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029B1 -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6029B1 KR100806029B1 KR1020060032603A KR20060032603A KR100806029B1 KR 100806029 B1 KR100806029 B1 KR 100806029B1 KR 1020060032603 A KR1020060032603 A KR 1020060032603A KR 20060032603 A KR20060032603 A KR 20060032603A KR 100806029 B1 KR100806029 B1 KR 100806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signal
- input
- unit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5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101150075799 CPX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1100108853 Mus musculus Anp32e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101150048336 Fl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membrane, e.g. a drum; Pick-up means for vibrating surfaces, e.g. housing of an instru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21—Garment sensors, i.e. musical control means with trigger surfaces or joint angle sensors, worn as a garment by the player, e.g. bracelet, intelligent cloth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21—Garment sensors, i.e. musical control means with trigger surfaces or joint angle sensors, worn as a garment by the player, e.g. bracelet, intelligent clothing
- G10H2220/326—Control glove or other hand or palm-attached control devic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5—Acceleration sensing or accelerometer use, e.g. 3D movement computation by integration of accelerometer data, angle sens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e. gravity sens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ue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85—USB, i.e. either using a USB plug as power supply or using the USB protocol to exchange data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315—Sound category-dependent sound synthesis processes [Gensound] for musical use; Sound category-specific synthesis-controlling parameters or control means therefor
- G10H2250/435—Gensound percussion, i.e. generating or synthesising the sound of a percussion instrument; Control of specific aspects of percussion sounds, e.g. harmonics, under the influence of hitting force, hitting position, settings or striking instruments such as mallet, drumstick, brush or han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08—Wires
- H01H2203/0085—Layered switches integrated into garment, clothes or texti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08—Wires
- H01H2203/01—Woven wire scree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64—Simulating the appearance of touch pan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Glov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4)
- 삭제
- 삭제
- 삭제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비 장갑부의 3개 부 중 2개 이상의 부를 포함하는 패드부;상기 패드부의 2개 이상의 도전성 패드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여 인식된 패드의 쌍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패드부는 오른손 장갑부, 왼손 장갑부 그리고 비 장갑부 중 2개 부를 포함하고 그 중 한 부인 제1 패드부는 풀업 저항을 통해 전원 전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며, 나머지 한 부인 제2 패드부는 본체부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며,상기 본체부는 여러 개의 출력 포트에서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출력 포트에만 0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포트에는 5볼트를 출력하고, 그와 병행하여 입력 포트를 검사하여 전압 강하가 감지된 입력 포트와 그때 0볼트를 출력한 출력 포트로부터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비 장갑부의 3개 부 중 2개 이상의 부를 포함하는 패드부;상기 패드부의 2개 이상의 도전성 패드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여 인식된 패드의 쌍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패드부 중 상기 왼손 장갑부와 오른손 장갑부는 풀업 저항을 통해 전원 전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출력 겸용포트에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비 장갑부는 풀업 저항을 통해 전원 전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며,상기 본체부는 한 순간에는 왼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가 출력포트로 설정되고, 오른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는 입력포트로 설정되는 동작모드1과 ,그와 반대로 왼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가 입력포트로 설정되고, 오른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는 출력포트로 설정되는 동작모드2 사이를 끊임 없이 왕복하면서 주어진 동작 모드의 여러 개의 출력 포트에서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출력 포트에만 0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포트에는 5볼트를 출력하고, 그와 병행하여 입력 포트를 검사하여 전압 강하가 감지된 입력 포트와 그때 0볼트를 출력한 출력 포트로부터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비 장갑부의 3개 부 중 2개 이상의 부를 포함하는 패드부와;상기 패드부의 2개 이상의 도전성 패드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여 인식된 패드의 쌍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패드부 중 상기 왼손 장갑부와 오른손 장갑부는 풀업 저항을 통해 전원 전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출력 겸용포트에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비 장갑부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며,상기 본체부는 한 순간에는 