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500B1 -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0500B1 KR100770500B1 KR1020057010886A KR20057010886A KR100770500B1 KR 100770500 B1 KR100770500 B1 KR 100770500B1 KR 1020057010886 A KR1020057010886 A KR 1020057010886A KR 20057010886 A KR20057010886 A KR 20057010886A KR 100770500 B1 KR100770500 B1 KR 100770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rope body
- hoistway
- weight
- dr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하게 된다. 승강로 내에는 한 쌍의 로프체가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한 쌍의 구동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각 구동장치는 구동 쉬브를 갖고 있다. 구동 쉬브에는 로프체가 감겨져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가 탑재되어 있다. 각 디플렉션 쉬브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로프체 하단부에는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가 매달려 있다. 추는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car is guided and lifted by a guide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A pair of rope bodies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The lower part of a car is equipped with a pair of drive devices. Each drive device has a drive sheave. A rope body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Moreover, a pair of deflection sheaves are moun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 The rope body 5 is wound around each deflection sheave. At the bottom of the rope body there is an additional hanging to tension the rope body. The weight is disposed inside the area in which the car is vertically proj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evice in which a car is lifted and lowered by a driving force of a drive device mounted on the car.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 장치나 제어반을 승강로 내에 배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로서의 공간 절약화가 도모되고 있다.In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space saving as the whole elevator apparatus is aimed at by arrange | positioning a drive apparatus and a control panel in a hoistway.
그러나,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과 평형추가 매달려 있고, 또한 평형추는 엘리베이터 칸과 엇갈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형추의 평면적인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승강로의 평면 치수를 더욱 작게 하는데 방해가 되고 있다.However, in the hoistway,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and since the counterweight needs to be crossed with the car,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car. For this reason, the flat installation space of a counterweight is needed, and it is hindering to make the plane dimension of a hoistway small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make the plane dimension of a hoistway smaller.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지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로프체가 감겨진 디플렉션 쉬브(deflection sheave),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guide rail installed in a hoistway, a rope body suspended in a hoistway, a hoist that is suspended in a hoistway by a rope body, and a hoist car and a rope body which are lifted in the hoistway along a car guide rail. A drive device mounted on the car and lifting the car, a deflection sheave mounted on the car and wound with a rope body, and connected to the rope body under the car, It is disposed inside the area in which the car is vertically projected, and has a weight that gives tension to the rope body.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한 쌍의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따라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각각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각각 로프체에 감겨진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a pair of car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 pair of rope bodies suspended in the hoistway, and a rope body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along the car guide rails. Each car has a car, a drive sheave wound with a rope, and a pair of driving devices mounted on the car and lifting the car, a pair of deflection sheaves mounted on the car, each wound on a rope, and an elevator It is connected to a rope body at the bottom of a cage | basket | car,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area | region which projected a cage | basket | car vertically, and has a weight which gives tension to a rope bod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일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제1의 디플렉션 쉬브,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타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제2 디플렉션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며, 구동장치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디플렉션 쉬브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pe body suspended in a hoistway, an elevator car suspended in a hoistway by a rope body, and an elevating hoist in a hoistway, and a drive sheave in which a rope body is wound. Drive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first deflection sheave mounted on a car and the rope body wound on one side of the drive sheave, a second deflection sheave mounted on the car and the rope body w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eave, and the car And a weight connected to the rope body at the bottom of the tensioning member to tension the rope body, wherein the driving device is arranged such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extends vertically, the first and second deflection sheaves of which the axis of rotation extends horizontally. Is arranged.
