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974B1 -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5974B1 KR100785974B1 KR1020060136187A KR20060136187A KR100785974B1 KR 100785974 B1 KR100785974 B1 KR 100785974B1 KR 1020060136187 A KR1020060136187 A KR 1020060136187A KR 20060136187 A KR20060136187 A KR 20060136187A KR 100785974 B1 KR100785974 B1 KR 1007859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acid
- citric acid
- composition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액취, 족취, 두취 등과 같은 각종 체취 발생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미생물에 의한 체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므로, 체취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취증 및 족취 등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각종 체취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에는 약 2000만개 이상의 땀샘이 분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나오는 땀의 대부분은 에크린(Ecrine)이란 땀샘에서 분비되는데, 무색, 무취의 투명한 액체로 약간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다. 반면 겨드랑이, 젖가슴, 치골부위, 항문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아포크린(Apocrine)이란 땀샘에서는 땀과 함께 땀샘벽에 붙어있는 세포의 일부가 분리되어 몸밖으로 배출되는데, 이 배출된 단백질 성분의 세포부분이 겨드랑이에 있는 박테리아에 의하여 분해되어 생물학적 과정, 즉 부패의 결과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이다.
체취를 유발하는 미생물은 피부상재균 중에서도 특정 미생물군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액취증 환자에 대한 연구결과 액와부에 대한 미생물검사에서 호기성 디프테로이드(Aerobic Diphtheroides)가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고, 발견된 균주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기성 디프테로이드는 아직까지 분류학적 기준이 명백하지 않은 그람양성균으로서 습한 부위 즉 액와부, 서혜부, 족간부에서 많이 존재하나 건조한 부위나 이마와 같이 순수하게 지질이 풍부한 부위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최근의 연구결과 피부상에서 발견되는 호기성 디프테로이드는 코리네박테리움속(Corynebacterium)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코리네박테리움 보비스(Corynebacterium bovi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코리네박테리움 미누티지움(Corynebacterium minutissimum) 등이 있다. 실제 아포크린 땀과 피부상재균을 분류하여 함께 배양해본 결과 피부에서 주로 발견되는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등의 포도상구균이나 그람 음성 세균들에 비해 호기성 디프테로이드를 포함하는 디프테로이드균들로 배양했을 때 특유의 코를 찌르는 악취가 발생한다는 결과도 보고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불쾌한 악취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자주 몸을 씻거나 또는 향료가 함유된 스프레이, 일명 데오드란트를 사용하는 소극적인 방법이 있었으나 지금까지 그 효과면에서 크게 만족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데오드란트와 같은 제품에 사용하는 특유의 성분이 액취증 및 족취증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는 불쾌감을 주고, 주위 사람에게도 이와 관련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어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문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근래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외과적 수술로 겨드랑이 부위에 몰려있는 아포크린 땀샘을 제거하기도 한다. 그러나 외과적 시술은 경제적 부담이 클 뿐 아니라 시술 후 생길 수 있는 사회활동의 제약 등 시간적으로도 부담이 될 수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아포크린 땀샘이 겨드랑이에만 분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젖가슴, 치골부위, 족간부 등에도 분포되어 있어 외과적 시술로는 그 치료에 한계가 있다.
한편, 데오드란트 등에 많이 사용되는 트리클로산 등의 화학 합성 물질은 항균력은 우수하나, 피부 부작용 등에서 안전하지 못하고 인체에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인체에 안전하지 못하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 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된다. 특히, 트리클로산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퍼스날케어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미환경청(EPA)에서는 살충제(Pesticide)로 규정되어 있는 물질이고, 다이옥신이나 PCB류와 구조의 유사성으로 인해 인체 및 환경 유해성이 문제시되고 있다. 최근에 중국에서 수입 데오드란트 제품에서 환경 호르몬이 검출되었다는 충격적인 사건도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한 것이고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일부 연구가의 발표에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편의성으로 개발된 퍼스날케어 제품인 데오드란트에 대해 액취증 및 족취증과 같은 체취 환자들에게는 질병의 고통 뿐만 아니라 건강상의 위협까지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 즉, 경제적, 효과적, 심미적, 사용편의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취증 및 족취에 효과 있는 천연물을 오랜 시간 동안 연구 수집한 결과 본 효과 있는 데오드란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액취 및 족취 등 각종 체취에 대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면서 심미적 효과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부담 없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의 건조중량은 각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연산, 사과산, 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 또는 구연산과 젖산의 혼합물이 더 포함된다.
