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95265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265B1
KR100795265B1 KR1020067019378A KR20067019378A KR100795265B1 KR 100795265 B1 KR100795265 B1 KR 100795265B1 KR 1020067019378 A KR1020067019378 A KR 1020067019378A KR 20067019378 A KR20067019378 A KR 20067019378A KR 100795265 B1 KR100795265 B1 KR 100795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main rope
counterweigh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30668A (en
Inventor
시로 이케다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265B1/en
Publication of KR2006013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는, 그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의 각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각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제 1 구동 쉬브에 감긴 제 1 메인 로프와, 제 2 구동 쉬브에 감긴 제 2 메인 로프를 가진 메인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제 1 메인 로프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고, 제 2 메인 로프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단부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가 각각 감겨진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가 각각 감겨진 제 1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are elevated in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The 1st and 2nd driv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so that each rotating shaft of the 1st and 2nd drive sheave may become perpendicular | vertical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a main rope body having a first main rope wound on a first drive sheave and a second main rope wound on a second drive sheave. The first main rope has first and second end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second main rope has third and fourth end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ca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ar chassis pulley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respectively wound. The counterweight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respectively woun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Elevator device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drive device for elevating a car and a counterweight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a hoistway.

종래, 승강로의 높이 치수의 단축화를 위해서, 승강로의 상부에 권상기(卷上機)를 수평으로 배치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drive sheave)의 회전축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 있다.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가 수평으로 감겨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의 방향을 수평 방향에서부터 연직 방향으로 전향(轉向)하는 2개의 전향 쉬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전향 쉬브에 의해 전향된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in order to shorten the height dimension of a hoistwa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hoisting machine horizontally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s propose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The main rope is wound horizontally on the drive sheav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wo forward sheaves are provided which redirect the direction of the main rope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the main rope redirected by the redirecting sheav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특개2000-25593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55933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Problem to be solved by inven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1개의 권상기로 승강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권상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cage | basket |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made to elevate with one hoist, the hoisting machine becomes large with the enlargement of an elevator apparatus. Thereby, reduction of the whole elevator apparatus cannot be aimed a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aim at reduction of the whole apparatus.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 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 1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구동 장치, 제 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 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2 구동 장치,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여 제 1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 1 메인 로프와,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단부 및 제 4 단부를 포함하여 제 2 구동 쉬브에 감겨진 제 2 메인 로프를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제 1 메인 로프의 제 1 구동 쉬브와 제 1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sash pulley),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제 2 메인 로프의 제 2 구동 쉬브와 제 3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균형추에 설치되고, 제 1 메인 로프의 제 1 구동 쉬브와 제 2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 및 균형추에 설치되고, 제 2 메인 로프의 제 2 구동 쉬브와 제 4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를 구비하고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drive sheave, a first drive device disposed above the hoistway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e sheav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 second drive sheav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car, the first and the second driving device, which lifts and lowers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device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so that the rotation axis thereof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A first main rope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sheave, including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in the hoistway,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a second end, and a third end and a fourth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main rope body having a second main rope wound on a second drive sheave, including a car and a counterweight in the hoistway, installed in the car, the first main rope A first car chassis pulley in which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end and the first end is wound, which is installed in the car, and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and the third end of the second main rope A portion of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wound around, is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and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ain rope is wound on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and the counterweight, A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is provided with a portion wound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and the fourth end of the second main ro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7.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균형추(3)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직선은, 승강로(1)의 폭 방향에 따라 연장하는 직선에 대하여 각각 평행하게 되어 있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drawing, a pair of car guide rails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both not shown). The car 2 is guided by each car guide rail and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1, and the counterweight 3 is guided by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1. In this example,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each car guide rail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re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respectively. It is parallel.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부(2a, 2b)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4)가 설치된 전면부(前面部)(2c)와, 전면부(2c)에 대향하는 배면부(2d)를 가지고 있다. 전면부(2c)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4)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짝(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제 1 및 제 2 측면부(2a, 2b)의 각 바깥면 사이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전면부(2c) 및 배면부(2d)의 각 바깥면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The car 2 is a front part 2c provided with the 1st and 2nd side surface parts 2a and 2b which mutually oppose each car guide rail, the car doorway 4, and the front surface. It has the back part 2d facing the part 2c. In the front part 2c, the door 5 of a pair of cage | basket | car which opens and closes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4 is provided. In this example,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dimension between each outer surface of the 1st and 2nd side part 2a, 2b) is the dimension of the cage | bowl 2 in the depth direction (front part ( 2c) and the dimension between each outer surface of the back part 2d).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배면부(2d)와 대향하고 있다. 즉,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counterweight 3 opposes the rear part 2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at is, when the hoistway 1 is vertically projected,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권상기)(12, 13)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서로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drive apparatus (winder) 12, 13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addition,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mutually.

