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84957B1 -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957B1
KR100784957B1 KR1020060036856A KR20060036856A KR100784957B1 KR 100784957 B1 KR100784957 B1 KR 100784957B1 KR 1020060036856 A KR1020060036856 A KR 1020060036856A KR 20060036856 A KR20060036856 A KR 20060036856A KR 100784957 B1 KR100784957 B1 KR 10078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ginseng
ginseng
specific gravity
weight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781A (ko
Inventor
김천석
고성룡
김석창
장진규
전병선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6003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95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9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8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buoyant force of solid materials by weighing both in air and in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삼의 비중 측정방법 및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삼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삼을 물에 침적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수삼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측정된 수삼의 비중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Testing method and device for specific gravity of green ginse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삼의 비중 측정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삼의 비중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삼의 비중 측정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삼의 비중 측정장치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탱크 11 : 커버 12 : 고정홈
20 : 저울 30 : 수삼고정구 31 : 걸고리
32 : 그물망 40 : 진동파생성기 50 : 진공펌프
60 : 순환펌프 61 : 순환관
본 발명은 수삼의 비중 측정방법 및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삼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삼을 물에 침적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수삼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측정된 수삼의 비중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삼은 수매품질 감정기준에 의거하여 감정인이 직접 등급을 매겨 1∼4등급 및 등외(5등)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수삼의 수매품질의 감정기준은 통상적으로 수삼의 머리, 몸통, 다리부의 체형, 그리고 중량, 색 및 균열여부 등이며, 감정인은 이러한 감정기준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수삼의 등급을 판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삼의 등급판정이 사람의 관능에 의존하므로 감정인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수삼의 등급이 판정될 수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별도로 수삼의 비중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수삼의 비중을 품질평가에 반영하는 것이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삼의 비중을 측정하는 방법은 공기중에서 수삼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후 물이 채워진 탱크 내부에 상기 수삼을 침적한 후 수중의 수삼 무게를 측정한 다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산출하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하기 수학식 1에서 물의 비중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4℃의 물의 비중을 1로 기준하고 있다.
Figure 112006028616418-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S는 수삼의 비중, St는 물의 비중, W는 공기중 수삼의 무게, Wt는 수중 수삼의 무게를 나타낸다.
그러나, 수삼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해 수삼을 물에 침적하게 되면, 침적시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공기방울에 의한 부력으로 수삼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삼을 수중에 침적시켜 비중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단시간에 비중을 측정하지 않으면 살아있는 수삼의 뿌리는 천천히 수분을 흡수하여 비중이 변화되므로 짧은 시간에 측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삼을 수중에 침적시켜 비중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식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단 시간 내에 수삼의 비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장치를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삼을 수중에 침적시켜 무게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단 시간 내에 수삼의 비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중에서 무게 측정이 완료된 수삼을 물이 채워진 탱크 내부의 수중에 침적하고, 수중에 침적된 수삼의 무게를 측정한 다음 침적 전후에 측정된 수삼 무게를 이용하여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중에 침적된 수삼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에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정 방법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무게측정을 위한 저울과;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탱크와; 일단에 상기 저울과 연결되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삼을 넣을 수 있는 그물망이 형성된 수삼고정구;를 포함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외측 하부에는 탱크 내부에 침적된 수삼으로 진동파를 전달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진동파생성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수삼의 비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서 무게 측정이 완료된 수삼을 물이 채워진 탱크 내부의 수중에 침적하고, 상기 수중에 침적된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고, 기포가 제거된 수삼의 무게를 측정한 다음 침적 전후에 측정된 수삼 무게를 이용하여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서 무게를 측정한 수삼을 수중에 침 적하여 수중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에 의해 정확한 무게 측정이 곤란하여 측정된 비중의 정확도가 떨어지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중에 침적된 수삼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무게 측정의 정확도를 높여 단 시간 내에 수삼의 비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진동파를 수삼에 가할 경우 진동파는 물을 포함하여 수삼을 진동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진동은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용이하게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한 수삼의 비중 측정이 가능하며, 특히 단시간 내에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제거가 가능하므로 단시간 내에 수삼의 비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진동파는 수삼을 수중에 침적한 후 3∼5분간 가하면 수삼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삼의 비중은 먼저 수삼의 무게를 공기 중에서 측정한 후 수중에 침적하여 수중의 수삼무게를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수삼 무게를 이용하여 수학식 1에 의거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비중 측정법은 당해분야에서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에 해당되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수삼의 비중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중에 수삼을 침적하여 수중 무게를 측정하기 전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한 후 수삼의 수중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탱크의 커버를 닫고자 하는 경우 수삼고정구는 그 걸고리를 탱크 상부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홈에 걸어 놓으면 된다.
