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294B1 - Portable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1294B1 KR100821294B1 KR1020070025930A KR20070025930A KR100821294B1 KR 100821294 B1 KR100821294 B1 KR 100821294B1 KR 1020070025930 A KR1020070025930 A KR 1020070025930A KR 20070025930 A KR20070025930 A KR 20070025930A KR 100821294 B1 KR100821294 B1 KR 100821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rame body
- base member
- rotation
- open st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휴대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2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가, 반자동수단과 회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자동수단이,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드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지니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동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고,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의 편리성, 휴대기기, 반자동수단, 회동수단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rame body and a second frame body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the closed state of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with the second frame body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the first In a portable device forming an open state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a frame,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includes a semi-automatic means and a rotating means, and the semi-automatic means is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t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member to be mounted, the slider member which is slide-bonded to the base member, and is mounted to any other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nd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slider memb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lider member, and the slider member is opened or clos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nd a force acting means for applying a sliding force in a direction, wherein the rotat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one frame, and the rotating means is mounted to either one of the base member and the one frame. A bracket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and attached to the shaft, and which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base member and the one frame, and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second fram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in the open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Convenience of use, mobile device, semi-automatic means, rotating means
Description
도1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며, (b)는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c)는 개방상태에서 제2틀체를 회전시킨 개방회전상태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a closed state, (i) shows an open state, and (c) shows an open rotation in which the second frame is rotated in the open state. Indicates the state.
도2는,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폐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osed stat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 stat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 rotation stat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사시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 stat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사시도이다.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 rotation stat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폐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중립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neutral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 rotatio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방회전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 rotatio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다. 14 is an exploded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제1틀체2: first frame
3: 제2틀체3: second frame
4: 개폐기구4: switchgear
5: 반자동수단5: semi-automatic means
6: 회동수단6: means of rotation
7: 베이스부재7: base member
8: 슬라이더부재8: slider member
9: 힘작용수단(스프링)9: Force means (spring)
11: 샤프트11: shaft
본원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포켓컴퓨터와 같은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for example, to a portable device suitable for use in making it possible to open and close relatively in a state where a first frame body and a second frame body constitut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pocket computer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will be.
휴대기기인 휴대전화기, PDA, 포켓컴퓨터등에 있어서, 키보드 등을 상면에 설치한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상면에 설치한 제2틀체를 지니며,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하여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들어 내는, 개폐장치부의 것이 시장에 출하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로서는, 일본국특개2003-125052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In mobile phones, PDAs, pocket computers, etc., which are mobile devices, they have a first frame body having a keyboar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frame body having a display or a speaker on the upper surface. The switchgear part which overlaps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a 1st frame body with a 2nd frame body, and the opening state which slides a 2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a 1st frame body to expose the upper surface of a 1st frame body is shipped to the market, have. As such a portable device, on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25052 is known.
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휴대기기는, 슬라이드커버와 로크플레이트를 중첩시켜서 고착한 슬라이드케이스를 제2틀체의 하면에 취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케이스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한 슬라이더를 제1틀체의 상면에 취부하는 것으로,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성의 것이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상대적조작, 즉, 슬라이드조작은 전적으로 수동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작성의 점에서 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본출원인은 먼저, 반자동으로 슬라이드조작을 행하는 휴대기기를 제안하였 다. The portable device described in the patent publication discloses a slide case in which a slide cover and a lock plate are superimposed on a lower surface of a second frame body, and at the same time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includes a slider which is slidably movable in the slide case. By attaching to, it was the structure which made it possible to slide a 2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a 1st frame body.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relative operation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that is, the slid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entirely manually,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terms of operability. For this reason, the present applicant first proposed a mobile device which performs a slide operation semi-automatically.
