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90240B1 -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표시 방법 및 네트워크 관리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표시 방법 및 네트워크 관리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240B1
KR100790240B1 KR1020047013345A KR20047013345A KR100790240B1 KR 100790240 B1 KR100790240 B1 KR 100790240B1 KR 1020047013345 A KR1020047013345 A KR 1020047013345A KR 20047013345 A KR20047013345 A KR 20047013345A KR 100790240 B1 KR100790240 B1 KR 100790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formation
network devices
li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617A (ko
Inventor
마사노리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2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5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browsers or web-pages for accessing management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소망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아이콘이 어떤 디바이스 설치 맵의 어떤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상기 디바이스 설치 맵으로의 링크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시켜 표시함과 동시에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강조 표시한다.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맵, 아이콘, 리스트

Description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표시 방법 및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NETWORK MANAGEMENT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CP/IP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이며, 현재로는 TCP/IP에 기초하는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TCP/IP 이외의 프로토콜을 기초로 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 SNMP에 기초한 네트워크 관리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PC(매니저)가 관리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이전트)에 구비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에 SNM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액세스함으로써 관리가 행해졌다. MIB는 트리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지며, 모든 노드에 대하여 오브젝트 ID와 같은 일의적으로(unconditionally) 식별 가능한 식별자가 할당되어 있다. 이 MIB의 구조는 SMI(Structure for Management Information)라고 하며, RFC1155 "Structure and Identificat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for TCP/IP-based Internets"에 규 정되어 있다.
한편, 네트워크상의 각종 자원(프린터, 복사기, 서버, 스캐너 등)을 효율적으로 찾아내어 이들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렉토리 서비스라고 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디렉토리 서비스는 소위 네트워크에 관한 디렉토리(전화번호부)이며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디렉토리 서비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RFC1777에 규정되어 있는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과 Novell사의 NDS(Netware Directory Service)가 있다. 디렉토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인 경우는 SNMP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종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SNMP/MIB나 디렉토리 서비스를 이용하여, 예컨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태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설정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즉, 서버 PC(서버 컴퓨터) 상에서 일방적으로(unitarily) 관리되던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사용자가 복수의 클라이언트 PC(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웹브라우저를 경유하여 액세스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브라우즈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설정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브라우즈 및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웹서버와 웹브라우저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로 통신한다.
이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실제 설치 장소를 알 수 있도록, 관리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디바이스 아이콘)을 가상의 맵 상에 배치 및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기능 또는 이 기능에 의해 작성된 맵을 "디바이스맵"이라고 한다. 이 기능은 에러(예컨대 용지 걸림이나 용지 부족)가 발생하여,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의 관리자가 관리 대상으로서의 고장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까지 가서 소정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 등의 경우에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확인하는데 유효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리스트 및 설치 장소마다 작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맵이 독립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복수의 디바이스맵이 존재하는 경우나 디바이스맵 상에 다수의 디바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등의 경우에는 원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어떤 디바이스맵의 어떤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어떤 디바이스맵의 어떤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이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동작 가능한 P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 리스트(디바이스들의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의 일례를 나태내는 도면.
도 7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의 일례를 나태내는 도면.
도 8은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305)를 표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405)를 표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디바이스 아이콘이 배치된 디바이스맵을 검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은 디바이스맵을 표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2는 디바이스맵 관리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디바이스맵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디바이스맵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기억 매체의 메모리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기초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이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관리 대상으로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관리용 서버 PC(서버 컴퓨터) 및 네트워크 관리용 클라이언트 PC(클라이언트 컴퓨터)는 모두 LAN(100)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번호 101a∼101c는 컬러 프린터, 102a∼102d는 흑백 프린터, 103a∼103c는 복합기(복사 기능, 팩스 기능 및 프린터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 104는 스캐너이다. 이들 장치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이 장착되어 LAN(100)에 각각 접속되게 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다른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이들은 디렉토리 서비스 등의 방법으로 검색 가능하며 SNMP/MIB에 의해 정보의 취득 및 설정이 가능하다.
