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26022B1 -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022B1
KR100826022B1 KR1020060115551A KR20060115551A KR100826022B1 KR 100826022 B1 KR100826022 B1 KR 100826022B1 KR 1020060115551 A KR1020060115551 A KR 1020060115551A KR 20060115551 A KR20060115551 A KR 20060115551A KR 100826022 B1 KR100826022 B1 KR 10082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luid
hood
suction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의 내부에 원심팬을 사용하여 동일한 양의 유체가 토출구로 토출되고, 토출되는 유체가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여 후드의 내부로 흡입되는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는, 공기를 흡입하는 제1팬; 상기 제1팬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가 배기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1팬의 흡인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일부를 흡입시키는 제2팬; 상기 제2팬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가 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유체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 상기 토출가이드에 의해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제1팬으로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그 유체가 외부 유체와 합류되어 상기 제1팬을 향하여 흡입되도록 하는 유동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2팬은 원심팬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의 후드에 의하면, 효율성과 설치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설계가 자유로워지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 후드, 순환장치, 원심팬, 토출가이드, 유동가이드

Description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Hood and Cycle equipment for hood}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후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흡입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전단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순환장치를 나타낸 전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주방가구 200. 조리기
210. 탑버너부 212. 상면유리
230. 오븐부 232. 오븐도어
234. 도어손잡이 236. 제어부
300. 후드 400. 흡입부
410. 수평부 420. 경사부
430. 흡입커버 440. 흡입그릴
450. 흡입필터 460. 흡입구
500. 후드하우징 510. 제1팬
520. 팬하우징 530. 제2팬
540. 토출구 550. 토출가이드
560. 유동가이드 600. 배기부
700. 순환장치 710. 구획판
712. 좌측패널 714. 후측패널
716. 우측패널 720. 원심팬
730. 순환토출가이드 740. 순환토출구
750. 순환유동가이드
본 발명은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의 내부에 원심팬을 사용하여 동일한 양의 유체가 토출구로 토출되고, 토출되는 유체가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여 후드의 내부로 흡입되는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의 후드는 조리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리기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오염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게 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조리기의 후드는 조리기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 그리고, 흡입되는 열기 및 오염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덕트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후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의 후드를 살펴보기로 한다. 주방의 어느 일정 공간에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기(10)가 설치된다. 상기 조리기(10)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후드(20)가 설치된다.
상기 후드(20)는 후면 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기(10)의 상단부로부터 대략 60∼80㎝ 정도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후드(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리기(10)에서 음식물이 요리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오염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흡입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22)에는 열기 및 오염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를 정화시키는 흡입필터(22')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부(22)의 상측에는 흡입된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배기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부(24)는 흡입부(2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외부 공간과도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부(24)의 내부에는 외부의 전원으로 흡 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26)이 장착되며, 상기 흡입팬(26)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조리기(10)에서 음식물이 요리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오염공기가 흡입부(22)를 거쳐 흡입되어 배기부(24)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22)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는 토출팬(30)이 장착된다. 상기 토출팬(30)은 일반적으로 크로스플로우팬(Cross-flow fan)이 구비되어, 흡입부(22)를 통해 흡입되는 열기 및 오염공기의 일부를 흡입부(22)의 하면 전단부를 통해 강하게 배출함으로써 일종의 에어커튼(Air-curtain)을 형성하여 상기 조리기(10)에서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오염공기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공간 사이에 공기 유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조리기(1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오염공기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을 공기로써 구획하여 사용자가 열기 및 오염공기와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의 후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의 후드에서는 조리기(1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오염물질이 사용자와 직접 접하지 않도록, 상기 흡입부(22)의 하면 전단부로부터 조리기(100)의 전반부 부근까지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형성되는 에어커튼은 높은 압력과 속도로 토출됨으로써 조리기(10)에 사용되는 불꽃에 영향을 주어 불꽃이 꺼지거나 일정한 세기로 음식물을 가열하지 못하게 되어 음식물이 요리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다.