상기 구연산, 사과산, 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 또는 구연산과 젖산의 혼합물의 건조중량은 각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40중량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물이며, 상기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중량비가 1:1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과 구연산, 사과산 등의 원료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구성성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매실의 학명은 Prunus mume Sieb et Zucc로 원산지는 중국의 장강(長江)중류 사천성과 하북성(河北省)의 산악부(山岳部)라고 알려져 있고, 이미 2,000년 전 청매를 훈제하고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매실의 성분분석을 살펴보면 매실에는 약 85%의 과육이 있는데, 약 90%가 수분이며 나머지 10%는 당질이다.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은 다른 식품이 미치지 못할 정도로 풍부하다. 매실의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주석산 등이며 칼슘, 인, 칼륨 등의 무기질과 카로틴도 약간 함유되어 있다.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를 말하며 장미과 벗나무속에 속하는 핵과류 과수로서 자두, 살구 등과 아주 가까운 과수이다. 원산지는 아세아의 동부 온난한 지방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등에 야생종이 분포하고 있고, 효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피로 회복, 정장 작용에 좋다. 매실에는 살균과 피로회복에 뛰어나고 칼슘흡수를 촉진하는 구연산과 사과산이 풍부하다. 스트레스로 칼슘의 소모가 많아 체질이 심하게 산성화되어 초조감이나 불면증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매실이 좋은 것이 이 때문이다.
둘째, 소화 불량, 위장 장애를 없앤다. 매실의 신맛은 소화기관에 향을 주어 위장, 십이지장 등에서 소화액을 내보내게 한다. 또한 매실즙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정상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위산 과다와 소화불량에 모두 효험을 보인다.
셋째, 체질 개선 효과가 있다. 매실은 신맛이 강하지만 알칼리성 식품이다. 매실을 꾸준히 먹으면 체질이 산성으로 기우는 것을 막아 약 알칼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넷째, 간장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향상시킨다. 매실에는 간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피루부산이라는 성분이 있다.
다섯째, 해독작용이 뛰어나다. 매실에는 피크린산이라는 성분이 미량 들어있는데 이것이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식중독, 배탈 등 음식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여섯째, 만성 변비를 없앤다. 매실 속에는 강한 해독작용과 살균효과가 있는 카테킨산이 들어있다. 카테킨산은 장안에 살고 있는 나쁜 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장내의 살균성을 높여 장의 염증과 이상 발효를 막는다. 동시에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해 장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나간다.
일곱째, 피부미용에 좋다. 매실 속에 들어있는 각종 성분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준다. 각종 유기산과 비타민이 혈액순환을 도와 피부에 좋은 작용을 한다.
여덟째, 해열 효과, 통증 감소 및 소염 효능이 있다.
아홉째, 칼슘의 흡수율을 높인다. 체액의 성질이 산성으로 기울면 인체는 그것을 중화시키려고 하는데 이 때 칼슘이 필요하다. 칼슘은 장에서 흡수되기 어려운 성질이 있으나 구연산과 결합하면 흡수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성장기 어린이, 임산부, 폐경기 여성에게 매우 좋다.