참조번호 105a∼105e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PC(Personal Computer)이다. 이들 PC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동작 가능한 PC이 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이 웹서버와 웹브라우저로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서버 PC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와 웹서버가 동작하고 다른 PC(클라이언트 PC) 상에서는 웹브라우저가 동작한다. 웹브라우저가 서버 PC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함으로써, 사용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동작 가능한 P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PC이며 도 1의 PC(105a∼105e)와 유사하다. PC(200)은 ROM(202) 또는 HD(하드디스크)(211)에 기억되어 있거나 또는 FD(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212), CD(CD-ROM 드라이브)(213) 또는 DVD(DVD-ROM 드라이브)(214)로부터 공급되는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CPU(201)를 구비한다. PC(200)는 시스템 버스(204)에 접속되는 디바이스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참조번호 203은 RAM으로서 CPU(201)의 메인 메모리, 작업 영역 등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205는 KBC(키보드 컨트롤러)로서 KB(키보드)(209)나 포인팅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 등으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며; 206은 CRTC(CRT 컨트롤러)로서 CRT(CRT 디스플레이)(210)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며; 207은 DKC(디스크 컨트롤러)로서 부트 프로그램, 각종 애플리케이션, 편집 파일, 사용자 파일,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등을 기억하는 HD(211), FD(212), CD(213), DVD(214)와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이다.
참조번호 208은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서 LAN(100)을 매개로 기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로부터 데이터를 쌍방향으로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특정되지 않는 한, 하드웨어에서의 실행의 주체는 CPU(201)이며 소프트웨어에서의 제어의 주체는 HD(하드디스크)(211)에 인스톨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각종표시 화면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 리스트(디바이스들의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LAN(100)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에서 컬러 프린터(101a), 프린터(102a, 102b), 복합기(103a∼103c)가 디바이스 리스트(300) 상에 표시되어 있다.
디바이스 리스트에는, (1)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따른 MIB/SNMP를 이용한 검색 수순에 의해 검색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2) 검색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선택된 일부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3)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수동으로 등록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이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306은 표시 형식을 전환하기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 박스이다. 현재는 "리스트"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드롭다운 리스트 박스(306)에서 "맵 형식"을 선택한 경우 후술하는 디바이스맵(500 또는 600)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 리스트(300)에는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로서 디바이스명 (301), 제품명(302), 설치 장소(303), 네트워크 어드레스(304)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설치 장소(303) 영역에는 해당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을 표시하기 위한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305)가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컬러 프린터(101a), 복합기(103c) 및 프린터(102a, 102b)에 대하여 배치 목적지의 디바이스맵을 표시하기 위한 링크(305)가 표시되어 있다. 이 링크는 디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도 1의 101a, 103a, 103b, 103c, 102a, 102b에 대응하는 정보가 각 행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링크(305)를 클릭하면, 그 링크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맵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리스트(300)에서 프린터(102a)의 설치 장소(303) 영역에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305)를 클릭하면, 후술하는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맵(700)이 표시된다.
도 4는 도 3의 디바이스 리스트(300)에 표시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특정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프린터(102a)가 지정된 경우에 표시되는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된 페이지를 도시하고 있지만, 기타의 정보(에러 상태, 장비 정보, 네트워크 정보, 작업 정보 등)를 표시하기 위하여 다른 페이지(도시되지 않음)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400)에는 프린터(102a)에 관한 정보로서 디 바이스명(401), 설치 장소(402), 토너 카트리지 타입 번호(403), 제품명(404)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설치 장소(402)의 영역에는 프린터(102a)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405)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405)를 클릭하면 후술하는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맵(700)이 표시된다.
이 링크는 디바이스맵 상에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만 표시되므로, 해당하는 디바이스맵이 존재하지 않는데도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디바이스맵을 표시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는 도 1의 LAN(100)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에서 프린터(102)를 나타내는 아이콘, 복합기(103c)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다른 디바이스맵으로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1의 LAN(100)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에서 컬러 프린터(101a)를 나타내는 아이콘, 프린터(102b)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다른 디바이스맵으로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501 및 60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형식을 전환하기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 박스이다. 이 드롭다운 리스트 박스(501 또는 601)에서 "리스트 형식"을 선택한 경우 디바이스 리스트(300)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502 및 602는 표시할 디바이스맵을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 박스이다. "1st Floor"가 선택된 경우, 1층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맵이 표시된다. 이 경우, 드롭다운 리스트 박스에서 디바이스맵(500)과 디바이스맵(600)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프린터(102b)의 아이콘이 사각형으로 둘러싸여 강조 표시되어 있는 점에서 도 5와 상이하다. 즉, 도 7은 각 디바이스에 관련된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를 클릭한 경우에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디바이스맵(700)은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 리스트(300)에서 프린터(102a)의 디바이스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305)를 클릭한 경우 또는 도 4에 도시된 프린터(102a)의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400)에 표시된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405)를 클릭한 경우에 표시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각형으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 강조 표시를 행하고 있지만, 아이콘의 색을 변경하거나 아이콘을 점멸하거나 또는 아이콘을 확대함으로써 다른 형태로 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 리스트(300) 및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400)에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305 및 405)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처리와,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맵(700)에서 디바이스 아이콘(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강조 표시 처리에 대해서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 리스트(300)에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305)를 표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플로차트에서, 단계 S801에서는 디바이스 리스트에 표시되는 디바이스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i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그런 다음 단계 S802로 진행한다. 이 변수 i의 값은 후행하는 처리에서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참조하기 위한 인덱스값이 되며 그 값은 0에서 시작한다.