또한,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되는 공기는 다시 상기 흡입부(22)로 흡입되지 못해 실내 공간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위한 팬은 일정한 속도와 압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크로스플로우팬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크로스플로우팬은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무거워 제품의 가격을 증가시키고, 제품 전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뿐만아니라, 크로스플로우팬은 부피가 커 상기 흡입부(22)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으로써 흡입부(22)의 공간 형성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크로스플로우팬으로 인해 흡입부(22)의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후드의 전체적인 효율성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팬을 사용하여 균일한 양의 공기를 일정한 속도로 토출시키는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심팬에 의해 일정한 양의 공기를 일정한 속도로 유출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후드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후드는, 공기를 흡입하는 제1팬; 상기 제1팬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가 배기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 1팬의 흡인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일부를 흡입시키는 제2팬; 상기 제2팬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가 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유체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 상기 토출가이드에 의해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제1팬으로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그 유체가 외부 유체와 합류되어 상기 제1팬을 향하여 흡입되도록 하는 유동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2팬은 원심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제2팬에서 멀리 위치하는 상기 토출구의 지점과, 제2팬에서 가까이 위치하는 토출구의 다른 지점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유체가 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토출구와 마주보는 면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제2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토출구와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후드의 순환장치는,
외부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를 원심 방향으로 토출하여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는 원심팬; 및 상기 원심팬에서 멀리 위치하는 상기 토출구의 지점과 상기 원심팬에서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토출구의 다른 지점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유체가 유출되도록 하는 가이드하는 토출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면의 상기 토출가이드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원심팬에서 멀어질수록 전방으로 나와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토출구와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이동거리가 먼 측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의 후드에 의하면, 효율성과 설치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설계가 자유로워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빌트인 제품에 적용된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최근에는 주방의 공간을 아름답게 디자인하여 각종 주방기기들을 주방가구에 내부에 주방가구와 어울리도록 조화롭게 설치하는 빌트인(Built-in) 타입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빌트인 타입은 주방기기가 주방가구와 어울리도록 함으로써 주방 공간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주방 공간에는 주방가구(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주방가구(100)에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조리기(200)가 수납되면서 장착된다.
상기 조리기(200)의 상방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조리기(2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후드(300)가 장착된다.
상기 조리기(200)의 상단부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음식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요리하는 탑버너부(210)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210) 의 상면은 상면유리(212)로 차폐되고, 상기 상면유리(212)의 하측에는 다수의 버너가 장착되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버너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버너의 열에 의해 요리된다.
상기 상면유리(212)는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되며, 이러한 상면유리(212)는 버너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열 투과성이 좋도록 형성되어, 버너에서 발산되는 열이 투과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210)의 하측에는 음식물을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여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23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230)는 밀폐된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한 다음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오븐부(2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오븐부(23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오븐도어(232)가 장착된다. 상기 오븐도어(232)는 오븐부(230)의 전면 하단부와 힌지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오븐도어(232)의 전면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232)를 회동시키기 위해 파지하게 되는 도어손잡이(234)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븐도어(232)의 전면 상측에는 제어부(236)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36)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부(230)를 사용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며, 오븐부(230)의 내부에서 요리되는 음식물의 상태 및 오븐부(23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조리기(2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드(300)가 상기 주방가구(100)의 전면에 장착된다. 주방가구(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상기 후드(300)는 조리기(200)에 형성되는 상기 탑버너부(210)와 오븐부(23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배기가스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후드(300)는 전체적으로 상기 조리기(200)에서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가 포함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부(400)와, 상기 흡입부(400)의 상측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되는 후드하우징(500) 그리고, 상기 후드하우징(500)을 통과하는 유체를 외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기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40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적은 상기 조리기(200)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길이는 다소 짧게 형성되어, 단면적이 넓은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400)는 상기 조리기(200)의 상면과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410)와, 상기 수평부(410)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가지면서 수평부(410)와 연통되는 경사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410)에는 야간에도 상기 조리기(200)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이 다수 설치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상기 경사부(420)의 하면에는 경사부(420)의 하면 단면적보다 적은 단면적을 가지는 흡입커버(430)가 장착 된다.
상기 흡입커버(4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음에 설명할 흡입그릴(440)의 하면에 힌지로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흡입커버(430)는 댐퍼에 의해 개방 정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흡입커버(430)를 개방하였을 경우 흡입커버(43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흔들리는 흡입커버(430)에 의해 인체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개방 정도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경사부(420)의 서비스 작업 또는 다음에 설명할 흡입필터(450)의 교체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받치고 있는 번거러움을 덜어 줌으로써 서비스 작업의 작업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상기 경사부(420)의 하면은 상기 흡입커버(43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절제된다. 이러한 절제된 부위가 상기 조리기(200)의 사용으로 발생하게 되는 유체를 상기 후드(3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통로인 흡입구(460)가 된다.