제 1 구동 장치(1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1 구동 장치 본체(14) 와, 제 1 구동 장치 본체(14)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 쉬브(15)를 가지고 있다. 제 2 구동 장치(13)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2 구동 장치 본체(16)와, 제 2 구동 장치 본체(16)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구동 쉬브(17)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축 방향 치수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지름 치수 또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로 되어 있다.The first drive device 12 includes a first drive device body 14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first drive sheave 15 that is rotated by the first drive device body 14. The second drive device 13 has a second drive device body 16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second drive sheave 17 that is rotated by the second drive device body 16. In addition,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have the axial dimension of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1st and 2nd drive device main bodies 14 and 16, or the 1st and 2nd drive sheaves 15 and 17 of a 1st. It is a thin hoist tha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imension.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회전축이 수평면(거의 수평인 면을 포함)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각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의 위치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윗쪽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12, 13 each include a horizontal (almost horizontal) such that the rotational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5, 17 ar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ncluding the nearly horizontal plane). ) In addition,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1st and 2nd drive sheaves 15 and 17 may be upper side of the 1st and 2nd drive device main bodies 14 and 16, respectively. It is.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18)가 감겨 있다. 메인 로프체(18)는, 제 1 구동 쉬브(15)에 대략 수평으로 감겨진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1 메인 로프(19)와, 제 2 구동 쉬브(17)에 대략 수평으로 감겨진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2 메인 로프(20)를 가지고 있다.The main rope body 18 which winds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in the hoistway 1 is wound by the 1st and 2nd drive sheaves 15 and 17. As shown in FIG. The main rope body 18 is substantially horizontal to the plurality of first main ropes 19 (shown in FIG. 1) and the second drive sheaves 17 wound substantially horizontally on the first drive sheave 15. It has a plurality of second main ropes 20 (only one is shown in the figure) wound by the wires.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가 감겨진 한 쌍의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26)와, 제 2 메인 로프(20)가 감겨진 한 쌍의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는,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제 1 측면부(2a) 측에 설치되고,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는,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제 2 측면부(2b) 측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2, a pair of 1st cage | basket | car chassis pulleys 25 and 26 by which the 1st main rope 19 was wound, and a pair of 2nd which the 2nd main rope 20 was wound up Car chassis pulleys 27 and 28 are provided. The 1st car chassis pulley 25 and the 2nd car chassis pulley 27 are provided in the 1st side part 2a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ar 2, and the 1st car chassis pulley 26 and The 2nd car chassis pulley 28 is provided in the 2nd side surface part 2b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ar 2.

균형추(3)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가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와, 제 2 메인 로프(20)가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29, 30)는, 균형추(3)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 설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3, the 1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29 by which the 1st main rope 19 was wound, and the 2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30 by which the 2nd main rope 20 were wound are provided. . The 1st and 2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s 29 and 30 are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3.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cleat portion)(21, 22)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 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1)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는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4)는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cage side rope fixing parts 21 and 22, and the 1st and 2nd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parts 23 and 24 are provided. The first car side rope fixing part 21 is disposed above the first car chassis pulley 26, and the second car side rope fixing part 22 is above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27. Is placed on. In addition,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part 23 is disposed above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29,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part 24 is arranged above the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chassis pulley 30. It is.

