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00693B1 -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693B1
KR100800693B1 KR1020060118501A KR20060118501A KR100800693B1 KR 100800693 B1 KR100800693 B1 KR 100800693B1 KR 1020060118501 A KR1020060118501 A KR 1020060118501A KR 20060118501 A KR20060118501 A KR 20060118501A KR 100800693 B1 KR100800693 B1 KR 10080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ess
called terminal
request
cal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693B1/ko
Priority to US11/946,546 priority patent/US200801308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6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70Identification of class of calling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6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source of the receiv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33Call handling or answering restrictions, e.g.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1CLI, identification of call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7Operator,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이전에 접속 권한을 획득해야 한다. 이러한 접속 권한의 획득은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의 관리하에 이루어진다. 원격 접속을 위해 보호자의 단말이 획득한 접속 권한으로 접속을 시도하면, 피보호자의 단말은 올바른 접속 권한을 가지는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인지를 판단한 후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만일 접속이 허용되면, 피보호자의 단말은 단지 마이크만 온(on)되어 보호자의 단말에 주변 소리를 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호자는 주변 소리를 듣고 피보호자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CID, 접속 권한

Description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UARD SERVICE USING CI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드(guar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속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ID 정보의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상대방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이 처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 도시화에 따른 인구 과밀화와 금전만능의 풍조가 사회에 만연하게 되면서 각종 범죄도 증가하여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나 청 소년을 대상으로 한 무분별한 납치 범죄와 함께 부녀자의 택시 납치사건 등이 자주 발생하여 밤에 택시와 같은 대중 차량을 탑승해야만 할 때, 탑승자나 가족들이 불안감에 마음을 졸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의 일 실시예로 위치 추적 서비스, SOS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위치 추적 서비스는 GPS 송수신기가 내장된 피보호자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보호자용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 그 GPS 송수신기를 통해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하지만, 이러한 위치 추적 서비스는 단순히 피보호자의 위치만을 제공할 뿐이다. 예를 들어, 사춘기의 자녀를 둔 학부모가 자녀의 현재 상태 즉,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하더라도 학부모는 단순히 어디에 있는지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또한, SOS 서비스는 피보호자가 긴급 상황에 처했을 때 미리 설정해놓은 수신처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신이 긴급 상황에 처했음을 알리는 서비스이다. 하지만, 이 SOS 서비스의 경우 피보호자가 위급한 상황을 직접 알려야하기 때문에, 정신을 잃은 부녀자, 유아 등의 피보호자가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위치 추적 서비스의 경우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현재 위치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SOS 서비스의 경우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직접 긴급 상황 발생임을 알려야 했으므로 건물 붕괴, 산사태 및 납치 등의 위급한 상황일 경우에는 이를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 시 피보호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보호자로 하여금 긴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권한을 획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 단말기로의 가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상기 획득한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하는 발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접속 권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를 인증하여 접속 권한을 제공하는 권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가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한 후 스피커는 오프시켜 통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 신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권한을 요청하는 과정과, 권한 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를 인증하여 접속 권한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 단말기로의 가드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한 후 스피커는 오프시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이전에 접속 권한을 획득해야 한다. 이러한 접속 권한의 획득은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의 관리하에 이루어진다. 원격 접속을 위해 보호자의 단말이 획득한 접속 권한으로 접속을 시도하면, 피보호자의 단말은 올바른 접속 권한을 가지는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인지를 판단한 후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만일 접속이 허용되면, 피보호자의 단말은 단지 스피커는 오프시킨 상태에서 마이크만 온(on)되어 보호자의 단말에 주변 소리를 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호자는 주변 소리를 듣고 피보호자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호 접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격 접속을 위해 발신하는 보호자용 발신 단말기(100)와 그 발신에 대응하는 호를 착신하는 피보호자용 착신 단말기(110)로 구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드(guar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00), 착신 단말기(110), 기지국(BS: Base Transceiver Station/Base Station Controller)(115),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20),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25), 이동통신망(130) 및 권한 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지국(115)은 각 단말기(100,110)와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100, 110)와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20)는 각 단말기(100, 110)로부터 발/수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이동교환국과 망연동을 하고, 홈위치등록기(125)로 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홈위치등록기(125)는 단말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착신 호에 대한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다.