이때, 수삼의 공기중 무게나 수중 무게의 경우 공지된 저울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단에 저울과 연결되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삼을 넣을 수 있는 그물망이 형성된 수삼고정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수삼의 비중이 1이 되지 않아 부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망에 추를 매달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삼고정구를 사용하여 수삼의 비중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저울을 사용하여 공기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한 다음 이를 수중에 침적하고 진동파를 가한 후 수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그물망에 수삼을 넣고 공기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한 다음 이를 수중에 침적하고 진동파를 가한 후 수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된 공기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에서 추와 그물망 무게를 빼면 공기중의 수삼무게가 얻어지며, 마찬가지로 진동파를 가한 후의 수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에서 진동파를 가한 후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빼면 진동파를 가한 후의 수중 수삼무게가 얻어지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수삼의 무게들을 수학식1에 대입하면 수삼의 비중을 산출할 수 있게 되는데, 물의 비중은 각 온도별로 알려져 있으므로 물의 온도 측정 후 그 온도에서의 비중값을 사용하면 수삼의 비중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와 같은 측정과정을 4℃의 물에서 실시하면 물의 비중은 1이므로 용이하게 수삼의 비중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중에 침적된 추와 그물망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에 진동파를 가하는 것은 수삼과 추와 그 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후 무게를 측정하기 전에 진동파를 가하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의 추와 그물망의 무게를 빼서 좀더 정확한 수중의 수삼 무게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수삼은 그물망에 한 뿌리만 넣어 비중을 측정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뿌리를 넣어 비중을 측정할 수도 있으며, 여러 뿌리를 넣어 비중을 측정하는 경우 뿌리별로 편차가 심한 이유 때문에 다양한 개체의 평균비중을 측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수삼의 수중 무게 측정에 사용되는 탱크는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것으로서 상단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채워 넣는 물의 량은 수삼이 충분하게 잠길 정도면 된다. 탱크의 상단 커버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은 수중의 수삼무게 측정시 저울과 수삼고정구가 일직선이 된 상태에서 수삼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도로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탱크는 항온기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진동파는 수중에 침적된 수삼과 물을 용이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된 초음파, 음파 또는 저주파에서 선택되는 것을 수삼에 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를 가하는 것이 수삼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 제거에 효과적이다. 진동파를 보내는 것은 탱크의 외측 저면에 진동파생성기를 놓고 구동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진동파를 수삼에 가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포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탱크와 진공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펌 프를 구동시켜 탱크 내부의 수면 상부를 진공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수면상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면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빠르게 제거되어 비중의 측정시간을 좀 더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진공압력은 높은 진공압력을 걸어주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것은 진공의 목적이 진공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공을 함으로써 표면에 부착되어있는 공기의 부피를 증가시켜 쉽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는 과정에서 탱크 속의 액체를 순환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탱크 속의 액체를 순환시키면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좀 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유속 역시 높은 속도로 탱크속의 액체를 순환시켜 주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액체를 순환시켜 준 후에는 액체 순환이 멈춘 상태에서 측정을 실시하여야 측정값에 영향이 없다.
