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503B1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7503B1 KR100787503B1 KR1020060129437A KR20060129437A KR100787503B1 KR 100787503 B1 KR100787503 B1 KR 100787503B1 KR 1020060129437 A KR1020060129437 A KR 1020060129437A KR 20060129437 A KR20060129437 A KR 20060129437A KR 100787503 B1 KR100787503 B1 KR 100787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blade
- discharge port
- interval
- wid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Ⅰ부 확대도이다.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토출구의 폭에 따른 소음의 크기를 보인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nois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in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토출블레이드의 길이에 따른 소음의 크기를 보인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nois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ischarge blade in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11: 송풍팬10: main body 11: blowing fan
12: 구동모터 13: 증발기12: drive motor 13: evaporator
14: 드레인팬 15: 가이드부재14: drain pan 15: guide member
20: 천정패널 21: 흡입그릴20: ceiling panel 21: suction grill
22: 토출구 23: 토출블레이드22: discharge port 23: discharge blade
본 발명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정에 매달려 설치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suspended from a ceiling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써, 건물의 천정에 매달려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In general, a ceiling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an indoor space by including a refrigeration cycle component therein, and is to be installed on a ceiling of a building.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3516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 형상의 본체와, 개방되어 있는 본체의 하면을 덮는 천정패널을 포함하며, 본체 내부에는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가 본체 내부를 순환하게 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에 의해 본체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증발기가 포함되며, 천정패널에는 본체 내부로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흡입그릴이 마련되고 그 외곽측에 다수의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Conventional ceiling-type air conditioners include a rectangular box-shaped body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nd a ceiling panel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body, a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35161. It includes a blowing fan that generates suction and blowing power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body, and an evaporator that heats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body by the blowing fan and cools the air. A suction grill is provided at the center so that air can be sucked and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provided at the outer side thereof.
이때,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토출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있는데, 토출구의 폭과 토출블레이드의 위치 및 길이가 최적화 되지 못할 경우 유로저항에 의한 소음이 크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At this time, a discharge blade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ort so a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f the width and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discharge hole are not optimized, noise caused by the flow resistance is not only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저항에 의한 소음은 줄이면서도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천정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at can stably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ile reducing the noise caused by the flow path resistance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면을 덮으며 외곽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된 천정패널과, 상기 토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토출블레이드를 포함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폭(W)은 상기 본체 폭(Wo)의 7%에서 9%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 내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1)은 상기 토출구 내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1)과 상기 토출구 외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 간격(C2)의 합(C1+C2)의 34%에서 42%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 외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2)은 상기 토출구 내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1)과 상기 토출구 외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 간격(C2)의 합(C1+C2)의 58%에서 66%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길이(L)는 상기 토출구(W) 폭의 60%에서 70%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면을 덮으며 외곽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된 천정패널과, 상기 토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토출블레이드를 포함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폭(W)은 상기 본체 폭(Wo)의 7%에서 9%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 내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1)은 상기 토출구 내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1)과 상기 토출구 외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 간격(C2)의 합(C1+C2)의 34%에서 42%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 외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2)은 상기 토출구 내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의 간격(C1)과 상기 토출구 외측 단부와 상기 토출블레이드 사이 간격(C2)의 합(C1+C2)의 58%에서 66%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길이(L)는 상기 토출구(W) 폭의 60%에서 7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he ceiling panel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er side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located in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discharge blad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air, the width W of the discharg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etween 7% and 9% of the body width (Wo).
The interval C1 between the discharge port inn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is the sum of the interval C1 between the discharge port inn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and the interval C2 between the discharge port out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C1 +. And between 34% and 42% of C2).
In addition, the interval C2 between the discharge outlet out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is the sum of the interval C1 between the discharge outlet inn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and the interval C2 between the discharge outlet out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C1 +. And from 58% to 66% of C2).
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discharge blad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etween 60% and 70% of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W).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 ceiling panel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located at the discharge port. In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discharge blade, the width W of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between 7% and 9% of the main body width (Wo), and the space C1 between the discharge port inn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is And between 34% and 42% of the sum C1 + C2 of the interval C1 between the discharge outlet inn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and the interval C2 between the discharge outlet out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The interval C2 between the discharge blades is the sum (C1 + C2) of the interval C1 between the discharge outlet inn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and the interval C2 between the discharge outlet outer end and the discharge blade. At 58% is formed between the 66% and the length (L) of the ejection bla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tween 70-60% of the discharge port (W) wid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 천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형상의 본체(10)와, 개방되어 있는 본체(10)의 하면을 덮어 본체(10)의 하면을 형성하는 천정패널(20)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eiling through an opening provided in the ceiling, and includes a rectangular enclosure-shaped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되며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공기가 본체(10)의 내부를 순환하게 하는 송풍팬(11)과, 회전력을 발생시켜 송풍팬(1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와, 송풍팬(11)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1)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며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3)와, 증발기(13) 하측에 배치되어 증발기(13)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팬(14)과, 중앙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팬(11)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는 대략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증발기(13)는 본체(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형의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송풍팬(11)의 외측에 배치되며, 송풍팬(11)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져 천정패널(20)이 설치되어 있는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으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The inside of the
