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530B1 -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8530B1 KR100778530B1 KR1020060062881A KR20060062881A KR100778530B1 KR 100778530 B1 KR100778530 B1 KR 100778530B1 KR 1020060062881 A KR1020060062881 A KR 1020060062881A KR 20060062881 A KR20060062881 A KR 20060062881A KR 100778530 B1 KR100778530 B1 KR 1007785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link arm
- plate
- inclined surface
- l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ors of the portable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portable portable terminal.
도 3a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평면도.Figure 3a is a plan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portable portable terminal.
도 3b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정면도.Figure 3b is a front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portable portable terminal.
도 3c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측면도.Figure 3c is a side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portable portable terminal.
도 4a 내지 4e 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상태도.Figures 4a to 4e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portable terminal.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토션스프링의 작동상태도.Figure 5a to 5c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torsion spring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portable terminal.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스프링 힌지의 작동상태도 및 스프링힌지의 부분확대도.Figure 6a to 6b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spring hinge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spring hi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0 : 커버부 110 : 화면표시부100: cover 110: screen display
200 : 슬라이딩 힌지 210 : 이동플레이트200: sliding hinge 210: moving plate
211 : 가이드리브 220 : 토션스프링211: guide rib 220: torsion spring
221 : 제 1토션스프링 222 : 제 2토션스프링221: first torsion spring 222: second torsion spring
230 : 센터플레이트 231 : 가이드홈230: center plate 231: guide groove
212, 232 : 고정돌기 240 : 피벗플레이트212, 232: fixing protrusion 240: pivot plate
241 : 걸이홈 250 : 제 1링크암부241: hanger groove 250: first link arm
260 : 제 2링크암부 270 : 링크봉260: second link arm 270: link rod
280 : 스프링힌지 290 : 체결부재280: spring hinge 290: fastening member
300 : 본체부 310 : 키패드300: main body 310: keypad
400 : 자석400: Magne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부에 대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되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of a type in which a cover portion is slid with respect to a main body portion.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는 통화나 데이터 송수신 등의 무선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디스플레이용 화면표시부가 구비되는 커버부가 상호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is 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call 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cover portion provided with a display for display are mutually opened and closed. Possibly combined.
이러한 단말기는 통상 그 외관 또는 본체부에 대한 커버부의 개폐구조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및 슬라이드형(slide type)등으로 구분된다.Such terminal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a bar type, a flip type, a folder type, a slide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of the cover par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상기 바형은 하나의 본체에 입력부 및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플립형은 본체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구조이고, 상기 슬라이드형은 본체부와 커버부에 각각 상응하게 형성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소정 거리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구조이다.The bar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put unit and a transceiver unit are installed in one main body, and the flip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unit is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inge unit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cover units. The slide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by guide means form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국내 휴대폰 형태는 기술 발전상의 요구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며 단순한 통화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길 수가 있는 넓고 큰 LCD 창이 필요하게 됐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이러한 기능과는 별도로 작고 가벼운 휴대폰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The domestic mobile phone type needs a large and large LCD window to meet the demand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nsumer demand and to enjoy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as well as simple calls. But consumers tend to want small, lightweight handsets apart from these features.
이러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기에는 바 타입이나 플립 타입으로는 한계가 있어 폴더 타입이 각광을 받게 되었지만 폴더타입도 폴더를 열고 닫아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슬라이드 타입은 이러한 기존 휴대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타입으로 넓은 LCD창을 폴더를 여닫지 않고 보면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To meet all of these demands, the bar type and flip type have limitations, so the folder type is in the spotligh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lder type has an inconvenience in using the folder to open and close the folder. Slide type is a type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obile phone, it can be used while viewing a wide LCD window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can be conveniently used.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드 방식 구현의 휴대폰은 본체부에 대해 커버부가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오픈상태에서 통화시에 커버부와 본체부가 단차지게 구성되어 통화를 하게 되므로, 통화시에 통화자의 입과 음성을 전달받는 본체부와의 거리가 멀어질 수밖에 없어 통화시 전달음질이 다소 떨어지며 소리가 멀어져서 들리는 문제점이 있다.Despite this advantage, the mobile phone of the slide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part sli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part, so that the cover part and the body part are stepped when making a call in the open stat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outh of the caller to receive the voice at the time of the call is far away, the sound quality is slightly lowered and the sound is far away during the call.
