(급수용 용기)을 개시했다.The retaining wall which is face-match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of a construction object, and piles several rectangular cylindrical retaining wall blocks in step shape, filling each retaining wall block with an inner filling material, is utilized. In such a retaining wall, by using a loam on a part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it is possible to grow a plant in the fill area of each retaining wall block. In order to grow such a plant smoothly, it is important to stably supply water to the plant.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or has disclosed the following water supply block (water supply container)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104268.
도 10은 본 발명자가 개시한 종래의 급수용 블록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면 중 71은 옹벽용 블록, 81은 옹벽용 블록(71)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용 블록이다. 직사각형 통형상의 옹벽용 블록(71)의 후벽(74)은 전방벽(72)보다 낮 게 되어 있고, 옹벽용 블록(71)의 양측벽(73)(73)은 전방벽(72)에서 후벽(74)으로, 전방벽(72)과 같은 높이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설치 한 후, 후벽(74)과 같은 높이로 한 단차부를 거쳐 후벽(74)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72)의 바닥부에는, 짧은 바닥벽(76)이 연결되어 있다. 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age form of a conventional water supply block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 in which 71 is a retaining wall block and 81 is a water supply block provided inside the
한편, 급수용 블록(81)은 전면이 바닥이 있는 점 이외는 옹벽용 블록(71)과 대략 유사한 형상을 하고 있고,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의 높이는 옹벽용 블록(71)의 측벽(73)의 단차부에서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상단까지의 치수와 대략 비슷하다. 또한 급수용 블록(81)의 바닥벽(86)의 전방벽(82) 근방의 위치에는 상술한 옹벽용 블록(71)내에 충전된 객토를 받치는 띠 형상 판 형태의 객토 수납벽(87)이 바닥벽(86)의 전체 폭에 걸쳐서 늘어 뜨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의 바닥벽(86)으로부터 조금 높은 위치에는, 전방벽(82)을 관통하는 관통공(88)이 바닥벽(86)과 평행하게 개설되어 있다. 이 관통공(88)내에는 급수용 블록(81)내의 물을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리는 끈 형상의 양수부재(90)가 삽통되어 있고, 양수부재(90)의 일단측은 급수용 블록(81)내의 바닥벽(86)까지 양수 부재(90)의 타단측은 급수용 블록(81)의 바깥 쪽으로 적정 거리만큼 각각 연장되어 있다.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그리고 법면으로 면정합하여 배치한 옹벽용 블록(71)내에 적절한 크기의 자잘 및 쇄석 등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 쪽은 얇고, 후벽(74)쪽은 두껍게 깔아서 채운 후, 급수용 블록(81)을 옹벽용 블록(71)의 후벽(74) 쪽의 중입재(F) 위에 얹어서 배치하여, 옹벽용 블록(71) 내의 급수용 블록(81)에서 후벽 (74) 쪽으로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 위치까지 투입 함과 동시에, 급수용 블록(81) 내에 옹벽용 블록(71) 내에 투입한 중입재(F)보다 큰 사이즈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까지 투입한다. 이로 인해 빈틈의 비율을 높여 급수용 블록(81) 내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용량을 크게 함과 동시에 중입재(F)에서 양수 부재(90)의 일단측을 급수용 블록(81)의 바닥벽(86)에 고정한다.In the
이와 같이 시공한 하단의 옹벽용 블록(71) 위에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을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의 바닥벽(76)이 하단의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에 의해 지지되도록 얹어 놓은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하여 상단의 옹벽용 블록(71)및 상단의 급수용 블록(81)을 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 후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급수용 블록(81),(81),…에서 전방벽(72),(72),…쪽에 각각 객토(G),(G),…를 투입함으로써, 복수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에 각각 급수용 블록(81),(81),…을 매설한 옹벽을 시공한다.The
이러한 옹벽에서는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에 식물(P),(P),…을 각각 이식할 수 있다. 한편 상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위에 내리는 비는 해당 객토(G),(G),…내로 침투하여 하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에 매설한 급수용 블록(81),(81),…의 내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급수용 블록(81),(81),…내에 저장된 빗물은 양수 부재(90)의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져 옹벽용 블록(71),(71),…의 객토(G),(G),…에 침투하며, 상기 객토(G),(G),…를 통하여 식물(P),(P),…에 공급된다.In such a retaining wall, each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급수용 용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급수용 블록(81)내에 저장된 빗물은, 양수부재(90)내를 모관 상승에 의해 객토(G)로 퍼 올려지는데, 이러한 양수용 부재(90)가 모세 상승에 의해 양수 할 수 있는 높이는 겨우 15cm정도이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의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저수 량수가 적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양수부재(90)에는 그 내부에 객토(G) 및 식물(P)의 뿌리 등이 침입하여 막히는 일이 쉽게 발생되고, 이 때문에 양수능력이 저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수부재(90)의 양단 부분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적당한 연장 상태로 시공해야 하므로, 상기 시공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ater supply contain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양수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는 급수용 용기 및 옹벽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water supply container and a retaining wall that can supply water without using a pump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and can easily perform a construction work.