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038B1 - Disc brake - Google Patents
Disc br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1038B1 KR100771038B1 KR1020030007777A KR20030007777A KR100771038B1 KR 100771038 B1 KR100771038 B1 KR 100771038B1 KR 1020030007777 A KR1020030007777 A KR 1020030007777A KR 20030007777 A KR20030007777 A KR 20030007777A KR 100771038 B1 KR100771038 B1 KR 1007710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support
- plates
- disc brake
- sp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 플레이트의 원활한 복원과 진동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 bra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pad spring that is installed for smooth restoration and vibration prevention of the pad plat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상기 패드 스프링(80)은 소정의 판재로 성형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지지홈(53)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의 미끄럼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1)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양측의 지지부(83)와, 상기 지지부(83)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84)와, 상기 지지부(83)로부터 만곡형으로 돌출된 자유단을 갖는 탄지부(82)를 포함한다. The pad spring 80 of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redetermined plate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s 53 of the pad plates 51 and 52 to slide the pad plates 51 and 52. Guide portion 81 for guiding, support portions 83 on both sides provided to support the pad plates 51 and 52, a connecting portion 84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83, and the support portion 83. And a tungsten portion 82 having a free end protruding in a curved shape fro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능을 가지는 패드 스프링의 형상을 변형하여 잔류 드래그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지면의 탄성력에 의해 뛰어난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을 유지하면서도, 그 구성이 크게 단순화됨으로써 패드 스프링의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forms the shape of the pad spring having the return performance of the pad plate to reduce the residual drag, thereby maintaining the resilience of the pad plat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urface of the pad,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greatly increased. By simplifying, the pad spring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sc brak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 brak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d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과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pad spring and the pa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ad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디스크 51, 52 : 패드 플레이트40:
53 : 지지홈 60 : 캘리퍼 하우징53: support groove 60: caliper housing
61 : 실린더 62 : 피스톤61
63 : 지지부 70 : 캐리어63: support 70: carrier
71 : 지지턱 80 : 패드 스프링71: support jaw 80: pad spring
81 : 가이드부 82 : 탄지부 81: guide portion 82: bullet section
83 : 지지부 84 : 연결부
83: support portion 84: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은 캘리퍼형 브레이크의 패드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 가이드와 패드 복원 스프링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제동 후 디스크에 접촉되어 있던 브레이크 패드를 패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이탈시켜 브레이크 패드의 잔류 드래그에 의한 이상 마모와 디스크의 열 변형에 의한 이상 진동, 소음 등을 방지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spring of a caliper brake, and more particularly, the pad guide and the pad restoring spring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brake pa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isk after braking of the vehicle, is forcibly released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pad sp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spring of a disc brake which prevents abnormal wear caused by residual drag of the brake pad and abnormal vibration, noise, etc. caused by thermal deformation of the disc.
일반적으로, 캘리퍼형 브레이크 장치는 실린더, 피스톤 및 브레이크 패드가 수용된 캘리퍼 하우징과, 전륜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 가능한 디스크와, 브레이크 디스크 외곽부에 그 외주면을 일부 수납하도록 수납부가 형성된 캘리퍼와, 캘리퍼 수납부의 내측 양면에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패드와, 유압 파이프라인에 의해 작동되며 브레이크 패드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을 포함한다.In general, a caliper brake device includes a caliper housing in which a cylinder, a piston, and a brake pad are accommodated, a disc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ront wheel drive shaft, and a caliper in which a housing is formed to partially sto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ke disc, and a caliper; Brake pad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rake disc on both inner sides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piston operated by a hydraulic pipeline and operably mounted to the brake pad.
상기와 같은 캘리퍼형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써 브레이크 오일에 의하여 캘리퍼의 실린더내에 있는 피스톤을 밀게 되고, 상기 피스톤은 디스크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패드를 디스크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하는 디스크를 마찰제동에 의하여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The caliper brake as described above pushes the piston in the caliper's cylinder by brake oil by depressing the brake pedal, and the piston moves the pair of pad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sk in the direction of the disk to friction the rotating disk. It is the structure to stop by braking.
