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17B1 - Landscaping blocks - Google Patents
Landscaping block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6317B1 KR100796317B1 KR1020060052473A KR20060052473A KR100796317B1 KR 100796317 B1 KR100796317 B1 KR 100796317B1 KR 1020060052473 A KR1020060052473 A KR 1020060052473A KR 20060052473 A KR20060052473 A KR 20060052473A KR 100796317 B1 KR100796317 B1 KR 1007963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block body
- landscaping
- present
- c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4 calc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 블럭 및 조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 블럭은 하천 등의 제방이나 경사진 비탈지에 설치되어, 제방의 함몰이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결합력과 자연 친화적인 외형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호안 블럭에 있어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을 이루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측단면상 내부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연결구를 형성하며, 점토 재질로 제작되어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 블럭 몸체; 및 두 개 이상의 상기 블럭 몸체의 측면을 맞대고, 상기 연결구에 삽입하여 상기 블럭 몸체를 상호 연결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ft block and a landscape block. 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anks or slopes of the banks, such as rivers, in the revetment block formed to have a strong bonding force and a nature-friendly appearance while preventing the sinking of the dike or loss of soil, A block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nstituting a right symmetry and a vertical symmetry,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center on the side cross section, and made of a clay material and formed through a high-temperature plasticization process; And a binding hole facing 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block body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o connect and fix the block body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안 블럭은 상기 블럭 몸체의 재질이 점토로 제작되고,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됨으로써, 하천 생태 환경의 파괴를 방지하며 식생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블럭 전체를 상호 간에 상기 결속구를 사용하여 서로 체결함으로써, 제방 및 사면 보호공법에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블럭 몸체를 점토를 이용하여 재작 생산함으로써, 별도의 영양공급원 없이 블럭자체에 구비된 조건만으로 식물의 자생이 가능하여 식물의 선택폭을 보다 넓힐 수 있고, 식물의 생육을 돕는 구조로서 친환경적인 자연미를 연출할 수 있으며, 블럭하부 제방의 물 배출을 원활하도록 하여, 지반 토양이 황폐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vetment block is made of clay and the material of the block body is formed through a high-temperature fir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the destruction of the river ecological environment and has an effect of helping vegetation. And, by fastening the entire block with each other using the above-mentioned binding sphere, it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and maintain high stability in the embankment and slope protection method. And, by re-producing the block body using clay, it is possible to grow the plants only by the conditions provided in the block itself without a separate nutrient supply, thereby widening the choice of plants, and as a structure that helps the growth of plants, Natural beauty can be produced, and by smoothing the discharge of water from the lower bank of the block, the soil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solation.
호안블럭, 제방, 경사, 점토, 식생 Lake block, embankment, slope, clay, veget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이 제방 경사면에 축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f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on the bank slop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형상 및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hor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에 의한 호안 블럭을 축조되는 환경에 알맞게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ke block shown in FIG. 4A is cut appropriately for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construct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raf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raf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호안 블럭이 조합을 이루어 제방 경사면에 축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various types of revetment bl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on a bank inclined surface by combining.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 블럭이 경사진 비탈지에 축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ndscap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an inclined slope.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 제방 10: 호안 블럭1: Dyke 10: Hoan Block
12: 블럭 몸체 13: 연결구12: Block Body 13: End Connection
14: 결속구 121a: 반블럭 몸체14: binding
141: 볼트 142: 너트141: bolt 142: nut
143: 와셔 200: 조경 블럭 몸체143: washer 200: landscaping block body
201: 중공201: hollow
본 발명은 호안 블럭 및 조경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 하천변, 해안변, 도로변, 및 기타 각종 경사면에 다수개의 블럭들을 볼트로 서로 결속되게 설치하여 블럭의 일부 유실을 방지하며, 점토재질로 제작되어, 고열의 소성 과정을 거쳐 생산되어 생태 환경과 식생에 도움을 주는 호안 블럭 및 조경 블럭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tment block and landscaping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plurality of blocks bound to each other with bolts on banks, riversides, coasts, roadsides, and other various inclined surfaces to prevent the loss of some of the blocks, clay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ke block and a landscaping block which are manufactured through a high-temperature firing process to help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vegetation.