제 1 메인 로프(19)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1)에 접속된 제 1 단부(19a)와, 제 1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3)에 접속된 제 2 단부(19b)를 가지고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에 접 속된 제 3 단부(20a)와, 제 2 균형추 측 로프 고정부(24)에 접속된 제 4 단부(20b)를 가지고 있다.The first main rope 19 includes a first end 19a connected to the first car side rope fixing part 21 and a second end 19b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part 23. Have Moreover, the 2nd main rope 20 has the 3rd end part 20a connected to the 2nd car side rope fixing part 22, and the 4th end part connected to the 2nd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part 24 ( 20b).

즉,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 26)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단부(19a)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3 단부(20a)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또,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2 단부(19b)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고,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4 단부(20b)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That is, the part between the 1st drive sheave 15 and the 1st end part 19a of the 1st main rope 19 is wound by the 1st cage pulley 25 and 26, and the 2nd cage chassis pulley A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17 and the third end portion 20a of the second main rope 20 is wound around the 27 and 28. In addition,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15 of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second end portion 19b is wound around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29,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chassis pulley 30 is wound on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29.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17 of the second main rope 20 and the fourth end 20b is wound.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로 이끄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 제 1 메인 로프(19)를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로 이끄는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 제 2 메인 로프(20)를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로 이끄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 제 2 메인 로프(20)를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로 이끄는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및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1st car side return pulley 31 which leads the 1st main rope 19 to the 1st car chassis pulley 25, and the 1st main rope 19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pulley 32 leading to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29 and the second cage side pulley 33 leading the second main rope 20 to the second cage chassis pulley 28 And a second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34 which leads the second main rope 20 to the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30. Each axis of rotation of the 1st car side return pulley 31, the 1st counterweight side pulley 32, the 2nd car side return pulley 33, and the 2nd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34 is horizontal (almost). It is arranged horizontally).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5)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균형추 리턴 풀리(32)는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윗쪽에 배치되고, 제 2 균형추 리턴 풀리(34)는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31 is disposed above the first car chassis pulley 25, and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33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28. It is. Moreover, the 1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32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1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29, and the 2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34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2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30. As shown in FIG.

제 1 구동 쉬브(15)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는, 리턴 풀리(31 ~ 34)에 의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된다. 이 때문에, 리턴 풀리(31 ~ 34)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9 and 20 extending from the first drive sheave 15 in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are redirected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by the return pulleys 31 to 34. For this reason, the return pulleys 31-34 are arrange |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13.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긴 제 1 전향 쉬브(35)와,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긴 제 2 전향 쉬브(36)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면(거의 수평인 면을 포함한다)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1st direction sheave 35 by which the part between the 1st drive sheave 15 of the 1st main rope 19 and the 1st car side return pulley 31 was wound, The 2nd turning sheave 36 by which the part between the 2nd drive sheave 17 of the 2nd main rope 20 and the 2nd car side return pulley 33 is wound is arrange | positioned. The 1st and 2nd redirecting sheaves 35 and 36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Moreover, each rotation axis of the 1st and 2nd redirecting sheaves 35 and 36 is arrange |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a horizontal plane (including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surface). In addition, the 1st and 2nd redirecting sheaves 35 and 36 are arrange |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1st and 2nd driving sheaves 15 and 17. FIG.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제 1 메인 로프(19) 및 제 2 메인 로프(20)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즉, 제 1 메인 로프(19)는, 제 1 단부(19a)로부터,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6, 25),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 제 1 전향 쉬브(35), 제 1 구동 쉬브(15), 제 1 균 형추 측 리턴 풀리(32) 및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29)의 순서로 감기고, 제 2 단부(19b)에 이르러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3 단부(20a)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28),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제 2 전향 쉬브(36), 제 2 구동 쉬브(17),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순서로 감겨서, 제 4 단부(20b)에 이르러 있다.The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2: 1 roping manner by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second main rope 20. In other words, the first main rope 19 is the first car chassis pulleys 26, 25, 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31, the first turning sheave 35, from the first end 19a. The first drive sheave 15, the first balance weight side return pulley 32, and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29 are wound in the order of reaching the second end 19b. Moreover, the 2nd main rope 20 is, from the 3rd end part 20a, the 2nd cage | basket | car chassis pulleys 27 and 28, the 2nd cage | bowl side return pulley 33, the 2nd turning sheave 36, The second drive sheave 17,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3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30 are wound in the order to reach the fourth end 20b.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 및 제 1 및 제 2 전향 쉬브(35, 36)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에 따른 2의 중심선에 관하여,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nd the 1st and 2nd redirecting sheaves 35 and 36 are 2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each is arranged symmetrically. Moreover, the control apparatus (not shown) which controls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서로 동기(同期)하여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는, 서로 동기하여 회전되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driven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Thereby, the 1st and 2nd drive sheaves 15 and 17 are rotat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are lifted up and down.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3)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제 1 메인 로프(19) 및 제 2 메인 로프(20)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에 부가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 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수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형화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cage | basket | car 1 and the counterweight 3 are made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by the driving force of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nd also the cage | basket | car 2 ) And the counterweight 3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2: 1 roping manner by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second main rope 20,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12. , The load added to 13 can be reduced,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12 and 13 can be miniaturized. Thereby, the length of the hoistway 1 in the height direction can be shortened,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Therefore, the whole elevator apparatus can be reduced in size. Moreover, the degree of enlargement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mpanying the enlargement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또,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섀시 풀리(25 ~ 30)로 각각 이끄는 리턴 풀리(31 ~ 34)가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에 간섭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9, 20)로부터 리턴 풀리(31 ~ 34)로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9, 20)를 유도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eturn pulleys 31-34 which lead the 1st and 2nd main ropes 19 and 20 to the chassis pulleys 25-30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agent which ext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9 and 20 can be divert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from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9 and 20.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9 and 20 can be guided to the return pulleys 31 to 34.