상기한 비중 측정 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중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측정을 위한 저울(20)과,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는 커버(11)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탱크(10)와, 일단에 상기 저울(20)과 연결되는 걸고리(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삼을 넣을 수 있는 그물망(32)이 형성된 수삼고정구(30), 및 상기 탱크(10)의 외측 하부에는 탱크(10) 내부에 침적된 수삼으로 진동파를 전달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진동파생성기(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저울(20)은 수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중의 수삼무게를 측정하거나 수중의 수삼무게 측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지된 저울을 사용하면 된다.
탱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것으로서 상단에는 커버(11)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탱크(10)는 수삼의 비중 측정과정에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항온기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삼고정구(30)는 공기중 및 수중 수삼의 무게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에는 상기 저울(20)과 연결되는 걸고리(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삼을 넣을 수 있는 그물망(32)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그물망(32)에 추를 매달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수삼의 비중이 1이 되지 않아 부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추의 사용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무게측정과정에서 경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탱크(10)의 커버(11)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삼고정구(30)의 걸고리(31)를 탱크(10) 상단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2)에 걸어놓으면 되는데, 후술하 는 진공펌프(50)의 구동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탱크(10)의 외측 하부에는 탱크(10) 내부에 침적된 수삼으로 진동파를 전달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진동파생성기(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진동파생성기(40)는 생성된 진동파가 수중에 침적된 수삼과 물을 용이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된 초음파, 음파 또는 저주파생성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생성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의 상부 외측에 연결되어 탱크(10) 내부의 수면 상부를 진공으로 걸어주기 위한 진공펌프(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진공펌프(50)가 구비될 경우 진동파 생성기(40)를 통해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는 과정에서 탱크(10) 내부의 수면 상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줄 수 있어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빠르게 제거되어 비중의 측정시간을 좀 더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진공펌프(50)를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커버(11)를 닫은 경우 수삼고정구(30)의 걸고리(31)는 탱크(1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홈(12)에 걸어 고정시키면 된다. 미설명부호 20은 저울이고, 32는 그물망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61)과 순환펌프(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순환관(61)과 순환펌프(60)가 더 구비될 경우 진동파 생성기(40)를 통해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면서 진공펌프(50)로 탱크 내부에 진공을 걸어주는 과정에서 탱크(10) 속의 물을 순환관(61)을 통해 순환시켜 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탱크(10) 속의 물을 순환시켜주면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좀 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20은 저울이고, 30은 수삼고정구, 31은 걸고리, 32는 그물망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비중측정 장치에서 저울에 수삼고정구의 걸고리를 걸어 공기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탱크에 물을 2/3정도 채워 넣고 4℃로 유지하면서 상기 추와 그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다음 초음파를 5분간 가한 후 수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다.
추와 그물망의 무게 측정이 완료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그물망에 수삼을 넣고 공기중에서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수삼과 추와 그물망을 4℃로 유지되는 수중에 침적한 다음 초음파생성기를 5분간 가동시켜 초음파를 가한 후 수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때, 수삼은 중편(직경 2.5~3.5cm)과 대편(직경 3.5cm 이상)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들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수삼무게와 초음파를 가한 후의 수중 무게를 산출하고,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비중측정 장치에서 저울에 수삼고정구의 걸고리를 걸어 공기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탱크에 물을 2/3정도 채워 넣고 4℃로 유지하면서 상기 추와 그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다음 수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다.