통상의 호안 블럭은 제방, 하천변, 해안변, 도로변, 및 기타 각종 경사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블럭들을 서로 결속하여 일체화함으로써 블럭의 일부 유실을 막을 수 있으며, 경사면을 정비와, 경사면의 토사 및 사석의 유실이나 침식 및 붕괴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잔디 등의 식물을 식재하여 생태계를 보호하고, 미관을 자연에 가깝도록 꾸미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Ordinary raft blocks can prevent a partial loss of blocks by binding and integrating a plurality of blocks installed on banks, riversides, coasts, roadsides, and other slopes, and maintain slopes, and lose soil and sand on slopes. It is used to protect the ecosystem by planting plants such as grass and to prevent erosion and collapse, and to decorate the aesthetics to be close to nature.
종래에는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 호수, 기타 수로 등에 여러 형태와 크기를 가진 호안 블럭 또는 돌망태 등이 설치되어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embankment and waterway loss, riverbanks, rivers, lakes, other waterways, etc., have been used to install a raft block or gabion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상기 돌망태는 와이어 등으로 돌무더기를 감싸 지면에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으로 설치됨으로써, 돌 틈사이로 토양의 공기 및 유입되는 물을 배수가 원활하게 되는 반면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공에 의해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됨은 물론, 상기와 같은 돌망태의 경우 특히 연약지반에 설치할 때, 홍수시 물이 제방을 범람하게 되면 돌망태의 돌틈사이로 범람하는 물이 침투하기 용이하게 되어, 제방이 유실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관계로 임시적으로 제방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는 하나, 항구적 제방을 형성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The gabions ar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method to wrap the piles of stones with wires, etc., so that the air and the incoming water of the soil are smoothly drained between the stone gaps, while the workers have to construct them by hand. As well as many difficulties, the above-mentioned gabions, especially when installed on the soft ground, when the flooding flooded the dike, the water overflows easily between the gabions, and the dike is frequently lost Although it is used as a means for temporarily forming the embankment in relation to the occurrence, it is inadequate to form a permanent embankment.
이에 따라, 제방에 정형화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호안 블럭이 수로 등의 경사면에 시공되어 제방을 보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호안 블럭은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 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되어, 제방의 상,하측의 토질에 따라 시공된 블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면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이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유실되거나 심지어는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a bank block having a shape and size standardized on the bank is protected on the bank by installing it on an inclined surface such as a channel, and the bank block has a constant construction surface to prevent the bank from losing due to flooding. As the construction is made to be in a dense state and any one block among the block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oil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nk is lost or detached, each of the revetment blocks in which each side and the bottom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is gradually progressed. There is a problem that accidents that are lost or even collapse sequentially.
또한, 상기와 같은 호안 블럭의 조밀한 시공상태에 있어서, 블럭의 유실은 우천시 제방과 근접되는 지면으로 스며든 물의 배출이 어렵게 되어 지반의 약화로 인해 유실의 진행이 빠르게 나타나며, 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관계에 따라 지반의 토양이 황폐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dense construction state of the raft block as described above, the loss of the block is difficult to discharge the water soaked to the ground close to the embankment during rainy weather, the progress of the loss appears quickly due to the weakening of the ground, the water discharge is not smoo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il of the soil is devastated depending on the poor relationship.
또한, 종래의 호안 블럭의 자체 재질이 시멘트와 모래 등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호안 블럭에 풀 등과 같은 식물이 자생하기가 극히 어려워 생태계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conventional rafting block is made of concrete composed of cement and sand,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plants such as grass to grow on the rafting block, which causes a huge adverse effect on the ecosystem.