또한 오픈상태에서 본체부와 커버부의 단차면으로 인해 통화시에 휴대폰을 잡기가 다소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eppe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 the open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is somewhat inconvenient to hold the mobile phone during the call.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화시에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단차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such that a stepped surface is not formed between a main body portion and a cover portion of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during a call.
이를 통하여, 통화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와 통화자의 입까지의 거리를 최대한으로 좁혀 통화음질을 개선하고, 슬라이드 오픈상태의 통화시에 휴대용 단말기를 잡기 용이하도록 개선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rough th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outh of the caller as much as possible to improve the call sound quality, and to improve the ease of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the slide open call.
또한 슬라이드 오픈 상태에서 최대로 슬림화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that is slimmer in a slide open state.
또한 전구간에서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implemented semi-automatically in all sections.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키패드가 장착되며 중심부와 전면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계단형상의 본체부와, 화면표시부가 장착되며 중심부와 후면부에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 및 전면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를 상기 경사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본체부와 일자형 구조가 되도록 형성하는 슬라이딩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서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e keypad is equipped with a staircase-shaped main body portion and the screen display portion is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inclined surface portio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cover the cover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cove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to slide the cover portion in a straight line, and the cover portion is slid in the inclined surface direction to the main body. It is achieved by a straight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liding hinge device for forming a portion and a straight structure.
상기 슬라이딩 힌지장치는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며 양단에는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배면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이동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양단에는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면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센터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반자동 직선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센터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각각의 고정돌기에 양단이 결합된 토션스프링;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와 전면부 사이에 고정된 피벗플레이트; 상기 센터플레이트의 전면부 측단과 상기 피벗플레이트의 전면부 측단을 연결하여 체결부재로 관통하여 고정된 한쌍의 링크암으로 이루어진 제 1링크암부; 상기 센터플레이트의 후면부 측단과 상기 피벗플레이트의 후면부 측단을 연결하여 체결부재로 관통하여 고정된 한쌍의 링크암으로 이루어진 제 2링크암부; 상기 제 2링크암부의 대칭되는 한쌍의 링크암의 중심부를 연결하여 체결부재로 고정된 링크봉;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ing hinge device is fixed to the cover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guide rib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inner side of the rear surface is formed with a fixing projection; A center plat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guide rib is inserted and sliding,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 torsion spring having both ends coupled to respective fixing protrusions of the center plate and the movable plate such that the movable plate is semi-automatically linearly sliding; A pivot plate fix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first link arm portion comprising a pair of link arms fix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by connect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center plate and the front end side of the pivot plate; A second link arm portion comprising a pair of link arms fixed through a fastening member by connect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enter plate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ivot plate; A link rod fixed to a fastening member by connecting central portions of the pair of symmetrical link arms of the second link arm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피벗플레이트의 후면부 측단과 상기 제 2링크암부의 각각의 링크암의 끝단을 관통한 체결부재에 장착되며, 양단은 상기 제 2링크암부의 각각의 링크암의 중심을 관통한 체결부재와 상기 피벗플레이트의 상면의 내측면에 더 형성된 한쌍의 걸이홈에 각각 결합한 한쌍의 스프링힌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2링크암부의 각각의 링크암이 반자동 회전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mounted to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ivot plate and the end of each link arm of the second link arm portion, both ends of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pivot through the center of each link arm of the second link arm portion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spring hinges respectively coupled to a pair of hook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each link arm of the second link arm portion is configured to semi-automatic rotation.