특히 권한 서버(140)는 권한 인증을 관리해주는 서버로써, 가드 서비스를 요청하는 보호자의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100)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는 ID를 부여하 여 발신 단말기(100)를 인증하고, 향후 그 발신 단말기(100)와의 인증을 위해 피보호자의 단말기인 착신 단말기(110)에게도 그 ID를 공통으로 제공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15), 이동교환국(120), 홈위치등록기(125) 및 권한 서버(140)를 합쳐서 코어 네트워크(130)라고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용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코어 네트워크(130)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구성 요소 간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접속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속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가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려면 피보호자의 단말기의 마이크만 온시킨 후, 코어 네트워크(130)를 통해 보호자의 단말기로 수신되는 소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접속 권한이 필요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130)의 권한 서버(140)의 관리하에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110) 간에 원격 접속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각의 단말기(100, 110)로부터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물론 기지국 등을 통해 전달됨은 물론이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어 네트워크(130)로 칭한다.
이러한 접속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발신 단말기(100)는 2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원격 접속을 위한 접속 권한 요청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접 속 권한 요청이 입력되면 21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130)로 접속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130)는 220단계에서 그 요청을 착신 단말기(110)에 전달한다.
한편, 착신 단말기(110)는 접속 권한 획득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230단계에서 접속 권한을 요청한 단말이 접속 허용 가능한 대상인지를 판단한다. 이어, 착신 단말기(110)는 240단계에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접속 권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신 단말기(100)가 접속 권한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접속 허용 단말기이며, 240단계에서 접속 권한 획득을 허용하는 응답을 전송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130)는 250단계에서 향후 인증하는데 필요한 접속 허용 ID를 250단계 및 270단계에서 각각 착신 단말기(110) 및 발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즉, 코어 네트워크(130)는 착신 단말기(110) 및 발신 단말기(100)에게 공통의 접속 허용 ID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착신 단말기(110)는 26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130)로부터 전송된 접속 허용 ID를 저장하고, 발신 단말기(100)도 28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130)로부터 전송된 접속 허용 ID를 저장한다. 이때, 발신 단말기(100)는 향후 접속 허용 ID만 선택해도 원격 접속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신 단말기(110)의 전화번호와 맵핑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발신 단말기(100) 및 착신 단말기(110)에는 상기와 같이 방법으로 서로를 인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허용 ID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접속 권한을 획득하게 되면, 발신 단말기(100)는 획득한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향후 원격 접속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격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가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가드 서비스를 발신 단말기(100)에게 제공하기 위해 착신 단말기(110)는 원격 접속을 통해 가드 서비스를 요청한 발신 단말기(100)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분석하고, 그 가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110) 간의 원격 접속을 위해 권한 서버(140)에서 발신자 정보(caller ID:이하 'CID') 서비스를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CID 서비스는 착신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착신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알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착신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CID 정보에 가드 서비스에 따른 호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코드값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CID 정보가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면, 착신 단말기에서는 착신음 등을 통해 호 착신을 알리는 동작을 생략하고 단지 마이크만을 온 시켜 주변 소리만 발신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착신 단말기에서는 착신자가 호 착신을 인지할 수 없도록 호 착신음을 출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발신자의 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피커는 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먼저, 발신 단말기(100)는 3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접속 허용 ID가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발신 단말기(100)는 원격 접속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 메뉴를 선택하면 미리 접속 권한을 획득해놓은 모든 접속 허용 ID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허용 ID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접속 허용 ID를 선택할 수 있다.