단계 S802에서는 변수 i의 값과 디바이스 리스트에 표시되는 디바이스의 수를 비교한다. 변수 i의 값이 디바이스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803으로 진행한다(단계 S802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단계 S802에서 NO).
단계 S803에서는 변수 i의 값을 인덱스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i번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그런 다음 단계 S804로 진행한다. 여기에 표시되는 디바이스의 정보는 관리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검색한 경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 정보(예컨대 디바이스명, 제품명, 설치 장소, 네트워크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와, 관리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예컨대 인쇄 속도, 인쇄 해상도 등)이다. 표시되는 정보는 사용자마다 변경 가능하다.
단계 S804에서는 변수 i의 값을 인덱스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을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된 수순에 따라 검색한다. 단계 S804 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이 검색된 경우에는, 배치 목적지의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디바이스맵의 ID)가 리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805에서는 단계 S804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디바이스맵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806으로 진행한다(단계 S805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807로 진행한다(단계 S805에서 NO). 디바이스맵의 검출 여부는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ID) 정보가 리턴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806에서는 단계 S804의 처리에서 취득한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디바이스맵을 표시하기 위한 링크를 디바이스 정보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단계 S807에서는 변수 i의 값을 "1"만큼 가산하고 단계 S802로 진행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400)에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405)를 표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플로차트에서, 단계 S901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의 관리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즉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부터,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400)에 표시되게 될 정보를 MIB/SNMP를 사용하여 취득한다. 도 3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명(401), 설치 장소(402), 토너 카트리지 타입 번호(403), 제품명(404) 등이 취득되어 있다.
단계 S902에서는 단계 S901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표시한다. 단계 S903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의 관리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을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된 수순에 따라 검색한다. 본 처리에 있어서, 디바이스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이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디바이스맵의 ID)가 리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904에서는 단계 S903에서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의 관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맵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디바이스맵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905으로 진행한다(단계 S904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단계 S904에서 NO).
단계 S905에서는 단계 S903의 처리에서 취득한,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디바이스맵을 표시하기 위한 링크를 디바이스 정보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400)의 예에서는 디바이스 정보의 표시 영역 중 "설치 장소"를 표시하는 영역에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405)를 표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각 PC에서 기동되는 경우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의 표시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와 웹서버가 서버 PC에 의해 기동되고 각 클라이언트 PC에서 기동된 웹브라우저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8의 "표시 처리"는 서버 PC 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웹서버를 매개로 웹브라우저에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표시되게 될 정보를 임베드(embeding)하는 처리를 지칭한다. 즉, 웹페이지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나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가 웹페이지에 기술되게 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는 작성된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웹서버를 매개로 웹브라우저에 송신한다.
도 10은 디바이스 아이콘이 배치된 디바이스맵을 검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본 처리는 도 8의 단계 S804 및 도 9의 단계 S903에서 실행된다.
도 10에서, 단계 S1001에서는 본 처리가 기동되는 때에 지정되며 본 처리의 처리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보존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로는, 예컨대 MAC 어드레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다른 식별 정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 S1002에서는 디바이스맵의 편집 페이지에서 작성된 디바이스맵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디바이스맵 관리 정보)를 판독한다. 도 12는 여기서 판독되는 디바이스맵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서 각 행의 좌단에 도시된 참조번호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추가된 행번호이다. 도 12에서 2행에는 디바이스 맵의 수가 저장되며, 4∼6행에는 첫번째 디바이스맵의 ID와 명칭이 저장되며, 8∼10행에는 두번째 디바이스맵의 ID와 명칭이 각각 저장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2개의 디바이스맵이 존재하며 첫번째 디바이스맵의 ID는 1이고 그 명칭은 "1st Floor"이며, 두번째 디바이스맵의 ID는 2이고 그 명칭이 "2nd Floor"임을 알 수 있다. 디바이스맵의 ID는, 후술하는 각 디바이스맵의 구성 정보(디바이스맵 구성 정보)에 액세스하고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가 클릭된 경우에 표시되는 디바이스맵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S1003에서는 디바이스맵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m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이 변수 m의 값은 후행하는 처리에서 각 디바이스맵을 참조하기 위한 인덱스값이 되며 그 값은 0에서 시작한다.
