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106B1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0106B1 KR100790106B1 KR1020060047586A KR20060047586A KR100790106B1 KR 100790106 B1 KR100790106 B1 KR 100790106B1 KR 1020060047586 A KR1020060047586 A KR 1020060047586A KR 20060047586 A KR20060047586 A KR 20060047586A KR 100790106 B1 KR100790106 B1 KR 100790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housing
- spring
- cradle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adle, wherein the cradle,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 일단이 상기 장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장착 부재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스프링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그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부들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리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별도의 거치대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A mounting member mounted to a housing of the terminal; A support memb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A spr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spring groove formed on the mounting member, the spring groove including at least one pair of fixing portions, the support member being unfol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from a point of contact with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The spring member in a close or unfolded state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adle in which a portion thereof is engaged with any one of the fixing portions in a state in which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to carry a separate cradle, it is easy to carry and has an advantage of convenience.
단말기, 거치대, 스프링 Terminal, Cradle, Spr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지지 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of the h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unfold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i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is slidably moved;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지지 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of the h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is unfolded;
도 8은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8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9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6;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surface of a h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0;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거치대의 지지 부재가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of the holder shown in FIG. 10 rotates;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거치대의 지지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of the holder shown in FIG. 10 is unfolded;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radle shown in FIG.
본 발명은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게임 폰, 채팅 폰, 카메라 폰, MP3 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탁자 등의 평면에 거치시키기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hones, game phones, chat phones, camera phones, MP3 phones, cellular phones,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 Held Phones (HHPs),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easily mounted on a plane such as a table by providing a holder.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The term "portable terminal" in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 grip, and light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have more various function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단말기는 힌지 장치에 의해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the bar-type, the flip-type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shaped housing, the folder-typ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inge device Means that the fold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ngle bar-shaped housing and configured in a folding manner.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on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typ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on a wrist.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단말기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 terminal means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variously classified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being converted into a structure that can communicate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청취, 방송 시청 등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통신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장시간 방송을 시청하려면 별도의 거치대가 요구된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별도의 거치대를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대 구입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as multimedia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s are enhanced, music listening and broadcasting viewing using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more common. 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designed around portability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 separate holder is required to watch a long time broadcast. This,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separate cradl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radle purchase cost is added.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거치 겸용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에 불과하며 거치대 형상에 따라 단말기를 경사진 상태로 거치시킬 수 있지만, 이 또한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The cradl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merely to use a dual charger charger, but can be mounted in an inclined stat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radle, this also has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separately.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대가 장착되어 별도로 거치대를 휴대할 필요가 없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is not equipped with a cradle to carry a cradle separate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adle, the cradle is,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A mounting member mounted to a housing of the terminal;