열번째, 본초강목에 의하면 매실은 맛이 시고 무독하며 간과 담을 다스리고 근(세포)을 튼튼히 하며 혈액을 정상으로 만들고, 사지통증을 멈추게 한다. 내장의 열을 다스리고 갈증을 조절한다. 토사곽란을 멈추게 하고 냉을 없애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주독을 없애며 종기를 없애고 담을 없앤다. 뱃속의 벌레를 없애며 물의 독과 물고기의 독을 없앤다. 자궁의 피를 멈추게 하고 월경불순, 염증대하에 좋다. 대변불통, 대변하혈, 피오줌을 낫게 한다. 입안의 냄새를 없애며 가슴앓이와 배 아픈 것을 다스리고 허증피로를 다스리며 폐와 장을 수렴한다. 또한 중풍과 경기를 다스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실은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고 오랫동안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은 식물로서 본 발명은 매실의 여러가지 효능중에서 항균에 대한 효능 부분을 유의 깊게 관찰한 결과 매실의 항균 작용이 액취 및 족취 등 체취에 관련한 미생물의 항균에도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체취 발생에 가장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이 미생물이며, 따라서 발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체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판단 하에 연구를 거듭하여, 매실추출물이 체취발생과 관련된 미생물들에 대해 항균 활성이 우수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하면 매실추출물은 액취, 족취, 두취 등 각종 체취 발생의 원인균들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며, 이로써 체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하여 탁월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매실추출물 이외에 매실추출물의 체취억제 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들을 스크린한 결과 당귀추출물과 진피추출물들이 매실추출물과 함께 체취 억제에 효과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2년생 또는 3년 생초 식물로 우리나라 곳곳의 산골짜기 냇가 주변에서 자라지만 약으로 쓰기 위해 널리 심고 있다. 당귀는 꽃이 피기 전인 7~8월이나 가을에 서리가 내린 후부터 겨울에 눈이 내리기 전까지 뿌리를 캐서 줄기와 잔뿌리를 잘라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으로 특이한 향기가 있으며 조금 맵지만 단맛이 난다. 뿌리가 굵고 길며 냄새가 강한 것이 약재로서 좋다. 한방에서는 빈혈증, 부인병, 임산부의 산후 회복에 주로 쓰이며 이밖에도 심한 기침, 부스럼 등에 쓰인다. 이 성분의 효능을 살펴 보면,피를 생성하거나 보하는 역할을 하는 주요 약재. 당귀는 혈에 관련된 질환에 두루 쓰이며, 부인과 질환인 월경불순이나 폐경 등 각종 한약재로 사용된다. 그 외에 모든 질환들은 혈과 관계되지 않는 증상이 거의 없어서 당귀는 모든 질환의 처방에 거의 다 들어가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약이다. 생약명은 토당귀이며 당귀, 숭엄초, 신감채, 조선당귀, 신감초, 참당귀뿌리, 숭엄초뿌리 등의 속명이 있고, 이밖에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이 있다. 뿌리를 토당귀라 하여 약재로 쓰인다.
한편, 감귤은 향과(芸香科 Rutaceae)에 속하는 귤속(橘屬 Citrus), 금감속(Fortunella) 및 탱자나무속(Poncirus) 식물이다. 나무는 약으로 쓰거나 울타리로 심지만 먹을 수 없으며, 금감 또는 금귤은 중국에서 자라던 식물이기 때문에 특히, 귤속 식물들만을 감귤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귤속 식물은 대부분 상록관목으로 가지에 가시가 달리며, 어긋나는 잎이 홑몸겹잎인 특징을 지니는데, 홑몸겹잎이란 잎자루에 날개가 달리나 잎자루와 잎새 사이에 마디가 있는 잎을 말한다. 꽃에서는 향기가 나고 흔히 하얀색으로 피지만 때때로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장과(漿果)인 감귤의 겉껍질은 노랗게 익고 속은 마 늘쪽처럼 여러 개의 주머니로 이루어졌으며 날것으로 먹거나 통조림 또는 주스를 만들기도 한다. 이런 감귤의 껍질에는 인체에 유효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비만 치료와 성인병 예방 등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귤껍질을 주성분으로 만든 생약 다이어트 식품을 임상에 적용한 결과 체지방률 저하와 체중 감소 면에서 우수한 비만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콜레스테롤치의 저하 등 성인병 예방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헤스페리딘은 감귤류에 고농도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장내에서 지방의 흡수에 관여하는 효소인 '리파제'(lipase)를 억제해 지방흡수 억제제와 같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귤껍질인 진피는 다이어트 효과 이외에 살균 및 항균 작용, 혈행 개선 작용 등 인체에 유효한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여러 과학자들이 보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효능을 갖는 매실, 당귀 및 진피를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기를 사용하여 고농도로 농축하여 사용한다. 농축시 매실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진피추출물 고형분 함량이 약 60%가 되도록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된다.