그리고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한 쌍의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각각 가지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일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한 쌍의 제1의 디플렉션 쉬브,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타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한 쌍의 제2 디플렉션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며, 구동장치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디플렉션 쉬브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rope bodies suspended in the hoistway, an elevator car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the rope body, and an elevator sheave in which the hoistway is hoisted, and a drive sheave in which the rope body is wound. A pair of drive devices mounted on the vehicle and lifting the car, a pair of first deflection sheaves mounted on the car and wound with a rope body on one side of the drive sheave, and a rope body mounted on the car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eave A pair of wound second deflection sheaves, and a weight connected to the rope body at the bottom of the car and tensioning the rope body, the drive device being arranged such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s extends vertically; The first and second deflection sheaves are arranged such that their axis of rotation extends horizont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자주식(self-propelled)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장치(슬라이딩 가이드 슈 또는 가이드 롤러)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이들을 연결하는 직선이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self-propelled elevator) according to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한 쌍의 지지보(supporting beam)(4)가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보(4)에는 로프 고정 부재(4a)가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로프체(5)는, 로프 고정 부재(4a)로부터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각 로프체(5)는, 로프 상단 접속부(6)를 통하여 로프 고정 부재(4a)에 접속되어 있다. 각 로프체(5)는, 1개 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2개)의 로프를 포함하고 있다. 로프로서는, 고마찰 수지재에 의해 외주(外周)가 피복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를 사용할 수 있다.A pair of supporting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구동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각 구동장치(7)는, 구동 쉬브(8), 및 구동 쉬브(8)를 회전시키는 모터부(9)를 갖고 있다. 구동 쉬브(8)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구동장치(7)는 그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구동 쉬브(8)의 지름 치수보다 큰 원통형 권상기(hoisting machine)이다. 또, 구동장치(7)는, 구동 쉬브(8)의 회전축이 수평(또는 대략 수평)이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깊이 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10)가 탑재되어 있다. 각 디플렉션 쉬브(10)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각 디플렉션 쉬브(10)는, 그 회전축이 수평(또는 대략 수평)이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깊이 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디플렉션 쉬브(10)는 구동 쉬브(8)로부터 경사 위쪽으로 뻗는 로프체(5)를 아래쪽으로 전향하는 기능과, 로프체(5)의 구동 쉬브(8)에의 권취(wrapping) 각도(권취량)를 확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A pair of
엘리베이터 칸(3)은, 그 무게 중심 위치에서 로프체(5)에 의해 매달려 있다.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2조(組)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로프체(5)의 하단부에는, 로프체(5)에 장력을 부여하는 직방체 형상(블록 형상)의 추(11)가 매달려 있다. 추(11)는, 엘리베이터 칸(3)의 아래쪽에서 로프 하단 접속부(12)를 통하여 로프체(5)에 접속되어 있다. 즉, 2조의 로프체(5)는 공통의 추(1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추(11)는 엘리베이터 칸(3)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추(11)의 중량은 로프체(5)와 구동 쉬브(8)의 사이에 충 분한 트랙션(traction)력이 작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추(11)의 진동 방지용의 한 쌍의 추 레일(weight rail)(13)이 설치되어 있다. 추 레일(13)은 추(11)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한다. 추(11)에는 추 레일(13)에 맞물리는 계합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또,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와, 추(11)를 수용하는 한 쌍의 추 완충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추(11)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를 통과하는 완충기 구멍(11a)이 설정되어 있다.Moreover, the car shock absorber 14 which accommodates the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장치(7)의 모터부(9)에 의해 구동 쉬브(8)가 회전되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로프체(5)가 운반되며, 엘리베이터 칸(3)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된다. 추(11)는 트랙션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어도 정지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추(11)가 엘리베이터 칸(3)과 엇갈리지 않기 때문에, 추(11)를 엘리베이터 칸(3)의 바로 밑, 즉 엘리베이터 칸(3)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7)를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탑재했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또, 구동용의 로프체(5)와는 별도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또한,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사용하였으므 로, 1대의 구동장치(7)의 부하를 저감하며, 구동장치(7)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매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wo sets of
그리고 또, 엘리베이터 칸(3)은 그 무게 중심 위치에서 로프체(5)에 의해 매달려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age | basket |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since the
또한, 추(11)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를 통과하는 완충기 구멍(11a)을 설치하였으므로, 서로의 간섭을 피하면서 추(11)와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를 승강로(1) 내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1)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shock absorber hole 11a which passes through the
