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29625B1 - 가열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625B1
KR100829625B1 KR1020070007195A KR20070007195A KR100829625B1 KR 100829625 B1 KR100829625 B1 KR 100829625B1 KR 1020070007195 A KR1020070007195 A KR 1020070007195A KR 20070007195 A KR20070007195 A KR 20070007195A KR 100829625 B1 KR100829625 B1 KR 10082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urner system
gas
case
ceram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래
류정완
양대봉
류상민
정용기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가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보다 짧게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큰 고발열 버너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작은 저발열 버너시스템보다 배기유로가 짧게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열조리기기는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가열조리기기, 발열량, 버너시스템, 유체, 유로, 저온 영역

Description

가열조리기기 {Heating cooking applian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세라믹 플레이트가 제거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공기유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세라믹 플레이트 120. 탑 프레임
140. 배기그릴 160. 조작스위치
200. 케이스 210. 버너포트
212. 개공 220. 혼합관 유닛
222. 혼합관 230. 버너프레임
240. 적열플레이트 250. 메인공급관
252. 가스밸브 254. 가스공급관
260. 배기부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가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보다 짧게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요리하기 위한 주방기기로써, 이러한 가열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로써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가스를 연소시키는 방법으로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에는 연소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연소유닛은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게 되며, 내부 공간으로 가스를 분사하고, 분사된 가스의 부근에서 가스가 공기와 함께 연소유닛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가스는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균일하게 혼합된 다음에는 점화되어 가스가 연소하게 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이 복사 및 전도에 의하여 열이 전달됨으로써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에서는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로 가스 와 공기가 유입된 뒤에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연소유닛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가스가 토출됨에 따라 연소유닛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연소유닛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소유닛의 측방에서 연소유닛의 내부를 향하여 가스외 공기가 토출되는 방식도 적용된 바가 있으나, 이러한 측방분사방식은 연소유닛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단순하게 연소유닛의 측방에 혼합가스의 유입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상세구성은 연소유닛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일정 수준 이상의 연소유닛 높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혼합가스가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혼합관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좁은 버너의 내부 공간에서 연소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마련되는 구성이었다.
만약, 상기 연소유닛이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지 아니하면,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하여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유닛이 일정 정도의 크기를 가지지 못하면, 혼합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대되고, 충분히 혼합될 수 없기 때문에 균일하게 혼합가스가 제공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고 연소유닛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임으로써 가스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발열량이 감소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 다.
한편, 가열조리기기에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면서 형성되는 혼합가스가 연소하면서 열을 발산하게 되고,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의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버너시스템이 형성되고, 이러한 버너시스템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연소유닛이 위치하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큰 발열량을 가지는 연소유닛과 상대적으로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연소유닛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큰 발열량을 가지는 연소유닛이 상대적으로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연소유닛보다 긴 배기유로를 형성하게 되어 가열조리기기 내부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발열량을 가지는 연소유닛은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품이 장착되는 위치와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연소유닛에서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 부품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품에 열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어를 위한 부품이 오작동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가열조리기기의 크기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더욱 큰 문제점으로 확대되며, 제어를 위한 부품의 열 손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보다 배기유로가 짧게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품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이 멀리 위치하게 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공기 유로와 상대적으로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공기 유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가열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시스템은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가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보다 짧게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 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에는, 상기 버너시스템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영역과 그 영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저온 영역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조리기기의 전체 크기 특히, 가열조리기기의 높이가 줄어들면서도, 종래와 동일한 발열량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열조리기기의 내부 온도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근본적인 효과는 가열조리기기의 상대적인 고발열부의 배기유로가 짧게 형성되면서, 고발열부의 유동 저항이 감소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세라믹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를 살펴보면, 가열조리기기는 하측을 보호하면서 하측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고 상면이 개구되는 육면 체 형상의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게 되는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는 탑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열조리기기의 추가적인 외관 구성으로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후측에 형성되어 연소 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그릴(140)과,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대략 전방부에 형성되어 가스의 연소를 온/오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60)가 있다. 상기 배기그릴(140) 및 조작스위치(160)는 그 위치 또는 형상이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으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와 가스의 연소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가 부가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상기 케이스(200)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연소, 배기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그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충분하게 일어나서 균일하게 연소하게 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210)가 세 개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버너포트(210) 측면에는 혼합관 유닛(220)이 놓아져서 버너포트(210)의 측면을 통하여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 부분과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노즐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를 향하여 가스를 고압으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상측에는 버너프레임(230)이 놓이게 되며, 상기 버너 프레임(230)은 버너포트(210)의 위치를 지지하고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버너프레임(230)의 후방에는 연소가스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부(260)의 상측에는 상기 배기그릴(140)이 놓인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상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40)가 놓이며, 적열플레이트(240)는 가스와 공기가 연소할 때 발생하게 되는 고열에 의해서 가열된다. 적열플레이트(240)가 가열되면, 적열플레이트(240)의 물성에 맞는 주파수 대역의 복사에너지가 방사된다.
