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28837B1 -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837B1
KR100828837B1 KR1020060124616A KR20060124616A KR100828837B1 KR 100828837 B1 KR100828837 B1 KR 100828837B1 KR 1020060124616 A KR1020060124616 A KR 1020060124616A KR 20060124616 A KR20060124616 A KR 20060124616A KR 100828837 B1 KR100828837 B1 KR 10082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holder
actuator
hook
glass
mirr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8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라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지지된 미러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 외측면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단턱부(12)가 형성된 엑추에이터(10)와; 미러글라스(30)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엑추에이터(10)를 감싸서 조립되도록 몸체 중앙외측으로는 소정 간격을 갖구 엑추에이터(10)의 단턱부(12)에 걸려져 단속되는 후크(21)가 다수개 형성된 글라스홀더(20)로 구성되고, 상기 글라스홀더(20) 몸체에 다수개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21) 후면부로는 후크(21)를 통한 엑추에이터(10)와의 조립과정에서 엑추에이터(10) 배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밀착수단(100)이 형성된 글라스홀더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100)은 글라스홀더(20)의 후크(21) 후면에서 각각 후크(21) 사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에서 하부로 소정의 텐션을 갖을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성된 리브편(22)으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인 자동차의 글라스홀더는 주행시 떨림현상을 방지하면서 이로인한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라스홀더{glass holder for an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글라스홀더 체결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글라스홀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엑추에이터가 글라스홀더에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글라스홀더 체결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글라스홀더 체결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엑추에이터 11 - 미러하우징
12 - 단턱부 20 - 글라스홀더
21 - 후크 22 - 리브편
30 - 미러글라스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라스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글라스 홀더 몸체에 밀착수단을 형성하여 엑추에이터와의 체결작업시 공차없이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는 차량 운행시 후방에서 주행중인 자동차의 주행상태를 확인하거나, 주차시 차체 후방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체에 설치된 거울로서, 차실 내에 부착되는 이너 미러와 차실 외에 부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있다.
또한, 아웃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자가 운전중 미러글라스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전동모터와 같은 엑추에이터를 미러하우징내부에 설치하여 차실 내에서 운전자가 전동으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인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체에 지지된 미러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면을 일주하여 단턱이 형성된 엑추에이터와, 미러글라스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단턱에 탄성조립되도록 후크가 돌출 형성된 글라스홀더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는 차체에 지지된 미러하우징 내부에 엑추에이터가 마련되고, 상기 엑추에이터에는 미러글라스의 배면에 고 정된 글라스홀더가 조립되므로 써, 운전석에서 스위치 조절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가 상,하,좌,우로 움직여 미러글라스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엑추에이터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글라스홀러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하는 탄력적인 후크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후크가 단턱에 탄력적으로 조립되므로 써, 미러글라스가 엑추에이터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글라스 홀더는 기본적으로 조립을 위해서 후크와 엑추에이터 간에 공차가 발생하는데 상기 공차가 클수록 주행시 떨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소음발생 및 전체적인 주행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후크방법를 통한 글라스홀더와 엑추에이터간의 체결 구성에서는 차종마다 후크의 걸림량 또는 후크의 두께 등이 모두 상이하고, 차량마다 진동 대역이 틀리기 때문에 문제점을 개선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 홀더 몸체에 리브편을 형성하여 엑추에이터와의 체결작업시 밀착수단을 통한 밀착구성에 의해서 공차없이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글라스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이로 인한 전체적인 주행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글라스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에 지지된 미러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 외측면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단턱부(12)가 형성된 엑추에이터(10)와; 미러글라스(30)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엑추에이터(10)를 감싸서 조립되도록 몸체 중앙외측으로는 소정 간격을 갖구 엑추에이터(10)의 단턱부(12)에 걸려져 단속되는 후크(21)가 다수개 형성된 글라스홀더(20)로 구성되고, 상기 글라스홀더(20) 몸체에 다수개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21) 후면부로는 후크(21)를 통한 엑추에이터(10)와의 조립과정에서 엑추에이터(10) 배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밀착수단(100)이 형성된 글라스홀더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100)은 글라스홀더(20)의 후크(21) 후면에서 각각 후크(21) 사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에서 하부로 소정의 텐션을 갖을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리브편(22)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인 자동차의 글라스홀더는 엑추에이터(10)와 후크(21)를 통해 조립되는 글라스홀더(20) 몸체 후면으로 엑추에이터(1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공차없이 조립을 안내하는 밀착수단(100)인 리브편(22)이 형성되므로, 주행시 떨림현상을 방지하면서 이로인한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글라스홀더 체결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글라스홀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엑추에이터가 글라스홀더에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글라스홀더 체결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글라스홀더 체결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의 글라스홀더는 엑추에이터와의 체결구성에서 밀착수단인 리브편을 형성하여 공차없이 밀착된 체결력을 유도하여 주행중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 구성에서 글라스홀더(20)와 조립되는 엑추에이터(10)는 차체에 지지된 미러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 외측면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단턱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엑추에이터(10)와 조립되는 글라스홀더(20)는 미러글라스(30)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엑추에이터(10)를 감싸서 조립되도록 몸체 중앙외측으로는 소정 간격을 갖구 엑추에이터(10)의 단턱부(12)에 걸려져 단속되는 후크(21)가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글라스홀더(20)의 후크(21)와 엑추에이터(10)의 단턱부(12)가 상호 걸려지면서 글라스홀더(20)의 체결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글라스홀더(20) 몸체에서 소정 간격을 갖고 다수개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21) 후면부로는 후크(21)를 통한 엑추에이터(10)와의 조립과정에서 엑추에이터(10) 배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밀착수단(100)인 리브편(22)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수단(100)인 리브편(22)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글라스홀더(20)의 후크(21) 후면에서 각각 후크(21) 사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에서 하부로 소정의 텐션을 갖을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엑추에이터(10)와 글라스홀더(20)가 후크(21)와 단턱부(12)에 의한 조립과정에서 후면에서 리브편(22)에 엑추에이터(10)의 후면부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는 구성이므로, 종래 구성에 비해 공차없이 조립이 이루어져 주행중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수단(100)인 리브편(22)의 설정 방향은 글라스홀더(20)의 내측 중앙부를 향하도록 형성가능하고, 이와 반대구성으로 중앙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조합구성가능하다.