상기, 종래와 같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호안 블럭은 콘크리트재질의 독성이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생물의 생태환경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고, 우천시 제방과 근접되는 지면으로 스며든 물의 배출이 어렵게 되어 지반의 약화로 인해 유실의 진행이 빠르게 나타나며, 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관계에 따라 지반 토양이 황폐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revetment block made of concrete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toxicity of concrete material to the ecosystem, causing an imbalanc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living organisms, and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water that penetrates to the ground close to the embankment during rainy weather. Due to the rapid progress of the loss, due to the poor discharge of water has a problem that the soil soil is degrad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토로 제작, 고열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 형성하여 하천 생태 환경의 파괴를 방지하며 식생에 도움을 주고, 블럭 전체를 상호 간에 체결함에 있어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제방 및 사면 보호공법에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여 유지시켜 블럭의 유실, 이탈 및 제방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호안 블럭 및 조경 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made of clay, formed through a high-temperature calcining process to prevent destruction of the river ecological environment, help vegetation, and fasten the bolts and nuts in the entire bloc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horeline block and landscaping block that can be maintained by providing high stability to the dike and slope protection method to prevent the loss, separation and collapse of the dike.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천 등의 제방이나 경사진 비탈지에 설치되어, 제방의 함몰이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결합력과 자연 친화적인 외형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호안 블럭에 있어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을 이루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측단면상 내부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연결구를 형성하며, 점토 재질로 제작되어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 블럭 몸체; 및 두 개 이상의 상기 블럭 몸체의 측면을 맞대고, 상기 연결구에 삽입하여 상기 블럭 몸체를 상호 연결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ank or inclined slope such as a river, it is formed to have a strong bonding force and a natural friendly appearance while preventing the sinking of the bank or loss of soil. In the rake block, it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nsisting of left, right symmetry and up, down symmetry to form a connector formed through the inner center on the side cross-section, made of clay material is formed through a high-temperature firing process Block body; And a binding hole facing 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block body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o connect and fix the block body to each other.
또한, 하천 등의 제방이나 경사진 비탈지에 설치되어, 제방의 함몰이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결합력과 자연 친화적인 외형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호안 블럭에 있어서, 소정의 부피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측단면상 내부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연결구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로 소정깊이의 식생부를 형성하며, 점토 재질로 제작되어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 블럭 몸체; 및두 개 이상의 상기 블럭 몸체의 측면을 맞대고, 상기 연결구에 삽입하여 상기 블럭 몸체를 상호 연결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a bank or sloped slope of rivers, etc., and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 a raft block formed to have a strong bonding force and a nature-friendly appearance while preventing the sinking of the bank and the loss of soil. A block body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inner center on the side cross-section, the upper surface is open to form a vegetation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and is made of a clay material and is formed through a high-temperature plasticization process; And a binding hole facing 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block body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o connect and fix the block body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블럭 몸체를 시공할 때, 축조되는 경사면의 현장 여건에 알맞게 상, 하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여타의 상기 블럭 몸체에 연결 결합되는 반블럭 몸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the block body, it is formed by cutting the upper, lower to suit the site conditions of the inclined surface to be built, the other half-block body coupled to the block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또한, 상기 결속구는 상기 블럭 몸체를 상호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너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sphere is loca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lock body, the bolt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nd a nut coupled to and fixed to one end of the bolt.