상기 휴대기기는, 예를 들면, 제1틀체의 상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와,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베이스부재에 대한 소정의 미끄럼운동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및/또는 개방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더가 베이스부재에 대한 소정의 미끄럼운동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또는 개방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므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portable device may be, for example, provided with a base membe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a slider slid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and provided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slider, and the slider being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nd sliding means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 or the opening direction from the sliding position of the slider, and the slider slides in the closing direction or the opening direction from the predetermined slid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The second frame body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그러나,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길이방향으로 측면에서 보아 직선상 결국 평행하게 슬라이드이동하여 개방상태로 되면, 사용하기 어렵고, 사용의 편리성이 나쁜 점이 있었다. 즉, 개방상태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대략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틀체를 책상 등의 위에 둔 경우에는, 제2틀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이 보기어렵고 사용하기 어려웠다.However, when the second frame body is opened in a straight line and eventually slides in parallel with the first fram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us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convenience of use. That is, in the open state, since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re located substantially parallel, for example, when the first frame body is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econd frame body is difficult to see and use. It was hard to do.
본원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2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 서, 상기 개폐기구가, 반자동수단과 회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자동수단이,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드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지니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동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고,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frame body and a second frame body, the closed state of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with the second frame body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the first In a portable device forming an open state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a frame,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includes a semi-automatic means and a rotating means, and the semi-automatic means is a frame of any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base member attached to the base member, a slider member coupled to the base member, and mounted to any other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slider memb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lider member, and the slider member is opened or clos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nd a force acting means for applying a sliding force in a direction, wherein the rotat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one frame, and the rotating means is mounted to either one of the base member and the one frame. A bracket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and attached to the shaft, and which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base member and the one frame, and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second fram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in the open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그 발명에 의하면, 반자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므로, 반자동으로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회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개방상태인 때,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회동하므로, 제1틀체에 대한 제2틀체의 각도를 변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since the second frame body automatically slides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ening direction or the clo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the semi-automatic means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frame bod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in the open state by providing the rotating means, the angle of the seco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is changed. Therefore, the ease of use is improved.