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265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265B1 KR100795265B1 KR1020067019378A KR20067019378A KR100795265B1 KR 100795265 B1 KR100795265 B1 KR 100795265B1 KR 1020067019378 A KR1020067019378 A KR 1020067019378A KR 20067019378 A KR20067019378 A KR 20067019378A KR 100795265 B1 KR100795265 B1 KR 100795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hoistway
- main rope
- counterweight
- dr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는, 그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의 각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각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제 1 구동 쉬브에 감긴 제 1 메인 로프와, 제 2 구동 쉬브에 감긴 제 2 메인 로프를 가진 메인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제 1 메인 로프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고, 제 2 메인 로프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단부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가 각각 감겨진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가 각각 감겨진 제 1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are elevated in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The 1st and 2nd driv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so that each rotating shaft of the 1st and 2nd drive sheave may become perpendicular | vertical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a main rope body having a first main rope wound on a first drive sheave and a second main rope wound on a second drive sheave. The first main rope has first and second end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second main rope has third and fourth end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ca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ar chassis pulley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respectively wound. The counterweight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respectively wou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drive device for elevating a car and a counterweight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a hoistway.
종래, 승강로의 높이 치수의 단축화를 위해서, 승강로의 상부에 권상기(卷上機)를 수평으로 배치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drive sheave)의 회전축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 있다.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가 수평으로 감겨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의 방향을 수평 방향에서부터 연직 방향으로 전향(轉向)하는 2개의 전향 쉬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전향 쉬브에 의해 전향된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in order to shorten the height dimension of a hoistwa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hoisting machine horizontally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s propose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The main rope is wound horizontally on the drive sheav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wo forward sheaves are provided which redirect the direction of the main rope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the main rope redirected by the redirecting sheav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특개2000-25593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55933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Problem to be solved by inven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1개의 권상기로 승강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권상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cage | basket |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made to elevate with one hoist, the hoisting machine becomes large with the enlargement of an elevator apparatus. Thereby, reduction of the whole elevator apparatus cannot be aimed a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aim at reduction of the whole apparatus.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 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 1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구동 장치, 제 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 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2 구동 장치,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여 제 1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 1 메인 로프와,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단부 및 제 4 단부를 포함하여 제 2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 2 메인 로프를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제 1 메인 로프의 제 1 구동 쉬브와 제 1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sash pulley),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제 2 메인 로프의 제 2 구동 쉬브와 제 3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균형추에 설치되고, 제 1 메인 로프의 제 1 구동 쉬브와 제 2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 및 균형추에 설치되고, 제 2 메인 로프의 제 2 구동 쉬브와 제 4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를 구비하고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drive sheave, a first drive device disposed above the hoistway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e sheav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 second drive sheav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car, the first and the second driving device, which lifts and lowers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device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so that the rotation axis thereof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A first main rope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sheave, including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in the hoistway,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a second end, and a third end and a fourth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main rope body having a second main rope wound on a second drive sheave, including a car and a counterweight in the hoistway, installed in the car, the first main rope A first car chassis pulley in which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end and the first end is wound, which is installed in the car, and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and the third end of the second main rope A portion of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wound around, is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and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ain rope is wound on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and the counterweight, A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is provided with a portion wound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and the fourth end of the second main ro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7.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균형추(3)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은,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따라 연장하는 직선에 대하여 각각 평행하게 되어 있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부(2a, 2b)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4)가 설치된 전면부(前面部)(2c)와, 전면부(2c)에 대향하는 배면부(2d)를 가지고 있다. 전면부(2c)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4)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짝(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제 1 및 제 2 측면부(2a, 2b)의 각 바깥면 사이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전면부(2c) 및 배면부(2d)의 각 바깥면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The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배면부(2d)와 대향하고 있다. 즉,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권상기)(12, 13)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서로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제 1 구동 장치(1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1 구동 장치 본체(14) 와, 제 1 구동 장치 본체(14)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 쉬브(15)를 가지고 있다. 제 2 구동 장치(13)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2 구동 장치 본체(16)와, 제 2 구동 장치 본체(16)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구동 쉬브(17)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축 방향 치수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지름 치수 또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로 되어 있다.The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회전축이 수평면(거의 수평인 면을 포함)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각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위치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윗쪽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18)가 감겨 있다. 메인 로프체(18)는, 제 1 구동 쉬브(15)에 대략 수평으로 감겨진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1 메인 로프(19)와, 제 2 구동 쉬브(17)에 대략 수평으로 감겨진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2 메인 로프(20)를 가지고 있다.The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가 감겨진 한 쌍의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26)와, 제 2 메인 로프(20)가 감겨진 한 쌍의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는,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제 1 측면부(2a) 측에 설치되고,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는,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제 2 측면부(2b) 측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균형추(3)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가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와, 제 2 메인 로프(20)가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29, 30)는, 균형추(3)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 설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cleat portion)(21, 22)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 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1)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는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4)는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제 1 메인 로프(19)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1)에 접속된 제 1 단부(19a)와, 제 1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에 접속된 제 2 단부(19b)를 가지고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에 접 속된 제 3 단부(20a)와,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4)에 접속된 제 4 단부(20b)를 가지고 있다.The first