상기 흡입구(460)를 포함한 상기 흡입커버(430)의 상측에는 흡입그릴(440)이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440)에 의해 상기 조리기(200)의 사용으로 발생하게 되는 유체에 포함되어 상기 흡입구(460)를 거쳐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비교적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440)의 하면에는 흡입그릴(440)의 하면 전체를 차폐하는 흡입필터(450)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필터(45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일정 기간의 경과 시 사용자가 흡입필터(450)를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420)의 하면 측단부 즉, 상기 흡입구(460)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사부(420)의 하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후드(300)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버튼이 다수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버튼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함으로써 후드(30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흡입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전단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흡입그릴(440)의 상면 상측 다시 말해, 상기 후드하우징(500)에는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 운동하면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제1팬(510)이 장착된다.
상기 후드하우징(500)은 단면적이 상기 흡입부(400)의 단면적 보다 다소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후드하우징(50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흡입부(400)와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팬(510)이 회전 운동함으로써 흡인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이러한 흡인력은 상기 후드하우징(500)과 연통되는 상기 흡입부(400)에도 흡인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흡입부(400)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조리기(2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유체가 상기 흡입구(460)를 통해 상기 흡입필터(450)와 흡입그릴(440)을 통과하면서 후드하우징(500)의 내부로 유동하 게 된다.
상기 제1팬(510)은 상기 흡입그릴(440)의 후방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좌우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으로 유출시키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팬(510)은 팬하우징(520)에 의해 양 측면과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감싸도록 형성하게 되고, 상기 팬하우징(520)에 의해 제1팬(510)의 양 측면으로 흡입되는 유체가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300)에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후드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상기 제1팬(510)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제1팬(510)의 회전 운동으로 후드하우징(500)의 내부에서는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흡인력으로 인해 외부의 유체가 상기 흡입구(460)를 거쳐, 상기 흡입필터(450)를 통과한 제1팬(510)의 양 측방으로 유동하게 된다.제1팬(510)의 양 측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상기 팬하우징(520)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후드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1팬(510)의 흡인력에 의해 후드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의 일부를 흡입시키는 제2팬(530), 상기 제2팬(5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동하게 되는 유체가 상기 흡입부(400)의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토출구(540)와, 제2팬(5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동하게 되는 유체를 상기 토출구(540)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550) 및 상기 토출가이드(550)에 의해 안내되어 토출구(54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제1팬으로 향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고, 그 유체가 외부의 유체와 합류되어 제1팬(510)으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동가이드(560) 등이 장착된다.
상기 제2팬(530)은 원심팬이 사용되며, 상기 원심팬은 회전 운동하면서,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여 접선 방향으로 유출하게 된다. 이러한 원심팬은 소정의 두께와 직경을 가지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팬날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팬(530)의 회전 운동으로 제2팬(530)의 접선 방향으로 유출되는 유체는 상기 토출가이드(55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540)로 일정한 양과 속도를 가지도록 유동하게 된다. 토출구(540)로 일정한 양과 속도를 가지도록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토출구(540)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양과 속도를 가지고 외부 공간으로 유출된다.
상기 토출구(540)는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토출구(540)의 하측에는 토출구(540)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제1팬(510)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56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560)는 상기 경사부(420)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540)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양과 속도를 가지고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유체는 상기 유동가이드(56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흡입부(400)의 전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흡입부(400)의 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상기 제1팬(5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흡입부(4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유동가이드(560)는 우측방에서 볼 때 대략 하방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 되면서 단부가 상기 경사부(420)의 하면 전단부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가이드(560)는 우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560)의 외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상기 제1팬(5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될 때 주변의 외부 공기를 유도하여 외부 공기와 동시에 흡입부(4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후드의 순환장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순환장치를 나타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드하우징(5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는 상기 후드(30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게 되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700)가 장착된다. 상기 순환장치(700)에는 하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후드하우징(500)과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710)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판(7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획판(7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판재들과 함께 상기 후드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 공간과 후드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즉, 상기 구획판(710)의 상측은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 공간이 되고, 구획판(710)의 하측은 순환장치(700)의 외부 공간, 다시 말해, 상기 후드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이 된다.