왼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가 출력포트로 설정되고, 오른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는 입력포트로 설정되는 동작모드1과 ,그와 반대로 왼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가 입력포트로 설정되고, 오른손 장갑의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입출력 겸용 포트는 출력포트로 설정되는 동작모드2 사이를 끊임 없이 왕복하면서 주어진 동작 모드의 여러 개의 출력 포트에서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출력 포트에만 0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포트에는 5볼트를 출력하고, 그와 병행하여 입력 포트를 검사하여 전압 강하가 감지된 입력 포트와 그때 0볼트를 출력한 출력 포트로부터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도전성 패드가 직물 형태로 짜여진 비 장갑부와 하나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형 패드부를 구비한 패드부와;상기 스타일러스 펜형 패드부의 패드가 상기 비 장갑부에 접촉한 위치의 2차원 좌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좌표 값에 할당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비 장갑부는 한 쪽 면이 부도체이고 나머지 한 쪽 면이 도체인 얇고 긴 테이프를 씨줄과 날줄로 하여 모든 테이프의 도체인 면이 동일 면을 향하는 직물 형태로 짜여진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 장갑부는풀업 저항을 통해 전원 전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씨줄을 구성하는 도전성 패드와,본체부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출력포트에 연결되고 날줄을 구성하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고,상기 본체부는 여러 개의 출력 포트에서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출력 포트에만 0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포트에는 5볼트를 출력하고, 그와 병행하여 입력 포트를 검사하여 전압 강하가 감지된 입력 포트와 그때 0볼트를 출력한 출력 포트로부터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고 인식된 서로 접촉한 쌍들의 씨줄과 날줄의 번호에 의해 결정되는 좌표들의 평균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삭제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비 장갑부의 3개 부 중 2개 이상의 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패드부 중 하나인 제1 패드부는 본체부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며, 나머지 한 부인 제2 패드부는 도전성 패드와, 상기 도전성 패드부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부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고유의 ID를 전파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 방사부로 구성된 무선 패드부를 구비한 패드부와;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교류 전원부와, 상기 교류 전원부의 출력의 일 단이 스위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자에 상기 제1 패드부의 도전성 패드가 연결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패드부의 무선 신호 방사부에서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ID를 인식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와, 상기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ID와 ID가 수신된 순간에 On 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삭제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비 장갑부의 3개 부 중 2개 이상의 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 장갑부는 상기 도전성 패드에 입력단이 연결된 교류 전기 신호를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부의 트리거 신호에의해 고유의 ID를 전파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 방사부로 구성된 무선 패드부를 구비하는 패드부와;교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교류전원부와, 상기 제1 교류 전원부의 출력의 일 단이 스위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자에 왼손 장갑부의 패드가 연결된 제1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 아나로그 멀티플렉서를 주기적으로 활성/비활성화 시키는 활성/비활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상기 활성/비활성 신호를 무선전파로 방사하는 동작모드 전파 송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왼손 장갑부에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본체부와; 교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교류전원부와, 상기 제2 교류 전원의 출력의 일 단이 스위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자에 오른손 장갑부의 패드가 연결된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교류 전기 신호를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부의 트리거 신호에의해 고유 ID를 전파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 방사부와, 오른손 장갑부의 패드가 스위치의 일 단에 연결되고 나머지 일단에 상기 접촉 감지부의 입력단이 연결된 하나의 스위치로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 본체부의 동작모드 전파 송신부에서 송신된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모드 전파 수신부와, 상기 동작모드 전파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를 비활성/활성화 시키고 동일한 주기로 상기 하나의 스위치로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를 반대로 활성/비활성화 시키는 제2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구비한 제2본체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와 비 장갑부에 포함된 무선 신호 방사부에서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ID를 인식하는 제1 무선 신호 수신부와, 제1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ID와 ID가 수신된 순간에 On 된 제1 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상기 제2 본체부는 비 장갑부에 포함된 무선 신호 방사부에서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ID를 인식하는 제2 무선 신호 수신부와, 동작모드 전파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의해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가 활성화된 동안에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제2 무선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ID와 ID가 수신된 순간에 On 된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스타일러스 펜형 패드부는 도전성 패드와, 상기 도전성 패드에 입력단이 연결된 교류신호를 감지한 순간에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부의 