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451B1 - Pipe coupling device - Google Patents
Pipe coupl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1451B1 KR100771451B1 KR1020060065259A KR20060065259A KR100771451B1 KR 100771451 B1 KR100771451 B1 KR 100771451B1 KR 1020060065259 A KR1020060065259 A KR 1020060065259A KR 20060065259 A KR20060065259 A KR 20060065259A KR 100771451 B1 KR100771451 B1 KR 100771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oupling device
- coupling
- transfer
- separ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75 quality assur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효율이 향상된 파이프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상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축관된 다수개의 파이프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메거진과, 상기 파이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메거진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납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를 결합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그리고 상기 결합장치에 이송된 상기 파이프의 축관부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질 연결파이프가 고정되는 정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upling device with improved work efficienc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rame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 storage device including a cylindrical magazin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upper base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one end condensed therein, and a receiving cover installed outside the magazine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separated;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ip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device to a coupling device; And it provides a pipe coupling device comprising an alignment device is fixed to the connecting pipe to be coupled to the shaft pipe portion of the pipe transferred to the coupling devic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정면예시도.1 is a front view of a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상면예시도.Figure 2 is a top view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수납장치와 이송장치의 작동예시도.Figure 3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transfer device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이송장치와 결합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and the coupling device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면상태도.Figure 5a is a top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정면상태도.Figure 5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가이드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guide assembly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베이스 프레임 20: 수납장치10: base frame 20: storage device
21: 메거진 22: 수납커버21: magazine 22: storage cover
30: 이송장치 31: 이송구30: transfer device 31: transfer port
40: 제1클램프조립체 45: 파이프 정렬센서40: first clamp assembly 45: pipe alignment sensor
50: 커플링조립체 51: 파이프 끝단 감지센서50: coupling assembly 51: pipe end sensor
60: 제2클램프조립체 65: 파이프 결합센서60: second clamp assembly 65: pipe coupling sensor
70: 가이드조립체 80: N2 공급장치70: guide assembly 80: N 2 feeder
90: 결합장치 100: 정렬장치 90: coupling device 100: alignment device
110: 푸셔 115: 캠110: pusher 115: cam
200: 파이프 210: 연결파이프200: pipe 210: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효율이 향상된 파이프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up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coupling device with improved work efficiency.
일반적으로, 조관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파이프는 목적하는 표면특성을 얻기 위하여 도금과정을 거치게 된다. In general, the pipe produced through the tubing process is subjected to the plating process to obtain the desired surface properties.
그리고, 상기 도금과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상기 파이프에 대한 전처리과정이 필요한데, 상기 전처리과정과 상기 도금과정의 효율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파이프가 연속적으로 전처리과정과 도금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And, in order to go through the plating process, a pretreatment process is required for the pip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the plating process, the pipe length is extended so that the pipe is continuously subjected to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the plat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do.
이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는 축관공정을 통하여 축관되고, 상기 파 이프의 축관된 부분에 형성되는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하여 면취과정을 거친다. To this end, one end of the pipe is piped through a conduit process, and is chamfered to remove burrs formed on the condensed portion of the pipe.
이러한 과정을 거친 상기 파이프는 대기 랙(rack)에 저장되고, 상기 파이프의 축관된 부분이 삽입되어질 다른 파이프는 연결 랙에 정열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의 내면 무산화 분위기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면에 N2 송풍이 실시되고, 상기 파이프의 축관된 부분이 다른 파이프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고정됨으로써 이음작업이 이루어진다.After this process, the pipe is stored in a standby rack, and the other pipe into which the condensed portion of the pipe is to be inserted is arranged in a connecting rack. Then, N 2 blowing is per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for the non-oxidizing atmosphe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and the jointed portion of the pip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one end of the other pipe to make a joint operation.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파이프 제조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ip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파이프의 축관부를 다른 파이프의 일단부에 삽입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개개의 파이프를 대기 랙과 연결 랙에 공급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작업과 이음작업도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in order to insert the shaft portion of the pipe to one end of the other pipe, the worker directly supplies the individual pipes to the standby rack and connecting rack,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ertion work and the joint work of the pipe must also be done manually by the worker. .