천정패널(20)에는 중앙측에 실내공간으로부터 공기가 관통하여 흡입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그릴(21)이 마련되며, 천정패널(20)의 흡입그릴(21) 외곽측에는 증발기(13)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하는 토출구(22)가 형성된다. 이때, 토출구(22)에는 토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블레이드(23)가 배치된다. The
이때, 이와 같은 토출구(22)의 폭(W)을 좁게 형성할 경우에는 유로저항에 의 한 소음이 발생하고, 토출구(22)의 폭(W)을 크게 형성할 경우에는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낮아져 공기의 유동 거리가 짧아지며 그에 따라 실내 공간에 고르게 도달되기 어려우므로 토출구(22)의 폭(W)을 적절하게 선정하여야만 한다.At this time, when the width W of the
도 3에는 토출구(22)의 폭(W)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출구(22)의 폭(W)이 본체(10) 폭(Wo)의 7%에 비하여 좁게 형성될 경우에는 소음이 급격하게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22)의 폭(W)이 본체(10) 폭(Wo)의 9%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현저히 감소되어 공기를 실내 공간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토출구(22)의 폭(W)은 본체(10) 폭(Wo)의 7%에서 9%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 3, the magnitude of the noise generated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또한,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이 좁을 경우 토출블레이드(2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으나,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이 적어져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측에서 이슬 맺힘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이 넓을 경우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제대로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C1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따라서,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과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2)의 비(C1:C2)를 조절하며 토출블레이드(23)의 각도가 60도 일 경우에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실험을 통해 측정하면 다음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ratio C1: C2 of the interval C1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상기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제어만을 고려할 경우,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과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2)은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과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2)의 합(C1+C2)의 25%에서 42%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2)은 58%에서 7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when only the direction control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그러나, 실험에서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과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2)의 비(C1:C2)가 0.25:0.75일 경우에는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에서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은 토출구(22)의 내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과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 간격(C2)의 합(C1+C2)의 34%에서 42%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2)은 토출구(22)의 내측 단부(C1)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1)과 토출구(22)의 외측 단부와 토출블레이드(23) 사이의 간격(C2)의 합(C1+C2)의 58%에서 66%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n the experiment, the ratio C1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또한, 토출블레이드(23)의 길이(L)가 짧을 경우에는 토출구(22)를 통해 토출 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대로 제어할 수 없는 반면, 토출블레이드(23)의 길이(L)가 길 경우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나 토출블레이드(23)로 인한 유로 저항의 증가로 소음이 증가한다. In addition, when the length L of the
따라서, 토출블레이드(23)의 길이(L)를 조절하며 토출구(22) 폭(W)에 대한 토출블레이드(23)의 각도가 60도 일 경우에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실험을 통해 측정하면 다음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ength L of the
또한, 도 4에는 토출블레이드(23)의 길이(L)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출블레이드(23)의 길이(L)가 0.7W, 즉 토출구(22) 폭(W)의 70%에도 도달할 때까지는 소음 증가 폭이 적으나, 70%에서 80% 사이의 구간에서는 소음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noise generated according to the length (L) of the
따라서,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토출블레이드(23)에 의한 소음은 작게 발생할 수 있도록 토출블레이드(23)의 길이(L)는 토출구(W) 폭의 60%에서 70%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length L of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토출구의 폭 및 토출블레이드의 위치가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유동저항에 의한 소음 발생은 최소화 하면서도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은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ized because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blade is optimized, it is possible to stably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ile minimiz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flow resistance There is an effect that becomes possibl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9437A KR100787503B1 (en) | 2006-12-18 | 2006-12-18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9437A KR100787503B1 (en) | 2006-12-18 | 2006-12-18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7503B1 true KR100787503B1 (en) | 2007-12-21 |
Family
ID=3914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9437A KR100787503B1 (en) | 2006-12-18 | 2006-12-18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75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62611A (en) * | 2018-07-09 | 2020-02-07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Fresh air cabinet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587A (en) * | 1993-06-28 | 1995-01-20 | Matsushita Refrig Co Ltd | Outlet of air conditioner |
JPH10176861A (en) | 1996-12-16 | 1998-06-30 | Mitsubishi Heavy Ind Ltd | Air-conditioner |
JP2005241062A (en) | 2004-02-25 | 2005-09-08 |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unit |
-
2006
- 2006-12-18 KR KR1020060129437A patent/KR10078750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587A (en) * | 1993-06-28 | 1995-01-20 | Matsushita Refrig Co Ltd | Outlet of air conditioner |
JPH10176861A (en) | 1996-12-16 | 1998-06-30 | Mitsubishi Heavy Ind Ltd | Air-conditioner |
JP2005241062A (en) | 2004-02-25 | 2005-09-08 |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un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62611A (en) * | 2018-07-09 | 2020-02-07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Fresh air cabinet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44593B1 (en) | Air-conditioner | |
KR101315427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632051B1 (en) | Air conditioner | |
JP2007205584A (en) | Air conditioner | |
KR20130121726A (en) | Environment test device | |
KR19990070390A (en) | Fan casing of window air conditioner | |
WO2019111308A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787503B1 (en)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
KR100765163B1 (en) | Air conditioner | |
JP4014906B2 (en) | Task / ambient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180128282A (en) | Wireless air flow amplifier | |
JP4851629B2 (en) |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ir conditioner | |
KR20080062890A (en) | Airconditioner | |
KR20170007603A (en) | Dehumidifier for lowering temperature of output air | |
JP5789029B2 (en) | Air conditioner | |
JP6329584B2 (en) |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ir conditioner | |
JP6323469B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16099034A (en) | Air conditioning device, adjustment method of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ir conditioning facility | |
KR20070033531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JP2006308208A (en) | Clean room device | |
JP2005098696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955668B1 (en) | Air flow amplifier | |
KR20080045563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000055582A (en) | condensate guide for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
KR20160098885A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