상기 적열플레이트(240)의 복사에너지는 적어도 가시광선 대역의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고, 그 가시광선에 의해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가 동작 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적열플레이트(240)에 의해서 음식물은 가열되고, 적열플레이트(240)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전도열에 의해서도 가열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조리기기의 외부에서 내부로는 메인공급관(250)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조작스위치(160)에 의해서 조절되는 가스밸브(252)에 의해서 각각의 버너시스템으로 향하여 가스가 각각의 상기 노즐유닛으로 공급된다.
상기 노즐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노즐유닛에 의해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를 향해 고압으로 분사되고, 이때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를 향하여 분사되는 가스는 고속이기 때문에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 인접 공간에는 저압 분위기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외부의 공기도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내부로 함께 유입되어서, 혼합관 유닛(220)을 통과하는 유체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면서 혼합가스를 형성하게 된다. 혼합관 유닛(220)을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뒤에 이차적으로 혼합되어 상기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연소된다.
그리고, 혼합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열에 의해 상기 적열플레이트(240)가 가열되면서 적색으로 형성되고, 적색으로 형성되는 적열플레이트(240)에서 복사열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적열플레이트(240)에는 미세한 홀이 무수히 가공되는 망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홀을 가스와 공기가 통과하면서 연소하게 된다.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버너프레임(230)에 의해 제공되는 배기유로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배기그릴(140)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처럼,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하부와 버너프레임(230)의 상부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너시스템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버너시스템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두 개의 상기 버너포트(210)가 놓이고, 비교적 큰 두 개의 버너포트(210) 사이에는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하나의 상기 버너포트(210)가 마련된다. 물론,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포트(210)는 서로 다른 발열랴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각의 버너포트(210)가 가지는 발열량에 맞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놓아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놓이는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하나의 저발열 버너시스템에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상기 버너포트(210)가 구비되고, 이러한 버너포트(21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가스가 공급되어 이차적으로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연소된 다음 연소 가스는 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으로 가스와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 측과 버너포트(210)에서 연소된 다음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는 같은 방향 즉, 버너포트(2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가스와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의 유동 방향은 가열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하여 유동하게 되고, 가스와 공기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는 가열조리기기의 후방을 향하여 유동하게 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 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양 측면에 놓이는 버너시스템 다시 말해,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양 측방에 놓이면서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두 개의 상기 버너포트(210)는 가열조리기기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으로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어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이차적으로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다음 상기 적열플레이트(240) 상에서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는 가열조리기기의 후방으로 유동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으로 가스와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 측과 버너포트(210)에서 연소된 다음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는 다른 방향 즉, 버너포트(2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가스와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의 유동 방향은 가열조리기기의 후방을 향하여 유동하게 되고, 가스와 공기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 또한 가열조리기기의 후방을 향하여 유동하게 되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버너포트(210)의 배치는 최적의 버너시스템 배치 상태를 구 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버너시스템에서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유로 저항이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유로 저항보다 더 작은 유로 저항을 가지게 된다.