둘째, 전술한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실시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장시간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가 증가하며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increased by the operator direct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work, the fatigue of the worker increases for a long time and productivity is reduced.
셋째, 파이프의 삽입작업과 이음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파이프의 이음 불량으로 인한 수율 및 가동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의 이음부에 대한 품질보증이 확보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도금시 이음부의 도금두께가 미달되고 국부적으로 도금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yield and the operation rate is reduced due to the poor joint of the pipe by manually inserting and joining the pipe. In addition, since the quality assurance for the joint of the pipe is not sec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ting thickness of the joint is insufficient and the plating is locally peeled off during plat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효율이 향상된 파이프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coupling device with improved work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상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축관된 다수개의 파이프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메거진과, 상기 파이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메거진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납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를 결합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그리고 상기 결합장치에 이송된 상기 파이프의 축관부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질 연결파이프가 고정되는 정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rame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 storage device including a cylindrical magazin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upper base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one end condensed therein, and a receiving cover installed outside the magazine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separated;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ip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device to a coupling device; And it provides a pipe coupling device comprising an alignment device is fixed to the connecting pipe to be coupled to the shaft pipe portion of the pipe transferred to the coupling device.
여기서, 상기 정렬장치에 고정된 상기 연결파이프의 위치가 감지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끝단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기 정렬장치에는 파이프 끝단 감지센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lignment device is provided with a pipe end senso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ipe fixed to the alignment device is sensed so that the ends of the connection pipe are aligned in a line.
그리고, 상기 결합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장치에 이송된 상기 파이프가 상기 정렬장치에 고정된 상기 연결파이프와 연결된 후,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된 파이프가 상기 결합장치에 공급되도록 길이가 연장된 상기 연결파이프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푸셔와, 밀려난 상기 연결파이프를 파지하는 캠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upl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ed to the coupling pipe fixed to the alignment device, the pipe transferred to the coupling device, the connection length is extended so that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is supplied to the coupling device Preferably, a pusher for pushing the pipe to one side and a cam for holding the pushed-up pipe are provided.
또한,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결합장치로 복수개가 정렬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pipe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are arranged to be aligned with the coupling device by the transfer device.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이송장치에 장착된 상기 파이프 의 내측으로 무산화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N2 가스가 공급되는 N2 공급장치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 2 supply un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N 2 gas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is supplied to the non-oxidizing atmosphere to the inside of the pipe mounted to the transfer devic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상면예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view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커플링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 수납장치(20), 이송장치(30), 결합장치(90) 그리고 정렬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상기 수납장치(20)에는 다수개의 파이프(200)가 수납되고, 상기 수납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이송장치(30)에 의해 상기 결합장치(9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장치(90)가 상기 정렬장치(100)를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결합장치(90)에 결합된 상기 파이프(200)의 일단부가 상기 정렬장치(100)에 고정된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연결되어 진다. 1 and 2, the pipe coupling device includes a