상기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일명, "주정"이라고 함),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의 함량은 각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체취 억제 효 과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상술한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 이외에 각종 유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사과산, 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구연산과 젖산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상기 유기산의 건조중량은 각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유기산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유기산 부가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의 상대적인 함량이 감소되어 체취 억제 효과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산으로서 1종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 유기산을 사용하는 경우, 유기산의 총 건조 중량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40 중량부 범위가 되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기산은 특히 구연산 및 사과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구연산의 효능에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이 때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중량비는 1:0.1 내지 0.1:1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이다.
본 발명에서 유기산으로서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각각의 건조 중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기산으로서 구연산과 젖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구연산과 젖산의 혼합중량비는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기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연산(枸?酸, citric acid)은 무색의 결정성(結晶性) 유기화합물로써, 카르복시산류의 일종으로 많은 동식물의 조직과 체액 속에 존재한다. 지방럽炳溶核탄수화물이 생리적 산화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화합물들 중의 하나이다 구연산은 레몬 즙에서 최초로 분리되었으며, 공업적으로는 사탕수수나 당밀에 아스퍼르질러스 나이거균(Aspergillus niger)으로 발효시켜 제조한다. 구연산은 당과나 청량음료의 향료, 금속연마제의 성분으로 쓰이며, 용해된 금속염의 유해작용을 억제하여 식품이나 기타 유기물질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또한, 구연산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식물의 대사물질로서 감귤류에서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유기산이다. 상쾌한 신맛을 나타내는 산미제, pH조절제, 산화 방지제, 세제, 수렴제 등으로 식품, 의약, 산업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음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물분자의 함유여부에 따라 함수구연산(Monohydrate)과 무수구연산(Anhydrous)으로 구분되며,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칼슘, 구연산 칼륨 등의 염과 구연산 트리에테르, 구연산 아세틸 등의 구연산에스테르 등의 형태로도 이용된다.
구연산의 가장 큰 역할은 피로 회복 이며 구연산이 다량 함유된 식품을 섭취해주면 산성화되어 가는 인체를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 질이 산성화되면 인체를 그것을 중화시키려고 노력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칼슘인데 구연산과 결합하면 칼슘의 흡수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구연산은 식품의 이상 발효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한 생성물 과 반응해서 체외로 배설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어서 해독 효과도 있다. 장속의 나쁜 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장내의 살균성을 높여주어 내장운동을 부드럽게 해주기 때문에 만성변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과산(malic acid)은 사과 등 천연과일 및 야채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사람의 탄수화물 신진대사에 필요한 산미제이다. 같은 산미제인 구연산에 비해 산도가 강하며 사과산을 사용할 경우 약 20%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우아하고 세련된 고급 산미를 나타내고 산미(酸味) 지속이 훨씬 길어 사람의 입맛을 한층 즐겁게 해준다. 또한 사과산은 융점이 낮아 캔디(Candy)등 딱딱한 식품의 산미제로도 많이 쓰인다. 