단계 S1004에서는 변수 m의 값과 디바이스맵의 수를 비교한다. 변수 m의 값이 디바이스맵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단계 S1004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단계 S1004에서 NO).
단계 S1005에서는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아이콘이 배치된 디바이스맵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처리의 결과로서 리턴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06에서는 변수 m을 인덱스로 하는 디바이스맵에 배치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여기서, 각 디바이스맵의 구성 정보(디바이스맵 구성 정보)는 도 12에 도시된 디바이스맵의 ID에 의해 식별 가능한 파일에 개별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 디바이스맵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맵의 구성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 각 행의 좌단에 도시된 참조번호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추가된 행번호이다. 도 13에서 1행에는 디바이스맵의 사이즈가 보존되며 2행에는 디바이스맵의 배경으로서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의 명칭이 보존되어 있다. 디바이스맵의 배경으로서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은 설치 장소의 개관(outline)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디바이스맵에서는 책상, 의자 및 통로를 나타내는 화상이 이미지 파일에 표현되어 있다. 이 이미지 파일이 나타내는 설치 장소의 개관 상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배치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방이나 건물 안의 어떤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3행째 이후에는 디바이스맵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각종 아이콘에 관한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 3∼4행에는 다른 디바이스맵으로 점프하기 위한 맵아이콘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5∼6행 및 7∼8행에는 다른 웹사이트로 점프하기 위한 웹아이콘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9∼12행 및 13∼16행에는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로 점프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이콘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9∼12행 및 13∼16행에 보존되어 있는 디바이스 아이콘의 정보에는 디바이스 아이콘에 관련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 저장된 정보와 단계 S901에서 보존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처리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보존되어 있는 디바이스 아이콘의 정보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이콘에 관한 각각의 정보에는 배치될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XPOSITION, YPOSITION), 아이콘에 부속된 형태로 표시되는 타이틀(DEVICE TYPE, NAME, MODEL) 등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디바이스맵의 구성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1행에는 디바이스맵의 사이즈가 보존되어 있다. 2행에는 디바이스맵의 배경으로서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의 명칭이 보존되어 있다.
3행째 이후에는 디바이스맵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각종 아이콘에 관한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 3∼4행에는 다른 디바이스맵으로 점프하기 위한 맵아이콘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5∼6행 및 7∼8행에는 다른 웹사이트로 점프하기 위한 웹아이콘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9∼12행 및 13∼16행에는 디바이스 관리 페이지로 점프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이콘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하 도 10에 대한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단계 S1007에서는 상기 변수 m을 인덱스로 하는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n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이 변수 n의 값은 후행하는 처리에서 변수 m을 인덱스로 하는 디바이스맵에 배치된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참조하기 위한 인덱스값으로되며 그 값은 0에서 시작한다.
단계 S1008에서는 변수 n의 값과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 이스의 수를 비교한다. 변수 n의 값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1010으로 진행한다(단계 S1008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1009로 진행한다(단계 S1008에서 NO).
단계 S1009에서는 변수 m의 값을 "1"만큼 가산하고 단계 S1004로 진행한다.
단계 S1010에서는 변수 n을 인덱스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와 단계 S1001에서 보존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비교한다. n번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1011으로 진행한다(단계 S1010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1012로 진행한다(단계 S1010에서 NO).
단계 S1011에서는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배치된 디바이스맵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검색 결과와 그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디바이스맵의 ID)를 처리 결과로서 리턴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12에서는 변수 n의 값을 "1"만큼 가산하고 단계 S1008로 진행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배치 목적지의 디바이스맵을 특정하여 배치 목적지의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예컨대 디바이스맵 ID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맵을 표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는 특정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도 강조 표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처리 루틴은 디바이스맵의 표시 요구가 있는 때에 기동된다. 표시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표시될 디바이스맵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디바이스맵의 ID)와 강조 표시할 필요가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MAC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가 클릭되어 디바이스맵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강조 표시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정된다. 다른 방법(예컨대 도 3의 디바이스 리스트(300)에서 드롭다운 리스트 박스(306)로부터 "맵형식"을 선택하여 디바이스맵을 표시한 경우)의 경우에는 강조 표시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다.