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며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된 급수용 용기이며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吐水口)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取水口)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급수로는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취수구의 하단 테두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은,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흙이 투입되어 있으며,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옹벽이므로,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 내에 모관 상승에 의해 양수되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III-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by the III-III line of the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4는 급수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급수 블록의 측단면도이다.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ater supply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실시예 3에 따른 급수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급수용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9는 다른 급수용 관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water supply pipe part.
도 10은 본 발명자가 개시한 종래의 급수용 블록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age form of a conventional water supply block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는,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out of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peripheral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body for storing water.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water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in the water supply passage.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용 구멍은 그 측단면 형상이 토수구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한 변과 취수구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또한 상기 한 변의 치수는 상기 다른 변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한 변의 하단 위치는 다른 변의 하단 위치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급수용 구멍의 토수구 및 취수구의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다각형이어도 된다. 이 때 급수용 구멍의 측단면 형상에 있어 상기 사각형의 상하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양변은 직선 형상 또는 만곡선 형상이어도 된다.More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hole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one side whos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s to the height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and an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and the dimension of one side is equal to that of the other side. It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and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aid one side is high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other side. The shape of the water jetting port and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hole for water supply is preferably circular, but may be polygonal. At this time, both sides pai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quadrangle in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ater supply hole may be linear or curved.
이러한 급수용 용기는 급수용 구멍 내에 예를 들면 적정 입자인 토사 등,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를 충전해 둔다. 이 때 급수용 구멍의 측단면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경우, 시공 작업 중에 입자형 매체가 급수용 구멍에 자연 낙하에 의해 충전되기 때문에,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변의 치수는 상기 다른 변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의 주조시, 급수용 구멍의 형틀을 쉽게 뺄 수 있다.Such a water supply container is filled with a particulate medium that causes a rise in capillary, such as earth and sand, which is appropriate particles, in the water supply hole. At this time, when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ater supply hole forms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illing medium can be easily carried out because the particulate medium is filled by the natural drop in the water supply hole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mension of one side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other side, the mold of the water supply hole can be easily removed at the time of cast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이러한 급수용 용기 내에는 토수구의 바닥부의 높이까지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은, 토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저장된 물에 잠긴 취수구에서 토수구로, 급수로 내의 입자형 매체 속을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릴 수 있어 토수구에서 급수용 용기 밖으로 공급된다.In such a water supply container, water may be stored up to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discharge por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can be pumped from the water intake port submerged in the stored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can be pumped by capillary rise. Supplied.
이러한 급수로는 용기 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용 용기의 구성을 비교적 단순하게 할 수 있다.Such a water supply passage may comprise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made relatively simple.