사과산은 안정성이 탁월하여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며, 흡습성이 없어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사과산은 앞서 언급한 구연산과 함께 본 발명의 주요한 유기산으로 구연산의 효능에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구연산의 단독 적용보다는 복합 적용을 통해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연구 조사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과산, 초산, 젖산, 구연산 등의 각종 유기산들은 시판되는 식품첨가물을 구입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서 에어로졸, 펌프 스프레이, 콜론, 시트, 패치, 젤, 크림, 로션, 파우다, 비누, 액상 세정 제품 등의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시료 및 제조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의 제조는 매실, 당귀, 진피 등 원물을 가지고 물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기를 사용하여 고농도로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등의 각종 천연물들의 항균효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한 천궁추출물, 갈근추출물, 숙지황추출물, 진피추출물, 황기추출물, 솔잎추출물, 구기자추출물, 가시오가피추출물 등은 매실추출물 등의 제조와 비슷한 공정으로 제조한 다음 시료로써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과산, 초산, 젖산, 구연산 등의 각종 유기산들은 시판되는 식품첨가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 각종 유기산 들과 함께 주정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이용하여 실험에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만들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효능과 비교할 비교 조성물에 사용되는 트리클로산은 일반적으로 상용화하는 원료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체취 유발 균주에 관한 천연추출물의 항균 효과 테스트
항균 효과 테스트를 위한 공시균주로는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 스(Corynebacterium xerosis ATCC 7711), 코리네박테리움 미누티시뭄(Corynebacterium minutissimum ATCC 23348)을 종균 협회로부터 구하여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각 시료를 액상배지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희석한 후 각 시험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시료 농도별 균체의 성장정도를 관찰하여 균 성장을 억제하는 최소농도를 판정하였다.
천연추출물의 대표적인 체취 유발 균주들을 대상으로 항균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각종 천연물들을 이용한 항균효과 테스트 결과
추출물 | C. xerosis ATCC 7711 | C. minutissium ATCC 23348 |
MIC(ppm) | MIC(ppm) | |
매실추출물 | 20 | 30 |
당귀추출물 | 30 | 40 |
천궁추출물 | 100 | 140 |
갈근추출물 | 120 | 250 |
숙지황추출물 | 430 | 500 |
진피추출물 | 30 | 50 |
황기추출물 | 70 | 100 |
솔잎추출물 | 80 | 120 |
구기자추출물 | 100 | 150 |
가시오가피추출물 | 90 | 110 |
체취 유발 균주를 이용한 항균 테스트 결과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로는 효능이 가장 우수한 매실추출물과 더불어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 등 천연 복합 3종 추출물을 선정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로 사용하였다.
체취유발 균주의 항균 테스트로부터 확인된 결과를 가지고 다음 실시를 위한 각종 조성물(제조예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의 배합비를 설정하였다. 다음 실시는 각종 유기산의 항균 효과 상승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각종 조성물의 통상적인 조성비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천연추출물과 각종 유기산 등을 이용한 조성물 구성 예
성 분 | 제 조 예 1 | 제 조 예 2 | 제 조 예 3 | 제 조 예 4 | 제 조 예 5 | 제 조 예 6 | 비 교 예 1 | 비 교 예 2 | 비 교 예 3 |
천연추출물* | 1 | 1 | 1 | 1 | 1 | 1 | - | - | 1 |
구연산 | 4 | - | 2 | 2 | 2 | - | - | - | |
초산 | - | 4 | 2 | - | - | - | - | - | |
젖산 | - | - | - | - | 2 | - | - | - | 4 |
사과산 | - | - | 4 | - | - | 2 | - | - | - |
주정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프로필렌 글리콜 | 5 | 5 | 5 | 5 | 5 | 5 | 5 | 5 | 5 |
트리클로산 | - | - | - | - | - | - | - | 1 | -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천연추출물은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진피추출물의 3종 복합추출물로서 이들의 배합 구성은 1:1:1 혼합중량비이며 고형분 함량은 60중량%이다.