여기서, 연결파이프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각각의 파이프의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길이가 연장된 파이프를 말한다.Here, the connecting pipe refers to a pipe whose length is extended by the ends of each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면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파이프(200)를 수납할 수 있는 상기 수납장치(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장치(20)에 수납되는 상기 파이프(200)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파이프(210) 일단부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축관된 형상의 축관부(20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수납장치(20)의 일측 하방에는 상기 수납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파이프(200)를 상기 결합장치(90)로 이송하기 위한 상기 이송장치(30)가 위치된다. Below the one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30)는 다수개의 이송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이송구(31)는 상기 수납장치(20)에 수납되는 상기 파이프(200)의 축방향과 평행하도록 상면이 평평한 형상의 이송플레이트(33)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상기 수납장치(20)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파이프(200)가 상기 이송구(31)에 파지되는 것이 용이해 질 수 있다.And, the
한편, 상기 이송구(31)에 파지된 상기 파이프(200)의 전방에는 N2 공급장치(80)가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200)의 내측으로 무산화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200)의 내측에는 상기 N2 공급장치(80)로부터 N2 가스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n N 2 supply device 8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3)의 하측에는 승강플레이트(3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37)가 구비된다.And,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실린더(37)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9)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평평한 형상 의 지지판(38)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38)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블럭(36)이 구비된다. The
그리고, 상기 이송블럭(36)은 이송레일(35)과 연결되는데, 상기 지지판(3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연동구(132)가 상기 이송레일(35)과 평행하게 설치된 이송모터(130)와 상기 이송모터(130)에 연결된 구동축(131)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지지판(38)은 상기 이송모터(13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레일(35)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송구(31)에 파지된 상기 파이프(200)는 가이드조립체(70)와 제2클램프조립체(60)에 결합되어진다. Therefore, the
한편, 상기 가이드조립체(70)와 상기 제2클램프조립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결합장치(90)에 대향되도록 제1클램프조립체(40)와 커플링조립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정렬장치(1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렬장치(100)에는 상기 파이프(200)와 동일한 재질 및 지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연결파이프(210)가 고정된다.Meanwhile, the alignment including the
그리고, 상기 결합장치(90)가 상기 정렬장치(100)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장치(90)에 결합된 상기 파이프(200)의 축관부(201)가 상기 정렬장치(100)에 고정된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진다. As the
또한,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고정됨으로써 새로운 연결파이프(210)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길이가 연장된 상기 연결파이프(210)는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측으로 설치될 수 있는 롤러(미도시)와 같은 다른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어 코일링되거나, 도금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공급되어지는 상기 연결파이프(210)는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가 상기 정렬장치(100)에 의해 다시 정렬되어지도록 고정되고, 상기 수납장치(20)로부터 이탈된 새로운 파이프(200)가 상기 이송장치(30)에 의해 상기 결합장치(9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200)에 형성되는 축관부(201)가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The
이를 통하여, 도금공정 또는 파이프 코일링 공정 등에 공급되기 위해 길이가 연장된 파이프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supply of pipes having an extended length to be supplied to the plating process or the pipe coiling process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수납장치와 이송장치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이송장치와 결합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면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정면상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transfer device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ransfer device and coupling device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top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 operation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ocess.
도 3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는 수직프레임(11)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1)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to 5b, the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측으로 결합판(12)이 결합된다.Then, the
상기 결합판(12)은 다수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판(12)의 내측에는 원통형상의 수납커버(2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12)의 내측은 상기 수납커버(22)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수납커버(22)는 상기 결합판(12)의 내측으로 더욱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수납커버(22)의 내측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의 메거진(21)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거진(21)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20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20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개의 수납홈(2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따라서, 상기 수납홈(25)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수납홈(25)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수납커버(22)에 의해 상기 수납홈(25)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수납될 수 있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수납커버(22)의 하측에는 상기 파이프(200)의 외측지름보다 크고, 상기 수납홈(25)의 양측에 형성된 다른 수납홈(25)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틈(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이를 통하여, 상기 메거진(2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납홈(25)이 상기 틈(23)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수납홈(25)에 수납된 상기 파이프(200)가 낙하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상기 메거진(21)의 일측에는 상기 메거진(21)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판(미도시)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납홈(25)은 상기 틈(2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일정하게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질 수 있다. One side of the