추와 그물망의 무게 측정이 완료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그물망에 수삼을 넣고 공기중에서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수삼과 추와 그물망을 4℃로 유지되는 수중에 침적한 다음 수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들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수삼무게와 초음파를 가한 후의 수중 무게를 산출하고,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수삼은 중편과 대편을 각각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대편 중편 대편 중편
공기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A) 310.99 311.50 310.99 311.50
수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At) 241.10 241.50 237.40 237.80
공기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A+W) 2649.00 1288.70 2649.00 1288.70
수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At+Wt) 290.40 250.00 100.00 173.00
공기중 수삼의 무게(W) 2338.01 977.20 2388.01 977.20
수중 수삼의 무게(Wt) 49.30 8.50 -137.40 -64.80
수삼의 비중=W/(W-Wt)×1 1.02 1.01 0.944 0.938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초음파를 처리하여 수삼의 비중을 측정한 실시예 1의 경우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고 비중을 측정한 비교실시예 1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실시예 1의 비중이 실시예 1의 비중에 비하여 낮게 나타난 것은 실시예 1의 경우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제거되어 수중 무게측정치가 높게 나온 반면 비교실시예 1의 경우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가 수중의 수삼무게를 가볍게 만들어 주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된 비중측정 장치에서 저울에 수삼고정구의 걸고리를 걸어 공기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탱크에 물을 2/3정도 채워 넣고 4℃로 유지하면서 상기 추와 그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다음 1분 간격으로 초음파생성기를 가동시켜 초음파를 가한 후 수중의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다. 추와 그물망의 무게 측정이 완료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그물망에 수삼(대편)을 넣고 공기중에서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수삼과 추와 그물망을 4℃로 유지되는 수중에 침적한 다음 1분 간격으로 초음파생성기를 가동시켜 초음파를 가한 후 수중의 수삼과 추와 그물망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들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수삼무게와 초음파를 가한 후의 수중 수삼무게를 산출하고,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경과시간에 따른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진공펌프와 순환펌프는 구동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3>
추와 그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다음 초음파를 가한 후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과, 수삼과 추와 그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다음 초음파생성기를 가동시켜 초음파를 가한 후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각각 1분 간격으로 초음파생성기와 진공펌프를 함께 구동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경과시간에 따른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순환펌프는 구동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4>
추와 그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다음 초음파를 가한 후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과, 수삼과 추와 그물망을 수중에 침적한 다음 초음파생성기를 가동시켜 초음파를 가한 후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각각 1분 간격으로 초음파생성기와 진공펌프 및 순환펌프를 함께 구동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경과시간에 따른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경과시간 실시예 2(비중) 실시예 3(비중) 실시예 4(비중)
0분 0.95 0.95 0.95
1분 0.98 1.00 1.02
2분 1.00 1.01 1.02
3분 1.01 1.02 1.03
5분 1.02 1.03 1.03
10분 1.03 1.03 1.03
15분 1.03 1.03 1.03
20분 1.03 1.03 1.03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4 모두 시간이 경과할수록 기포가 계속 제거되어 비중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나, 초음파만 처리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비중이 10분 경과 후부터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으며, 초음파와 진공처리를 함께 실시한 실시예 3의 경우 비중이 10분경과 후 부터 변화가 없어 초음파와 진공처리를함께 실시하는 것이 초음파만 처리하는 것에 비하여 비중측정시간을 다소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초음파와 진공처리 및 물을 순환시키면서 비중을 측정한 실시예 4의 경우 다른 실시에 들에 비하여 비중측정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삼의 비중측정을 위해 수삼을 수중에 침적시켜 무게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단 시간 내에 수삼의 비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공기 중에서 무게 측정이 완료된 수삼을 물이 채워진 탱크 내부의 수중에 침적하고, 수중에 침적된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한 다음 침적 전후에 측정된 수삼 무게를 이용하여 수삼의 비중을 산출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는 과정에서 탱크와 연결된 진공펌프로 탱크 내부의 수면 상부를 진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는 초음파, 음파 또는 저주파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는 초음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삼에 진동파를 가하는 과정에서 탱크 속의 액체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는 초음파, 음파 또는 저주파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는 초음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9. 삭제
  10. 무게측정을 위한 저울과;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탱크와; 탱크 내부에 침적되는 수삼의 무게 측정을 위하여 일단에는 상기 저울과 연결되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삼을 넣을 수 있는 그물망이 형성된 수삼고정구; 상기 탱크의 하부에는 탱크 내부에 침적된 수삼으로 진동파를 전달하여 수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진동파생성기;를 포함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상부 외측에 연결되어 탱크 내부의 수면 상부를 진공으로 걸어주기 위한 진공펌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생성기는 초음파, 음파 또는 저주파생성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생성기는 초음파생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과 순환펌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생성기는 초음파, 음파 또는 저주파생성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생성기는 초음파생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삼의 비중 측정 장치.