또한, 상기 결속구를 이루는 볼트와 너트의 사이에 와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sher between the bolt and the nut forming the binding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블럭 몸체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식생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a vegetation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또한, 하천 등의 제방이나 경사진 비탈지에 설치되어, 제방의 함몰이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결합력과 자연 친화적인 외형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조경 블럭에 있어서, 좌,우의 형태가 대칭을 이루면서 상,하부의 형태가 대칭을 이루는 종단면의 형상이 " "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형성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점토 재질로 제작되어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 조경 블럭 몸체; 다수 개중 하나의 조경 블럭 몸체의 상,하단 양측의 돌출부와 여타 좌,우측 조경 블럭 몸체의 측면 홈에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며, 설치되는 제방이나 비탈지의 경사에 따라 상부에 위치되는 조경 블럭 몸체보다 하부의 조경 블럭 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경사를 이루도록 겹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andscaping block, which is installed on banks and inclined slopes of rivers and the like to prevent the sinking of the banks and the loss of soil, it is formed to have a firm bonding force and a natural friendly appearance. While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ymmetry is " "Landscaping block body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shape, and has a hollow formed through the front to the back, and made of clay material through a high-temperature plasticization process; Landscaping block body of a plurality of It is coupled to zigzag into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ide grooves of the other left and right landscape block bodies, and the landscape block body lower than the landscape block body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installed bank or slo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to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overlapped to form an inclin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이 제방 경사면에 축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형상 및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안 블럭(10)은 제방(1) 등의 경사진 비탈지의 상면에 다수 개가 상호 연결되게 설치되는데, 블럭 몸체(12) 및 결속구(14)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f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on the bank inclined surfac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raf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roughly the bonding state of the lanyard block. Referring to FIGS. 1, 2, and 3, the
블럭 몸체(12)는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을 이루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중앙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원형의 식생부를 구비한다. 상기 식생부는 동,식물의 서식을 위한 식재 공간으로, 상기 식생부에 식물 등이 식재되어 호안의 경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미관을 자연에 가깝도록 꾸미고,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블럭 몸체(12)의 각 모서리부는 원호형태로 절단되게 형성되어, 상,하,좌,우에 각각의 다른 블럭 몸체(12)들이 상호 연결되면, 상기 모서리부의 원호형태 로 절단된 면들이 맞물려서 원형 홈을 이루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corner portion of the
상기 블럭 몸체(12)의 측단면상 내부 중심에는 상,하,좌,우 측단부에서 상기 식생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구(13)가 구비된다.In the inner center on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상기 블럭 몸체(12)는 점토 재질로 제작된 후,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1100 ~ 1300℃ 로 가열 처리)을 거쳐서 생산되는 제품으로의 강도와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결속구(14)는 다수 개의 상기 블럭 몸체(12)를 서로 체결하여 일체화 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볼트(141), 너트(142) 및 와셔(143)로 구성된다.The
결속구(14)는 두 개 이상의 상기 블럭 몸체(12)의 측면을 맞대도록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맞닿은 두 개의 연결구(13)에 그 연결구(13)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볼트(141)가 삽입되고 너트(142)로 고정 시켜서 상기 블럭 몸체(12)를 상호 결속 시키게 된다.The
이 때, 상기 너트(142)와 볼트(141)의 사이에는 통상의 와셔(14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의한 호안 블럭을 축조되는 환경에 알맞게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4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안 블럭(10)에서 블럭 몸체(121)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cut appropriately to the environment to build 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Figure 4a. 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shape of the
상기 블럭 몸체(121)의 형태는 상,하측이 상호 대칭되고, 좌,우측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럭 몸체(121)의 내부에는 식생부가 구비되고, 상,하 측면 중앙에는 반원형태의 홈을 구비하도록 절단되어 형성된다. The shape of the
또한, 좌,우측면 중앙에는 사각형태의 홈을 구비하도록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원형태 및 사각형태의 홈은 상기 블럭 몸체(121)에 연결되는 타 블럭 몸체(121)의 홈과 서로 맞물려 원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홈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cut and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groove in the center. At this time, the semi-circular and rectangular grooves are engaged with the grooves of the