도 1은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캘리퍼 하우징(10)의 일측에 실린더(11)가 형성되고, 이 실린더(11)에는 유압에 의해 마찰 패드를 밀어주는 피스톤(12)이 설치된다. 그리고 피스톤(12)이 설치된 맞은편 쪽으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데, 그중 하나의 패드 플레이트(21)는 피스톤(12)에 인접되고, 다른 하나는 맞은편 지지부(13)에 인접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isc brake.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disc brake, a
또한, 캘리퍼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패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지지해주는 캐리어(30)가 설치되는데, 이 캐리어(30)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이 된다.In addition, a
또한, 캐리어(30)의 양측에는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단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31)이 형성되고,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턱(31)이 끼워지는 지지홈(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지지턱(31)과 지지홈(24) 사이에는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차량의 진동시 패드 플레이트(21, 22)의 떨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패드 지지스프링(25)이 설치된다.In addition,
그리고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상단부에는 브레이크 동작이 완료된 후에 패드 플레이트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패드 리턴스프링(26)과, 이 패드 리턴 스프링이 지지되는 지지봉(27)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pad plate (21, 22), the pad return
즉,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플레이트(21, 22)는 캐리어의 지지턱(31)에 설치되는 패드 지지스프링(25)과,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패드 리턴스프링(26) 및 지지봉(27)에 의해서, 패드 플레이트의 진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패드 플레이트의 원활한 복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at is,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스프링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캘리퍼의 노화나 기타 부품의 노화로 인하여 잔류 드래그가 발생되므로 패드가 디스크와의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밀착되어 디스크와 패드가 계속적인 마찰상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주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캘리퍼형 브레이크는 지지턱(31)에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25)과,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상단부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26) 및 지지봉(27)이 별도로 구비할 뿐만 아니라, 리턴스프링(26)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가 어렵고, 스프링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ad spring of such a conventional disc brake causes residual drag due to aging of the caliper or aging of other parts due to prolonged use, so that the pad does not maintain a distance from the disk, and thus the disk and the pad are in constant friction. There was still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running by having.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liper brake has not only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패드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잔류 드래그를 감소시켜 패드 플레이트의 복원성을 좋게 하면서도 스프링의 제작 및 설치가 크게 단순화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pad spring for supporting the pad plate, reducing the residual drag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the pad plate, while greatly simplifying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the spring To provide a disc brak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밀착되어 제동 작용을 수행하도록 일면에 마찰 패드가 부착되고 그 양측 단부에 지지홈이 형성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그 양측에 상기 지지홈에 끼워지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그 일측이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제동압의 해지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패드 스프링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k that rotates together with a wheel of a vehicle, and a pair of pads having a friction pad attach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support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k to perform a brake action. Plate and support jaws that fit into the support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support the pad plate, and one side of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carrier and the pad plate to prevent shaking of the pad plate. In the disc brake having a pad spring for returning the pad plate to the initial state when the brake braking pressure is released,
상기 패드 스프링은 소정의 판재로 성형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미끄럼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양측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만곡형으로 돌출된 자유단을 갖는 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The pad spring is formed of a predetermined plate material, and inserted into a support groove of the pad plate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ad plate, support parts on both sides provided to support the pad plate,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It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and a finger portion having a free end protruding in a curved shape from the support por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과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d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ad spring and a pa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ad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40)가 구비되고, 이 디스크(40)의 양측에는 디스크의 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일면에 마찰 패드(51a, 52a)가 부착된 한 쌍 의 패드 플레이트(51, 52)가 대향 설치된다. 2 and 3, the disk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이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상부에는 두 패드 플레이트(51, 52)를 디스크(40) 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일 측에 가압 피스톤(62)이 설치된 실린더(61)가 구비되고, 타 측에 절곡된 지지부(63)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60)이 설치된다.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는 내측 패드 플레이트(51)와 외측 패드 플레이트(52)로 구별되며, 내측 패드 플레이트(51)가 상기 피스톤(62)과 접하도록 설치되고, 외측 패드 플레이트(52)가 맞은편 지지부(63)에 접하도록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캘리퍼 하우징(60)의 하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패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안내해주는 캐리어(70)가 설치된다. 이때, 캐리어(70)는 그 일 측이 차량의 차체에 고정이 되고, 상기 캘리퍼 하우징(60)은 이 캐리어(70)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캘리퍼 하우징(60)은 캐리어(70)에 결합된 채 미끄럼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캐리어(70)의 양측에는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진퇴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턱(71)이 형성되고,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턱(7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홈(53)이 마련된다. 