300단계에서 판단 결과 접속 허용 ID가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기(1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코어 네트워크(130)로 선택된 접속 허용 ID를 포함하는 발호 요구 메시지(Origination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 즉, 발신자는 착신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접속 허용 ID에 해당하는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접속 허용 ID는 접속 권한을 획득할 때 착신 전화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착신 전화번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될 경우에 그 착신 전화번호에 맵핑되는 접속 허용 ID를 검색하여 발호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접속 허용 ID가 선택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통화연결키가 눌리면 발신 단말기(100)는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통화연결키가 입력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100)는 305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130)로 착신 단말기(110)에 대한 발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의 발호 요구 메시지는 접속 허용 ID를 포함한 것이기 때문에 가드 서비스 시작 요청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130)는 310단계에서 발신 단말기(100)로 채널 할당 메시지(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전송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315단계에서 착신 단말기(110)로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속 허용 ID는 CID 정보 형태로 변환되어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된다. 이러한 CID 정보는 정보 알림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 내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여기서, CID 정보는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정보 알림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소정의 필드에 설정되어 전송되는데, 그 구성은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ID 정보의 구성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ID 정보는 최대 256 bytes 크기를 가지며, CID 정보임을 알리는 헤더, 권한 ID 길이, 권한 ID, 가드 서비스 ID 길이, 가드 서비스 ID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도 권한 ID 필드에는 실제적으로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접속 허용 ID가 포함되며, 가드 서비스 ID 필드에는 현재 정보 알림 메시지는 착신자로 하여금 전화를 건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인지하기 위한 것이 아닌 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임을 알리기 위한 코드값이 설정된다.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 연결을 시도하면서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CID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알림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것이다. 그러면, 착신 단말기(110)는 현재의 호 연결 시도가 그 정보 알림 메시지 내의 CID 정보를 근거로 가드 서비스에 대한 요청임을 인지하게 된다. 즉, CID 정보 내의 가드 서비스 ID 필드를 분석하여 가드 서비스에 대한 요청임을 인지 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착신 단말기(110)는 CID 정보 내의 권한 ID 필드를 분석하여 320단계에서 그 권한 ID 필드 내에 포함된 접속 허용 ID가 미리 저장해놓은 접속 허용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어,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착호에 응답하여 착신 단말기(110)는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코어 네트워크(130)로 전송한다. 이때, 착신 단말기(110)는 판단 결과 일치하는 접속 허용 ID가 있는 경우 원격 접속을 허락하는 응답을 코어 네트워크(130)로 전송하게 된다.
착신 단말기(110)가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착호에 응답하면 코어 네트워크(130)는 330단계에서 발신 단말기(100)에게 통화 연결 메시지(Connected Message)를 전송한다. 그러나 착신 단말기(110) 내에 일치하는 접속 허용 ID가 없는 경우에는 원격 접속을 거절하는 응답을 코어 네트워크(13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130)에서는 통화 연결 메시지 대신 통화 연결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게 될 것이다. 도 4에서는 원격 접속을 허락하는 응답을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130)에서 통화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100)로 전송되면, 335단계에서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110) 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가드 서비스가 수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신 단말기(110)는 원격 접속을 허락하고 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만 온 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의 통화 연결 시와 마찬가지로 발신 단말기(100)는 착신자에 의해 통화 연결키가 눌리지 않더라도 착신 단말기(110)와 바로 통화 연결이 이루어져 착신 단말기(11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모든 소리를 발신자에게 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드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보호자는 미리 획득해놓은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피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원격 접속할 수 있게 되어 그 단말기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를 듣고 피보호자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보호자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함으로써, 그 권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접속하여 피보호자의 주변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피보호자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부녀자의 납치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피보호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보호자가 직접 원격으로 접속함으로써 긴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권한을 획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 단말기로의 가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상기 획득한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하는 발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접속 권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를 인증하여 접속 권한을 제공하는 권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가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한 후 스피커는 오프시켜 통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접속 권한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착신 단말기로 접속 권한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에게 접속 허용 ID를 공통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접속 허용 ID를 포함하는 가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접속 허용 ID를 정보 알림 메시지 내의 CID 정보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는
