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바와 같은 제안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 사이 간격에 위치하는 탑 프레임; 상기 본체 내부 유체의 배기를 위한 제1배기구; 및 상기 제1배기구를 통과한 유체의 배기를 위하여 상기 탑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배기구가 포함된다.
상기 제2배기구로 배기되는 유체는 상기 제1배기구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기된다.
상기 제2배기구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탑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다수의 부품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 사이 간격을 커버하는 탑 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부 유체가 상방으로 배기되는 제1배기구; 및 상기 제1배기구로 배기되는 유체가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제2배기구가 포함된다.
상기 탑 프레임은 일부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캐비넷의 상면에 지지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상면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일부분은 적어도 상기 탑 플레이트의 대향되는 면을 지지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에 지지되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프레임에는, 상기 탑 프레임의 하측 유체가 탑 프레임의 내부로 배기되는 제1배기구; 및 상기 제1배기구를 통과하는 유체가 제1배기구를 통과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기되는 제2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처럼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원활한 배기가 가능해지며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부분 절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주방 공간에는 다른 주방 가구와 조화롭게 배치할 수 있는 캐비넷(100)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100)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조리기기는 상기 수용부(120)에 상방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안착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방에서 절제되는 캐비넷(100)의 일 부분으로 전방으로부터 오븐과 함께 수용되기도 한다. 상기 수용부(120)에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조리기기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200)가 지지된다.
상기 수용부(120)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안착부는 수용부(1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단이 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안착부는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일정 부분 파이면서 형성되고, 파이는 깊이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상기 안착부는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되더라도 파이는 깊이가 거의 없게 형성되며, 탑 플레이트(200)가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는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보다 더 깊이 파이면서 형성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면,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과 양 측방의 테두리 부분이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은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도록 일정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은 막혀서 제공되며, 비록 막혀있다고 하더라도 상 기 캐비넷(100)의 여타 틈새를 통하여 외기가 수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외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물이 유동하게 될 때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기도 하며, 이러한 배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경로의 수직방향 하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부(120)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경사지는 바닥면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조리기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300)가 형성된다. 이러한 탑 플레이트(200)와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의 외관이 이루어진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라믹 소재의 열 강화유리로 형성되어 열에 강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이 파이면서 형성되는 부분인 안착부에 안착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안착부에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은 캐비 넷(100)의 상면보다 상측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에는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는 덮혀지게 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가 일정 부분 간격을 가지거나 간격이 형성되지 않게 되더라도,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캐비넷(100)의 상면을 구분하기 위하여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부분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은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며, 탑 프레임(210)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은 접착, 걸림 고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습기 등에 의해 움직이게 될 때 탑 플레이트(200)의 외부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를 탑 플레이트(200)에 놓을 때 탑 플레이트(200)의 안쪽에 용기가 제대로 놓여있는 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기의 가 열 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조리기기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부분 다시 말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에도 설치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캐비넷(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탑 프레임(210)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300)와 캐비넷(100)이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간격에 의해 공기 또는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프레임(210)에는 자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에 의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 용기가 놓이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조작버튼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열원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작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 튼의 형상이 아닌 노브(knob)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스위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가 아닌 상기 본체(30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에 위치하게 되거나, 동시에 설치되는 오븐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처럼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이 캐비넷(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하여 느끼지 못하게 되어 조리기기의 외형에 대한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조리기기의 상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만큼 차이를 나타내게 되나,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 부분이 덮혀지면서 사용자가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가 크게 두껍지 않도록 형성되어 캐비넷(100)의 상면과 조리기기의 상면 차가 미미하여 사용자는 그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310)와,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본체(300) 내부 공간의 열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팬(320)이 장착된다. 상기 히터(310)는 직접 가열방식 또는 간접 가열방식 등 어떠한 방식의 히터(310)도 가능하며, 두 형태의 히터(310)가 동시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산시키는 것도 가능 하다.