그리고, 상기 블럭 몸체(121)는 축조되는 경사면의 현장 여건에 알맞게 상, 하부를 절단, 분리하여 여타의 상기 블럭 몸체(121)에 연결 결합 되는 반블럭 몸체(121a)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호안 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럭 몸체(122,123)는 시공현장의 지형과 여건에 알맞게 다양한 형태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relief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relief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블럭 몸체(122,123)는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가지는 블럭 형태로 상면의 내부로 소정 공간의 식생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본 발명에서 이러한 블럭 몸체(12,121,122,123)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 환경조건과 디자인의 선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호안 블럭이 조합을 이루어 제방 경사 면에 축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럭 몸체(12, 122, 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중 도 6에 도시된 블럭 몸체(123)는 상기 제방(1)의 경사면에 축조될 때, 경사면의 하단부에 일렬로 배치 결합되어 기초 블럭의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various types of revetment bl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on a bank inclined surface by combining. Referring to FIG. 7, the
그리고, 도 2,3에 도시된 블럭 몸체(12)는 상기 제방(1)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블럭 몸체(122)는 상기 제방(1)의 경사면에 축조될 때, 경사면의 상단부에 일렬로 배치 결합되어, 상단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 블럭이 경사진 비탈지에 축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경 블럭은 조경 블럭 몸체(200), 돌출부(210) 및 측면 홈(220)으로 형성된다. 조경 블럭 몸체(200)는 좌,우의 형태가 대칭을 이루면서 상,하부의 형태가 대칭을 이루는 종단면의 형상이 " "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경 블럭 몸체(200)의 상,하단 양측으로 돌출부(210)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돌출부(210)의 사이에 측면 홈(220)이 형성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ndscap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an inclined slope. Referring to FIG. 8, the landscap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조경 블럭 몸체(200)는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형성되는 중공(201)을 구비하고, 점토 재질로 제작되어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다.The
상기 조경 블럭 몸체(200)는 설치되는 경사면에 다수 개가 상호 연결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조경 블럭 몸체(200)의 양측 상,하방에 위치되게 되는 여타 조경 블럭 몸체(200) 중 일측 상방에 위치되는 조경 블럭 몸체(200)의 하단 돌출부(210)와 일측 하방에 위치되는 조경 블럭 몸체(200)의 상단 돌출부(210)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측면 홈(220)에 맞물려서 삽입결합되게 된다. The
상기 조경 블럭 몸체(200)가 설치되는 제방(1)이나 비탈지의 경사에 따라 상부에 위치되는 조경 블럭 몸체(200)보다 하부의 조경 블럭 몸체(20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경사를 이루도록 겹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조경 블럭 몸체(200) 각각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움푹 패여서, 형성되는 식생부(2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부(230)는 잔디 등 식물의 서식을 위한 식재 공간으로, 상기 식생부(230)에 식물 등이 식재되어 미관을 자연에 가깝도록 꾸미고,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그에 따라, 상기 조경 블럭 몸체(200)는 상기 제방(1)이나 비탈지의 경사의 정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미관을 수려하게 조성하고, 상호 간에 맞물려 있어 사면의 안정과 입체적인 조경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안 블럭 및 조경 블럭은, 상기 블럭 몸체의 재질이 점토로 제작되고, 고열의 소성처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됨으로써, 하천 생태 환경의 파괴를 방지하며 식생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revetment block and landscap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block body is made of clay, is formed through a high-temperature fir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the destruction of the river ecological environment and helps the vegetation Has an effect.
그리고, 블럭 전체를 상호 간에 상기 결속구를 사용하여 서로 체결함으로써, 제방 및 사면 보호공법에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nd, by fastening the entire block with each other using the above-mentioned binding sphere, it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and maintain high stability in the embankment and slope protection method.
그리고, 블럭 몸체를 점토를 이용하여 재작 생산함으로써, 별도의 영양공급원 없이 블럭자체에 구비된 조건만으로 식물의 자생이 가능하여 식물의 선택폭을 보다 넓힐 수 있고, 식물의 생육을 돕는 구조로서 친환경적인 자연미를 연출할 수 있으며, 블럭하부 제방의 물 배출을 원활하도록 하여, 지반 토양이 황폐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And, by re-producing the block body using clay, it is possible to grow the plants only by the conditions provided in the block itself without a separate nutrient supply, thereby widening the choice of plants, and as a structure that helps the growth of plants, Natural beauty can be produced, and by smoothing the discharge of water from the lower bank of the block, the soil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sola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2473A KR100796317B1 (en) | 2006-06-12 | 2006-06-12 | Landscaping block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2473A KR100796317B1 (en) | 2006-06-12 | 2006-06-12 | Landscaping block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5710U Division KR200424753Y1 (en) | 2006-06-12 | 2006-06-12 | Hoan Blocks & Landscaping Blocks |