즉, 각각의 후크(21)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태이므로, 후크(21)의 후면부에서 각각의 후크(21) 사이로 설정되는 리브편(22)이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하는 설정과,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하는 구성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후크(21) 자체만을 통한 조립구성이 아닌 글라스홀더(20)와 엑추에이터(10)의 상호 결합시 후크(21)를 통한 1차 조립수 리브편(22)을 통해서 후면에서 2차적으로 공차없이 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므로, 주행시 공차로 인한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글라스홀더와 엑추에이터 조립 구성과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달리 글라스홀더의 후면에서 리브편을 통해서 공차없이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주행시 떨림현상을 방지하여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차체에 지지된 미러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 외측면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단턱부(12)가 형성된 엑추에이터(10)와; 미러글라스(30)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엑추에이터(10)를 감싸서 조립되도록 몸체 중앙외측으로는 소정 간격을 갖구 엑추에이터(10)의 단턱부(12)에 걸려져 단속되는 후크(21)가 다수개 형성된 글라스홀더(20)로 구성되고, 상기 글라스홀더(20) 몸체에 다수개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21) 후면부로는 후크(21)를 통한 엑추에이터(10)와의 조립과정에서 엑추에이터(10) 배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밀착수단(100)이 형성된 글라스홀더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100)은 글라스홀더(20)의 후크(21) 후면에서 각각 후크(21) 사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에서 하부로 소정의 텐션을 갖을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리브편(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100)인 리브편(22)은 글라스홀더(20) 후면 중앙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하는 설정과,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조합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KR1020060124616A 2006-12-08 2006-12-08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Expired - Fee Related KR10082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616A KR100828837B1 (ko) 2006-12-08 2006-12-08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616A KR100828837B1 (ko) 2006-12-08 2006-12-08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837B1 true KR100828837B1 (ko) 2008-05-09

Family

ID=3965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6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8837B1 (ko) 2006-12-08 2006-12-08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8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43A (ko) * 1994-04-29 1995-11-22 김태구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43A (ko) * 1994-04-29 1995-11-22 김태구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33066A1 (en) A vehicle door and a side impact beam for such
JP5876298B2 (ja) エンジンカバー
KR100828837B1 (ko) 자동차의 글라스홀더
JP4975037B2 (ja) 自動車の凹状のポストにトリム部品を固定する装置及び方法
JP4766431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機器取付構造
JP2008074362A (ja) 自動車用ボディパネルと取付部品との取付構造、及びロッカパネルとロッカプロテクタとの取付構造
CN210707260U (zh) Ecu与支架的防噪音结构
KR100313022B1 (ko) 자동차용 스피커 그릴의 소음 방지 구조
JPH11170925A (ja) 自動車のテールエンドメンバートリム構造
WO2017002191A1 (ja) Ecuブラケット及び車両
JP3891386B2 (ja) 樹脂製トリムの構造
JP6341817B2 (ja) 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構造
JP4275475B2 (ja) インナーミラーの取付構造
KR101265837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JP2019172186A (ja) 車両用スポイラ
JP4468561B2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と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2005316720A (ja) 車両用ペダルカバー
JPH0694263B2 (ja) 自動車のピラ−トリム取付構造
KR10063329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00552180B1 (ko) 버스 리어바디의 필라부 범퍼 마운팅 구조
JP530581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230060700A (ko) 자동차용 필러 플레이트
KR20220018449A (ko) 스프링 요소를 갖는 편향기
KR20090061897A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구조
KR20040029788A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장착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