일단이 상기 장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부재; A support memb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상기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 부재; 및A spr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상기 장착 부재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스프링 홈을 구비하고,A spring groove form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including at least one pair of fixing portions,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부 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고,The support member is unfol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from the point of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그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부들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리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adle in which a portion thereof is engaged with any one of the fixing parts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member accumulates elastic force while the support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or unfolded in the hous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1 하우징(10)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20)과, 상기 제2 하우징(2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제2 하우징(10, 20)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대(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to 9, the
상기 제2 하우징(20)은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전면(101; 도 8에 도시됨)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전면(101)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The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전면(101)은 평탄면으로 구성되며, 다수 개의 키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전면(101)에 배치된 키들은 상기 제2 하우징(20)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전면(101)에는 키들이 설치되지 않고, 스피커 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20)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때 음향을 출력시키게 된다. The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10)의 후면에는 소정 형상의 수용홈(103)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20)의 지지 부재(402)를 수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ear surface of the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들(210)과 표시 장치(212)가 설치된다. 상기 키들(210)은 상기 제2 하우징(20)의 상측에 배치되어 메뉴의 호출, 검색 및 선택에 이용된다. 상기 표시 장치(212)는 상기 제2 하우징(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키들(210) 하부에 위치한다. At least on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거치대(40)의 지지 부재(402)가 펼쳐진 상태로 탁자 등의 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더 참조하여 상기 거치대(4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40)는 장착 부재(401), 지지 부재(402) 및 스프링 부재(425)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장착 부재(401)의 내측면에는 지지체(403)가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장착 부재(401)와 지지체(403)가 모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면 상기 지지체(403)는 별도로 구성할 필요없이 상기 장착 부재(401)에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shown in FIGS. 10 to 14, the
상기 장착 부재(401)의 일단부 양측에는 각각 사이드 힌지 암들(411)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411)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지지체(403)는 상기 장착 부재(401)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그의 일면에는 스프링 홈(431)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411)을 바라보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홈(431)에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프링 홈(431)의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에 유사하게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홈(431)의 저면과 양 측벽이 연결되는 모서리들을 고정부로 이용하였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프링 부재(425)가 유동하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장착 부재(401)는 상기 제2 하우징(20)이 일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장착 부재(401)의 외측면은 상기 제2 하우징(20)의 바닥면에 일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과 상기 장착 부재(401)의 외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내지 80도 각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과 상기 장착 부재(401)의 외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55도 정도에 설정됨을 알 수 있다. The mounting
상기 지지 부재(402)는 판(plate) 상 부재로서 일단부에 형성된 센터 힌지 암(421)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 힌지 암(421)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4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힌지축(A)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402)는 상기 힌지축(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The
상기 센터 힌지 암(4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402)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스프링 암(4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장착 부 재(401)에 결합된 때, 상기 스프링 암(423)은 상기 장착 부재(401)의 내측에 위치된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스프링 부재(425)는 상기 스프링 암(4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그의 일부분이 상기 스프링 홈(431) 내에 위치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425)는 폐곡선 형상으로 상기 스프링 암(423)에 결합된 상태로 그 일부분이 상기 스프링 홈(431) 내에 위치되면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홈(431)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 암(423)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암(423)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은 결국 상기 지지 부재(402)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The
한편, 도 10과 도 11은 각각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제1 하우징(10)의 수용홈(103)에 수용된 상태를, 도 12는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수용홈(10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모습을, 도 13은 상기 지지 부재(402)가 완전히 펼쳐져 회동을 멈춘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10 and 11 respectively show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도 1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수용홈(10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425)의 일부분은 상기 스프링 홈(431)의 일측 모서리, 즉 일측 고정부에 지지된 상태이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 부재(425)는 탄성력을 축적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지지 부재(402)는 상기 스프링 부재(425)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수용홈(10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4, in a state in which the
사용자가 상기 지지 부재(402)를 상기 수용홈(10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부재(425)가 상기 스프링 암(423)에 지지된 지점과, 상기 스프링 부재(425)가 상기 스프링 홈(431)에 수용된 지점과, 상기 힌지축(A)는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부재(425)에는 여전히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이지만, 회전력으로 작용할 수 없음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 스프링 부재(425)에 탄성력이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축적된 탄성력이 회전력으로 작용할 수 없는 상태를 '중립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Although the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in the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수용홈(103)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중립 상태에 이르기 전까지 상기 스프링 부재(425)의 탄성력은 상기 지지 부재(402)를 상기 수용홈(103)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The elastic force of the