실시예
2. 천연추출물과 각종 유기산을 이용한 항균효과 테스트
상기 선정된 천연추출물과 각종 유기산의 상승효과를 위한 항균 효과 테스트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공시균주로는 역시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ATCC 7711), 코리네박테리움 미누티시뭄(Corynebacterium minutissimum ATCC 23348)을 종균협회로부터 구하여 사용하였고, 시험방법으로는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항균효과 테스트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천연추출물과 각종 유기산 등을 이용한 항균효과 테스트 결과
C. xerosis ATCC 7711 | C. minutissium ATCC 23348 | |
MIC(ppm) | MIC(ppm) | |
제조예 1 | 20 | 30 |
제조예 2 | 40 | 60 |
제조 예 3 | 25 | 40 |
제조 예 4 | 40 | 55 |
제조 예 5 | 50 | 70 |
제조 예 6 | 15 | 20 |
비교 예 1 | 120 | 150 |
비교 예 2 | 40 | 50 |
비교예 3 | 100 | 140 |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발취균주를 이용한 항균테스트 실험 결과 제조예 6의 조성물이 가장 효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1군부터 제조예 3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천연추출물과 구연산, 초산, 사과산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유기산들을 조합해 만든 조성물들이다. 그리고, 제조예 4 내지 제조예 6은 구연산을 기본으로 다른 유기산의 효과 상승 실험을 해본 것으로서, 결과에서 본 바와 같이 제조예 6의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비교예 1은 비교군으로 항균 효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2군은 데오드란트 제품에서 흔히 사용되는 트리클로산을 비교하여 실험한 것으로서, 그 항균 효과가 우수하지만 제조예 6과 비교해서는 그 우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땀과
발취균을
이용한 각 조성물의
소취
테스트
본 실험은 사람의 몸으로부터 땀을 채취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발취균주에 대한 소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땀의 채취는 건강한 20-40대 남녀 각 5명으로부터 무향의 비누 및 샴푸로 전신을 씻어낸 후, 습도 40%, 온도 55?로 조정된 방에서 300리터 폴리백에 신체를 1시간 가량 유지시켰다. 체취한 땀은 여과지로 제균하여 동결보존하였다.
한편, 시험으로 사용된 균주는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코리네박테리움 미누티시뭄(Corynebacterium minutissimum)이었고, 이들 공시균주를 TGY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공시균주 배양액을 가지고 앞서 사람으로부터 채취된 땀을 해동하여 필터를 통과시킨 다음 각 50ml를 멸균한 플라스크에 넣고,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과 비교예 1 내지 3을 각각 50ml씩을 첨가한 다음 각 공시균주 배양액 500ul를 접종한 것과, 해동된 땀에 공시균주 배양액만을 접종한 것 등을 37℃,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소취 테스트는 잘 훈련된 관능평가 전문요원 5명이 진탕 배양된 플라스크로부터 냄새강도를 직접 맡는 스니프테스트(sniff test)를 행하였다. 땀과 발취균을 이용한 본 발명 조성물의 소취 테스트는 하기 표 4와 같은 5점 평가법을 토대로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표 4]. 땀과 발취균을 이용한 소취 테스트 평가척도(5점 평가법)
점수 | 평가기준(냄새) |
0 | 전혀 안 남 |
1 | 매우 약함 |
2 | 약함 |
3 | 보통 |
4 | 강함 |
5 | 매우 강함 |
[표 5]. 땀과 발취균을 이용한 각 조성물의 소취 테스트 결과
균주 실험군 | C. xerosis | C. minutissium |
제조 예 1 | 48 | 55 |
제조 예 2 | 71 | 89 |
제조 예 3 | 55 | 62 |
제조 예 4 | 49 | 72 |
제조 예 5 | 53 | 65 |
제조 예 6 | 38 | 41 |
비교 예 1 | 123 | 151 |
비교 예 2 | 49 | 56 |
비교예 3 | 111 | 146 |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 6이 다른 제조예에 비해 모든 경우에서 냄새 강도가 현저하게 낮아, 소취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같은 양으로 비교한 비교예 2의 결과와 비교해볼 때도 소취력이 훨씬 뛰어났다. 또한 제조예 6은 C. xerosis 균주에 대해서 가장 우수한 소취력을 나타낸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4. 사람에 있어서 본 발명 조성물의
소취
효과 및 항균 효과 테스트