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이, 상기 브라켓을 상기 샤프트에 가압하여 프릭션을 발생시키는 프릭션부재를 지니며, 상기 제1틀체에 대해 상기 제2틀체를 회전시켜서 그 회전이 멈춘 때, 그 위치에서 제2틀체가 정지하 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를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하며, 상기 타방의 틀체에, 상기 개방상태인 때에, 상기 규제부와 상기 타방의 틀체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허용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means has a friction member for pressing the bracket to the shaft to generate a friction, and the rotation is rotated by rotating the second fram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body. When stopp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econd frame to stop at that position. Further,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fram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body is coupled to one frame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nd the frame of the first frame body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body. A restricting portion for regula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frame body is provided, and when the open state is in the other frame body,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other frame body is released and the second frame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body.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rotation allowance section that allows rot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에 의하면, 반자동수단 및 회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1틀체에 대해 제2의 틀체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므로, 반자동으로 개폐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방상태인 때에,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회동하기 때문에, 제1틀체에 대한 제2틀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automatic means and the rotating means are provided so that the second frame body slides in the opening direction or the closing direction automatically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frame bod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in the open state, the angle of the seco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can be chang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 (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일예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도6은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도14는 본원발명에 따른 개폐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는, 도1∼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틀체(2)와 제2틀체(3)로 되고, 개폐기구(4)를 이용하여 제1틀체(2)의 상면을 제2틀체(3)로 덮는 폐쇄상태(도1(a) 및 도2참조)와, 제1틀체(2)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폐쇄상태로부터 서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2)의 상면을 노출시킨 개방상태(도1(b), 도3 및 도5참조)와, 그 개방상태로부터 더욱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회동시킨 상태(도1(c), 도4 및 도6참조)의 2개의 개방상태가 있지만,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전자의 개방상태를 단지 개방상태라 하며, 후자의 개방상태를 개방회동상태라고 하기도 한다. 1 to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to 1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6,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1)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포켓컴퓨터, 자우루스(상표), 전탁,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원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에 대해 특히 한정시킴이 없이 설명한다. The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1)는, 도2∼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기구(4)가, 반자동수단(5)과 회동수단(6)을 구비하고, 반자동수단(5)이,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7)와, 그 베이스부재(7)에 슬라이드결합함과 동시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에 취부되는 슬라이더부재(8)와, 베이스부재(7)와 슬라이더부재(8)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7)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부재(8)를 베이스부재(7)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가하는 힘작용수단(9)을 지니며, 회동수단(6)은, 베이스부재(7)와 제1틀체(2)의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동수단(6)이, 베이스부재(7) 및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는 샤프트(11)와, 그 샤프트(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7) 및 일방의 틀체의 어느 타방,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취부되며, 개방상태인 때에,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12)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발명에 있어서 베이스부재(7)가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취부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베이스부재(7)와 제1틀체(2)의 사이에 회동수단(6)이 설치되어 베이스부재(7)가 제1틀체(2)에 직접 취부되어 있지 아니하고 회동수단(6)의 브라켓(12)이 제1틀체(2)에 직접 취부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부재(7)를 제1틀체(2)에 취부하고, 슬라이더부재(8)를 제2틀체(3)에 취부하였지만, 베이스부재(7)를 제2틀체(3)에 취부하고, 슬라이더부재(8)를 제1틀체(2)에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In the