도 11에서, 단계 S1101에서는 디바이스맵의 표시 요구를 하는 때에 강조 표시할 필요가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지정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102으로 진행한다(단계 S1101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1103로 진행한다(단계 S1101에서 NO). 단계 S1102에서는 디바이스맵의 표시 요구를 하는 때에 지정된, 강조 표시를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보존한다.
단계 S1103에서는 표시될 디바이스맵의 구성 정보(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데이터)를 취득한다. 단계 S1104에서는 디바이스맵의 구성 정보에서 지정된 이미지 파일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맵의 배경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단계 S1105 이후에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먼저, 단계 S1105에서는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 아이콘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k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이 변수 k의 값은 후행하는 처리에서 표시될 디바이스맵에 설치되어 있 는 각 아이콘의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인덱스값으로 되며 그 값은 0에서 시작한다.
단계 S1106에서는 변수 k의 값과 디바이스맵에 배치되어 있는 아이콘의 수를 비교한다. 변수 k의 값이 아이콘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1107으로 진행한다(단계 S1106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단계 S1106에서 NO).
단계 S1107에서는 k번째 아이콘의 정보를 검사하여 이 아이콘이 디바이스 아이콘이고 또한 디바이스 아이콘에 관련되어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계 S1102에서 보존된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렇다면 단계 S1109으로 진행한다(단계 S1107에서 YES). 그 외의 경우에는 단계 S1108로 진행한다(단계 S1107에서 NO).
단계 S1108에서는 k번째 아이콘을 통상의 형상으로 디바이스맵 상에 표시한다. 단계 S1109에서는 k번째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과 구별 가능한 형상으로 강조 표시한다. 단계 S1110에서는 변수 k의 값을 "1"만큼 가산한다. 표시하는 때에는, 아이콘의 정보에 포함된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좌표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에 아이콘을 표시한다.
도 1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각 PC에서 기동된 경우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의 표시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와 웹서버가 서버 PC에서 기동되고 각 클라이언트 PC에서 기동된 웹브라우저가 서버 PC 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11의 "표시"는 서버 PC 상의 네트워크 디바 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웹서버를 매개로 웹브라우저에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표시되게 될 정보를 매립하는 처리를 지칭한다. 즉, 웹페이지가 HTML나 XML 등의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나 디바이스맵으로의 링크가 웹페이지에 기술되게 된다. 또한, 단계 S1109에서는 아이콘을 강조 표시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웹페이지에 기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는 작성된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웹서버를 매개로 웹브라우저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디바이스맵 상에 설치 장소의 개관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3의 링크(305)나 도 4의 링크(405)가 지정된 경우에는 특정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아이콘을 강조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지정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바이스맵의 어떤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쉽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는 외부로부터 인스톨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동작 가능한 PC(200) 상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디스크, CD-ROM, DVD-ROM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또는 전자 메일이나 퍼스널 컴퓨터 통신 등의 네트워크를 매개로 외부의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정보군을 PC(200) 상에 로드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프로그램을 PC(200)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기억 매체의 일례인 CD-ROM의 메모리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 번호 9999는 디렉토리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영역이다. 후속 인스톨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영역(9998)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고 있는 영역(9997)이 도시되어 있다. 참조번호 9998은 인스톨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영역이며, 9997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고 있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PC(200)에 인스톨되는 경우, 영역 9998에 기억되어 있는 인스톨 프로그램이 판독되고 시스템에 로드되어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 다음에,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톨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고 있는 영역 9997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를 판독하여 이를 하드디스크(211)에 저장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본 발명의 신규한 기능을 실현하게 되며,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는, 예를 들어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CD-ROM,CD-R, DVD-ROM, 자기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카드, ROM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도록 하는 처리에 의해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입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도록 하는 처리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로부터 퍼스널 컴퓨터 통신 등의 통신 라인을 매개로 상기한 프로그램을 요구자에게 배신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어떤 표시 화면의 어떤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사용자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또한, 검색에 의해 검출된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도시하는 맵을 나타내는 표시 화면으로의 링크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리스트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리 페이지에 대응시켜 표시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표시 화면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 화면이 표시되는 때에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강조 표시함으로써, 표시 화면에 의해 표시된 장소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 스의 설치 장소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가 개선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리스트 표시 제어 수단;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 수단;
    오피스 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소 표시 제어 수단; 및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치 맵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장소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오피스 룸 내의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지된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그 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구별가능하게 강조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2.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리스트 표시 제어 수단;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소 표시 제어 수단;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들(office layout maps)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으로의 링크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으로의 링크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3.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리스트 표시 제어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 단계;
    오피스 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소 표시 제어 단계; 및
    상기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치 맵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장소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오피스 룸 내의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지된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그 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구별가능하게 강조 표시되도록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의 색을 변경하거나, 상기 식별 정보를 점멸(flickering) 또는 확대하거나, 또는 상기 식별 정보에 부가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표시 제어 단계는,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 설치 맵의 표시에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강조없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디바이스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취득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검색 단계에서 검지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방법.