    상기 권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CID 정보에 포함된 접속 허용 ID가 미리 저장해놓은 접속 허용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권한을 요청하는 과정과,
    권한 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를 인증하여 접속 권한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 단말기로의 가드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한 후 스피커는 오프시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권한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권한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접속 권한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착신 단말기로 접속 권한 요청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에게 접속 허용 ID를 공통으로 제공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 허용 ID를 포함하는 가드 서비스 요청을 상기 권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권한 서버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 허용 ID를 정보 알림 메 시지 내의 CID 정보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해당 착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접속 허용 여부의 판단은,
    상기 권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CID 정보에 포함된 접속 허용 ID가 미리 저장해놓은 접속 허용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118501A 2006-11-28 2006-11-28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0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01A KR100800693B1 (ko) 2006-11-28 2006-11-28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46,546 US20080130854A1 (en) 2006-11-28 2007-11-2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uardian service by using caller 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01A KR100800693B1 (ko) 2006-11-28 2006-11-28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693B1 true KR100800693B1 (ko) 2008-02-01

Family

ID=3934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5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0693B1 (ko) 2006-11-28 2006-11-28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30854A1 (ko)
KR (1) KR100800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5414B2 (en) 2016-12-15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219A (ko) * 2002-02-05 2002-03-29 유병섭 이동전화단말기의 자동 통화 방법
JP2006217069A (ja) 2005-02-01 2006-08-17 Sony Corp 携帯通信端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8425A1 (en) * 2002-10-01 2004-10-07 Mellone Charles M. Establishing half-duplex audio link as battery saving means
US7099653B2 (en) * 2002-12-20 2006-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connection call authentication within a telephony network
KR100501189B1 (ko) * 2003-05-15 2005-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착신 알림 방법
US7257199B2 (en) * 2003-11-20 2007-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lephony based remote location monitoring
DE102005046965B3 (de) * 2005-09-30 2007-02-15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Verifikation einer im Zuge einer Verbindungsanfrage zum Zweck des Aufbaus einer Sprach-Kommunikationsverbindung übermittelten Absenderadresse in einem IP-Kommunikationsnetzwerk
US20070191025A1 (en) * 2006-02-13 2007-08-16 Gemini Technologies Global Ltd. Locating devic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219A (ko) * 2002-02-05 2002-03-29 유병섭 이동전화단말기의 자동 통화 방법
JP2006217069A (ja) 2005-02-01 2006-08-17 Sony Corp 携帯通信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5414B2 (en) 2016-12-15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0854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216B1 (ko)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특성의 원격 전환 방법
KR100827709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78128A1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CN100539467C (zh) 用于在紧急状况期间在移动台中连接呼叫的方法
JP2013176064A (ja) 端末切替サービスで着信不可呼に対する発信情報メッセージの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71377B1 (ko) 반이중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07113350A (zh) 用于运行通信系统的方法以及通信系统
US817054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subscriber identity identity code notification apparatus
KR100800693B1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064864A (ja) 携帯無線端末の状況伝達方法
JP2004064562A (ja) 着信通知方式指定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
JP2001313984A (ja) ビージーメッセージ送信システム、ビージー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862527B1 (ko) 근거리무선통신용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기간 음성통화시스템 및 방법
KR2005005788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사용 제한 방법
JP3990087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位置情報取得方法ならびに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通知方法
JP20062114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KR100645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시스템 및 방법
JP5302370B2 (ja) 通信装置の動作特性の遠隔変更方法
JP2017050714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65022B2 (ja) 着信規制方法、識別情報管理装置、発信端末
KR20040026933A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20020021835A (ko)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20140046782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JP2007129359A (ja) 通話禁止エリア内の移動無線端末に対する発呼者への応答サービ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80085726A1 (en) Diversified tracking-positioning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