직접 가열방식의 상기 히터(310)는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를 투과하여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며, 간접 가열방식의 히터(310)는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서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팬(320)은 가로 방향으로 긴 회전축에 다수의 팬 날개가 구비되어 회전축이 회전 운동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팬 날개가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이 사용되며, 이러한 횡류팬이 아닌 축류팬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서는 횡류팬이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팬(320)은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팬(3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220)에 열 손상이 방지되며, 본체(300)의 외부로 열이 전도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사용자의 인체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팬(320)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 장착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외부의 본체(300) 외부의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 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는 상기 히터(310)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전자기장에 의해 가열되어 음식물이 요리된다. 따라서, 탑 플레이트(200)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는 면적만큼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되며, 그 외의 부분에는 복사열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본체(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구되는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의 하부 외관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200)에 의해 상면이 정의되고, 본체(300)에 의해 측면과 하면이 정의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면, 상기 본체(3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탑 플레이트(2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수용부(120)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의 상측에 상기 탑 프레임(210)이 장착되어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 간격을 커버하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요부 구성인 탑 프레임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요부 구성인 탑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탑 프레임(210)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패널(211)과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패널(212),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213),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패널(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면패널(21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면패널(211)의 후단부에서 하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후면패널(213)이 형성된다. 후면패널(213)은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후면패널(21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패널(213)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하면패널(212)이 형성된다. 하면패널(21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면적은 상기 상면패널(21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면패널(211)과 상기 하면패널(212) 사이에는 상기 측면패널(214)이 위치하게 된다. 측면패널(21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면은 상기 후면패널(213)이 가지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패널(214)의 전단부는 상기 상면패널(211)과 하면패널(213)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측면패널(214)의 상면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면패널(21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측면패널(214)의 하면 전후방향 길이는 하면패널(212)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측면패널(214)의 상면과 하면 길이가 상기 상면패널(211)과 하면패널(2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측면패널(214)의 후면이 상기 후면패널(213)의 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게 되면, 측면패널(214)의 전단부가 상면패널(211)과 후면패널(213)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패널(211)의 하면과 하면패널(212)의 상면 사이 간격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패널(214)의 높이는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상면패널(211)의 좌우방향 길이와 상기 하면패널(212)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좌우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상면패널(211)과 하면패널(212) 및 후면패널(213)과 측면패널(214)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은 전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전면으로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면패널(211)과 하면패널(212)의 사이에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탑 프레임(210)의 전단부는 탑 플레이트(200) 의 대향되는 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측면패널(214)의 전면이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측면패널(214)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상면패널(211) 및 하면패널(212)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측면패널(214)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면패널(211) 및 하면패널(212)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면, 측면패널(214)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좌우 측면이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 프레임(210) 양 측면에 제공되는 상기 측면패널(214)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양 측면이 지지되면서 탑 플레이트(200)의 대향되는 면이 탑 프레임(21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의 전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를 지지하게 되면, 탑 프레임(210)의 후단부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면패널(212)의 후단부가 캐비넷(100)의 상면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탑 프레임(210)의 후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각각의 패널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접하면서 형성되기도 하며, 하나의 소재를 가공하여 각각의 패널이 일체로 탑 프레임(21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탑 프레임(210)은 일부분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에 지지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은 전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전면의 상면과 하면 사이 공간에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탑 프레임(210)의 일부분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에 지지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장착되면, 탑 프레임(210)은 탑 플레이트(200)와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300)와 캐비넷(100)은 서로 일정 부분 떨어지면서 일정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후단부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후단부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300)의 후면에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기를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한 제1배기구(410)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배기구(410)가 사각형상의 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제1배기구(410)는 다수의 사각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더운 공기가 본체(300)의 외부로 배기되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배기유로가 형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상기 제1배기구(410)는 조리기기의 사양 및 상기 히터(310)의 발열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의 사양 및 발열량이 커지게 되면,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가 짧은 시간에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어, 빠른 배기가 요구됨으로써 제1배기구(410)의 크기는 다소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사양이 크다 하더라도 상기 히터(310)의 발열량이 적으면,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가 짧은 시간에 고온으로 상상하지 않게 됨으로써 빠른 배기가 요구되지는 않게 되어 상기 제1배기구(410)가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되더라도 조리기기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1배기구(410)는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에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를 배기함으로써 본체(30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지 않게 하며,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더운 공기의 배기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배기구(410)가 상기 본체(300)의 후면이 아닌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전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제1배기구(410)가 본체(300)의 후면이 아닌 양 측면 또는 전면이나, 하면에 형성되면, 후면에 형성되는 것보다 배기의 효율성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배기구(410)는 상기 본체(30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면이 아닌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배기구(410)가 상기 본체(300)의 일면에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유로가 형성되어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더운 공기를 본 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300)에 별도의 배기관이 연결되고, 이러한 배기관에 의해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가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별도로 형성되는 배기 유로상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기구(예를 들어, 팬 등)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300)에 상기 제1배기구(410)가 형성되면, 형성되는 제1배기구(410)를 통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더운 공기가 본체(300)의 외부 공간, 상세하게는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의 후면과 상기 캐비넷(100)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공기 유동의 특성 즉, 대류 현상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공기는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탑 프레임(210)에는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과한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기 위한 제2배기구(4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배기구(430)는 탑 프레임(21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측면패널(214)에 형성되어 제1배기구(410)를 통과하게 되는 유체가 제2배기구(43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상기 제2배기구(430)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측면패널(214)에 형성되며, 탑 프레임(210)의 전단부에 지지되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보다 후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2배기구(430)는 측면패널(214)에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원 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제2배기구(430)가 상기 탑 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면, 탑 프레임(210)의 하측으로부터 유동되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유동되는 더운 공기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가 다른 공간으로 향하지 않고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300)의 후면에 별도의 배기가이드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배기가이드는 제1배기구(410)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캐비넷(100)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기구(410)가 다수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배기가이드는 각각의 제1배기구(410)별로 각각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본체(300)의 후면에서 상기 탑 프레임(210)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측단면도에 의해 조리기기의 후단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히터(310)에서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이 발산된다.