상기 구획판(7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패널이 형성된다. 구획판(710)의 좌측 테두리에는 상기 순환장치(7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좌측패널(712)이 형성되고, 구획판(710)의 후측 테두리에는 순환장치(70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측패널(714)이 형성되며, 구획판(710)의 우측 테두리에는 순환장치(700)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패널(716)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7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좌측패널(712)과 후측패널(714) 그리고, 우측패널(716)의 상단부는 상기 후드하우징(500)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의 하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는 하나의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획판(71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으로 치우쳐진 상면에는 원심팬(720)이 장착된다. 상기 원심팬(720)은 소정이 직경과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팬날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심팬(720)은 회전 운동함으로써 하방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외측방으로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심팬(720)이 장착되는 부분의 구획판(710)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홀이 형성되어 원심팬(7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후드하우징(500)내부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후측패널(714)의 전방에는 상기 원심팬(720)의 회전 운동으로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순환토출가이드(730)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 상으로 형성되며, 후측패널(714)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는 우측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후측패널(714)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순환토출가이드(730)는 상기 원심팬(720)과 멀어질수록 다음에 설명할 순환토출구(740)와 가까워지도록 위치하게 된다.이러한 순환토출가이드(730)의 우측단부는 상기 우측패널(716)의 좌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가 상기 원심팬(720)과 멀어질수록 상기 순환토출구(740)와 가까워지도록 위치하게 되는 것은 원심팬(7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원심팬(720)의 외측방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상기 순환토출구(740)에 일정한 양과 속도를 가지고 도착하도록 유체를 안내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원심팬(720)의 하측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원심팬(720)이 회전 운동하게 됨에 따라 원심팬(720)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를 원심팬(7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순환토출구(740)와 가까운 위치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이는 원심팬(720)으로부터 멀어지는 유체가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의 전면에 의해 안내되어 보다 빨리 순환토출구(740)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원심팬(72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원심팬(720)의 외측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에 의해 안내되어 일정한 양의 유체가 상기 순환토출구(74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원심팬(7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 다고 가정하면, 원심팬(720)의 하측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하면서 원심팬(720)의 하측으로부터 중심부로 유동하게 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다수의 팬날개에 의해 외측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원심팬(720)은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 공간에서 좌측으로 치우쳐져 있게 때문에 원심팬(720)의 우측방으로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유동하게 되고, 원심팬(720)의 우측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많은 양의 공기는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순환토출구(740)로 동일한 양의 유체가 유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원심팬(72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 원심팬(720)의 위치는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 공간에서 우측으로 치우쳐지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는 원심팬(720)의 좌측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원심팬(7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장착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되며, 원심팬(720)의 장착 위치에 따라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가 장착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순환장치(700)의 전단부에는 상기 원심팬(7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동하게 되는 유체가 순환장치(700)의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순환토출구(740)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토출구(740)는 높이가 낮고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순환토출구(740)의 하측에는 순환토출구(740)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순환유동가이드(750)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유동가이드(750)는 하방으로 라운드게 형성된 다음 상기 경사부(420)의 전단부와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순환유동가이드(750)는 우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경사부(420)의 전단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순환토출구(740)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는 순환유동가이드(750)의 표면을 따라 안내되어 경사부(420)의 하면으로 향하게 되면서, 상기 제1팬(510)의 회전 운동으로 발생하게 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460)를 통해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순환토출구(740)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는 상기 순환유동가이드(75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경사부(42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기를 상기 흡입구(460)를 향하여 유동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심팬(720)에는 단상유도모터가 장착된다. 단상유동모터는 크로스플로우팬에 사용되는 모터보다 저가이면서,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이점이 있다.
따라서, 크로스플로우팬을 사용하지 않고, 원심팬(720)을 사용하게 되면, 가벼우면서도 제품 설계가 자유로우며, 부피가 작아 공간상의 제약이 적은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후드 및 순환장치의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후드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2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조리기(20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배기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후드(3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후드(300)에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게 되면, 후드(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팬(510)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제1팬(5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는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고, 흡입부(4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유체는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1팬(510)을 감싸고 있는 상기 팬하우징(520)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상기 배기부(600)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출된다.