  7.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리스트 표시 제어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소 표시 제어 단계; 및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판정 단계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으로의 링크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판정 단계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으로의 링크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선택되고, 상기 장소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표시되도록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취득 단계는,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지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방법.
  10.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리스트 송신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 단계;
    오피스 룸 내의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단계; 및
    상기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치 맵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단계는, 상기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상기 오피스 룸 내의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지된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그 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구별가능하게 강조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송신 단계에서 송신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송신 단계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브라우저에 의해 해석 가능한 데이터이며, 상기 리스트 또는 상기 디바이스 설치 맵은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방법.
  12.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리스트 표시 제어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 단계;
    오피스 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소 표시 제어 단계; 및
    상기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치 맵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장소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상기 오피스 룸 내의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지된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그 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구별가능하게 강조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디바이스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취득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검색 단계에서 검지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14.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리스트 표시 제어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소 표시 제어 단계; 및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판정 단계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으로의 링크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판정 단계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으로의 링크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선택되고, 상기 장소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검색되며 상기 검색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16.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리스트 송신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 단계;
    오피스 룸 내의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단계; 및
    상기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치 맵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단계는, 상기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오피스 룸 내의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지된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그 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구별가능하게 강조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 정보의 색을 변경하거나, 상기 식별 정보를 점멸 또는 확대하거나, 또는 상기 식별 정보에 부가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표시 제어 수단은, 소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 설치 맵의 표시에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강조없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검색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 검색 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선택되고, 상기 장소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오피스 레이아웃 맵이 표시되도록 표시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지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22.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리스트 송신 수단;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 리스트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 수단;
    오피스 룸 내의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설치 장소들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수단; 및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배치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치 맵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상기 지정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오피스 룸 내의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지된 디바이스 설치 맵 상으로 표시되도록, 또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그 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구별가능하게 강조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는 브라우저에 의해 해석 가능한 데이터이며, 상기 리스트 또는 상기 디바이스 설치 맵은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표시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
KR1020047013345A 2002-02-28 2003-02-27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표시 방법 및 네트워크 관리프로그램 Expired - Fee Related KR100790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54020 2002-02-28
JP2002054020A JP2003256301A (ja) 2002-02-28 2002-02-28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プログラム
PCT/JP2003/002193 WO2003073297A1 (en) 2002-02-28 2003-02-27 Network management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617A KR20040096617A (ko) 2004-11-16
KR100790240B1 true KR100790240B1 (ko) 2007-12-31

Family

ID=2776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3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0240B1 (ko) 2002-02-28 2003-02-27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표시 방법 및 네트워크 관리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849174B2 (ko)