즉,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26)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단부(19a)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3 단부(20a)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또,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2 단부(19b)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고,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4 단부(20b)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That is, the part between the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로 이끄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 제 1 메인 로프(19)를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로 이끄는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 제 2 메인 로프(20)를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로 이끄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 제 2 메인 로프(20)를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로 이끄는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및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upper part of the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균형추 리턴 풀리(32)는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균형추 리턴 풀리(34)는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car side return
제 1 구동 쉬브(15)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는, 리턴 풀리(31 ~ 34)에 의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된다. 이 때문에, 리턴 풀리(31 ~ 34)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긴 제 1 전향 쉬브(35)와,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긴 제 2 전향 쉬브(36)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면(거의 수평인 면을 포함한다)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upper part of the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제 1 메인 로프(19) 및 제 2 메인 로프(20)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즉, 제 1 메인 로프(19)는, 제 1 단부(19a)로부터,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 25),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 제 1 전향 쉬브(35), 제 1 구동 쉬브(15), 제 1 균 형추 측 리턴 풀리(32) 및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순서로 감기고, 제 2 단부(19b)에 이르러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3 단부(20a)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제 2 전향 쉬브(36), 제 2 구동 쉬브(17),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순서로 감겨서, 제 4 단부(20b)에 이르러 있다.The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 및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에 따른 2의 중심선에 관하여,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서로 동기(同期)하여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는, 서로 동기하여 회전되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an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3)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제 1 메인 로프(19) 및 제 2 메인 로프(20)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에 부가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 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수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형화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cage | basket |
또,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섀시 풀리(25 ~ 30)로 각각 이끄는 리턴 풀리(31 ~ 34)가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에 간섭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9, 20)로부터 리턴 풀리(31 ~ 34)로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유도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eturn pulleys 31-34 which lead the 1st and 2nd
또,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는 제 1 전향 쉬브(35)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 및 제 1 전향 쉬브(35)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traction)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동 장치(12)의 구동력을 제 1 메인 로프(19)로 더욱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더욱 확실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또,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는 제 2 전향 쉬브(36)가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 및 제 2 전향 쉬브(36)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구동 장치(13)의 구동력을 제 2 메인 로프(20)로 더욱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더욱 확실히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또,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 및 제 1 전향 쉬브(35)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a portion between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 및 제 2 전향 쉬브(36)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portion between the
실시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향 쉬브(35)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더욱이 또한, 제 2 전향 쉬브(36)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3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뒤쪽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us, the dimension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portion between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portion between the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2 측면부(2b)와 대향하고 있다. 즉,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횡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offset) 배치되어 있다.5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3 단부(20a)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3 단부(20a)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제 2 전향 쉬브(36), 제 2 구동 쉬브(17),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순서로 감기고, 제 4 단부(20b)에 이르러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The second car side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폭 방향 횡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 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us,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7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폭 방향 횡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us, the dimension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또한, 상기 실시 형태 3 및 4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로 감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said
또, 상기 실시 형태 3 및 4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 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로 감도록 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e said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에 대한 감김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제 1 전향 쉬브(35)는 없어도 좋다. 또한,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에 대한 감김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제 2 전향 쉬브(36)은 없어도 좋다.In addition, in each said embodiment, if the wi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설치하여도 좋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the 1st and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2개의 구동 장치(12, 1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2) 및 균형추(3)에는, 각 구동 장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및 균형추 섀시 풀리가 각각 설치되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각 구동 장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균형추 측 리턴 풀리 및 전향 쉬브가 각각 설치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각 구동 장치의 대수와 같은 수의 메인 로프를 가지는 메인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 달린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age | basket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Thus, this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the elevator apparatus by which the cage | basket | car and the drive device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ounterweight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en) | 2006-09-20 | 2004-09-30 | Elevato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en) | 2006-09-20 | 2004-09-30 | Elevator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0668A KR20060130668A (en) | 2006-12-19 |
KR100795265B1 true KR100795265B1 (en) | 2008-01-15 |
Family
ID=3781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en) | 2006-09-20 | 2004-09-30 | Elevato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526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5933A (en) * | 1999-01-08 | 2000-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evice |
JP2002173279A (en) * | 2000-12-08 | 2002-06-21 | Toshiba Corp | Elevator |
CA2465031A1 (en) | 2001-11-23 | 2003-05-30 | Inventio Ag | Lift with belt-like transmission means, particularly with wedge-ribbed belt, as support means and/or drive means |
WO2003104126A1 (en) * | 2002-06-10 | 2003-12-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
-
2004
- 2004-09-30 KR KR1020067019378A patent/KR10079526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5933A (en) * | 1999-01-08 | 2000-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evice |
JP2002173279A (en) * | 2000-12-08 | 2002-06-21 | Toshiba Corp | Elevator |
CA2465031A1 (en) | 2001-11-23 | 2003-05-30 | Inventio Ag | Lift with belt-like transmission means, particularly with wedge-ribbed belt, as support means and/or drive means |
WO2003104126A1 (en) * | 2002-06-10 | 2003-12-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0668A (en) | 2006-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91331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618467B1 (en) | Elevator device | |
KR100961038B1 (en) | Elevator device | |
KR100524105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956208B1 (en) | Elevator device | |
JP3991657B2 (en) | elevator | |
KR20030020969A (en) | Elevator device | |
KR100685505B1 (en) | Elevator apparatus | |
JP4292157B2 (en) | Elevator equipment | |
EP1053969B1 (en) | Elevator | |
KR100795265B1 (en) | Elevator apparatus | |
EP1724229A1 (en) | Elevator apparatus | |
JP4757803B2 (en) | Elevator equipment | |
US20070170005A1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KR100735338B1 (en) | Elevator | |
KR100351279B1 (en) | Elevator | |
EP1717184B1 (en) | Elevator | |
KR100551616B1 (en) | Elevator device | |
KR100728419B1 (en) | Elevator equipment | |
KR200288350Y1 (en) | Elevator | |
KR100911079B1 (en) | Elevator device | |
EP1714934A1 (en) | Elevator | |
KR100804886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775197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617383B1 (en) |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