즉, 상기 틈(23)으로 파이프(200)가 낙하된 후, 상기 회전조절판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조절판과 연결된 상기 메거진(21)이 연동하여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That is, after the
그리고, 상기 메거진(21)이 회전함에 따라 수납되었던 파이프(200)가 낙하된 상기 수납홈(25)에 이웃한 다른 수납홈(25)이 상기 틈(2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새로이 상기 틈(2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 상기 수납홈(25)에 수납된 다른 파이프(200)가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200)는 상기 메거진(21)으로부터 규칙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s the
상기 수납홈(25)으로부터 낙하된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메거진(21)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송구(31)의 일측으로 구비될 수 있는 로케이터(24)로 안착될 수 있다. The
상기 로케이터(24)의 상면 일단부는 상기 파이프(200)의 외경보다 크게 하방향으로 절개된 홈이 형성됨으로써, 낙하하는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홈에 안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이송구(31)는 몸체(35)와 클램프(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케이터(24)에 안착된 상기 파이프(200)의 외면이 상기 클램프(34)의 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이송구(31)에 파지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파이프(200)에 접하는 상기 클램프(34)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거나,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등 상기 접촉면의 형상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파이프(200)에 대한 파지효과가 증가될 수 있는 형상이면 무방하며, 상기 클램프(34)의 갯수에도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나 2개 이상이면 충분하다.Here, at least one contact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이송구(31)에 파지된 상기 파이프(200)의 내면에는 N2 가스가 공급되어 무산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200)의 일단부 정면에는 N2 공급장치(80)가 구비되어 N2 가스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N 2 supply device 80 in front of one end of the
상기 이송구(31)는 평평한 형상의 상기 이송플레이트(33)의 상면에 다수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납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파이프(200)를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200)와 평행하도록 복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ransfer holes 31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를 통하여, 다수개의 파이프(200)가 각각의 상기 이송구(31)에 순차적으로 파지될 수 있으며, 파지된 각각의 상기 파이프(200)는 동시에 상기 결합장치(9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Through this, a plurality of
상기 이송플레이트(33)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33)가 상기 결합장치(9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결합실린더(32)가 구비된다.The low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결합실린더(32)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9)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39)는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37)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lifting
상기 실린더(37)는 상기 지지판(38)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38) 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실린더(32)의 작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블럭(36)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이송블럭(36)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블럭(36)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레일(35)이 결합된다. The
여기서, 상기 이송레일(35)은 상기 이송모터(130)와 연결되는 상기 구동 축(131)과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131)의 외주면은 보다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하여 삼각 또는 사각의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131)에는 상기 구동축(13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내측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상기 연동구(13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구(132)는 상기 지지판(38)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판(38)은 상기 이송모터(130)에 의해 이동되어질 수 있다.Here, the
각각의 상기 이송구(31)에 파지된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이송모터(130)에 의해 상기 이송레일(35)을 따라 이동되어지고, 상기 파이프(200)가 결합되어질 상기 결합장치(90)의 위치고 이동되어 진다. The
그리고, 상기 이송구(31)에 파지된 상기 파이프(200)가 상기 가이드조립체(70)에 형성된 결합홈(118)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실린더(37)가 작동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39)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승강플레이트(39)가 상승하여 상기 파이프(200)가 상기 결합홈(118)과 동일한 높이에 도달한 후, 상기 결합실린더(32)가 작동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33)가 상기 가이드조립체(70) 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결합홈(118)에 유입되어진다.After the elevating
여기서, 상기 제2클램프조립체(60)에는 상기 파이프(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파이프 결합센서(6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를 통하여, 상기 결합장치(90)에 결합되는 각각의 상기 파이프(200)의 위치가 감지되고 제어되어 상기 파이프(200)의 축관부(201)의 끝단이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sition of each
한편, 상기 파이프(200)의 정렬이 모두 이루어지면, 상기 제2클램프조립체(60)에 구비되는 상부클램프(41)가 하강하고, 하부클램프(42)가 상승하면서 상기 파이프(200)는 파지되어 고정되어짐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ll the alignment of the
물론, 상기 상부클램프(41) 또는 하부클램프(42) 중 하나가 작동하면서 상기 파이프(200)가 파지되어 고정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상기 파이프(200)가 상기 결합장치(90)에 고정되어진 후, 상기 파이프(200)를 파지하고 있던 상기 클램프(34)는 개방되고, 상기 결합실린더(32)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이송플레이트(33)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After the
그리고, 상기 실린더(37)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39)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이송모터(13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이송구(31)는 새로운 파이프(200)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장치(2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진다. As the