KR1020060036856A 2006-04-24 2006-04-24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Active KR10078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856A KR100784957B1 (ko) 2006-04-24 2006-04-24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856A KR100784957B1 (ko) 2006-04-24 2006-04-24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781A KR20070104781A (ko) 2007-10-29
KR100784957B1 true KR100784957B1 (ko) 2007-12-11

Family

ID=3881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856A Active KR100784957B1 (ko) 2006-04-24 2006-04-24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95A (ko)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플렉스로직 비중 자동 측정기
US12025652B2 (en) 2021-08-11 2024-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semicondu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51B1 (ko) * 2013-01-16 2014-04-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물속 무게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속 무게 측정 방법
CN113702240A (zh) * 2021-09-18 2021-11-26 河南旭阳光电科技有限公司 玻璃密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3734A (ja) 1987-03-31 1988-10-11 Toshiba Corp セラミツクス焼結体の質量測定方法
JPS64996A (en) * 1987-06-24 1989-01-05 A T R Jido Honyaku Denwa Kenkyusho:Kk Voice recognition system using vector quantization
KR20190000900A (ko) * 2005-07-19 2019-01-03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물질 증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3734A (ja) 1987-03-31 1988-10-11 Toshiba Corp セラミツクス焼結体の質量測定方法
JPS64996A (en) * 1987-06-24 1989-01-05 A T R Jido Honyaku Denwa Kenkyusho:Kk Voice recognition system using vector quantization
KR20190000900A (ko) * 2005-07-19 2019-01-03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물질 증발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996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95A (ko)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플렉스로직 비중 자동 측정기
US12025652B2 (en) 2021-08-11 2024-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semico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781A (ko) 200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957B1 (ko) 수삼의 비중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US10018034B2 (en) Density measurement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in a non-compressible medium
CN108344653A (zh) 测试土体抵抗冲刷能力的装置及方法
ATE376803T1 (de) Vorrichtung zur messung lokaler physikalischer parameter in einem flüssigkeitsgefüllten hohlraum
JP2020103083A (ja) 超音波食品加工方法及び超音波食品加工装置
Marangopoulos et al. Measurement of field distributions in ultrasonic cleaning baths: implications for cleaning efficiency
ES2655514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no destructivo por ultrasonidos de una pieza por análisis de ecos
CN1954780A (zh) 骨脱钙的方法和试剂
CN105558886B (zh) 一种极低盐含量的咸蛋腌制方法
ATE444784T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golfzubehör, insbesondere von golfschlägern und golfbällen
JP2005345194A6 (ja) 超音波を使った硬組織の迅速処理法
JP2005345194A (ja) 超音波を使った硬組織の迅速処理法
KR10089982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3상물질의 비열측정장치 및 방법
Malarkodi et al. Design considerations and establishment of a low frequency hydrophone calibration setup using the principle of vibrating water column
DE102018119300A1 (de) Ultraschallbehandlungs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s Bauteils
Nguyen et al. Rainfall infiltration and runoff characteristics of an unsaturated volcanic soil under grass cover
Zheng et al. Impacts of the capsule on estimation of shear viscoelasticity of livers
WO2013144661A1 (en) Methods of cleaning qvevri
CN109975165A (zh) 一种混凝土试件抗冻或盐冻试验装置及残渣收集方法
Flores et al. Anelastic characterization of soft poroelastic materials by anelastography
JP2005345196A6 (ja) 超音波を使った脂肪組織の迅速処理法
JP2006255607A (ja) 超音波洗浄方法および超音波洗浄装置
CN109281654B (zh) 一种固井前泥饼质量评价方法
CN101556230B (zh) 用于检验构件吸水量的方法和装置
DE502005007769D1 (de) Mess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Tiefe eines sich ausbildenden Kol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