EP (2) EP1493088B1 (ko)
JP (1) JP2003256301A (ko)
KR (1) KR100790240B1 (ko)
CN (1) CN100388248C (ko)
AT (2) ATE557496T1 (ko)
AU (1) AU2003208620A1 (ko)
RU (1) RU2295755C2 (ko)
WO (1) WO2003073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9837B2 (en) 2003-12-12 2010-08-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ireless LAN setting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7631270B2 (en) * 2005-09-16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connectivity and wireless status in a notification area
US20070124458A1 (en) * 2005-11-30 2007-05-3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event notification on network nodes
JP4720520B2 (ja) * 2006-01-24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0456708C (zh) * 2006-04-24 2009-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设备显示装置及方法
JP4812559B2 (ja) * 2006-08-21 2011-11-09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3838B2 (ja) * 2006-12-11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162896B2 (ja) * 2006-12-26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設置場所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193833A (ja) * 2007-03-12 2007-08-02 Brother Ind Ltd 設定処理プログラム、設定処理装置
KR101310237B1 (ko) * 2008-10-17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시스템
JP4669901B2 (ja) * 2008-10-21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26592B1 (ko) * 2009-12-16 2019-03-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8782748B2 (en) * 2010-06-22 2014-07-15 Microsoft Corporation Online service access controls using scale out directory features
KR101104626B1 (ko) * 2010-10-08 2012-01-13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단순 망 관리 프로토콜에서 관리 객체 검색 방법 및 장치
US9077623B2 (en) * 2010-12-13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customizable groups
KR101839488B1 (ko) * 2011-09-26 2018-03-1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474700B (zh) * 2011-10-06 2015-02-21 Hope Bay Technologies Inc 網路位址自動分配方法及其所適用之資料中心
JP5919887B2 (ja) * 2012-02-29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管理デバイス
JP5862417B2 (ja) 2012-03-29 2016-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管理デバイス
CN103731747A (zh) * 2013-12-03 2014-04-16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电视机及其远程存储设备的显示方法和显示装置
RU2542901C1 (ru) * 2014-03-11 2015-02-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СВЯЗИ имени Маршал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С.М. Буденн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ьютерной сетью
TWI575990B (zh) * 2014-03-25 2017-03-21 國立臺灣大學 利用網路拓樸綁定裝置之方法與系統
US11284544B1 (en) * 2015-12-03 2022-03-22 Eta 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recording, analyzing and repor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data centers and similar facilities
US10863330B1 (en) * 2015-12-03 2020-12-08 Eta 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recording, analyzing and repor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data centers and similar facilities
CN113067746A (zh) * 2021-03-03 2021-07-02 上海宽带技术及应用工程研究中心 网络设备实时位置显示方法及其应用的统一通讯管理系统
JP7679215B2 (ja) * 2021-03-31 2025-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585254B2 (ja) * 2022-03-10 2024-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8761A2 (en) 1996-10-23 1998-04-29 Hewlett-Packard Company Dynamic maps and server-based map editing
JP2000194626A (ja) * 1998-12-24 2000-07-14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10086774A (ko) * 2000-03-03 2001-09-15 윤종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맵 상에서 링크 상태 반영 및링크에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2577A (en) 1979-08-13 1982-01-26 Fitzgerald J Vincent Motor vehicle map display system
JPH01127285A (ja) 1987-11-09 1989-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ロボットの溶接ガン
FI79628C (fi) 1988-06-22 1990-01-10 Rencotuote Oy Ljustavla.
PT92215B (pt) 1988-11-10 1995-09-12 Cousin Cie Ets A & M Freres Dispositivo de posicionamento e de bloqueio de uma armacao de encosto de banco numa armacao de assento de banco montado automaticamente num veiculo
WO1991004553A2 (en) 1989-09-18 1991-04-04 Paolo Antonio Grego Edizioni S.A.S. An indicating panel for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or localization of selected points on a map
JP2938104B2 (ja) * 1989-11-08 1999-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共有資源管理法方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5295244A (en) * 1990-09-17 1994-03-15 Cabletron Systems, Inc.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connected hierarchies to represent different network dimensions in multiple display views
US6269398B1 (en) * 1993-08-20 2001-07-3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emote routers in networks for available protocols and provid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uters
US5423003A (en) * 1994-03-03 1995-06-06 Geonet Limited L.P. System for managing network computer applications
JPH0946441A (ja) * 1995-05-19 1997-02-14 Sanyo Electric Co Ltd 遠隔管理システム
JP3374638B2 (ja) * 1996-02-29 2003-0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ステム管理/ネットワーク対応表示方法
US5910803A (en) * 1996-08-14 1999-06-08 Novell, Inc. Network atlas mapping tool
JPH10177533A (ja) 1996-12-17 1998-06-30 Canon Inc 情報入出力装置、情報入出力装置管理システム、情報入出力装置の位置設定方法、及び情報入出力装置の管理方法
JPH10187390A (ja) 1996-12-27 1998-07-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3507270B2 (ja) * 1997-02-20 2004-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管理ツール