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온도는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게 되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 장차되는 팬(320)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팬(320)이 작동하게 되면, 팬(320)의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더운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더운 공기가 유동하게 되면, 본체(3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해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고, 본체(300)와 캐비넷(100)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대류 현상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유동하게 되거나, 별도로 형성되는 상기 배기가이드에 의해 탑 프레임(210)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상기 측면패널(214)에 형성되는 상기 제2배기구(43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이때,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더운 공기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며, 탑 프레임(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탑 프레임(210)의 양 측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탑 프레임(210)의 양 측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제2배기구(43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팬(320)이 동작하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 의 공기가 유입된다.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캐비넷(100)과 본체(30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본체(300)에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300)의 어느 면이나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하기되는 실시예에서는 본체(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본체(300)의 어느 면에 형성되더라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팬(320)이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찬 공기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찬 공기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면서 본체(300) 내부를 냉각시키게 되고, 본체(300)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더운 공기로 형성되는 외부의 공기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하여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캐비넷(100)과 본체(30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캐비넷(100)과 본체(3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후면에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배기가이드에 의해 안내되거나, 자체적인 유동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유동하게 되고, 탑 프레임(210)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탑 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배기구(430)를 통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이하에서는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요부 구성인 탑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제1배기구(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해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해 배기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더운 공기는 별도의 배기가이드에 의해 안내되거나, 대류 현상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배기구(430)를 통해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하면패널(212)에는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해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도록 상기 제2배기구(430)가 형성된다. 제2배기구(430)는 제1배기구(410)를 통과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 그대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제공하게 되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하면패널(212)에는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과하게 되는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가 탑 프레임(210)으로 유동하기 위한 상기 제2배기구(430)가 형성된다. 제2배기구(43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면패널(212)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절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배기구(430)는 제2배기구(43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가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제2배기구(430)가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면에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여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으로 더운 공기를 유동시키게 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배기구(430)를 통과하게 되면, 더운 공기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탑 프레임(210)의 측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탑 프레임(210)의 측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측면패널(214)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측면패널(214)에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는 더운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제3배기구(450)가 형성된다. 상기 제3배기 구(45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더운 공기를 탑 프레임(2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시키도록 하는 가능이 수행 가능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부로 더운 공기를 안내하게 되는 형상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배기구(450)가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배기구(430)가 형성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하면패널(212)이 구비되지 않고, 탑 프레임(210)의 개구된 하면이 제2배기구(430)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탑 프레임(210)은 전면과 하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가 지지되고, 개구된 하면은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해 배기되는 더운 공기가 탑 프레임(210)으로 유동하는 통로인 상기 제2배기구(430)를 제공하게 된다. 제2배기구(430)를 통해 탑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3배기구(45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이하에서는 조리기기와 인접해 있는 유체와 본 발명과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리기기는 주방의 싱크대와 인접되어 장착됨에 따라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된다.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및 양 측방에서는,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상기 수용부(120)에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부분의 접촉면이 소정의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되는 방식으로 서로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 공간의 유체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외부 공간의 유체로 인한 문제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 부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단부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 공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배기구 즉,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상기 제1배기구(410)를 통해 배기된 다음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탑 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일정 수준 높은 위치에 제공됨에 따라 탑 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통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이러한 여건에서도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과도한 물은 상기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상기 하면패널(212)을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물은 본체(300)와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으로 낙하되는 물은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통해 캐비넷(10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탑 프레임(210)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물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탑 프레임(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는 상기 배기가이드의 상단부에 비하여 일정 수준 후방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배수구를 향하여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탑 프레임(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기구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스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커트를 따라서 물이 안내되어 낙하하기 때문에 물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는 경우 수용부(120)의 하면에 고인 물이 집수되어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지 않고, 열려있는 경우 수용부(120)의 하측 소정의 위치에 집수장치를 제공하여 조리기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놓이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설치 상태로 제한되지 않고,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테두리 부분과, 양 측방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테두리에 각각의 탑 프레임(210)이 놓이면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하면패널(212) 전단부가 하방으로 벤딩되어 벤딩되는 면이 상기 본체(300)의 후면과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는 더운 공기가 탑 프레임(210)의 측방으로 배기되면서,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탑 프레임(210)의 후면이나 상면을 통해 탑 프레임(210)의 상방 또는 후방으로 배기되는 것도 가능하며, 측방과 후방으로 동시에 배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제작 과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배기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량의 더운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배기구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탑 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기구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배기구 커버를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배기구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것도 가 능하며, 이러한 경우 제품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배기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볼 수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일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