이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서는 전체적인 유체의 유동 방향이 하나의 방향 상세하게는 가열조리기기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어 유로 저항이 저감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서는 전체적인 유체의 유동 방향이 두 개의 방향 상세하게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입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되어 유로 저항이 증가하게 되나, 비록 유로 저항이 증가한다 할지라도 충분한 유로를 확보함으로써 유로 저항에 따른 발열량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은, 연소유닛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가스에 대비되는 공기의 양―이하에서는 공기비라고 한다―을 증대시키고,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가스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버너포트(210)가 제공되며, 버너포트(210)의 측면에는 혼합관 유닛(220)이 배치된다. 상기 혼합관 유닛(220)과 일정 정도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로 가스를 고압으로 분 사하는 노즐유닛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 유닛(220)은 상기 버너포트(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공(212)과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관 유닛(220)에 제공되는 혼합관(222)과 상기 개공(212)은 서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대가 된다. 이러한 혼합관 유닛(220)과 개공(212)의 정렬 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개공(212)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포트(2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개공(212)은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서 상기 혼합관(222)의 연장 방향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개공(212)의 지름은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에서 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의 상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최대한으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에서 확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공(212)과 버너포트(210)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됨으로써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에서 가스와 공기의 확산을 증진시킬 수 있고, 버너포트(210)의 높이가 최대한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 다수가 구비되는 상기 혼합관(222)은 혼합관(222)의 유입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처음에는 그 단면적이 감소되는 노즐의 형태로 제공되고, 최소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통과한 다음에는 디퓨저의 형태로서 그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양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222)의 디퓨저 부분과 상기 개공(212)의 단면적 부분의 증가 양상을 상호 간에 연속적인 것이 유체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개공(212)과 혼합관(222)의 확산각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포트(210)의 일측에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이 결합되어 있다. 혼합관 유닛(220)에는 복수개의 혼합관(222)이 제공되며, 버너포트(210)에는 혼합관(222)과 정렬되는 복수개의 상기 개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관 유닛(220)의 유입구에는 노즐유닛이 일정 간격으로 떨이져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닛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버너시스템의 배치 상태가 보다 컴팩트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는 복수개의 상기 혼합관(222)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즐유닛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량, 다시 말해, 공기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혼합관(222)이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혼합관(222)을 통해서 가스와 함께 공기가 다량으로 흡입된다.
이처럼, 다량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은 단일의 상기 혼합관(222)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의 혼합관(222)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단일의 혼합관(222) 주위에만 저압 분위기가 조성되어 혼합관(222)으로 공기가 유입되지만, 복 수개의 혼합관(222)으로 가스가 흡입되면 전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증대되기 때문에 전체의 공기 유입량을 합산함으로써 혼합관(22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는 상기 혼합관(222)이 다수 구비되고, 동일한 높이에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물론,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그 중심이 어긋날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혼합관(222)이 나란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혼합가스가 서로 충돌하여 난류의 발생이 증대되고,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증진됨으로써 가스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혼합관(222)의 상하 높이가 달라지는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혼합관(222)이 놓일 수 있는 높이는 상기 개공(212)이 형성될 수 있는 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혼합관(212)이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혼합관(222) 각각의 연장선은 서로 만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혼합관(222)에서 유출되는 혼합가스 간의 난류 발생을 증진시킬 수 있고, 상기 혼합관 유닛(220)의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고, 혼합관 유닛(220)과 정렬되는 노즐유닛의 장착이 간단하고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 제공되는 상기 혼합관(222)은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섯 개이며, 이는 다수의 실험에 따른 것이다. 실험에 의하면 혼합관(222)의 수가 한 개에서 다섯 개로 증진되는 과정에서 공기비의 증가량은 급격하 게 증가하다가 다섯 개를 넘어선 다음에는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혼합관(222)의 수를 하나 늘리는 것에 의한 제조비에 비하여 공기비의 효율은 미미하게 증가하므로 혼합관(222)의 수는 다섯 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혼합관(222)이 배치되는 범위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측면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고, 가장 마지막 끝 부분에 배치되는 혼합관(222)은 실질적으로 버너포트(210)의 전체 지름 끝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버너포트(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효율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버너포트(210)의 내부 공간에서 난류의 발생이 원활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 면에서 접선 방향을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가스와 공기의 유동에 따르면, 가스와 공기가 서로 충돌하는 지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가스의 충돌지점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많은 난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난류에 의해서 버너포트(210)의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혼합가스가 퍼지게 되고, 버너포트(210)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므로써 버너포트(210)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균일한 혼합가스의 생성 및 추후의 균일한 연소 성능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배기유로의 측면에서 버너시스템을 살펴보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이 다수 구비된다. 이러한 버너시스템에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과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버너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 으나, 이러한 세 개의 버너시스템이 가지는 발열량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고발열 버너시스템과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저발열 버너시스템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후측에는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그릴(140)이 구비되며,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고발열 버너시스템은 상기 배기그릴(140)과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 구비되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중심이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 구비되는 버너포트(210)의 중심보다 상기 배기그릴(140)과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서 상기 버너프레임(230)에 의해 안내되면서 배기그릴(140)을 통해 배기되는 연소 가스의 유동거리를 짧게 형성하게 된다.