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와 전면부의 경사면과, 상기 커버부의 중심부의 경사면 에 각각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agnet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respectivel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near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는 커버부(100), 본체부(300), 슬라이딩 힌지장치(200)로 이루어진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raight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본체부(300)에는 키패드(310)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본체부(300)는 전면부와 후면부에 단차가 형성된 계단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와 전면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후면부는 키패드(310)가 장착된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고, 전면부는 그 반대편을 가리키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5, the
커버부(100)에는 화면표시부(110)가 장착되며, 본체부(3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커버부(100)도 전면부와 후면부에 단차가 형성되며, 중심부와 후면부에는 본체부(300)의 중심부 및 전면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면부는 화면표시부(110)가 장착된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고, 후면부는 그 반대편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커버부(100)의 전면부는 본체부(300)의 후면부에 대응되고 커버부(100)의 후면부는 본체부(300)의 전면부에 대응된다. 이로써 커버부(100)와 본체부(300)는 그 형상이 대응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300)의 중심부와 전면부의 경사면과, 상기 커버부(100)의 중심부의 경사면에 각각 자석(400)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본체부(300)의 중심부와 전면부의 경사면에 장착된 자석(400)은 같은 극이며, 커버부(100)의 중심부의 경사면의 자석(400)은 다른 극으로 구성되어 단말기를 열고 닫을 때 본체부(300)와 커버부(100)를 고정하는 락(lock) 역할을 한다.The
슬라이딩 힌지장치(200)는 본체부(300)와 커버부(100)의 사이에 장착된다. The
단말기를 열 때 커버부(100)가 본체부(300)에 대해 직선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며, 커버부(100)가 직선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이후부터는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내려가면서 본체부(300)와 일자형 구조가 되도록 형성한다.When the terminal is opened, the
마찬가지로, 단말기를 닫을 경우는 열 때와 역으로 커버부(100)가 경사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되어 올라간 후, 커버부(100)가 본체부(300)에 대해 직선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Similarly, in the case of closing the terminal, the
도 2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portable terminal, Figure 3a is a plan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portable terminal, Figure 3b is a front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portable terminal, Figure 3c Figure 2 shows a side view of the sliding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terminal.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힌지장치(200)는 이동플레이트(210), 토션스프링(220), 센터플레이트(230),피벗플레이트(240), 제 1링크암부(250), 제 2링크암부(260), 링크봉(270), 스프링힌지(28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이동플레이트(210)는 커버부(100)에 고정되며 양단에는 단말기의 길이 방향 으로 가이드리브(211)가 형성되고, 배면의 내측면에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고정돌기(212)가 형성된다.The moving
센터플레이트(230)는 가이드리브(211)가 삽입되어 직선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양단에는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ㄷ"자 형상의 가이드홈(231)이 형성되고 상면의 내측면에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고정돌기(232)가 형성된다. The
토션스프링(220)은 이동플레이트(21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할 때 이동플레이트(210)가 센터플레이트(230)의 일정 위치 이상으로 이동하게 되면 별도의 가압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탄성력에 의해 이동플레이트(210)는 진행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딩 되도록 작용하여 반자동 직선 슬라이딩이 되도록 한다. The
토션스프링(220)의 양단은 이동플레이트(210)와 센터플레이트(230)의 고정돌기(212, 232)에 각각 결합되며, 토션스프링(220)은 센터플레이트(230)에 대한 이동플레이트(210)의 슬라이딩 탄성력을 부여한다.Both ends of the
바람직하게는 토션스프링(220)이 복수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어 토션스프링(220)의 양단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해 주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다만, 토션스프링(2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피벗플레이트(240)는 본체부(300)의 중심부와 전면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힌지(280)의 한쪽 끝단이 연결되도록 상면 내측면에 한쌍의 걸이홈(24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제 1링크암부(250)는 이동플레이트(210)의 직선 슬라이딩시에 센터플레이트(230)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며, 센터플레이트(230)가 회전하도록 센터플레이트(230)의 전면부 측단과 피벗플레이트(240)의 전면부 측단을 각각 연결하는 회전가능한 한쌍의 링크암으로 이루어진다.The
제 1링크암부(250)의 각각의 링크암은 링크암의 어느 한쪽 끝단과 센터플레이트(230)의 전면부 측단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90)와, 다른 한쪽 끝단과 피벗플레이트(240)의 전면부 측단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90)에 의해서 고정된다.Each link arm of the first