그리고 또, 추(11)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추 레일(13)을 사용하였으므로, 추(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 추 레일(13)은 추(11)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므로, 로프체(5)에 신장(伸張)이 생긴 경우에도, 로프체(5)에 안정적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And since the
또, 추(11)의 아래쪽에 추 완충기(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만일 추(11)가 낙하해도 그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3)의 중량을 W1, 엘리베이터 칸(3)의 용량을 C, 추(11)의 중량을 W2로 하면, 구동 쉬브(8)보다도 추(11)측의 로프체(5)에 작용하는 장력은 W2/2, 구동 쉬브(8)보다도 엘리베이터 칸(3)측의 로프체(5)에 작용하는 장력은 (W1+C +W)/2로 된다. 이 때문에, 구동 쉬브(8)에 있어서의 트랙션 비율은, {(W1+C +W2)/W2}로 된다.Here, when the weight of the
따라서, 트랙션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11)의 중량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추(11)의 중량이 커지면, 구동장치(7)에 작용하는 축 하중이 증가하고 구동장치(7)가 대형화된다.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traction force,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이에 대하여, 수지 피복 로프에 의해 로프체(5)를 구성하여 트랙션력을 높임으로써, 추(11)의 중량을 작게 할 수 있고 구동장치(7)를 소형화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ight of the
또, 구동장치(7)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는, 구동 쉬브(8)의 지름을 D로 하면, D/2×{(W1+C+W2)-W2/2}로 되며, 통상의 트랙션식 엘리베이터보다 더 커진다. 그러나, 트랙션력이 크고 게다가 유연성이 높은 수지 피복 로프를 사용함으로써, 구동 쉬브(8)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구동장치(7)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diameter of the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4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한 쌍의 구동장치(7)는, 구동 쉬브(8)의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10)는 그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Next, FIG. 3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구동 쉬브(8)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추(11)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맞물리는 계합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추 레일(13)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A weight member (not shown) engaging with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칸(3)의 폭 치수가 작고, 깊이 치수가 큰 경우, 구동 쉬브(8)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Also with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plane dimension of the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로프체(5)의 추(11)에의 접속부가 엘리베이터 칸(3)과 겹쳐지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3)의 측벽과 승강로(1)의 벽면과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만일 엘리베이터 칸(3)이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에 충돌하더라도, 하단 접속부(12)가 엘리베이터 칸(3)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승강로(1)의 피트(pit) 깊이를 축소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since the connection part of the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6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의 엘리베이터 칸(3)에의 탑재 위치가 실시 형태 2와는 반대로 되어 있 다. 또, 실시 형태 2의 추(11)와 비교하여, 바닥 면적이 작고, 높이 치수가 큰 추(11)가 사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Next, FIG. 5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이와 같은 레이아웃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with such a layout, the same effect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obtained.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4에서는,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가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Next, FIG. 7: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이와 같이,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한 경우라 해도, 실시 형태 2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또한, 실시 형태 1∼4에서는, 구동장치(7)로서 원통형 권상기를 사용하였으나,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구동 쉬브의 직경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를 사용해도 된다.In addition, in Embodiment 1-4, although the cylindrical hoist was used as the
또, 실시 형태 1∼4에서는,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사용하였으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면 3조 이상 사용해도 된다.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wo sets of
또한,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의 배치 위치를 반대로 해도 된다.In addition, you may revers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실시 형태 5.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 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구동장치(21)가 탑재되어 있다. 각 구동장치(21)는, 구동 쉬브(22), 및 구동 쉬브(22)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3)를 갖고 있다. 구동 쉬브(22)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구동장치(21)는, 그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구동쉬브(22)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이다. 또, 구동장치(21)는, 구동 쉬브(22)의 회전축이 수직(또는 대략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Next, FIG. 8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와, 한 쌍의 제2의 디플렉션 쉬브(25)가 탑재되어 있다. 