상기 배기부(600)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의 일부는 상기 원심팬(7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순환장치(70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순환장치(70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원심팬(720)의 외측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순환토출가이드(73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순환토출구(740)를 통해 상기 경사부(420)의 전단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토출구(740)를 통해 상기 경사부(420)의 전단부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동일한 양과 속도를 가지면서 순환토출구(740)를 통과하게 된다. 순환토출구(740)를 통과하여 경사부(420)의 전단부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상기 유동가이드(760)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가이드(76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다시 경 사부(420)의 하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420)의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상기 제1팬(5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상기 흡입부(400)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부(4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 경사부(420)의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경사부(42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여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 공간으로 같이 유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리기(2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와 배기가스가 포함되는 유체가 상기 후드(30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되며,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여 상기 흡입부(400)의 내부 공간으로 동시에 흡입됨으로써 상기 제1팬(510)의 회전 운동을 위한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를 냉각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들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후드에서는 상기 후드의 내부에 원심팬이 장착되고, 이러한 원심팬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의 일부가 다시 순환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동되면서, 조리기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외부의 공기를 유 도하여 동시에 흡입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플로우팬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과 조리기가 사용되고 있는 공간을 분리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팬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효과가 있으며, 팬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써 제품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효과가 있다.
제품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써 제품의 설치성 및 운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에어커튼을 사용하지 않고 조리기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탑버너부의 요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안정성과, 요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크로스플로우팬을 사용하지 않고 원심팬을 사용함으로써 팬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후드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으며, 후드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됨에 따라 후드 전체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즉, 동일한 크기의 후드를 설치하게 되더라도, 후드 내부 공간이 넓어짐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유체 흡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저가형의 단상유도모터가 사용됨으로써 제품의 가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기를 흡입하는 제1팬;
    상기 제1팬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가 배기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1팬의 흡인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일부를 흡입시키는 제2팬;
    상기 제2팬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가 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유체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
    상기 토출가이드에 의해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제1팬으로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그 유체가 외부 유체와 합류되어 상기 제1팬을 향하여 흡입되도록 하는 유동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2팬은 원심팬인 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제2팬에서 멀리 위치하는 상기 토출구의 지점과, 제2팬에서 가까이 위치하는 토출구의 다른 지점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유체가 유출되도록 토출구와 마주보는 면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후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제2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토출구와의 거리는 가까워지는 후드.
  4. 외부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를 원심 방향으로 토출하여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는 원심팬; 및
    상기 원심팬에서 멀리 위치하는 상기 토출구의 지점과 상기 원심팬에서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토출구의 다른 지점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유체가 유출되도록 하는 가이드하는 토출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면의 상기 토출가이드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원심팬에서 멀어질수록 전방으로 나와 있는 후드의 순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토출구와의 거리는 가까워지는 후드의 순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후드의 순환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이동거리가 먼 측에 장착되는 후드의 순환장치.
KR1020060115551A 2006-11-22 2006-11-22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KR10082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51A KR100826022B1 (ko) 2006-11-22 2006-11-22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51A KR100826022B1 (ko) 2006-11-22 2006-11-22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022B1 true KR100826022B1 (ko) 2008-04-28

Family

ID=3957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551A KR100826022B1 (ko) 2006-11-22 2006-11-22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0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959B1 (en)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JP2003114041A (ja) 2001-10-05 2003-04-18 Toshio Sakurazawa 空気清浄器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041A (ja) 2001-10-05 2003-04-18 Toshio Sakurazawa 空気清浄器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100347959B1 (en)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33B1 (ko) 오븐
KR102613956B1 (ko)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US20220146114A1 (en) Hob system
CN100520187C (zh) 组合有排气部分的微波炉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KR102035800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KR101304691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100112339A (ko)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
KR100826022B1 (ko) 후드 및 후드의 순환장치
JP2004184059A (ja) 壁掛け型電子レンジ
JP3735810B2 (ja) 加熱調理器
JP200434904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91918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381708B1 (ko) 주방 스마트 후드
KR20080076172A (ko) 내부 조리공간을 갖는 후드의 배기구조
JP619888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10015784A (ko) 조리기기
CN217441746U (zh) 一种吸油烟机
EP4325124A1 (en) Range hood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same
KR100601216B1 (ko) 공기조화기를 구비한 주방용 후드
KR20050102459A (ko) 전자렌지
CN217816923U (zh) 一种具有防烟风幕和制冷功能的集成灶
JP6639289B2 (ja) 加熱調理器
KR100700771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백가드가 구비된 오븐레인지
JP4702845B2 (ja) レンジ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