따라서 피스톤(62)의 운동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51, 52)가 가압되면, 패드 플레이트는 지지홈(53)이 지지턱(71)에 의해 안내되면서 디스크(40)의 전후 방향으로 진퇴운동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지지홈(53)에는 차량의 진동에 따른 패드 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압이 해지될 때 패드 플레이트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패드 스프링(80)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양단과 캐리어(70)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패드 스프링(80)은 소정의 판재로 성형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지지홈(53)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의 미끄럼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1)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51, 52)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양측의 지지부(83)와, 상기 지지부(83)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84)와, 상기 지지부(83)로부터 만곡형으로 돌출된 자유단을 갖는 탄지부(82)를 포함한다. 4 and 5, the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패드 스프링의 탄지부(82)의 자유 단부가 패드 플레이트(51, 52)에 연접되도록 패드 플레이트(51, 52)를 향해 만곡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피스톤의 작동에 의하여 패드가 전진하는데 무리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free end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제동 시에는 실린더(61)내의 유압이 높아지면 피스톤(62)은 전진하여 패드 플레이트(51, 52)를 디스크 방향으로 밀어 전진시키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피스톤의 힘을 전달받는 패드 플레이트(51, 52)의 일면에 부착된 마찰 패드(51a, 52a)는 디스크(40)와 마찰을 일으켜 회전하는 디스크(40)를 정지시키며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The
상기와 같이 패드 플레이트(51, 52)가 전진할 때에는 스프링 패드(80)의 지지부(83)에 일 측이 고정된 탄지부(82)의 자유단이 패드 플레이트(51, 52)가 연접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패드 플레이트(51, 52)가 탄지부(82)의 자유단을 밀어 올리면서 전진을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제동 완료 후 유압이 해제되면, 피스톤(62)은 피스톤과 실린더 상간에 설치된 고무재의 링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복원을 하게 됨과 동시에 패드 플레이트(51, 52)도 후퇴하게 됨으로써 패드 스프링(80)을 향해 수축되어 있던 탄지부(82)의 복원력이 유압의 해제로 인하여 마찰 패드(51a, 52a)가 밀착되려는 힘(잔류 드래그)보다는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탄지부(82)의 자유단이 신속히 확장된다.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after the braking is completed, the
그러면, 패드 스프링(80)의 탄지부(82)와 연접하여 있던 플레이트(51, 52)가 패드 스프링(80)이 미는 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후퇴하여 복원이 되며, 마찰 패드가 불완전하게 후퇴하여 디스크와 밀착 내지는 연접된 상태에 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n,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능을 가지는 패드 스프링의 형상을 변형하여 잔류 드래그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지면의 탄성력에 의해 뛰어난 패드 플레이트의 복귀성을 유지하면서도, 그 구성이 크게 단순화됨으로써 패드 스프링의 제작과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forms the shape of the pad spring having the return performance of the pad plate to reduce the residual drag, while maintaining excellent resilience of the pad pl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all surface. As a result, the configuration of the pad spring is greatly simplified, thereby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pad spring.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7777A KR100771038B1 (en) | 2003-02-07 | 2003-02-07 | Disc br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7777A KR100771038B1 (en) | 2003-02-07 | 2003-02-07 | Disc brak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1868A KR20040071868A (en) | 2004-08-16 |
KR100771038B1 true KR100771038B1 (en) | 2007-10-29 |
Family
ID=3735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77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1038B1 (en) | 2003-02-07 | 2003-02-07 | Disc br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103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8044A (en) | 2016-02-19 | 2017-08-29 |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 Caliper brake for a vehicle |
KR20200132089A (en) * | 2019-05-15 | 2020-11-25 | 주식회사 만도 | pad spring for disc bra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20250A (en) * | 2019-08-14 | 2021-02-24 | 주식회사 만도 | Caliper brak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4434A (en) | 2014-08-25 | 2016-03-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turn device for brake pad in vehicle |
KR102494459B1 (en) * | 2016-02-25 | 2023-02-0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Caliper brake apparatus |
KR102534995B1 (en) | 2016-06-10 | 2023-05-22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Disc brak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17463A (en) * | 1992-10-02 | 1994-04-26 | Sumitomo Electric Ind Ltd | Disc brake |
-
2003
- 2003-02-07 KR KR1020030007777A patent/KR1007710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17463A (en) * | 1992-10-02 | 1994-04-26 | Sumitomo Electric Ind Ltd | Disc brak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17463호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8044A (en) | 2016-02-19 | 2017-08-29 |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 Caliper brake for a vehicle |
KR20200132089A (en) * | 2019-05-15 | 2020-11-25 | 주식회사 만도 | pad spring for disc bra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761582B1 (en) * | 2019-05-15 | 2025-02-03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pad spring for disc bra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20250A (en) * | 2019-08-14 | 2021-02-24 | 주식회사 만도 | Caliper brake |
KR102782301B1 (en) * | 2019-08-14 | 2025-03-17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Caliper bra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1868A (en) | 2004-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75738B2 (en) | Disc brake | |
KR20110060243A (en) | Disc brake | |
KR100771038B1 (en) | Disc brake | |
KR20150091859A (en) | Caliper brake for a vehicle | |
KR20180059082A (en) | Monoblock caliper brake | |
KR20140036632A (en) | Caliper brake for a vehicle | |
JP2010236655A (en) | Mechanical disc brake | |
KR20170019833A (en) | Disc brake | |
KR200281988Y1 (en) | Disc brake | |
KR100771004B1 (en) | Disc brake | |
KR100694014B1 (en) | Pad return spring of car disc brake | |
KR101787998B1 (en) | Disc brake | |
KR100771041B1 (en) | Disc brake | |
JP2013155797A (en) | Disk brake device | |
KR20110125137A (en) | Disc brake | |
KR20080110286A (en) | Automotive brake pad return device | |
KR100457090B1 (en) | Drum brake device for a vehicle | |
KR0120458Y1 (en) | Disk brake | |
KR20170040494A (en) | Disc brake | |
KR19990024204U (en) | Disc brake | |
KR20140066307A (en) | Disk brake | |
JPS627864Y2 (en) | ||
KR200281969Y1 (en) | Disc brake | |
KR100845901B1 (en) | Disc brake system | |
KR100771039B1 (en) | Guide rod of disc bra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