또한 급수로는 주위벽을 관통하는 제 1 관통공 및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내면에 설치된 볼록부를 관통하여, 제 1 관통공에 연통된 제 2 관통공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용기 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어 주위벽의 내면에서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관 형상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위벽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급수로는 필요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내부에 충분한 양의 입자형 매체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급수량이 확보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constituted by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peripheral wall and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through the 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tubular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configured. Therefor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surrounding wall is thin, the water supply passage can secure the necessary capacity and can fill a sufficient amount of particulate media therein, thereby ensuring the required water supply amount.
상기 급수로의 취수구는 용기 본체의 바닥벽 내면인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이에 의해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모든 물이 외부로 공급된다.The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install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n inn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Thereby, all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는 급수로의 취수구에서 용기 본체 내로 흙의 유입을 방지하는 흙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급수로 내에 충전된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인 흙이 급수로에서 용기 본체 내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모관상승을 저해하는 공극이 급수로 내에 생기는 것이 피할 수 있고, 내부에 유입된 흙에 의해 용기 본체의 저수량이 감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oil inflow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soil into the container body from the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Accordingly, since the soil, which is a particulate medium that causes the capillary rise,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container body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voids in the water supply passage that inhibits the rise of the capillary, and the soil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is can prevent the storage amount of the container body from being reduced.
또한, 용기 본체의 취수구의 주위에 판 형상의 흙 유입 방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 중 판 형상의 흙 유입 방지부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you may provide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plate-shaped soil inflow prevention part around the water intake port of a container main body. Thereby, it can prevent that a plate-shaped soil inflow prevention part shifts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of a water supply contain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흙이 투입되어 있어,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이 주위벽을 관통하고,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까지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 내에 모관 상승에 의해 양수되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끈 형상의 양수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을 옹벽용 블록의 안쪽으로 투입된 객토로 공급할 수 있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il is put inside the retaining wall block protecting the legal surface, and the penetrating wall penetrates the surrounding wall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surrounding wall of the box-shaped container body for storing water,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from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outward, and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take opening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particulate medium pumped by the capillary rise is filled. Therefore, even without using a string-shaped pumping member as in the related ar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supplied to the pit land introduc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so that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용 용기를 시공할 때에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된 객토를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soil is filled as the particulate medium.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for water supply is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fill the land filled in the insid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nto the water supply furnace by the natural fall. Thereby, the construction work of a water supply container can be performed easily.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based on drawing.