상기 제조예 6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직접 인체에 적용한 후 항균, 소취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평가자는 평소에 겨드랑이나 발 냄새가 자각적 또는 타각적으로 느끼는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험 시작전 일주일전과 시험기간 중 제공되는 무향의 비누로 겨드랑이, 발을 세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통상의 제한 소취제, 향수 등 시험에 영향을 주는 제품을 사용하지 않게 하였다. 시험전 일정시간에 겨드랑이 및 발 냄새를 측정하여 기준점으로 사용하였다. 평가기간은 2주간으로 하였으며, 신체 좌우측을 대칭으로 1주차에서 좌에는 본 발명 조성물을 우에는 비교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1주간 실험이 실시된 후 1주간의 휴식을 마치고 2주차에는 거꾸로 좌에는 비교 조성물을 우에는 본 발명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먼저, 소취 효과 테스트에서는 잘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3명이 겨드랑이와 발의 냄새 강도를 직접 맡는 스니프 테스트로 관찰하였고, 그 평가척도는 표 6과 같으며,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6].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한 소취 실험에서 사용되는 평가척도(5점 평가법)
점수 | 평가기준(냄새) |
0 | 전혀 안 남 |
1 | 매우 약함 |
2 | 약함 |
3 | 보통 |
4 | 강함 |
5 | 매우 강함 |
[표 7]. 본 발명조성물을 이용한 소취 실험 결과
부위 | 사용전 | 사용후 | |||
제조예 6 | 비교예 2 | 제조예 6 | 비교예 2 | ||
평가 결과 | 겨드랑이 | 4.21 | 3.98 | 2.92 | 3.13 |
발 | 4.5 | 4.84 | 3.25 | 3.65 |
상기 표 7로부터 제조예 6의 조성물과 트리클로산이 함유되어 있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사용전보다 사용후에서 소취 결과는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 두 조성물의 소취 효과를 비교해볼 때, 제조예 6의 조성물은 비교예 2의 경우와 비교하여 소취 효과가 아주 월등한 것은 아니지만 비교 우위의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항균효과 테스트실험은 이지스탬프(easy stamp)을 이용하여 냄새 측정을 위한 시점에 겨드랑이와 발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미생물의 균수를 측정하였다. 표 8은 미생물의 콜로니를 5점 척도로 평가하는 척도기준을 나타낸 것이고, 표 9는 항균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8]. 항균 실험에서 사용되는 평가척도(5점 평가법)
점수 | 평가기준(콜로니 개수) |
0 | 50 콜로니 미만 |
1 | 50 - 500 |
2 | 500 콜로니 이상, 콜로니간 구분이 명확 |
3 | 500 콜로니 이상, 콜로니간 일부분만 구분 안됨 |
4 | 500 콜로니 이상, 콜로니간 일부분만 구분 |
5 | 500 콜로니 이상, 콜로니간 구분 안됨 |
[표 9]. 항균 실험 결과
사용전 | 사용후 | ||
제조예 6 | 비교예 2 | 제조예 6 | 비교예 2 |
4.34 | 4.59 | 2.97 | 3.10 |
상기 표 9는 제조예 6 및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의 항균 효과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며, 이를 참조해볼 때 본 항균 효과 실험에서도 사용전보다 사용후의 항균 결과가 두가지 조성물 모두 뛰어난 것으로 관찰되었고, 또한 제조예 6의 조성물은 비교예 2의 경우보다 항균 효과에서도 더 우수하다는 것이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트리클로산이 함유된 데오드란트 제품 보다는 항균 능력과 소취 결과가 더 우수하면서 데오드란트의 안전성 문제 및 심미적 효과의 거부감 등의 문제점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데오드란트를 사용한 경우 대비 안전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취 억제용 조성물은 액취, 족취, 두취 등 각종 체취 발생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미생물에 의한 체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므로, 체취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의 건조중량이 각각,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구연산, 사과산, 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 또는 구연산과 젖산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 사과산, 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 또는 구연산과 젖산의 혼합물의 건조중량이 각각,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이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과 사과산의 혼합중량비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은,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6187A KR100785974B1 (ko) | 2006-12-28 | 2006-12-28 |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6187A KR100785974B1 (ko) | 2006-12-28 | 2006-12-28 |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5974B1 true KR100785974B1 (ko) | 2007-12-14 |
Family