또,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는 제 1 전향 쉬브(35)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 및 제 1 전향 쉬브(35)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traction)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동 장치(12)의 구동력을 제 1 메인 로프(19)로 더욱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더욱 확실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1st turning sheave 35 by which the part between the 1st drive sheave 15 of the 1st main rope 19 and the 1st car side return pulley 31 is wound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the install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1st drive sheave 15 and the 1st forward sheave 35 of the 1st main rope 19 can be ensured, and the traction capability can be increased. Thereby, the driving force of the 1st drive apparatus 12 can be transmitted to the 1st main rope 19 more reliably, and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reliably.

또,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기는 제 2 전향 쉬브(36)가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 및 제 2 전향 쉬브(36)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구동 장치(13)의 구동력을 제 2 메인 로프(20)로 더욱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더욱 확실히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2nd turning sheave 36 by which the part between the 2nd drive sheave 17 of the 2nd main rope 20 and the 2nd car side return pulley 33 is wound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t the upper part.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the install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2nd drive sheave 17 and the 2nd turning sheave 36 of the 2nd main rope 20 can be ensured, and a traction capability can be increased. Thereby, the driving force of the 2nd drive apparatus 13 can be transmitted to the 2nd main rope 20 more reliably, and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reliably.

또,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축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since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er.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elevator apparatus.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 및 제 1 전향 쉬브(35)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15 of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31 is wound around the first deflecting sheave 35.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15 of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pulley 32 may be wound around the first deflecting sheave 35. Even in this manner, the installation angles of the first drive sheave 15 and the first deflective sheave 35 of the first main rope 19 can be secured, thereby increasing the traction capability.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 및 제 2 전향 쉬브(36)에 대한 설치각을 확보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17 of the second main rope 20 and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33 is wound around the second turning sheave 36.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17 of the second main rope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pulley 34 may be wound around the second diverging sheave 36. Even in this manner, the installation angles of the second drive sheave 17 and the second turning sheave 36 of the second main rope 20 can be ensured, thereby increasing the traction capability.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향 쉬브(35)에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더욱이 또한, 제 2 전향 쉬브(36)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3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2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2. Moreover,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part between the 1st drive sheave 15 of the 1st main rope 19 and the 1st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32 is wound by the 1st redirecting sheave 35. Moreover, the part between the 2nd drive sheave 17 of the 2nd main rope 20 and the 2nd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34 is wound by the 2nd turning sheave 36.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뒤쪽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us, the dimension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balance weight 3 is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hoistway 1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can be made small.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15 of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pulley 32 is wound on the first deflecting sheave 35,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15 of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31 may be wound around the first deflecting sheave 35.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에 감기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17 of the second main rope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pulley 34 is wound around the second turning sheave 36, The part between the 2nd drive sheave 17 of the 2nd main rope 20 and the 2nd car side return pulley 33 may be wound up by the 2nd turning sheave 36.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2 측면부(2b)와 대향하고 있다. 즉,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횡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offset) 배치되어 있다.5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2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2. Moreover, the counterweight 3 opposes the 2nd side surface part 2b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at is, when the hoistway 1 is vertically projected,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transverse side of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n addition,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mutually offse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고정부(22)에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3 단부(20a)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메인 로프(20)는, 제 3 단부(20a)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8),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27),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 제 2 전향 쉬브(36), 제 2 구동 쉬브(17),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 및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30)의 순서로 감기고, 제 4 단부(20b)에 이르러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The second car side rope fixing portion 22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28. The 3rd end part 20a of the 2nd main rope 20 is connected to the 2nd car side rope fixing part 2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33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27. The second main rope 20 is, from the third end 20a,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28,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27,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33, and the second. The forward sheave 36, the second drive sheave 17,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3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30 are wound in the order of reaching the fourth end 20b.