트리거 신호에의해 고유의 ID를 전파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 방사부를 구비하고,상기 본체부는 교류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교류 전원부와, 상기 교류 전원부의 출력의 일 단이 스위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이 비 장갑부의 씨줄과 날줄을 구성하는 도전성 패드에 연결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스타일러스 펜형 패드부의 무선 신호 방사부에서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ID를 인식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와, 상기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에서 ID가 수신된 순간에 On 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비 장갑부의 씨줄 또는 날줄의 번호를 각각 좌표의 x 또는 y 좌표로 하여 그 좌표들의 평균값을 생성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청구항 11, 13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도전성 패드에 일 단이 연결된 저항과, 상기 저항의 양단 사이의 교류 전위를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된 전압의 변화를 감지해서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비 장갑부의 3개 부 중 2개 이상의 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패드부 중 하나인 제1 패드부는 본체부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고, 나머지 한 부인 제2 패드부는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은 도전성 패드와, 상기 도전성 패드에 고유의 교류 신호를 인가하는 교류신호 발생부를 구비한 패드부와;상기 제1 패드부의 도전성 패드가 입력단에 연결된 교류신호를 인식하는 교류 신호 인식부와, 상기 교류인식부에서 인식한 교류신호로부터 접촉한 패드를 알아내서 그 패드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비 장갑부의 3개 부 중 2개 이상의 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패드부 중 하나인 제1 패드부는 본체부에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며, 나머지 한 부인 제2 패드부는 고유의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교류신호 생성부가 연결된 도전성 패드를 구비한 패드부와;교류신호를 인식하는 교류신호 인식부와, 상기 교류신호 인식부의 입력 단자가 스위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자에 상기 제 1 패드부의 도전성 패드가 연결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교류신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교류신호 ID와 상기 교류신호 ID가 감지된 순간에 On 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구비하여, 오른손에 착용하거나 오른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에 착용하거나 왼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왼손 장갑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와 왼손 장갑부에 포함되지 않는 도전성 패드와 상기 도전성 패드에 고유의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교류신호 생성부를 구비한 비 장갑부를 포함하는 패드부;상기 본체부는 왼손 장갑부에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본체부와, 상기 오른손 장갑부에 유선으로 연결된 제2 본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드부의 도전성 패드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여 인식된 패드의 쌍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19항에 있어서,상기 제1본체부는 교류신호를 인식하는 제1교류신호 인식부와, 상기 제1교류신호 인식부의 입력 단자가 스위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자에 왼손 장갑부의 도전성 패드가 연결된 제1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제1교류신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교류신호 ID와 상기 교류신호 ID가 인식된 순간에 On 된 제1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상기 제2 본체부는 고유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교류신호 생성부와, 스위치의 일 단이 상기 교류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일 단이 오른손 장갑부의 패드에 연결된 스위치가 1개인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교류신호를 인식하는 제2교류신호 인식부와, 상기 제2교류신호 인식부의 입력 단자가 스위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자에 오른손 장갑부의 패드가 연결된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스위치가 1개인 아나로그 멀티플렉서를 주기적으로 활성/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 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를 동일 주기로 반대로 비활성/활성화 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20항에 있어서,제2 본체부는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를 활성화시킨 동안에 제2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제2교류신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교류신호 ID와 상기 교류신호 ID가 감지된 순간에 On 된 제2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스타일러스 펜형 패드부는, 도전성 패드와, 상기 도전성 패드에 고유의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교류신호 발생부를 구비하고,상기 본체부는 교류 신호를 인식하는 교류 신호 인식부와, 상기 교류 신호 인식부의 일 단이 스위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나머지 단자에 비 장갑부의 씨줄과 날줄을 구성하는 도전성 패드가 연결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와, 상기 아나로그 멀티플렉서안의 스위치를 돌아가며 한 순간에 한 스위치만 On되게 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교류신호 인식부에서 교류신호가 검출된 순간에 On 된 아나로그 멀티플렉서 안의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비 장갑부의 씨줄 또는 날줄의 번호를 각각 좌표의 x 또는 y 좌표로 하여 그 좌표들의 평균값을 생성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청구항 17항 내지 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교류 신호 생성부는 서로 다른 고유의 주파수의 교류를 발생시키는 교류전원을 구비하고,상기 교류신호 인식부는 특정 주파수의 교류신호만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를 통과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를 구비하여 특정 주파수의 교류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만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와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구비한 패드부와;상기 패드부의 2개 이상의 도전성 패드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서로 접촉한 패드의 쌍을 인식하여 인식된 패드의 쌍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진동센서의 출력 신호를 해석해서 패드가 접촉한 충격의 세기를 인식해서 충격의 세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구비한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2603A KR100806029B1 (ko) | 2005-04-27 | 2006-04-11 |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US11/919,169 US20090322685A1 (en) | 2005-04-27 | 2006-04-17 | Computer input device using touch switch |