각각의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에는, 구동 쉬브(22)의 일측(엘리베이터 칸(3)측)에서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각각의 제2의 디플렉션 쉬브(25)에는, 구동 쉬브(22)의 타측(추(11)측)에서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각 디플렉션 쉬브(24, 25)는, 그 회전축이 수평(또는 대략 수평)이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깊이 방향으로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24, 25)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가 제2 디플렉션 쉬브(2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deflection sheaves 24 and 25 is arranged such that its axis of rotation is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extends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 디플렉션 쉬브(25)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the two sets of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추(11)를 엘리베이터 칸(3)의 바로 밑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21)를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탑재하였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Also with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또, 제1 디플렉션 쉬브(24)가 제2 디플렉션 쉬브(2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24, 25)로부터 구동 쉬브(22)에 진입하는 로프체(5)의 진입각(플릿 각: fleet angle)을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실시 형태 6.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6에서는,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25)가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같다.Next, FIG. 10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이와 같이,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 디플렉션 쉬브(25)를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한 경우라도, 실시 형태 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또한, 실시 형태 5, 6에서는,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 디플렉션 쉬브(25)를 사용하였으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면 3조 이상 사용해도 된다.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two sets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elevator apparatus etc. which a cage | basket | car is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apparatus mounted in the cage | basket | ca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10886A KR100770500B1 (en) | 2005-06-14 | 2003-11-17 | Elevator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10886A KR100770500B1 (en) | 2005-06-14 | 2003-11-17 | Elevator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103A KR20050119103A (en) | 2005-12-20 |
KR100770500B1 true KR100770500B1 (en) | 2007-10-25 |
Family
ID=3729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10886A KR100770500B1 (en) | 2005-06-14 | 2003-11-17 | Elevator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050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8842B1 (en) | 2008-10-31 | 2015-01-02 |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 Modernizing method of existing elevator and elevator apparatu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27957A (en) | 1961-07-19 | 1964-04-07 | Donald S Nelson | Elevator |
JPH10273274A (en) | 1997-03-27 | 1998-10-13 | Otis Elevator Co | Elevator moved up and down through rope |
KR200182667Y1 (en) * | 1999-12-18 | 2000-05-15 | 연규석 | The polymer concrete complex panel |
JP2000229772A (en) * | 1999-02-10 | 2000-08-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evice |
JP2002504473A (en) * | 1998-02-26 | 2002-02-12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Double sheave rope type elevator system using flat flexible rope |
-
2003
- 2003-11-17 KR KR1020057010886A patent/KR10077050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27957A (en) | 1961-07-19 | 1964-04-07 | Donald S Nelson | Elevator |
JPH10273274A (en) | 1997-03-27 | 1998-10-13 | Otis Elevator Co | Elevator moved up and down through rope |
JP2002504473A (en) * | 1998-02-26 | 2002-02-12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Double sheave rope type elevator system using flat flexible rope |
JP2000229772A (en) * | 1999-02-10 | 2000-08-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evice |
KR200182667Y1 (en) * | 1999-12-18 | 2000-05-15 | 연규석 | The polymer concrete complex pane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8842B1 (en) | 2008-10-31 | 2015-01-02 |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 Modernizing method of existing elevator and elevator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103A (en) | 2005-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91331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618467B1 (en) | Elevator device | |
JP2000255933A5 (en) | ||
JP4200603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2080178A (en) | Elevator device | |
WO2003008318A1 (en) | Elevator device | |
JP4549616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5235577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4774429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4849431B2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JP2012056773A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WO2002098782A1 (en) | Elevator device | |
JP4376585B2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device | |
KR100770500B1 (en) | Elevator system | |
JP4341729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WO2004050528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6432926B1 (en) | Elevator equipment | |
JP4262805B2 (en) | Elevator equipment | |
EP1717185B1 (en) | Elevator | |
JPWO2005047161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4770241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4742606B2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device | |
JPWO2005082767A1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728419B1 (en) | Elevator equipment | |
JP4601771B2 (en) | Elevator hoistway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