도 1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III-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면 중 1은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블 록 본체이다. 용기 본체인 콘크리트제의 블록 본체(1)는 장방형의 바닥벽(6)의 주연부 위에 전방벽(주위벽)(2), 후벽(주위벽)(4) 및 양측벽(주위벽)(3),(3)이 세워 설치하고 있으며, 후벽(4)의 높이는 전방벽(2)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1 to 3 are front and plan views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a water supply block which is a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box-shaped block body for storing water. The
또한 양측벽(3),(3)을 전방벽(2)으로부터 후벽(4)을 향하여,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치수로 적정 거리(도 3에서는 전방벽(2)의 내면에서 후벽(4)의 내면까지의 거리)만큼 연장 설치 한 후, 후벽(4)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단차부를 거쳐, 단차부와 같은 높이로 후벽(4)의 바깥면 위치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측벽(3),(3)에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치수의 부분을 설치해 둠으로써, 복수의 급수용 블록을 세로로 중첩시킬 수 있고 좁은 스페이스에 복수의 급수용 블록을 비축할 수 있다. 한편 양측벽(3),(3)이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높이 부분 이외의 부분은 후벽(4)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블록 본체(1)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총량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한 제조 코스트를 절감 할 수 있다.Also, the two
한편 블록 본체(1)내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후벽(4)의 높이와 대략 같은 높이의 중벽(5)이, 측벽(3),(3)과 평행하게 블록 본체(1)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형태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in the block
그런데 상술한 전방벽(2)에는, 상기 전방벽(2)의 내외면을 관통하며, 블록 본체(1)내에 저장된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도 2에서는 4개)의 급수용 구멍 (13),(13),…이, 전방벽(2)의 폭방향으로 적정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어, 각 급수용 구멍(13),(13),…에 의해 급수로(1O),(1O),…가 구성되어 있다. 급수로(10) 의 전방벽(2) 외면에 개구된 토수구(11)는, 전방벽(2)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급수로(10)의 전방벽(2) 내면에 개구된 취수구(12)는, 바닥벽(6)의 내면(바닥면)과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즉 토수구(11)의 높이는 취수구(12)의 높이보다 높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또한 급수로(10)는 그 측단면 형상이 토수구(11)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한 변과 취수구(12)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토수구(11)의 높이는 취수구(12)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사각형의 상변의 입상 각도(α2)는 하변의 입상 각도(α1)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용 블록의 주조시, 급수용 구멍(13)의 형틀을 쉽게 떼어 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이와 같이 급수로(10)는 그 내경이 전방벽(2)의 외면측 상부에서 내면측 하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대략 메가폰형을 하고 있어 시공 작업 중에 토사와 같은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가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10)내에 충전된다. 따라서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급수로(10)는 상술한 측단면의 하변의 입상 각도(α1)가 대략 3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술한 입자형 매체의 자연 낙하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로(10)의 토수구(11)는 그 일부가 전방벽(2)의 상면에 걸쳐져도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로(10)의 측단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이 사각형의 상하 양변은 직선 형상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만곡형상을 이루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블록 본체(1)의 내부에는, 각 급수용 구멍(13),(13),…으로부터 블록 본체(1)의 내부로 후술하는 객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금속 판 형상의 지부재(止部材)(21),(21),…가 각각 취수구(12),(12),…에 대향 배치되고, 바닥벽(6)의 취수구(12),(12),…로부터 조금 거리를 둔 위치에는, 지부재(21),(21),…를 고정하기 위한 사각뿔 사다리꼴의 볼록부(15),(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볼록부(15),(15),…는 전방벽(2)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형상의 간격에 지부재(21),(21),…를 각각 끼워 맞춰서, 지부재(21),(21),…의 면내측 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있다.Inside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벽(6)에 설치된 볼록부(15)에 의해 지부재(21)를 끼워 맞춰 고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벽(6)에, 지부재(21)를 안으로 끼워 넣는 홈부를 