ID=3914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6187A KR100785974B1 (ko) | 2006-12-28 | 2006-12-28 |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597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7335A (ko) | 2013-11-19 | 2015-05-28 | (주)아모레퍼시픽 |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KR20160082139A (ko) | 2014-12-31 | 2016-07-08 | (주)아모레퍼시픽 |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KR20160081213A (ko) | 2014-12-31 | 2016-07-08 | (주)아모레퍼시픽 |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KR20160103756A (ko) | 2015-02-25 | 2016-09-02 |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16104A (ko) * | 1992-01-28 | 1993-08-26 | 염춘길 | 순수한방 증류생약수포의 제조방법 및 그장치 |
KR20000058474A (ko) | 2000-05-31 | 2000-10-05 | 이승열 |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
-
2006
- 2006-12-28 KR KR1020060136187A patent/KR1007859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16104A (ko) * | 1992-01-28 | 1993-08-26 | 염춘길 | 순수한방 증류생약수포의 제조방법 및 그장치 |
KR20000058474A (ko) | 2000-05-31 | 2000-10-05 | 이승열 |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7335A (ko) | 2013-11-19 | 2015-05-28 | (주)아모레퍼시픽 |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KR20160082139A (ko) | 2014-12-31 | 2016-07-08 | (주)아모레퍼시픽 |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KR20160081213A (ko) | 2014-12-31 | 2016-07-08 | (주)아모레퍼시픽 |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KR20160103756A (ko) | 2015-02-25 | 2016-09-02 |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rusinowska et al. |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lavender L). A review | |
CN106070538A (zh) | 一种生物源海鲜营养保鲜剂 | |
KR102288724B1 (ko) |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20093607A (ko) | 구강용 액상조성물 | |
KR101941753B1 (ko) | 기능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 |
KR100785974B1 (ko) |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
Phillips |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 |
CN107889817A (zh) | 一种能延长鲜花保鲜期的低温熏涂保鲜方法 | |
KR101334827B1 (ko) |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 |
KR100989944B1 (ko) |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 |
KR100879051B1 (ko) |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CN106333895A (zh) | 一种含辣木杀菌成分的洗浴类用品及其制备方法 | |
KR101598083B1 (ko) |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JP2009195217A (ja) | 塩分忌避者にも使用できる保存性が高い酸液含有ハスカップ産物 | |
KR20130058877A (ko) | 퍼머약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6726780A (zh) | 一种女性私处护理沐浴露 | |
KR101213278B1 (ko) | 잔대추출물 및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세정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 |
KR101807946B1 (ko) |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93741B1 (ko) |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 |
KR102305141B1 (ko) |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 |
Pratama et al. | Growth of Malassezia furfur in Media with The Addition of Basil (Ocimum basilicum Linn) Powder | |
KR102712850B1 (ko) | 한라봉 껍질, 편백나무 잎, 꽃송이버섯 및 오미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716122B1 (ko) | 각시개서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 |
KR20200093260A (ko) | 한방 식물약재를 이용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97992B1 (ko) | 항문 소양증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문 패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