한편, 상기 파이프(200)가 결합된 상기 결합장치(90)는 상기 공급실린더(85)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정렬장치(100) 방향으로 이동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커플링조립체(50)에 고정되는 상기 연결파이프(210)는 상기 커플링조립체(5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55)를 관통하여 위치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55)는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내면이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파이프(200)의 축관부(201)는 상기 정렬장치(10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에 삽입되는데, 상기 정렬장치(100)의 하단부 에는 상기 결합장치(9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축관부(201)의 삽입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장치 감지센서(5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파이프(200)가 삽입된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외주면으로 상부압착부(53)와 하부압착부(54)가 압착되어지고 이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200)와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연결되어져 길이가 연장된 새로운 연결파이프(210)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pper pressing
그리고, 상기 정렬장치(100)에 구비되는 상부클램프(41)와 하부클램프(42)가 개방되고, 상기 결합장치(90)에 구비되는 상부클램프(61)와 하부클램프(62)는 개방됨으로써, 상기 연결파이프(210)에 대한 구속력은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가이드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guide assembly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조립체(7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실린더(7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실린더(71)의 일단부에는 작동봉(72)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봉(72)의 일단부는 상기 작동봉(72)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연결핀(113)에 의하여 회전링크(111)의 일단부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6,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111)는 상기 회전링크(111)의 일측이 고정핀(11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핀(112)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실린더(71)에 의하여 상기 작동봉(72)이 상하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111)도 회전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회전링크(111)의 타단부는 제2연결핀(114)에 의해 푸셔(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110)의 일단부는 소정의 각도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상기 파이프(200)와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결합되면, 상기 작동실린더(71)가 작동하여 상기 작동봉(72)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작동봉(72)과 연결된 상기 회전링크(111)의 일단부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링크(111)는 상기 고정핀(1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링크(111)의 타단부와 연결된 상기 푸셔(110)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푸셔(110)의 홈에 접촉된 상기 연결파이프(210)는 상기 푸셔(110)에 의해 상기 푸셔(110)의 이동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푸셔(110)의 일단부는 상기 푸셔(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캠(115)의 일측을 밀게되고, 일단부가 핀(116)에 의해 고정된 상기 캠(115)은 상기 핀(11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In this case, one end of the
이후, 상기 작동실린더(71)에 의해 상기 작동봉(72)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회전링크(111)도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회전링크(111)와 연결된 상기 푸셔(110)는 본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캠(115)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캠(115)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117)에 의해 상기 캠(115)은 서로 대향되도록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115)의 단부에 형성되는 집게부(119)에 의해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파지된다. Then, when the operating
이를 통하여, 상기 결합홈(118)에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장 치(20)로부터 이탈된 새로운 파이프(200)가 상기 이송장치(30)에 의해 상기 결합홈(118)으로의 결합이 가능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30)에 의해 새로운 파이프(200)가 상기 결합장치(90)로 결합되는 공정과, 길이가 연장된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롤러와 같은 다른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파이프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Through this, a space may be secured in the
한편, 상기 연결파이프(210)는 파이프 정렬센서(45)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롤러와 같은 다른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완전히 상기 정렬장치(100)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는 상기 정렬장치(1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한 파이프 끝단 감지센서(51)에 의해 위치가 감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정렬장치(100)에 고정된 각각의 상기 연결파이프(210)는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가 동일한 위치에서 일렬로 정렬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물론, 길이가 연장된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상기 롤러와 같은 다른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이 완료된 후, 상기 연결파이프(210)가 일렬로 정렬되고, 상기 파이프(200)가 상기 결합장치(90)에 결합되는 공정도 가능하다.Of course, after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한편, 끝단이 일렬로 정렬되어진 상기 연결파이프(210)는 각각의 상부클램프(41)와 하부클램프(42)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지고, 상기 결합장치(90)에 결합된 상기 파이프(200)의 축관부(201)가 상기 연결파이프(210)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연결되어짐으로써, 길이가 연장된 새로운 연결파이프(210)가 연속적 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pip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연결되어질 각각의 파이프에 대한 이송작업, N2 가스 공급, 삽입작업 그리고 결합작업의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공정을 관리하는 작업자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First, conveying work for each pipe to be connected, N 2 By all the processes of gas supply, insertion and joining work done automatically, the load on the operator who manages the process can be reduced.