반대로, 상기 지지 부재(402)가 회동하여 중립 상태를 지나면, 상기 스프링 부재(425)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수용홈(10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 부재(402)가 완전히 펼쳐진 때, 상기 지지 부재(402)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 부재(401)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부재(425)의 일부분은 상기 스프링 홈(431)의 타측 모서리, 즉 타측 고정부에 지지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결국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수용홈(103)에 수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425)의 일부분은 상기 스프링 홈(431)의 모서리들 중 한 쪽, 즉 상기 고정부들 중 하나에 지지되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e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 부재(401)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55도임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402)가 완전히 펼쳐진 때, 상기 지지 부재(402)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이 이루는 각도 또한 대략 55도가 될 것임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지지 부재(402)가 펼쳐진 상태로 상기 단말기(100)를 탁자 등의 평면에 거치시킨 때,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이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125도 정도임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다만, 상기 장착 부재(401) 또는 지지 부재(402)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20)의 전면(201)이 이루는 각도는 단말기 제작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단말기의 거치 각도는 30도 내지 80도 범위에서 제조업자가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상기 거치대(20)의 지지 부재(402)가 상기 수용홈(103)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2 하우징(20)에 설치된 키들(210)과 표시 장치(212)를 통해 메뉴를 호출하고,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수신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음악 파일 등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2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수용홈(103)에 수용된 상태로 제2 하우징(20)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지지 부재(402) 또한 상기 수용홈(103)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수용홈(103)의 일부분이 노출된다. In a state where the
상기 지지 부재(402)가 상기 수용홈(103)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여 펼쳐진 때, 사용자는 상기 거치대(4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평면 상에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평면 상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 제2 하우징(10, 20)의 슬라이딩 이동은 가능하며, 방송 시청, 동영상 파일 감상 등을 하고자 하는 때 상기 단말기(100)를 탁상에 거치시키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When the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바형, 폴더형 단말기 등 다른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lthough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a sliding terminal as an example,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a bar type or a folder typ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거치 동작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키게 되었고, 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adle including a rotatably coupled support membe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peed of the mounting operation, and stably maintaining the mounting stat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does not use a separate cradl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7586A KR100790106B1 (en) | 2006-05-26 | 2006-05-26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7586A KR100790106B1 (en) | 2006-05-26 | 2006-05-26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3816A KR20070113816A (en) | 2007-11-29 |
KR100790106B1 true KR100790106B1 (en) | 2008-01-02 |
Family
ID=3909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7586A KR100790106B1 (en) | 2006-05-26 | 2006-05-26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01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5719A1 (en) * | 2012-01-11 | 2013-07-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103B1 (en) * | 2009-12-04 | 2011-06-13 |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 St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5506A (en) * | 2004-05-06 | 2006-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swing type portable device with self-cradling |
-
2006
- 2006-05-26 KR KR1020060047586A patent/KR10079010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5506A (en) * | 2004-05-06 | 2006-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swing type portable device with self-cradl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5719A1 (en) * | 2012-01-11 | 2013-07-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
US9019702B2 (en) | 2012-01-11 | 2015-04-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3816A (en) | 2007-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4626B1 (en) | Sliding/swing type portable device with self-cradling | |
US8195255B2 (en) |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678189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ri-cradle function | |
KR100630024B1 (en) | Portable phone with rotational display unit and hinge device thereof | |
US8634884B2 (en) |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532334B1 (en) |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US7702096B2 (en) | Self-cradl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630139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dual axis hinge device | |
KR100703351B1 (en) | Swing-type portable telephone | |
KR20050036170A (en) | Charger/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 |
KR100640395B1 (en) | Dual hinge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 |
KR20060062566A (en) | Folding tyoe portable telephone | |
KR100744305B1 (en) | Mobile phone with convenient visual/acoustic feeling and sliding cradling device thereof | |
KR100770829B1 (en) | Sliding type mobile phone with self-cradling, sliding guide module thereof and mounting apparatus of sliding guide module | |
KR20060072019A (en) |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unit thereof | |
US20050192066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 |
KR100790106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 |
KR100630138B1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0790187B1 (en) | Hinge unit for game/mobile phone combination device | |
KR20050075561A (en) |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63484B1 (en) | Mobile phone with self-cradling | |
KR200402885Y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 |
KR100640495B1 (en) | Mobile phone for dmb | |
KR100697648B1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 |
KR100651538B1 (en) |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