제 2링크암부(260)는 제 1링크암부(250)와 같은 작용을 하며, 센터플레이트(230)의 후면부 측단과 피벗플레이트(240)의 후면부 측단을 각각 연결하는 회전가능한 한쌍의 링크암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도 제 1링크암부(250)의 링크암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부재(290)에 의해서 고정된다.Each link arm of the second
링크봉(270)은 제 2링크암부(260)의 한쌍의 대칭되는 각각의 링크암의 중심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링크봉(270)과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의 결합은 링크봉(270)과 링크암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90)에 의해서 고정된다.The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290)는 고정핀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리 벳, 나사등 여러 가지로 변형가능하게 구성가능하다고 할 것이다.Preferably, the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에는 링크암이 반자동 회전을 되도록 스프링 힌지(280)를 더 장착할 수 있다.Each link arm of the second
스프링 힌지(280)는 피벗플레이트(240)의 후면부 측단과 상기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의 끝단을 관통한 체결부재(290)에 한쌍이 대칭되게 각각 장착된다.A pair of spring hinges 280 are symmetrically mounted to the
각각의 스프링 힌지(280)의 양단은 상기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의 중심을 관통한 체결부재(290)와 상기 피벗플레이트(240)의 한쌍의 걸이홈(241)에 각각 결합된다.Both ends of each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raight-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a 내지 4e 는 본 발명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4A to 4E show operation state dia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300)와 커버부(1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맞물리게 되고, 본체부(300)의 중심부의 경사면과 커버부(100)의 중심부의 경사면에 장착된 자석(400)이 서로 붙어서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부(300)와 커버부(100)의 사이에 슬라이딩 힌지장치(200)가 장착되어 있다.4A illustrates a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도 4b는 커버부(100)가 본체부(300)에 대해 슬라이딩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커버부(100)를 가압하여 단말기를 열 경우, 커버부(100)에 고정된 이동플레이트(210)의 가이드리브(211)는 제 1링크암부(250)과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센터플레이트(230)의 가이드홈(231)을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4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제 1링크암부(250)와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은 이동플레이트(210)의 직선 슬라이딩시에 센터플레이트(230)를 정지하도록 하여, 이동플레이트(210)에 고정된 커버부(10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Each of the link arms of the
도 4c는 커버부(100)가 본체부(300)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플레이트(210)의 가이드리브(211)가 링크암에 의해 정지된 센터플레이트(230)의 가이드홈(231)을 따라 최대로 슬라이딩 가능한 지점까지 슬라이딩이 된 상태이다. 상기 지점에서부터 커버부(100)는 경사면을 따라 경사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내려온다. 4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도 4a내지 4c의 과정에서 토션스프링(220)의 양단은 이동플레이트(210)와 센터플레이트(230)의 고정돌기(212, 232)에 각각 결합되며, 토션스프링(220)은 센터플레이트(230)에 대한 이동플레이트(210)의 슬라이딩 탄성력을 부여한다.4A to 4C, both ends of the
도 5a 내지 5c는 한쌍의 토션스프링에 의해 반자동 슬라이딩이 구동되는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5a to 5c show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n which semi-automatic sliding is driven by a pair of torsion springs.
도 5a는 도 4a와 대칭되는 지점에서, 이동플레이트(210)와 센터플레이트(230)의 배면의 투명사시도로서, 이동플레이트(210)를 가압하면 제 1토션스프링(221)과 제 2토션스프링(222)의 굴곡부는 탄성력이 축적되면서 이동플레이트(210)의 가이드리브(211)가 센터플레이트(230)의 가이드홈(231)을 따라 슬라이딩을 시작한다.5A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도 5b는 도 4b와 대칭되는 지점에서, 이동플레이트(210)와 센터플레이트(230)의 배면의 투명사시도로서, 제 1토션스프링(221)과 제 2토션스프링(222)이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대칭을 이루는 지점에서부터는 각 토션스프링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이동플레이트(210)는 자동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FIG. 5B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도 5c는 도 4c와 대칭되는 지점에서, 이동플레이트(210)와 센터플레이트(230)의 배면의 투명사시도로서, 이동플레이트(210)는 단말기의 길이가 허용되는 범위에서 타측 끝단으로 슬라이딩 된다.Figure 5c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moving
도 4d는 커버부(100)가 본체부(300)에 대해 경사면을 따라 경사면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슬라이딩 되는 것을 나타낸다.4D shows that the
제 1링크암부(250)와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에 의해 정지되어 있던 센터플레이트(230)는 각각의 링크암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플레이트(210)와 일체로 경사면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구성된다.The
이동플레이트(210)가 센터플레이트(230)와 일체되어 이동함에 따라 이동플레이트(210)가 고정되는 커버부(100)의 경사면은 본체부(300)이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데, 더 상세하게는 커버부(100)의 중심부의 경사면은 본체부(300)의 전면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커버부(100)의 후면부의 경사면은 본체부(300)의 중심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As the moving
도 4e는 커버부(100)가 경사면을 따라 내려와서 본체부(300)와 일자형 구조로 형성된 상태이다.4E is a state in which the
제 1링크암부(250)와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은 링크암의 길이방향이 단말기의 길이방향과 거의 일치될 때까지 회전하며, 본체부(300)의 전면부의 경사면의 자석(400)과 커버부(100)의 중심부의 경사면의 자석(400)이 서로 붙어서 고정하게 된다.Each link arm of the
도 6a 내지 6b는 스프링 힌지에 의해 반자동으로 회전되는 제 2링크암부의 링크암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6a to 6b show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link arm of the second link arm portion that is rotated semi-automatically by a spring hinge.