둘째, 파이프의 삽입작업과 결합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파이프 연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사고도 예방될 수 있다.Second, by inserting and joining the pipe automatically, the work time required for pipe connection is reduce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셋째, 파이프의 삽입작업과 결합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연결부에 대한 품질보증이 확보될 수 있고, 연결부 불량율도 감소될 수 있다.Third, by inserting and joining the pipes automatically, quality assura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ipe can be ensured and the defective rate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reduc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259A KR100771451B1 (en) | 2006-07-12 | 2006-07-12 | Pipe coupl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259A KR100771451B1 (en) | 2006-07-12 | 2006-07-12 | Pipe coupl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1451B1 true KR100771451B1 (en) | 2007-10-30 |
Family
ID=3881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52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1451B1 (en) | 2006-07-12 | 2006-07-12 | Pipe coupl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145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2740A (en) * | 2014-02-28 | 2015-09-07 |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processing par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urface processing part |
CN117754521A (en) * | 2023-12-25 | 2024-03-26 | 陕西建工安装集团有限公司 | Fire control pipeline erection equip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40696A1 (en) * | 1999-12-02 | 2001-06-07 | Selck Gmbh & Co. Kg | Device for producing a pipe coupling |
-
2006
- 2006-07-12 KR KR1020060065259A patent/KR1007714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40696A1 (en) * | 1999-12-02 | 2001-06-07 | Selck Gmbh & Co. Kg | Device for producing a pipe coupling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2740A (en) * | 2014-02-28 | 2015-09-07 |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processing par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urface processing part |
KR102177676B1 (en) * | 2014-02-28 | 2020-11-11 |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processing par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urface processing part |
DE102015203483B4 (en) | 2014-02-28 | 2024-10-17 | Hitachi Astemo, Ltd. | MANUFACTURING METHOD FOR SURFACE-TREATED COMPONENTS AND DEVICE THEREFOR |
CN117754521A (en) * | 2023-12-25 | 2024-03-26 | 陕西建工安装集团有限公司 | Fire control pipeline erection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736540B (en) | An automatic assembly machine for assembly of vehicle-mounted encoders | |
CN112621148B (en) | Automatic assembly process for automobile parts | |
CN112621149A (en) | Automatic assembly system for automobile accessories | |
KR100964404B1 (en) | Automatic Tube Feeder of Fin Tube Welder | |
KR101573172B1 (en) | Door latch assembly cable coupling devices for cars | |
JP6518003B2 (en) | Rod mounting device for drilling machine | |
CN114864270B (en) | Anti-theft capacitor coil production line | |
CN113941750B (en) | A continuous welding device for connecting wire production | |
KR20150081980A (en) | Assembly Apparatus for Nipple | |
CN112621147B (en) | Operating rod posture adjusting unit for auto-parts automatic production line | |
JP6501811B2 (en) | Double tube rod desorption device | |
KR100771451B1 (en) | Pipe coupling device | |
CN102901480A (en) | Welding detection device and automatic welding machine | |
CN106646761A (en) | Optical fiber aligning machine and optical fiber aligning method | |
US7810230B2 (en) | Sealing member fitting apparatus | |
KR102058508B1 (en) | Assembly device for pipe support hanger | |
CN212023097U (en) | Pipe changes braider | |
CN112478690A (en) | Operating rod feeding device for auto-parts automatic production line | |
KR101771544B1 (en) | Pin auto inser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component | |
KR20040067226A (en) |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 |
CN110153699A (en) | Pipe fitting spinning mechanism | |
KR20150062778A (en) | pipe processing device | |
CN207858057U (en) | A kind of automatic soldering device of battery automatic laser welding machine | |
KR200349063Y1 (en) | o-ring insert machine | |
CN211162765U (en) | Spinning equipment for copper column feet of PE electric melting pipe fitt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