제1틀체(2)는, 예를 들면, 키보드(도시 생략됨) 등을 상면에 지니는 것이다. 제1틀체(2)는, 예를 들면,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틀체(2)는, 상하방향의 길이는 짧고, 좌우방향(폭방향)의 길이가 긴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제1틀체(2)의 상면에는, 브라켓수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제2틀체(3)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31) 등을 지니고 있다. 제2틀체(3)는,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중첩하는 것이 가능한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3)의 하면에는, 개폐기구(4)의 슬라이더부재(8)가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The
슬라이더부재(8)는, 횡장의 대략 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 이더부재(8)의 상면으로서 양측부근방에는, 베이스부재(7)가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드요홈부(8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요홈부(81)의 상대측(전방측)의 단부(폐쇄단부라고 하기도 한다)는 폐쇄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8)의 양측부 근방에는, 슬라이더부재(8)를 제2틀체(3)의 하면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82)이 예를 들면, 6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재(8)의 양측부근방으로서 대략 중앙부근방에는, 아암취부공(8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The
베이스부재(7)는, 제1틀체(2)의 대략 중앙부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베이스부재(7)는, 횡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7)의 폭은, 슬라이더부재(8)의 폭보다 긴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7)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각각 90도 절곡되고, 더욱 내측으로 90도 절곡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부재(7)는, 사각형 평판형상의 기초부(7a)와, 기초부(7a)로부터 90도 절곡된 수직부(7b)와, 수직부(7b)에서 절곡된 평행부로 되고, 그 평행부가 부재취부부(71)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7b)의 앞(후방측)의 단부가 절결되어 샤프트장착부(72)로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취부부(71)의 전방측으로서 수직부(7b)에는, 수직부(7b)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U자 형상의 절결홈(7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재취부부(71)의 대략 중앙부로서 수직부(7b)에는, 취부공(7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재취부부(71)의 앞부분 근방으로서 수직부(7b)에도, 취부공(71c)이 설치되어 있다. 그 부재취부부(71)위에 슬라이드부재(73)가 취부되어 있다. The
슬라이드부재(73)는, 부재취부부(71)와 대략 유사한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부재(73)는, 부재취부부(71)에 중첩되게 취부된다. 절결홈(71a)의 곡부 및 2개의 취부공(71b), (71c)과 대향하는 위치의 슬라이드부재(73)에는, 각각 취부공(73a), (73b), (73c)이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취부핀(78),(79)를 이용하여 그 취부핀(78), (79)를 코킹이나 리벳팅 등에 의해 슬라이드부재(73)가 부재취부부(71)에 취부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부재(73)는, 대략 중앙부에서 대향하는 측이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부(74)로서 형성되며, 그 슬라이드부(74)와 부재취부부(71)의 사이에 슬라이더부재(8)의 슬라이드요홈부(81)가 위치되어 슬라이드부(74)가 슬라이드요홈부(81)와 결합하고, 베이스부재(7)에 대해 슬라이더부재(8)가 슬라이드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까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이동하게 된다. The
힘작용수단(9)은, 베이스부재(7)와 슬라이더부재(8)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힘작용수단(9)은, 일단부가 베이스부재(7)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에 연결되어서, 베이스부재(7)에 대해 슬라이더부재(8)를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중립상태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힘작용수단(9)은,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 및 슬라이더부재(8)의 어느 일방,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재(8)에 선회가능하게 취부되고 선회아암(91)과, 베이스부재(7) 및 슬라이더부재(8)의 어느 타방,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어, 선회아암(91)에 힘을 작용시켜서 선회아암(91)을 중립상태로부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 제1틀체(2)와 제2틀체(3) 를 중립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힘작용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The force acting means 9 is provided between the
선회아암(91)의 단부에는, 선회샤프트(95)의 선회지지부(95a)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선회샤프트(95)의 머리부(95b)의 직경보다 작은 칫수의 직경의 선회공(91a)이 설치되어 있다. 그 선회공(91a)에 선회샤프트(95)의 선회지지부(95a)가 삽입되어 선회샤프트(95)가 슬라이더부재(8)의 아암취부공(83)에 취부되는 것에 의해, 선회아암(91)이 슬라이더부재(8)의 내면에, 그 내면에 대해 평행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선회아암(91)은, 선회샤프트(9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부재(8)에 대략 180도의 범위로 선회가능하게 축으로 장착되어 있다.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에는, 취부공(91b)이 설치되어 있다. 그 취부공(91b)에 선회아암(91)의 표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도록 힘작용핀(96)이 취부되어 있다. 힘작용핀(96)의 외주의 선단부근방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힘작용부재결합홈(96a)이 설치되어 있다. The turning