이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가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의 양보다 많은 양이 발생하게 되며, 많은 양의 연소 가스가 유동하게 되는 유동거리를 짧게 형성함으로써 연소 가스가 가지는 잠재적인 열기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전달되는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케이스(20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많은 양의 연소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연소 가스는 유동되는 거리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 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버너시스템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가 유동하게 되는 배기유로는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품이 위치하게 되는 공간과 반대 방향의 위치에 구비된다. 이처럼, 버너시스템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가 제어부품이 위치하게 되는 공간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연소 가스가 가지는 잠재적인 열이 제어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어부품의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버너시스템에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을 통하여 가스와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충실히 혼합되도록 원형의 함몰부가 제공되는 상기 버너포트(210)가 마련되고, 이러한 버너포트(210)와 혼합관 유닛(220)의 상측에는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상기 버너프레임(230)이 구비된다.
이러한 버너시스템의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는 다섯 개의 상기 혼합관(222)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혼합관 유닛(220)이 상기 버너포트(210)에 체결되면 다섯 개의 혼합관(222) 정렬 상태가 한번에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관(222)과 상기 개공(212)의 정렬 상태가 어긋남에 대한 우려 및 혼합관(222)과 노즐유닛의 어긋남에 대한 우려, 혼합관(222)의 유입구와 노즐유닛 간의 거리가 달라져서 가스 및 공기의 유입량이 혼합관(222) 별로 달라질 우려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은 복수개의 혼합관(222)을 각각의 상기 개공(212)에 각각 정렬되도록 상기 노즐유닛에 체결되는 가상적인 경우와 비교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의 혼합관 유닛(220)에 의한 장점은 노즐유닛에서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혼합관의 유입구 간의 중심이 미소하게 어긋나더라도 분사가스에 의한 저압이 미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고, 이로써 공기가 유입되는 효율이 급격하게 저감될 것임을 참조하면, 더욱 현저하게 드러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혼합관 유닛(220)이 상기 버너포트(210)에 체결됨으로써 제작 및 조립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혼합관 유닛(220)과 버너포트(210)간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불량율이 낮아지며, 재료비가 절감된다.
상기되는 방식에서 각각의 상기 혼합관(222)이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 체결되는 방식은, 복수개의 혼합관(222)이 소정의 지그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태에서 혼합관 유닛(220)에 체결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경우로서 애초에 복수개의 혼합관(222)은 혼합관 유닛(220)에 일체로 제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소정의 지그에 의해서 상기 혼합관(222)이 상기 혼합관 유닛(220)에 체결되는 중에서, 복수개의 혼합관(222) 유입구는 일렬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과 복수개의 혼합관(222) 유입구 사이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버너시스템의 공기 유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버너시스템에는 각각 상기 버너포트(210) 가 구비되며, 버너포트(210)의 측방에서 가스와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고발열 버너시스템은 가스와 공기의 유동 방향과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을 가지게 되며,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저발열 버너시스템은 가스와 공기의 유동 방향과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게 된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고발열 버너시스템에 구비되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은 버너포트(210)의 중심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버너포트(210)의 전방에서 가스와 공기가 버너포트(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배기그릴(140)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후측에 위치하게 되어 연소 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상기 버너프레임(230)은 버너포트(210)의 후방으로 연소가스가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고발열 버너시스템에서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전방에 상기 혼합관 유닛(220)이 놓이며, 이러한 혼합관 유닛(220)에 의해 버너포트(210)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버너포트(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혼합되어 버너포트(210)의 상측에 놓이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40)를 통과하면서 연소하게 되고,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 는 버너포트(210)의 상방에 마련되는 상기 버너프레임(23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고발열 버너시스템에서는 가스와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소 가스가 유동하게 된다.
한편,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가스와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 유동 방향과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게 된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저발열 버너시스템에 구비되는 상기 버너포트(210)에 가스와 공기를 안내하는 상기 혼합관 유닛(220)은 버너포트(210)의 중심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버너포트(210)의 직후방에서 가스와 공기가 버너포트(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배기그릴(140)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후측에 위치하게 되어 연소 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상기 버너프레임(230)은 버너포트(210)의 후방으로 연소가스가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저발열 버너시스템에서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후방에 상기 혼합관 유닛(220)이 놓이며, 이러한 혼합관 유닛(220)에 의해 버너포트(210)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버너포트(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혼합되어 버너포트(210)의 상측에 놓이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40)를 통과하면서 연소하게 된다.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 가스 는 버너포트(210)의 상방에 마련되는 상기 버너프레임(230)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처럼 형성되면, 저발열 버너시스템에서는 가스와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 방향과 연소 가스가 유동하게 되는 방향은 반대 방향이 된다.