설치하여, 상기 홈부에 지부재(21)를 안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해도 되고, 전방벽(2)의 취수구(12)의 주위에 지부재(21)를 고정지지하는 훅부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훅부에 의해 지부재(21)를 안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지부재(21)가 블록 본체(1)내로 고정되므로 후술 하는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그런데 지부재(21)와 전방벽(2)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밀봉 처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부재(21)을 전방벽(2)의 내면에 접속하는 경우이어도, 블록 본체(1)내에 저장된 물은, 지부재(21)와 전방벽(2)의 내면과의 간격으로부터 급수로(10)내에 용이하게 침입된다.However, since the sealing process is not performed between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부재(21)를 깨끗한 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본 발 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부재(21)의 상술한 취수구(12)에 대향하는 부분에 1 또는 복수의 관통공을 개설해 두어도 된다. 이로 인해 급수로(10) 내로 침입되는 물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통공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 시트 형상의 지부재를 관통공에 대향 배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급수로(10) 내의 객토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급수로(10)로부터 블록 본체(1) 내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로(10)의 취수구(12)에 대향하여 지부재(21)를 배치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부재(21)를 대신하여 적정 크기의 복수의 작은 돌로 취수구(12)를 막아도 된다. 이에 따라, 블록 본체(1)내로 객토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각 작은 돌의 간격에 의해, 블록 본체(1)내의 물을 급수로(10)내로 통과하여 흐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그런데 상술한 후벽(4)의 높이는, 전방벽(2)에 설치된 급수로(10)의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만일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보다 높게 한 경우, 블록 본체(1)내의 토수구(11)의 바닥부보다 높은 부분에 일시적으로 머무는 물은, 이 부분의 수압에 의해 단시간에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까지 이르러 급수로(10)에서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보다 높게 해도, 급수용 블록의 실질적인 저수량은 증대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바닥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한 경우, 블록 본체(1)를 제조하기에 필요한 원료를 절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낮다.By the way, the height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면 중 71은 옹벽용 블록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벽(6)의 전방벽(2) 근방의 위치에, 옹벽용 블록(71)내로 충전된 객토(G)를 수납하는 띠 형상 판의 객토수납벽(7)을, 바닥벽(6)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71 is a retaining wall block. As shown in FIG. 5, the sloping-
법면으로 면정합하여 배치된 옹벽용 블록(71)내에, 적정 크기(예를 들면, 직경이 대략 20mm-40mm)의 쇄석 등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 쪽은 얇고, 후벽(74) 쪽은 두껍게 깔아서 채운 후,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를, 옹벽용 블록(71)의 후벽(74) 쪽의 중입재(F) 위에 얹어 배치하며, 옹벽용 블록(71)내의 급수용 블록에서 후벽(74) 쪽으로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내에, 옹벽용 블록(71)내로 투입된 중입재(F)와 같은 크기의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 높이까지 투입한다.The
또한 급수용 블록에 투입하는 중입재(F)의 사이즈는, 옹벽용 블록(71)에 투입한 중입재(F)의 사이즈보다 크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중입재(F) 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급수용 블록 내의 저수량이 많아 진다. 한편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에 투입되는 중입재(F)의 사이즈와 옹벽용 블록(71)에 투입된 중입재(F)의 사이즈를 같게 한 경우, 시공 작업중 중입재(F)의 종류를 변경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아 진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njected into the water supply block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material F injected into the retaining
이와 같이 시공한 하단의 옹벽용 블록(71) 위에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을,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의 바닥벽(76)이 하단의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의 전 방벽( 2)에 의해 지지되도록 얹어 놓은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상단의 옹벽용 블록(71)및 상단의 급수용 블록을 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 후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1),…에서 전방벽(72),(72),…쪽으로, 각각 객토(G),(G),…를 투입함으로써, 복수단의 옹벽용 블록 (71),(71),…내에 각각 급수용 블록을 매설한 옹벽을 시공한다.The bottom retaining
이 때 옹벽용 블록(71)내에 투입된 객토(G)는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용 블록의 급수로(10) 내로 진입되어 거기에서 충전된다. 급수로(10)에 충전된 객토(G) 속에는 적정한 간극이 형성되어 이 간극에 의해 모관 상승이 일어난다. 따라서 급수로(10)에 모관 상승을 일으키는 다른 부재를 삽입하지 않고, 블록 본체(1) 내에 저장된 물을 모관 상승에 의해 급수로(10)에서 밖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옹벽용 블록(71)내로 투입된 객토(G)가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10)로 충전되기 때문에,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이 용이하다.At this time, the objective soil G injected into the retaining