힘작용부재는, 선회아암(91)에 힘을 작용시켜서 선회아암(91)을 중립상태로부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중립상태(도8참조)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힘작용부재로서는 원주방향으로 신축하는 예를 들면, 태엽형 스프링(92) 등이 바람직하다. The force acting member applies the force to the swinging
태엽형 스프링(92)은, 스프링취부부재(93)에 의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어 있다. 스프링취부부재(93)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스프링취부부재(93)의 일방의 면인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2개의 스프링설치부(93a)가 설치 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설치부(93a)의 선단면에는, 취부돌출부(93b)가 각각 설치되며, 이들 취부돌출부(93b)를 베이스부재(7)의 취부공(7d)에 삽입하여 코킹이나 리벳팅에 의해 스프링취부부재(93)가 베이스부재(7)의 내면에 취부되어 있다. 그 스프링취부부재(93)의 스프링설치부(93a)사이에 태엽형 스프링(92)의 일단부가 취부되며, 스프링설치부(93a)의 외주에 태엽형 스프링(92)이 권선되어 설치되고, 태엽형 스프링(92)이 스프링취부부재(93)를 개재하여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The
태엽형 스프링(92)의 크기는, 베이스부재(7)의 내면상에 위치할 수 있는 칫수이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태엽형 스프링(92)은, 항상 나선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엽형 스프링(92)의 자유단부는, 나선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대략 반원형상으로 절곡되어 장착부(92a)로서 형성되어 있다. 자유단부의 내경은, 힘작용핀(96)의 힘작용부재결합홈(96a)의 직경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장착부(92a)가 힘작용핀(96)의 힘작용부재결합홈(96a)에 결합되어 있다. The size of the
그 태엽형 스프링(92), 선회아암(91), 베이스부재(7) 및 슬라이더부재(8)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을 축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베이스부재(7)에 슬라이드결합되어 폐쇄상태인 때에,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선회아암(91)의 선회축보다 전방측으로 위치되어서,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항상 힘이 작용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폐쇄상태로부터 개 방상태로 되도록, 슬라이더부재(8)를 베이스부재(7)에 대해 슬라이드시킨 때, 그 슬라이드의 도중에, 예를 들면, 중립상태에서 선회아암(91)의 선단부에 걸리는 힘이 선회아암(91)의 선회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있고, 그 중립상태인 때에,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이 슬라이더부재(8)에 작용하지 아니하는 때이며, 그 상태에서 조금이라도 슬라이더부재(8)가 개방상태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선회아암(91)의 선회축보다 앞에 위치되게 되어,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개방상태로 되도록 힘이 작용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방상태인 때,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선회아암(91)의 선회축보다 전방측에 위치되어서,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항상 힘이 작용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The
회동수단(6)은, 베이스부재(7)와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회동수단(6)이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7)에 취부되는 샤프트(11)와, 그 샤프트(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제1틀체(2)에 취부되는 브라켓(12)을 구비한다. The rotation means 6 is provided between the
샤프트(11)는, 원판형상의 기초부(11a)와, 그 기초부(11a)의 일방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취부부(11b)와, 기초부(11a)의 타방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지지부(11c)를 구비한다. 취부부(11b)는, 기초부(11a)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취부부(11b)에는, 취부공(11d)이 설치되어 있다. 취부부(11b)는, 베이스부재(7)의 샤프트장착부(72)에 예를 들면, 취부핀(79)에 의해 취부되며, 샤프트(11)가 베이스부재(7)의 양단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재(7)에 각각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회동지지부(11c)는, 기초부(11a)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회동지지부(11c)는, 기초부(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회동지지부(11c)는, 대향하는 2개소가 서로 평행하게 절결된 평행부와 곡부로 구성되고, 대략 장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브라켓(12)는, 제1틀체(2)의 브라켓수용부(21)에 수용되어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되는 평판사각형상의 취부부(12a)와, 샤프트(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부(12b)를 구비한다. 회동부(12b)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12b)에는, 회동공(12c)이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회동공(12c)은, 회동지지부(11c)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회동부(12b)의 회동공(12c)을 개재하여 샤프트(11)의 회동지지부(11c)의 축주위에 브라켓(12)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라켓(12)의 회동부(12b)의 전후의 회동지지부(11c)에는, 각각 와셔(15)(1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샤프트(11)의 기초부(11a)와 브라켓(12)의 회동부(12b)의 사이, 및 브라켓(12)의 회동부(12b)와 후술하는 접시스프링(13)의 사이에는, 각각 와셔(15)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접시스프링(13)의 외측(와셔(15)와는 반대측)인 회동지지부(11c)의 선단부에는, 와셔(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와셔(15) (16)의 관통공(15a)(16a)은, 회동지지부(11c)의 형상보다 약간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와셔(15)(16)는, 회동지지부(11c)에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지만, 회동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동지지부(11c)의 선단부는, 와셔(16)로부터 돌출하고, 그 돌출한 부분이 코킹되거나 리벳팅되어, 샤프트(11)에 브라켓(12)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The