KR1020070045107A Division KR20070118531A (en) | 2007-05-09 | 2007-05-09 | Hoan Blo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8400A KR20070118400A (en) | 2007-12-17 |
KR100796317B1 true KR100796317B1 (en) | 2008-01-21 |
Family
ID=3913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2473A Active KR100796317B1 (en) | 2006-06-12 | 2006-06-12 | Landscaping block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631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35338A (en) * | 2020-03-25 | 2020-06-26 |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Slope protection prefabricated toothed locking block assembly adapted to frost heave thawing and assembling method |
CN111519583A (en) * | 2020-06-08 | 2020-08-11 | 大连理工大学土木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8-shaped interlocking face protection block and dike protection fac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68034A (en) * | 1994-08-31 | 1996-03-12 | Oishi Takako | Bed protection block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
JPH08199535A (en) * | 1995-01-30 | 1996-08-06 | Hokukon:Kk | Purifying block and bed protective structure using purifying block |
JP3034088U (en) * | 1996-05-29 | 1997-02-14 | 新田特殊建材工業株式会社 | Planting block and connecting tool for this planting block |
KR200327393Y1 (en) | 2003-05-06 | 2003-09-19 | 주식회사 나노텍코리아 | A sea wall-block had connection structure |
KR200327429Y1 (en) | 2003-06-04 | 2003-09-22 | 주식회사 봉견 | The Environmental block |
KR100579420B1 (en) | 2005-11-02 | 2006-05-12 |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 Rectal Structure Using Block and Its Composition |
KR200416526Y1 (en) | 2006-02-17 | 2006-05-16 |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 Eco-friendly grass floor block with multiple vegetation spaces |
-
2006
- 2006-06-12 KR KR1020060052473A patent/KR1007963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68034A (en) * | 1994-08-31 | 1996-03-12 | Oishi Takako | Bed protection block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
JPH08199535A (en) * | 1995-01-30 | 1996-08-06 | Hokukon:Kk | Purifying block and bed protective structure using purifying block |
JP3034088U (en) * | 1996-05-29 | 1997-02-14 | 新田特殊建材工業株式会社 | Planting block and connecting tool for this planting block |
KR200327393Y1 (en) | 2003-05-06 | 2003-09-19 | 주식회사 나노텍코리아 | A sea wall-block had connection structure |
KR200327429Y1 (en) | 2003-06-04 | 2003-09-22 | 주식회사 봉견 | The Environmental block |
KR100579420B1 (en) | 2005-11-02 | 2006-05-12 |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 Rectal Structure Using Block and Its Composition |
KR200416526Y1 (en) | 2006-02-17 | 2006-05-16 |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 Eco-friendly grass floor block with multiple vegetation spa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8400A (en) | 2007-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6317B1 (en) | Landscaping blocks | |
KR20070118531A (en) | Hoan Block | |
KR100891738B1 (en) | Botanical vegetation and revetment blocks with fish facilities | |
KR200345937Y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1294664B1 (en) | Permeability tetrapod | |
KR200424753Y1 (en) | Hoan Blocks & Landscaping Blocks | |
KR200397518Y1 (en) | Natural block | |
KR200300440Y1 (en) | Revetment block | |
KR100514086B1 (en) | Revetment block | |
KR200284980Y1 (en) | Protection block for the slant side and/or river side enabling plant propagation with structure consistency | |
KR100449585B1 (en) | Vegetation revetment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356111Y1 (en) | Embankment block | |
KR200249172Y1 (en) | Revetment block | |
KR100478156B1 (en) | Embankment block set | |
KR100406812B1 (en) | Lattice embankment block | |
KR200303587Y1 (en) | Embankment block | |
KR100433919B1 (en) | block | |
KR20030079391A (en) | Protection block for the slant side and/or river side enabling plant propagation with structure consistency | |
KR200236316Y1 (en) | Block for bank | |
KR200346774Y1 (en) | An embankment block for plant community | |
KR200413594Y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Shore Block | |
KR20040081726A (en) | Planting life block a combined use fishway | |
KR200356104Y1 (en) | Basket-type block for bank protection capable of growing plants | |
KR200327425Y1 (en) | Bio revetment block of boulder shape | |
KR200246799Y1 (en) | Revetment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5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