이러한 옹벽에서는 각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에 식물 (P),(P),…을 각각 이식할 수 있다. 한편, 상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로 내리는 비는, 상기 객토(G),(G),…내에 침투되며, 각각 하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에 매설된 급수용 블록의 블록 본체(1),(1)…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급수용 블록 내에 저장된 빗물은, 급수로(10),(l0)…내에 충전된 객토(G),(G),…의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져 옹벽용 블록(71),(71),…의 객토(G),(G),…에 침투되고, 상기 객토(G),(G),…를 통하여 식물(P),(P),…로 공급된다.In such a retaining wall, each retain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용 블록의 급수로(10) 내에 객토(G)를 충전한 경 우에 대해 나타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급수로(10) 내에 끈 형상의 양수 부재를 삽통시켜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경사의 급수로(10)내에 양수 부재가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양수 부재에 의한 양수 작용이 중입재(F)의 압박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lling soil G is filled in the
(실시예 2)(Example 2)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급수용 블록의 측단면도이며, 도 3에 나타낸 평판 형상의 지부재(21)를 대신하여, L자형의 지부재(22)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나타냈다. 또한 도면 중,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L-shaped
블록 본체(1)의 전방벽(2) 내면은 바닥벽(6)에 대해서 대략 직각을 이루고 있고, 바닥벽(6)의 상기 취수구(12),(12),…에 이어진 부분에는, 각각 직사각형의 오목부(16),(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판을 L자형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지부재(22),(22),…가 각각 지부재(22),(22),…의 세로 부분을 취수구(12),(12),…에 대향시켜 취수구(12),(12),…에 면한 주위 부분을 전방벽(2)의 내면에 접하게 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지부재(22),(22),…의 낮은 부분을 바닥벽(6)에 설치된 상기 오목부(16),(16),…에 각각 끼워 맞춰, 지부재(22),(22),…를 오목부(16),(16),…에 고정하고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급수로(10),(1O),…로부터 블록 본체(1) 내로 토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지부재(22)가 블록 본체(1) 내에 고정되기 때문에, 급수용 블록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실시예 3)(Example 3)
도 7은 실시예 3에 따른 급수용 용기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면 중, 60은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폭방향의 치수가 긴 가로로 긴 상자 형상의 플랜터이고, 30은 플랜터(60) 내에 장치된 급수용 용기이다. 합성 수지제의 급수용 용기(30)의 용기 본체(31)는 플랜터(60)와 마찬가지로 가로로 긴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높이 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는 플랜터(60)의 높이 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와 각각 동일하게 되어 있고, 그 깊이의 치수는 플랜터(60)의 깊이의 치수의 1~3할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는 상술한 각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랜터(60) 내로 장입할 수 있는 치수이면 된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age form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60 is a horizontally long box-shaped planter having a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longer than that in the depth direction, and 30 is a planter ( 60 is a water supply container installed in the tank. The
용기 본체(31)의 전방벽(32)의 상단 근방의 위치에는 복수(도 7에서는 2개)의 급수로(40),(40)를 구성하며고, 전방벽(32)을 관통하는 제 1 관통공(41),(41)이, 전방벽(32)의 폭방향으로 적정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고, 전방벽(32)의 외면에는 급수로(4O),(40)의 토수구(43),(43)가 각각 개설되어 있다. 용기 본체(31)의 전방벽(32)의 내면측이며, 제 1관통공(41),(4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바닥벽(36)에서 전방벽(32)의 대략 상면 높이에 이르는 사각 기둥형상의 볼록부(38),(38)가 설치되어 있다. 양 볼록부(38),(38)의 후벽(34)에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급수로(40),(40)의 취수구(44),(44)가, 용기 본체(31)의 바닥면과 대략 같은 높이가 되도록 개설되고, 양볼록부(38),(38)에는 취수구(44),(44)와 대응하는 제 1관통공(41),(41)을 이어 통과시키는 제 2관통공(42),(42)이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양 취수구(44),(44)는 지부재(45),(45)로 블로킹 되어 있다. 또한 이 지부재(45)는 판재 이외에 메쉬재 또는 다공질재 등의 매트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osition near the upper end of the
이러한 급수용 용기(30)에서는 용기 본체(31)을 플랜터(60)내로, 용기 본체(31)의 후벽(34)이 플랜터(60)의 긴 변측의 주위 벽 내면에 대향하도록 넣은 후, 플랜터(60)내에 객토를 투입한다. 이 때 플랜터(60) 내에 투입된 객토의 일부가 급수용 용기(30)의 토수구(43),(43)에서 급수로(4O),(40)내에 충전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31) 내에 물을 토수구(43),(43)의 거의 바닥부까지 주입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31) 내에 저장된 물은 급수로(4O),(40)내에 충전된 입자형 매체인 객토의 모관상승에 의해 취수구(44),(44)로부터 토수구(43),(43)로 퍼 올려져 토수구(43),(43)로부터 플랜터(60) 내의 객토로 공급된다. 이 경우 플랜터(60) 내의 바닥부에 필요 이상의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플랜터(60)의 바닥부에, 배수용의 구멍을 개설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이와 같이, 급수로(4O),(40)는 볼록부(38),(38)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벽(32)의 두께가 얇은 용기 본체(31)이어도, 급수로(4O),(40)내에 객토 등의 입자형 매체를 충분히 충전할 수 있어 필요한 모관 상승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플랜터(60) 내의 객토에는 급수용 용기(30)에서 물이 서서히 공급되기 때문에, 플랜터(60) 내의 객토에 매일 물을 주지 않아도, 객토 내의 식물은 순조롭게 생육된다.Thus, since the