회동수단(6)에는, 브라켓(12)의 회동부(12b)를 샤프트(11)의 기초부(11a)에 가압하여(실제로는 와셔(15)를 개재하여 가압하여) 프릭션을 발생시키는 프릭션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릭션부재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접시스프링(13)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시스프링(13)은, 예를 들면, 브라켓(12)의 회동부(12b)와 선단부측의 와셔(16)의 사이, 실제로는 와셔(15)와 와셔(16)의 사이의 회동지지부(11c)의 축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브라켓(12)의 회동부(12b)가 샤프트(11)의 기초부(11a)에 가압되어 프릭션이 발생하고,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회전시켜서 그 회전을 멈춘 때, 그 위치에서 제2틀체(3)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The rotating means 6 is a fract that presses the pivoting portion 12 'of the
또한,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결합하여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부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제2틀체(3)의 하면으로서 앞의 단부 근방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5) 등이라도 좋다. 돌출부(35)는, 폐쇄상태 및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의 직전까지의 사이에서 제1틀체(2)의 상면에 접촉하여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either one of the
또한, 제1틀체(2)의 상면에는, 회동허용부(2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허용부는,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폐쇄상태로부터 서로 슬라이드시켜서 개방상태로 된 때,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회전을 허용함과 동시에, 제1 틀체(2)에 대한 제2틀체(3)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회동각도가 40도로 된 때, 그 회전을 정지하는 것이다. 회동허용부(25)는, 예를 들면, 제1틀체(2)의 상면으로 요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서로 슬라이드하여 슬라이드개방상태로 된 때, 제2틀체(3)의 돌출부(35)가 접하는 위치에 요홈형상의 회동허용부(25)를 설치하고, 제2틀체(3)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회동허용부(25)는,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회동각도 40도 로 되면, 그 회동이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부(도시 생략됨)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폐쇄상태로부터 서로 슬라이드하여 개방상태로 되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샤프트(11)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그 회동각도가 40도로 되면 회전이 정지되어 개방회동상태로 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다음에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휴대기기(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이다. 그 때,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에 의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의 대향측(전방측)으로 가압되어 슬라이드부재(73)가 슬라이드요홈부(81)의 폐쇄단부에 접촉하며, 베이스부재(7)와 슬라이더부재(8)가 결속하여 멈춰 있으므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 그 폐쇄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In a normal state in which the
그 휴대기기(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 체(3)가 슬라이드하여 개방상태로 되도록 제2틀체(3)에 힘을 작용시킨다. 즉,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작용시켜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선회아암(91)은 샤프트(11)를 축으로 회동한다. 그 때, 태엽형 스프링(92)에는, 슬라이드시키는 때의 힘이 작용하여 태엽형 스프링(92)이 하중를 받아 그 작용력 즉 탄성력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신장된다. When the
그리고, 중립상태로 되면(도8참조), 태엽형 스프링(92)에 의한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에 걸리는 작용력이 샤프트(11)의 방향으로 작용하면, 슬라이드부재(73)에는 슬라이드방향의 작용력이 없게 된다. 즉, 슬라이드힘이 0으로 된다. 그 중립상태를 지나면, 선회아암(91)의 축의 지점(샤프트(11)의 중심)과 그 자유단부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역으로 되고,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형 스프링(92)에 의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샤프트(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이동하여 개방상태로 된다. 또, 개방상태로 된 때,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슬라이드가 정지하도록 제1틀체(2) 및 제2틀체(3)에 슬라이드규제부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n, in the neutral state (see Fig. 8), if the action force applied to the free end of the swinging
그 개방상태에서도,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에 의해, 선회아암(91)의 자유단부가 슬라이더부재(8)의 앞으로 가압하므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개방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틀체(2)의 상면에 설치한 키보드가 노출하므로, 키보드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그 개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Even in the open state, the free end of the
그때,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31)가 보기 어려운 때에는,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회전시킨다. 즉, 개방상태인 때에는, 제2틀체(3)의 돌출부(35)가 회동허용부(25)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회동가능하므로,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샤프트(11)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그 회동각도가 40도로 되기까지 회동할 수 있다. 회동도중에 회동을 정지시키면, 접시스프링(13)에 의해 브라켓(12)의 회동부(12b)가 샤프트(11)의 기초부(11a)에 가압되어 프릭션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가 그 회전을 멈춘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31)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1)에 표시된 화상을 보기 쉬운 상태에서 키보드조작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At that time, when the