도 6a는 도 4d와 대칭되는 지점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힌지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상기 상태에서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에 장착된 스프링 힌지(280)의 상태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내고 있다.FIG.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liding
커버부(100)는 링크암이 회전함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내려올 때, 피벗플레이트(240)의 후면부 측단과 연결되는 제 2링크암부(260)의 링크암 의 끝단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90)에 장착된 스프링힌지(280)는 체결부재(290)를 중심축으로 하여 링크암의 회전방향으로 태엽처럼 감기면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When the
도 6b는 도 4e에 대칭되는 지점으로 슬라이딩 힌지장치의 링크암이 회전을 완료하여 커버부(100)와 본체부(300)가 일자형 구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상기 상태에서 제 2링크암부(260)의 각각의 링크암에 장착된 스프링 힌지(280)의 상태를 부분 확대도로 나타내고 있다.6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arm of the sliding hinge device is rotated to a point symmetrical to FIG. 4E and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태에서는 스프링힌지(280)가 가장 팽창되어 체결부재(290)에 장착되어, 스프링힌지(280)는 탄성력을 최대로 보유하게 되고, 커버부(100)와 본체부(300)가 자석(400)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As shown, the
단말기를 닫는 때의 작동은 이상에서 주로 설명한 본 발명의 단말기를 열 때의 작동과 역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동상 특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operation when closing the terminal is the reverse of the operation when opening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operational singularity is described below.
단말기를 닫기 위해 커버부(100)에 힘을 가압할 때, 즉 도 5b에서 5a의 상태로 되는 과정에서 이동플레이트(210)와 센터플레이트(230)의 후단부는 함께 링크봉(270)과 접하여 링크봉(270)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링크봉(270)과 연결된 링크암이 회전되면서 커버부(100)는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올라가게 된다.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즉, 링크봉(270)은 이동플레이트(210)와 센터플레이트(230)로부터의 가압된 힘을 전달받아 링크암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매개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단말기를 닫기 위해서, 커버부(100)를 들어올리지 않고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 단지 가압하더라도 커버부(100)는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도 5b에서 5a의 상태로 되는 과정에서는 커버부(100)와 본체부(300) 사이의 자력이 소멸되고, 감겨져 있던 스프링힌지(280)의 탄성력이 링크암에 가해지면서, 커버부(100)를 일정거리만을 가압하게 되면 반자동으로 링크암이 회전되어 커버부(100)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올라가게 된다. In FIG. 5B,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즉, 팽창되어 있던 스프링힌지(280)가 이완되면서 작용하는 탄성력과, 커버부(100)와 본체부(300)를 고정하는 결합력의 소멸로 인해 링크암이 반자동으로 회전하는 것이다.That is, the link arm rotates semi-automatically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elastic force acting while the expanded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near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오픈 하는 경우에 커버부와 본체부가 일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기존 슬라이드 폰이 가지고 있던 커버부와 본체부와의 단차면이 없어져 최대로 슬림(slim)화된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case of opening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e cover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re formed in a straight structure, so that the step surface between the cover part and the main body part of the existing slide phone is eliminated, thereby realizing a slimmer portable terminal. It is effective.