(실시예 4)(Example 4)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급수용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에 나타낸 볼록부(38)를 대신하여, 급수용 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도 7에 나타낸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a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1)의 전방벽(32)의 상단 근방에는, 토수구[53(53)]에 연통되어, 전방벽(32)을 관통하는 관통공[51(51)]이 개설되어 있고, 전방벽(32) 내면의 관통공[51(51)]의 주위As shown in FIG. 8, a through hole 51 (51)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jetting port 53 (53) near the upper end of the
에서 용기 본체(31)의 바닥면에 적정 경사로, 용기 본체(31)내로 저장된 물을 용기 본체(31)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용 관부[52(52)]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용 관부[52(52)]의 하단에 취수구[54(54)]가 용기 본체(31)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급수용 관부[52(52)] 및 관통공(51),(51)에 의해, 급수로[55(55)]가 구성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pipe part 52 (52)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이러한 급수용 용기에서는, 급수로(55)가 급수용 관부(52)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벽(32)의 두께가 얇은 용기 본체(31)이어도, 상기와 같이 급수로(55),(55)내에 객토 등의 입자형 매체를 충분히 충전할 수가 있어 필요한 모관 상승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급수용 관부(52)의 용적은 도 7에 나타낸 볼록부(38)의 용량보다 적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용기 본체(31)와 동일한 내측 치수의 용기 본체(31)를 이용한 경우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용량이 많게 된다.In such a water supply container, since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부재(45)에 의해 급수용 관부(52)로부터 용기 본체(31)의 내부로, 객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용 관부(52)의 취수구(54)를 막고, 블로킹부(56)의 적정 위치를 관통하는 1 또는 복수(도 9에서는 2개)의 가는 취수구(57),(57)를 개설해 두어도 된다. 상기 블로킹부(56)에 의해, 지부재(45)를 이용하 지 않고, 급수용 관부(52)로부터 용기 본체(31)의 내부로, 객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il memb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그런데 취수공(57),(57)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는, 또한 지부재(45)를 병행하여, 용기 본체(31)의 내부에 객토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미리 지부재(45)에 그것을 관통하는 작은 구멍을 개설해 둠으로써, 상술한 모관 상승 작용에 의한 양수의 량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급수용 관부(52)의 취수구(54)의 주위에 홈 또는 요철부를 설치하여 지부재(45)와 취수구(54)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켜, 상기 간극으로부터 취수구(54)내로 물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부재(45)에 작은 구멍을 개설하지 않고, 상술한 양수의 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By the way, when the diameters of the water intake holes 57 and 57 are comparatively large, the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 내에는 토수구의 바닥부의 높이까지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로 내에 예를 들면, 적당한 입자인 토사 등 모관 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를 충전하여 둠으로써,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은 토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저장된 물에 잠겨 있는 취수구로부터 토수구로 급수로 내를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 토수구로부터 급수용 용기 밖으로 공급된다. 이 토사 등의 입자형 매체는, 통상적으로 급수용 용기를 시공할 때에, 주위의 토사의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로 충전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끈 형상의 양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is invention of
한편 토사 등의 입자형 매체에 의한 모관 상승 작용은, 종래의 양수 부재의 모관 상승 작용보다 크기 때문에, 토수구와 취수구와의 높이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수용 용기의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저수량을 종래보다 많이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pillary synergism by the particulate medium such as earth and sand is larger than the capillary synergism of the conventional pumping member,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jetting port and the intake port can be increased, thereby supplying i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s much water storage as possible can be achieved.