사용후, 폐쇄상태로 복귀하는 때에는,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회전시켜서 개방상태로 복귀시킨 뒤에,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슬라이드시키면, 태엽형 스프링(92)이 작용력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신장된다. 중립상태를 지나면, 선회아암(91)의 축지점과 그 자유단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역으로 되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형 스프링(92)의 작용력에 의해 제2틀체(3) 및 제1틀체(2)가 폐쇄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폐쇄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이동하고, 슬라이드부재(73)가 슬라이드요홈부(81)의 폐쇄단부에 접촉하여 폐쇄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 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returning to the closed state after use, after rotating the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1)는, 반자동으로 개폐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틀체(2)에 대한 제2틀체(3)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좋은 것이다. Therefore, since the
또한, 선회아암(91), 태엽형 스프링(92), 접시스프링(13) 등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회동동작을 행하므로, 부품점수가 적게 되고, 비용절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엽형 스프링(92)의 탄성특성 등과 선회아암(91)의 위치 및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슬라이드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힘작용수단(9)의 작용력을 증력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높일 수 있고, 확실하게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using the swing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는, 반자동수단 및 회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제1틀체 및 제2틀체를 반자동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개방상태인 때, 제1틀체에 대해 제2틀체가 회동하기 때문에, 제1틀체에 대한 제2틀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특히 휴대단말기에 이용되기 적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semi-automatic means and the rotating means, so that the second frame body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so that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re opened. It is possible to slide automatically semi-automatically, and when the second fram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when it is in an open state, the angle of the second fram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can be changed. This improves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portable terminals.
Claims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091851A JP4845558B2 (en) | 2006-03-29 | 2006-03-29 | Portable device |
JPJP-P-2006-00091851 | 2006-03-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8520A KR20070098520A (en) | 2007-10-05 |
KR100821294B1 true KR100821294B1 (en) | 2008-04-11 |
Family
ID=3863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5930A KR100821294B1 (en) | 2006-03-29 | 2007-03-16 | Portable apparatu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845558B2 (en) |
KR (1) | KR100821294B1 (en) |
CN (1) | CN101047729A (en) |
TW (1) | TW200850108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45029B2 (en) * | 2006-10-27 | 2011-12-28 | エイチティー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e mechanism and tilt mechanism, and associated method |
JP2009071511A (en) * | 2007-09-12 | 2009-04-02 | Panasonic Corp | Portable terminal |
JP4712786B2 (en) * | 2007-12-13 | 2011-06-29 | 京セラ株式会社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JP4565002B2 (en) * | 2007-12-28 | 2010-10-20 | 京セラ株式会社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JP5085343B2 (en) | 2008-01-11 | 2012-11-28 | 加藤電機株式会社 | Mobile device slide mechanism and portable device |
JP2009278411A (en) * | 2008-05-15 | 2009-11-26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Portable device |
JP5015226B2 (en) * | 2008-12-18 | 2012-08-29 |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LIDING DEVICE |
JP4490503B1 (en) | 2009-01-21 | 2010-06-30 | 三菱製鋼株式会社 | Slide unit mechanism |
JP2010233062A (en) * | 2009-03-27 | 2010-10-14 | Kato Electrical Mach Co Ltd | Operation mechanism of case of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the operation mechanism |
TWI394516B (en) | 2009-04-16 | 2013-04-21 | Htc Corp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CN101873771B (en) * | 2009-04-23 | 2013-04-17 |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JP4948568B2 (en) * | 2009-06-04 | 2012-06-06 | 三菱製鋼株式会社 | Tilt mechanism and slide device |
JP5383391B2 (en) * | 2009-08-31 | 2014-01-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Electronics |