JPH1127285A (ja) 1997-07-04 1999-01-29 N T T Data:Kk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4035235B2 (ja) * 1998-08-24 2008-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6308205B1 (en) * 1998-10-22 2001-10-23 Canon Kabushiki Kaisha Browser-based network management allowing administrators to use web browser on user's workstation to view and update configuration of network devices
US6477572B1 (en) * 1998-12-17 2002-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a network topology for a task deployment service
JP2000347976A (ja) * 1999-04-01 2000-12-15 Seiko Epson Corp 機器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363359B1 (en) * 1999-05-26 2008-04-22 Fujitsu Limited Element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remote backup of network elements' local storage
JP2000339251A (ja) 1999-05-27 2000-12-08 Rippu Japan Kk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自動編成システム及び自動編成され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1086774A (ja) 1999-09-13 2001-03-30 Niko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7392309B2 (en) * 1999-10-27 2008-06-24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Network appliance management
US6868525B1 (en) * 2000-02-01 2005-03-15 Alberti Anemometer Llc Computer graphic display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JP2001243158A (ja) * 2000-02-29 2001-09-0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デバイスマップ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
JP4244107B2 (ja) * 2000-03-17 2009-03-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目的地情報検索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331393A (ja) * 2000-05-18 2001-11-30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7886054B1 (en) * 2000-10-11 2011-02-08 Siddhartha Na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administering a network implementing media aggregation
JP2002117126A (ja) * 2000-10-05 2002-04-19 Ibm Japan Ltd 管理システム、検索システム、携帯型位置表示装置、データ管理装置、位置表示方法、記憶媒体
JP4185661B2 (ja) * 2000-11-17 2008-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プログラム、機器管理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及び機器管理方法
US7162507B2 (en) * 2001-03-08 2007-01-09 Conexant, Inc. Wireless network site survey tool
US7466710B1 (en) * 2001-08-24 2008-12-16 Cisco Technology, Inc. Managing packet voice networks using a virtual entity approach
US6826162B2 (en) * 2001-09-28 2004-1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ating and mapping wireless network devices via wireless gateways
US20030115306A1 (en) * 2001-12-19 2003-06-19 Richard Hagarty Modification of map of storage area network resour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8761A2 (en) 1996-10-23 1998-04-29 Hewlett-Packard Company Dynamic maps and server-based map editing
JP2000194626A (ja) * 1998-12-24 2000-07-14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10086774A (ko) * 2000-03-03 2001-09-15 윤종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맵 상에서 링크 상태 반영 및링크에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39697A (zh) 2005-07-13
US20100070869A1 (en) 2010-03-18
US20050188067A1 (en) 2005-08-25
ATE538555T1 (de) 2012-01-15
EP1493088B1 (en) 2011-12-21
EP1493088A1 (en) 2005-01-05
KR20040096617A (ko) 2004-11-16
CN100388248C (zh) 2008-05-14
EP2288078A1 (en) 2011-02-23
EP2288078B1 (en) 2012-05-09
AU2003208620A1 (en) 2003-09-09
RU2295755C2 (ru) 2007-03-20
ATE557496T1 (de) 2012-05-15
US7849174B2 (en) 2010-12-07
JP2003256301A (ja) 2003-09-12
EP1493088A4 (en) 2005-12-14
RU2004128938A (ru) 2005-04-20
WO2003073297A1 (en)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240B1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표시 방법 및 네트워크 관리프로그램
US9081526B2 (en) Peripheral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946275B2 (ja) リモート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7028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of web page portions for revisiting the marked portions
US20120185609A1 (en) Presenting multiple possible selectable domain names from a url entry
JP201025056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30225831A1 (en) Center server and computer apparatus
US20060026260A1 (en)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web applications and local client application while maintaining remote user session
JP522428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2794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方法
JP2008027465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プログラム
JP3869972B2 (ja) デバイス検索クライアント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
KR100658299B1 (ko) 데이터베이스 구조변화에 대응하는 웹기반 통신망성능감시 방법
JP2002366325A (ja) 分散環境における動的作成装置の表示方法
JP3768726B2 (ja) デバイス検索クライアント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
JP2002157174A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1306284A (ja) サーバ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H11312065A (ja) プリンタ検索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
JP2011100472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092757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デバイス検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5108115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方法、その記録媒体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133438B2 (ja) ネットワーク故障の影響表示制御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及び監視装置
JP2003030068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2001056818A (ja) 文書探索装置および文書探索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9252047A (ja) 閲覧データに含まれる部分データを管理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