PCT/KR2006/001401 WO2006115347A1 (en) | 2005-04-27 | 2006-04-17 | Computer input device using touch switch |
CNA2006800138049A CN101164100A (zh) | 2005-04-27 | 2006-04-17 | 使用接触开关的计算机输入装置 |
JP2008508743A JP2008545176A (ja) | 2005-04-27 | 2006-04-17 | 接触スイッチを利用した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0035016 | 2005-04-27 | ||
KR1020050035016 | 2005-04-27 | ||
KR20050037935 | 2005-05-06 | ||
KR1020050037935 | 2005-05-06 | ||
KR20050111753 | 2005-11-22 | ||
KR1020050111753 | 2005-11-22 | ||
KR20060013785 | 2006-02-13 | ||
KR1020060013785 | 2006-02-13 | ||
KR1020060032603A KR100806029B1 (ko) | 2005-04-27 | 2006-04-11 |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3397A KR20060113397A (ko) | 2006-11-02 |
KR100806029B1 true KR100806029B1 (ko) | 2008-02-26 |
Family
ID=3721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26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6029B1 (ko) | 2005-04-27 | 2006-04-11 |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322685A1 (ko) |
JP (1) | JP2008545176A (ko) |
KR (1) | KR100806029B1 (ko) |
CN (1) | CN101164100A (ko) |
WO (1) | WO200611534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10504B2 (en) | 2005-12-28 | 2010-10-12 | Depuy Products, Inc. | System and method for wearable user interface in computer assisted surgery |
GB2445363B (en) * | 2007-01-04 | 2009-07-22 | Motorola Inc |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US20080282446A1 (en) * | 2007-05-15 | 2008-11-20 | 180S, Inc. | Hand Covering With Tactility Features |
EP2183660B1 (en) | 2007-07-30 | 2019-06-26 |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 Shear tactile display system for communicating direction and other tactile cues |
US8336119B2 (en) | 2007-12-09 | 2012-12-25 | 180's. Inc. | Hand covering with conductive portion |
US9003567B2 (en) | 2007-12-09 | 2015-04-14 | 180S, Inc. | Hand covering with tactility features |
TW200925969A (en) * | 2007-12-11 | 2009-06-16 | Tpk Touch Solutions Inc | Device for scanning and detecting touch point of touch control panel and method thereof |
US8326462B1 (en) | 2008-03-12 | 2012-12-04 |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 Tactile contact and impact displays and associated methods |
JP5410830B2 (ja) * | 2009-05-07 | 2014-02-05 |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 電子機器、入力処理方法および入力装置 |
US8994665B1 (en) | 2009-11-19 | 2015-03-31 |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 Shear tactile display systems for use in vehicular directional applications |
WO2012048325A2 (en) | 2010-10-08 | 2012-04-12 | The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 A multidirectional controller with shear feedback |
EP2455840A1 (en) * | 2010-11-02 | 2012-05-23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
KR101680256B1 (ko) * | 2010-11-08 | 2016-12-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US9310923B2 (en) | 2010-12-03 | 2016-04-12 | Apple Inc. | Input device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US20120242618A1 (en) * | 2011-03-25 | 2012-09-27 | Everest John | Finger device for operat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
US8928635B2 (en) | 2011-06-22 | 2015-01-06 | Apple Inc. | Active stylus |
US9329703B2 (en) | 2011-06-22 | 2016-05-03 | Apple Inc. | Intelligent stylus |
US10004286B2 (en) * | 2011-08-08 | 2018-06-2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Glove having conductive ink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proximity sensor |
US10795448B2 (en) | 2011-09-29 | 2020-10-06 | Magic Leap, Inc. | Tactile glove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
US9403399B2 (en) | 2012-06-06 | 2016-08-02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Marking pen |
US9652090B2 (en) | 2012-07-27 | 2017-05-16 | Apple Inc. |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 through capacitive coupling |
US9557845B2 (en) * | 2012-07-27 | 2017-01-31 | Apple Inc. | Input device fo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capacitive devices through frequency variation |
US10048775B2 (en) | 2013-03-14 | 2018-08-14 | Apple Inc. | Stylus detection and demodulation |
US9939935B2 (en) | 2013-07-31 | 2018-04-10 | Apple Inc. | Scan engine for touch controller architecture |
JP5738951B2 (ja) * | 2013-10-03 | 2015-06-24 |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 電子機器、入力処理方法および入力装置 |