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급수로는 용기 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고, 따라서 급수용 용기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하단 테두리부는, 용기 본체의 바닥벽 내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용 용기내에 저장된 대략 모든 물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흙이 투입되어 있고, 물을 저장하는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상기 주위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어, 이 급수로 내에 모관상승에 의해 양수되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끈 형상의 양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급수용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을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된 객토로 공급할 수 있고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고, 따라서 급수용 용기를 시공할 때에,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된 객토를 자연 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용 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24282A JP4012133B2 (en) | 2003-09-17 | 2003-09-17 | Water supply container |
JPJP-P-2003-00324282 | 2003-09-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8103A KR20060088103A (en) | 2006-08-03 |
KR100822068B1 true KR100822068B1 (en) | 2008-04-16 |
Family
ID=3430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5180A KR100822068B1 (en) | 2003-09-17 | 2004-09-15 |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012133B2 (en) |
KR (1) | KR100822068B1 (en) |
CN (1) | CN1853019A (en) |
WO (1) | WO2005026452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83044U (en) * | 1989-12-12 | 1991-08-23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09949B2 (en) * | 1991-10-25 | 2000-02-14 | ランデス株式会社 | Ecosystem Conservation Waterway Block |
JPWO2001087051A1 (en) * | 2000-05-19 | 2004-01-08 | 関家 臣二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
JP2002212965A (en) * | 2001-01-19 | 2002-07-31 | Toei Shoko Kk | Retaining wall structure |
-
2003
- 2003-09-17 JP JP2003324282A patent/JP401213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9-15 WO PCT/JP2004/013414 patent/WO200502645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9-15 KR KR1020067005180A patent/KR10082206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15 CN CNA2004800268344A patent/CN1853019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83044U (en) * | 1989-12-12 | 1991-08-2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853019A (en) | 2006-10-25 |
JP2005090071A (en) | 2005-04-07 |
KR20060088103A (en) | 2006-08-03 |
JP4012133B2 (en) | 2007-11-21 |
WO2005026452A1 (en) | 2005-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14689B2 (en) | Rainwater storage device | |
US4192628A (en) | Flow distributor for leaching fields | |
US5484234A (en) | Building module for plantable walls with a bulk filling material | |
US1073845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 |
JP2003201722A (en) | Rainwater storage and/or infiltration equipment and filling member used for the same | |
KR101835881B1 (en) | Water permeable sidewalk-block | |
US8028713B2 (en) |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 |
JP5190287B2 (en) | Rainwater storage structure with ground seepage function | |
KR100822068B1 (en) | Container for supply water and retaining wall | |
KR20150065476A (en) | 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50065477A (en) | 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947845B1 (en) | A shore protection block having excellent ground fixing force | |
KR200389226Y1 (en) | A breast wall with water supply container | |
JP2008133598A (en) |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tank | |
CN212388592U (en) | Prevent subsiding retaining wall structure | |
JP2001115507A (en) | Underground water storage system | |
JP2009097151A (en) | Permeable structure | |
KR101312604B1 (en) | Revetment Block | |
JP3118346U (en) | Seawall block | |
WO2006021987A1 (en) | Retaining wall for vegetation | |
CN219992646U (en) | Airport area can wear surrounding area and prevent escape canal that bores | |
JP2000064326A (en) | Caisson for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 |
KR10118599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horeline block with seawater distribution port | |
KR101790939B1 (en) | Retaining Wall Blocks with Reservoir | |
WO2007049773A1 (en) | Retaining wall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