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폭 방향 횡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 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us,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is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at the width direction transverse side,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hoistway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1) can be made small.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7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2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2. Moreover,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third embodiment.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의 치수가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균형추(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의 폭 방향 횡측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us, the dimension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balance weight 3 is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at the width direction transverse side of 1, the 1st and 2nd drive apparatuses 12 and 13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1) can be made small.

또한, 상기 실시 형태 3 및 4에서는,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1)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1 전향 쉬브(35)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와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32)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1 전향 쉬브(35)로 감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3 and 4, the part between the 1st drive sheave 15 of the 1st main rope 19 and the 1st car side return pulley 31 is wound by the 1st turning sheave 35. However,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15 of the first main rope 19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pulley 32 may be wound by the first deflecting sheave 35.

또, 상기 실시 형태 3 및 4에서는,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33)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 2 전향 쉬 브(36)에 감기도록 되어 있지만,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와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34)와의 사이의 부분을 제 2 전향 쉬브(36)로 감도록 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3 and 4, the part between the 2nd drive sheave 17 of the 2nd main rope 20 and the 2nd car side return pulley 33 is connected to the 2nd turning sheave 36. Moreover, as shown in FIG. Although it is being wound,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17 of the second main rope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pulley 34 may be wound by the second turning sheave 36.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메인 로프(19)의 제 1 구동 쉬브(15)에 대한 감김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제 1 전향 쉬브(35)는 없어도 좋다. 또한, 제 2 메인 로프(20)의 제 2 구동 쉬브(17)에 대한 감김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제 2 전향 쉬브(36)은 없어도 좋다.In addition, in each said embodiment, if the wi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1st drive sheave 15 of the 1st main rope 19 can be ensured, the 1st turning sheave 35 may not be provided. In addition, as long as the wi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2nd drive sheave 17 of the 2nd main rope 20 can be ensured, the 2nd turning sheave 36 may not be provided.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 1 및 제 2 구동 쉬브(15, 17)가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 본체(14, 16)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12, 13)를 설치하여도 좋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the 1st and 2nd drive apparatuses 12 and 13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1st and 2nd drive sheaves 15 and 17 may be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1st and 2nd drive apparatus main bodies 14 and 16. FIG. ) Is installed,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12, 1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5, 17)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 bodies (14, 16). You may install it.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2개의 구동 장치(12, 1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2) 및 균형추(3)에는, 각 구동 장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 및 균형추 섀시 풀리가 각각 설치되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각 구동 장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균형추 측 리턴 풀리 및 전향 쉬브가 각각 설치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각 구동 장치의 대수와 같은 수의 메인 로프를 가지는 메인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 달린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by the drive force of the two drive devices 12 and 13, two or more drive devices The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may be moved up and down by the driving force. In this case, the car chassis pulley a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corresponding to each drive device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elevator 2 and the counterweight 3, and the car side return pulley corresponding to each drive devic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Counterweight return pulley and forward sheave are installed respectively. Moreover, the cage | basket | car 2 and the counterweight 3 are tied in the hoistway 1 by the main rope body which has the same number of main ropes as the number of each drive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Thus, this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the elevator apparatus by which the cage | basket | car and the drive device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ounterweight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Claims (4)