EP2874051A1 (en) * | 2013-11-14 | 2015-05-2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20150205350A1 (en) * | 2014-01-23 | 2015-07-23 | Lenovo (Singapore) Pte. Ltd. | Skin mounted input device |
KR102244856B1 (ko) * | 2014-04-22 | 2021-04-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웨어러블 장치와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장치 |
US10061450B2 (en) | 2014-12-04 | 2018-08-28 | Apple Inc. | Coarse scan and targeted active mode scan for touch |
US10860094B2 (en) | 2015-03-10 | 2020-12-08 | Lenovo (Singapore) Pte. Ltd. | Execution of function based on location of display at which a user is looking and manipulation of an input device |
US10466812B2 (en) * | 2015-07-27 | 2019-11-05 | Autodesk, Inc. | Enhancing input on small displays with a finger mounted stylus |
US10474277B2 (en) | 2016-05-31 | 2019-11-12 | Apple Inc. | Position-based stylus communication |
US10955988B1 (en) | 2020-02-14 | 2021-03-23 | Lenovo (Singapore) Pte. Ltd. | Execution of function based on user looking at one area of display while touching another area of display |
US12153764B1 (en) | 2020-09-25 | 2024-11-26 | Apple Inc. | Stylus with receive architecture for position determin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6077A (ko) * | 1996-11-15 | 1998-08-05 | 배순훈 | 개선된 디지탈 글러브 입력 장치 |
JP2000330692A (ja) | 1999-05-20 | 2000-11-30 | Takashi Noguchi | 情報入力装置 |
JP2002259017A (ja) * | 2001-03-05 | 2002-09-13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着用型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 |
KR20040037891A (ko) * | 2002-10-30 | 2004-05-08 |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 데이터 입력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57363A (en) * | 1995-02-10 | 1998-05-26 | Hagiwara Sys-Com Co., Ltd. | Computer input device and keyboard |
US5914708A (en) * | 1996-04-04 | 1999-06-22 | Cirque Corporation | Computer input stylus method and apparatus |
US6141643A (en) * | 1998-11-25 | 2000-10-31 | Harmon; Steve | Data input glove having conductive finger pads and thumb pad, and uses therefor |
-
2006
- 2006-04-11 KR KR1020060032603A patent/KR10080602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4-17 US US11/919,169 patent/US200903226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4-17 CN CNA2006800138049A patent/CN101164100A/zh active Pending
- 2006-04-17 WO PCT/KR2006/001401 patent/WO200611534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4-17 JP JP2008508743A patent/JP2008545176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6077A (ko) * | 1996-11-15 | 1998-08-05 | 배순훈 | 개선된 디지탈 글러브 입력 장치 |
JP2000330692A (ja) | 1999-05-20 | 2000-11-30 | Takashi Noguchi | 情報入力装置 |
JP2002259017A (ja) * | 2001-03-05 | 2002-09-13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着用型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 |
KR20040037891A (ko) * | 2002-10-30 | 2004-05-08 |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 데이터 입력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6115347A1 (en) | 2006-11-02 |
KR20060113397A (ko) | 2006-11-02 |
JP2008545176A (ja) | 2008-12-11 |
CN101164100A (zh) | 2008-04-16 |
US20090322685A1 (en) | 2009-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6029B1 (ko) |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 |
Rekimoto | Gesturewrist and gesturepad: Unobtrusive wearable interaction devices | |
CN107015681B (zh) | 多点接触且多用户检测装置和方法 | |
US2018018892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Control | |
CN101620465B (zh) | 一种指令输入方法及数据处理系统 | |
CN109375784A (zh) | 具有多功能人机接口的电子设备 | |
US20100066664A1 (en) | Wrist-worn input apparatus and method | |
Katsuragawa et al. | Tip-tap: battery-free discrete 2D fingertip input | |
KR101821048B1 (ko) | 웨어러블 데이터 입력장치 | |
EP2580645A1 (en) | Object orientation detection with a digitizer | |
GB2552897A (en) | Haptic feedback mechanism for an interactive garment | |
KR101452343B1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 | |
US10481742B2 (en) | Multi-phase touch-sensing electronic device | |
US9983623B2 (en) |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control system | |
JP2003029899A (ja) | ユーザ入力装置 | |
US20180275800A1 (en) | Touch sensing device and smart home hub device | |
KR20110030188A (ko) | 자기력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 및 촉각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
US20230376153A1 (en) | Touch Sensor With Overlapping Sensing Elements For Input Surface Differentiation | |
JP2005525635A (ja) | 電子装置へのコマンド信号を生成する装置 | |
US12105865B2 (en) | User movement detection for verifying trust between computing devices | |
KR20130061777A (ko) |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입력 장치 | |
KR102604259B1 (ko) | 정전용량식 장갑형 입력장치 | |
JP6770103B2 (ja) | 近接感知を備えた入力デバイスにおける指追跡 | |
CN103777783A (zh) | 触控鼠标以及使用在触控鼠标中的方法 | |
JP2009288958A (ja) |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