둘째, 링크암과 스프링힌지와 토션스프링등이 장착된 슬라이딩 힌지장치에 의해서 전구간에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sliding arm is equipped with a link arm, a spring hinge, a torsion spring, etc., thereby semi-automatically sliding in all sections.
셋째, 커버부와 본체부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면서, 경사면에 자석을 장착하여 정지위치에서 락킹수단으로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cove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sliding is smooth, and the magnet is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to provide the coupling force as the locking means in the stop position.
넷째, 일자형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통화시에 단말기를 잡기가 용이하고, 본체부와 통화자의 입까지의 거리를 좁힐 수가 있어 통화음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it is easy to hold the terminal at the time of the call by the straight portable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outh of the caller can be narrowed, thereby improving the call sound qualit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2881A KR100778530B1 (en) | 2006-07-05 | 2006-07-05 |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2881A KR100778530B1 (en) | 2006-07-05 | 2006-07-05 |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8231U Division KR200426888Y1 (en) | 2006-07-05 | 2006-07-05 |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8530B1 true KR100778530B1 (en) | 2007-11-22 |
Family
ID=3908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2881A KR100778530B1 (en) | 2006-07-05 | 2006-07-05 |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853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28612A1 (en) * | 2008-04-16 | 2009-10-22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Slide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device with sliding cover |
WO2009131326A2 (en) * | 2008-04-22 | 2009-10-29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Sliding device and mobile sliding information-technology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
EP2290917A1 (en) | 2009-08-26 | 2011-03-02 | HTC Corporatio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KR101045544B1 (en) | 2009-07-10 | 2011-06-30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1086720B1 (en) * | 2009-06-25 | 2011-11-2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442B1 (en) | 2005-12-12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lide typ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
-
2006
- 2006-07-05 KR KR1020060062881A patent/KR10077853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442B1 (en) | 2005-12-12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lide typ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28612A1 (en) * | 2008-04-16 | 2009-10-22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Slide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device with sliding cover |
KR100981116B1 (en) | 2008-04-16 | 2010-09-08 |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 Slid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sliding cover |
WO2009131326A2 (en) * | 2008-04-22 | 2009-10-29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Sliding device and mobile sliding information-technology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
WO2009131326A3 (en) * | 2008-04-22 | 2010-01-21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Sliding device and mobile sliding information-technology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
KR101086720B1 (en) * | 2009-06-25 | 2011-11-2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1045544B1 (en) | 2009-07-10 | 2011-06-30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EP2290917A1 (en) | 2009-08-26 | 2011-03-02 | HTC Corporatio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US8903461B2 (en) | 2009-08-26 | 2014-12-02 | Htc Corporatio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5862B1 (en) | Sliding-type portable phone | |
US7184806B2 (en) |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KR100689410B1 (en) |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100778530B1 (en) |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 |
EP1921830A1 (en) | Push rod an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0735304B1 (en) | Sliding device for mobile phone | |
KR100689433B1 (en) |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unit thereof | |
KR100451800B1 (en) | Mobile station with drawer type cover | |
KR200426888Y1 (en) | A linear type mobile terminal | |
KR100533038B1 (en) |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200425749Y1 (en) | a slide type cellular phone | |
KR100524515B1 (en) |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KR100899741B1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725947B1 (en) | Slide/hinge apparatus of portable unit | |
KR200326417Y1 (en) | Sliding means of mobile phone of slide type | |
KR200384472Y1 (en) | Curved line slide type mobile phone | |
KR200326418Y1 (en) | Sliding means of mobile phone of slide type | |
KR100575759B1 (en) |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100966554B1 (en) | Mobile phone for slide type | |
KR200359903Y1 (en) | Slide assembly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 |
KR20060019202A (en) |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089336B1 (en) | Sliding Module installed in the Cellphone | |
KR101038930B1 (en) | Slide type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389766Y1 (en) | Apparatur for operating bodies of a slide type cellular phone | |
KR200388393Y1 (en) | Sliding assembly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