제 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 1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구동 장치,A first drive device having a first drive sheave and disposed above the hoistway such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drive sheav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제 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 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2 구동 장치,A second drive device having a second drive sheave and disposed above the hoistway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drive sheave is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plane;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An elevator car which elevates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units,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units,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구동 쉬브에 감긴 제 1 메인 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단부 및 제 4 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구동 쉬브에 감긴 제 2 메인 로프를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체,A first main rope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sheave includ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a third end and a fourth end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main rope body having a second main rope wound on a drive sheave and suspend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in the hoistway;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1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A first car chassis pulley installed in the car and wound around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main rope and the first end;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3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A second car chassis pulley installed in the car and wound around a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and the third end;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2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 및A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and having a portion wound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main rope and the second end, and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4 단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감겨진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A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and having a portion wound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and the fourth end;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로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A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leading the first main rope from the first drive sheave to the first car chassis pulley,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로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1 균형추 측 리턴 풀리,A first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disposed above the hoistway and leading the first main rope from the first drive sheave to the first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섀시 풀리로 상기 제 2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및A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disposed above the hoistway and leading the second main rope from the second drive sheave to the second car chassis pulley, and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로 상기 제 2 메인 로프를 이끄는 제 2 균형추 측 리턴 풀리A second counterweight side return pulley disposed above the hoistway and leading the second main rope from the second drive sheave to the second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 및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상기 제 1 구동 쉬브와 상기 제 1 균형추 섀시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감기는 제 1 전향 쉬브, 및It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a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of the first main rope and 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and the first drive sheave and the first of the first main rope. A first diverging sheave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between the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is wound, and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 및 상기 제 2 메인 로프의 상기 제 2 구동 쉬브와 상기 제 2 균형추 섀시 풀리와의 사이의 부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감기는 제 2 전향 쉬브It is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portion between the second drive sheave of the second main rope and the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and the second drive sheave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main rope. A second diverting sheave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between the counterweight chassis pulley is wound 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said 1st and 2nd driv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of the ca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said hoistway,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067019378A 2006-09-20 2004-09-30 Elevator apparatus KR100795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en) 2006-09-20 2004-09-30 Eleva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en) 2006-09-20 2004-09-30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668A KR20060130668A (en) 2006-12-19
KR100795265B1 true KR100795265B1 (en) 2008-01-15

Family

ID=3781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378A KR100795265B1 (en) 2006-09-20 2004-09-30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26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933A (en) * 1999-01-08 2000-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2002173279A (en) * 2000-12-08 2002-06-21 Toshiba Corp Elevator
CA2465031A1 (en) 2001-11-23 2003-05-30 Inventio Ag Lift with belt-like transmission means, particularly with wedge-ribbed belt, as support means and/or drive means
WO2003104126A1 (en) * 2002-06-10 2003-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933A (en) * 1999-01-08 2000-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2002173279A (en) * 2000-12-08 2002-06-21 Toshiba Corp Elevator
CA2465031A1 (en) 2001-11-23 2003-05-30 Inventio Ag Lift with belt-like transmission means, particularly with wedge-ribbed belt, as support means and/or drive means
WO2003104126A1 (en) * 2002-06-10 2003-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668A (en)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KR100961038B1 (en) Elevator device
KR100524105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956208B1 (en) Elevator device
JP3991657B2 (en) elevator
KR20030020969A (en) Elevator device
KR100685505B1 (en) Elevator apparatus
JP4292157B2 (en) Elevator equipment
EP1053969B1 (en) Elevator
KR100795265B1 (en) Elevator apparatus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JP4757803B2 (en) Elevator equipment
US20070170005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0735338B1 (en) Elevator
KR100351279B1 (en) Elevator
EP1717184B1 (en) Elevator
KR100551616B1 (en) Elevator device
KR100728419B1 (en) Elevator equipment
KR200288350Y1 (en) Elevator
KR100911079B1 (en) Elevator device
EP1714934A1 (en) Elevator
KR100804886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77519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617383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