JP5199210B2 (en) * | 2009-09-28 | 2013-05-15 | 京セラ株式会社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JP5149264B2 (en) * | 2009-12-01 | 2013-02-20 | 三菱製鋼株式会社 | Slide tilt mechanism |
JP5431892B2 (en) * | 2009-12-04 | 2014-03-05 | 加藤電機株式会社 | Small electronic devi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small electronic device |
JP4865886B2 (en) | 2010-06-07 | 2012-02-01 | 三菱製鋼株式会社 | Slide unit mechanism |
JP5274517B2 (en) * | 2010-06-24 | 2013-08-28 | 京セラ株式会社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JP5673096B2 (en) * | 2010-12-28 | 2015-02-18 | ソニー株式会社 | Equipment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information equipment |
TW201250441A (en) * | 2011-06-08 | 2012-12-16 | Ortek Technology Inc | Carrying device for integrating protective cover and wireless keyboard |
JP5469234B2 (en) * | 2012-11-29 | 2014-04-16 | 三菱製鋼株式会社 | Slide tilt mechanism |
JP2014149663A (en) * | 2013-01-31 | 2014-08-21 | Toshiba Corp | Electronic apparatus |
US9277671B2 (en) | 2013-01-31 | 2016-03-01 | Kabushiki Kaisha Toshiba | Electronic apparatus |
CN106534426A (en) * | 2016-11-30 | 2017-03-22 | 冯雪平 |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shel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8968A (en) * | 2003-12-30 | 2005-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KR20060046741A (en) * | 2004-09-09 | 2006-05-17 | 주식회사 팬택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44169A (en) * | 2001-07-31 | 2003-02-14 | Casio Comput Co Ltd | Electronic equipment |
JP3874750B2 (en) * | 2003-08-28 | 2007-01-31 | 正博 舟川 | Foldable mobile terminal with slide function |
JP2006066526A (en) * | 2004-08-25 | 2006-03-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Opening/clos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it |
JP4378333B2 (en) * | 2005-09-07 | 2009-12-02 |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LIDING DEVICE |
-
2006
- 2006-03-29 JP JP2006091851A patent/JP484555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3-16 KR KR1020070025930A patent/KR10082129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29 CN CNA2007100913325A patent/CN101047729A/en active Pending
- 2007-06-06 TW TW096108535A patent/TW200850108A/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8968A (en) * | 2003-12-30 | 2005-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KR20060046741A (en) * | 2004-09-09 | 2006-05-17 | 주식회사 팬택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850108A (en) | 2008-12-16 |
CN101047729A (en) | 2007-10-03 |
JP4845558B2 (en) | 2011-12-28 |
KR20070098520A (en) | 2007-10-05 |
JP2007267238A (en) | 2007-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1294B1 (en) | Portable apparatus | |
KR101031731B1 (en) | hinge device with two axe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 |
KR100681893B1 (en) | slide mechanism for a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phone | |
KR100675734B1 (en) |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 |
US20080161075A1 (en) |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 |
JP3982199B2 (en) | CONNECTION DEVICE AND FOLD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JP5112925B2 (en) | Biaxial hinge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biaxial hinge | |
EP1926290B1 (en) | Sw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 |
KR100896884B1 (en) | Hinge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 |
JP5114136B2 (en) | Tilt hinge device | |
KR100675731B1 (en) |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 |
JP2011511915A (en) | Hing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0430988Y1 (en) | Slide device of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829995B1 (en) |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Phone | |
KR101652772B1 (en) | Hinge structure of armrest for a vehicle | |
KR100692263B1 (en) | Rotating hinge module of cam type for terminal | |
KR20060122710A (en) | Portable device | |
KR100505961B1 (en) | Cellular phone having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 |
KR101117597B1 (en) |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 |
KR100455545B1 (en) | Cover hinge mechanism of cellular phone | |
JP5448143B2 (en) | Rotating hinge and portable device | |
KR200433129Y1 (en) | Slide hinge module | |
JP3141551U (en) | Sliding double shaft hinge assembly | |
JP2573474Y2 (en) | Tilt hinge | |
KR20090112572A (en) |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for a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