이러한 공기 유동을 다른 측면에서 보면,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고발열 버너시스템에서는 가스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동 방향은 상기 버너포트(210)의 전방이 되고,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유동 방향은 버너포트(210)의 후방이 되어 유체의 유입 방향과 유체의 배기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저발열 버너시스템에서는 가스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동 방향은 상기 버너포트(210)의 후방이 되고,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유동 방향은 버너포트(210)의 후방이 되어 유체의 유입 방향과 유체의 배기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를 다른 측면에서 보면,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100)가 구비되고,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케이스(200)로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버너시스템이 포함되며, 세라믹 플레이트(100)에는 상대적인 저온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케이스(200)로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시스템이 형성되고, 이러한 버너시스템은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고발열 버너시스템과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저발열 버너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너시스템에는 가스와 공기의 연소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210)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포트(210)의 측방에는 가스와 공기를 버너포트(210)로 안내하면서 공급하는 혼합관 유닛(2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버너시스템에는 각각 구비되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발열량이 다르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양 또는 크기에 맞는 발열량을 가진 버너포트(21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한편,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 구비되는 상기 버너포트(21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양 측편으로 놓이고, 그 사이에는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에 구비되는 버너포트(210)가 놓이게 된다. 이처럼, 버너시스템이 위치하게 되면, 각각의 버너시스템 사이에는 상대적인 저온 영역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에 형성된다.
이는 버너시스템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열에 의해 상기 버너포트(210) 주변에는 잠재적인 열에 의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 상에는 일정 정도의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에 의해 요리가 완료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상대적인 저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대적인 저온 영역에 의해 요리가 완료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따뜻하게 가열하여 줌으로써 음식물이 빨리 식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따뜻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 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함으로써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한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그 역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에 따르면, 버너시스템에서 가스의 연소 효율이 향상되고, 가스 및 공기의 유동저항이 감소되며, 공기비가 증가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조리기기의 전체 크기, 특히 버너시스템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서, 설치의 편의성, 재료비의 절감, 사용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효과는 대등한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가열조리기기와 대비하여 발생되는 장점이다.
그리고,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고발열 버너시스템과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저발열 버너시스템으로 형성되고, 고발열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가 저발열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연소 가스의 배출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고발열 버너시스템은 저발열 버너시스템보다 버너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부품이 위치하는 공간에서 멀리 떨어져 있게 되어 제어 부품에 전달되는 열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제어부품의 열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제어 부품의 열손상이 방지되어 제어 부품의 오작동이 방지되며, 제어 부품의 오작동이 방지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가 원하는 방법으로 요리될 수 있게 되며, 이는 제품의 신뢰성에 큰 향상을 가져오게 되고, 제품의 신뢰성 향상은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더구나, 전장 부품의 열 손상이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유지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시스템은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가 비교적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보다 짧게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비교적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배기유로는 상기 버너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품이 위치하는 공간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3.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은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 은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큰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유로 저항은 작은 발열량을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유로 저항보다 작게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5.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및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버너시스템이 포함되고,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에는,
    상기 버너시스템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영역과 그 영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저온 영역이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
KR1020070007195A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95A KR100829625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95A KR100829625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625B1 true KR100829625B1 (ko) 2008-05-16

Family

ID=3966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195A KR100829625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6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71Y1 (ko) * 2003-08-27 2004-02-11 박순황 모유 착유기를 겸한 피부 마사지기
KR200341270Y1 (ko) * 2003-08-14 2004-02-11 옥 권 강 직물의 반사구조
KR20050097716A (ko) * 2004-04-02 2005-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복사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70Y1 (ko) * 2003-08-14 2004-02-11 옥 권 강 직물의 반사구조
KR200341271Y1 (ko) * 2003-08-27 2004-02-11 박순황 모유 착유기를 겸한 피부 마사지기
KR20050097716A (ko) * 2004-04-02 2005-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복사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942B2 (en) Cooker
KR100880493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9702564B2 (en) Cooker
US9416978B2 (en) Cooker and burner assembly thereof
US8065997B2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930000929B1 (ko) 가스가열조리기
KR100826711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0829627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KR101617499B1 (ko)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KR100829624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09745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0829625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9B1 (ko) 빌트 인 가열조리기기
KR100809747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1573989B1 (ko)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KR10082671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1681771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0826712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0809746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 조립 방법
KR100829626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739541B1 (ko) 가스 복사 버너
KR100739545B1 (ko) 가스복사 버너
KR10082670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웜존 기구
CN221403146U (zh) 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