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75183B1 -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183B1
KR100775183B1 KR20060063619A KR20060063619A KR100775183B1 KR 100775183 B1 KR100775183 B1 KR 100775183B1 KR 20060063619 A KR20060063619 A KR 20060063619A KR 20060063619 A KR20060063619 A KR 20060063619A KR 100775183 B1 KR100775183 B1 KR 10077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air
wastewater treatment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6006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열
Original Assignee
서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열 filed Critical 서종열
Priority to KR2006006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1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5Fluidized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4Granula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발포합성수지인 스치로폴을 시멘트,모래,물을 혼합하여 만든 경량콘크리트 단열재를 파쇄하고 표면을 용융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미생물 담체를 만들어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고 처리장치의 시설과 기계장치의 최소화와 완전 밀폐식으로 악취발생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처리장치의 구성은 폐수처리장치 외부에 유입수 및 밸브(2), 공기압축기(1), 역세정공기배출밸브(8), 악취제거기부착 공기배출밸브(16), 반송슬러관(4), 유출수 및 밸브(17)가 구비되고 내부처리조구조는 1차침전조 및 밸브(5),1차산기폭기조(6), 1차살수여상반응조(7), 2차산기폭기조(10) 2차살수여상반응조(12), 최종침전조(15)로 이루어져 압축공기와 유입수가 폐수처리장치를 통과하면서 최종처리되는 통합 오폐수처리조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507237117-pat00005
폐수처리, 생물막, 폐발포스치로폴, 역세정, 담체, 미생물, 환경

Description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WASTE STYRENE FOAM USE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A)부분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압축기 2: 유입수 및 밸브 3: 공기주입구 4: 반송슬러지관 5: 1차침전조
6: 1차산기폭기조 7: 1차살수여상반응조 8: 역세정 공기배출밸브 9: 1차분배기 10: 2차산기폭기조 11: 2차다공성산기관 12: 2차살수여상반응조 13: 공기배기관입구 14: 부상담체격리막B 15: 최종침전조 16: 악취제거기부착 공기배출밸브 17:유출수 및 밸브 18: 1차다공성산기관 19: 반송슬러지밸브 20A: 하단부 침전수수위표시 20B: 상단부 폐수처리장치수위표시 21: 반부상담체입자 22: 2차분배기 23: 반부상담체격리막 24: 수류이동방향 25: 공기펌프탱크 26: 처리수유출반향 27: 합성수지격자 28: 부직포 29: 소성점토블럭 30: 분배기용 부상담체
일반적으로, 폐수처리방법에는 활성슬러지법, 살수여상법과 그리고 접촉산화법 등이 있는데, 살수여상법은 1차침전지의 유출수를 미생물의 성장을 돕는 쇄석이나 프라스틱 여재등에 폐수가 위로 뿌려지는 유기물과 접촉시키는 고정상법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이다. 살수여상의 장점은 유기물의 부하변동에 적응력이 높고 폭기시설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설비와 유지비가 절약되고 슬러지 반송장치가 불필요하며 슬러지 벌킹이 발생하지 않고 시설의 가동이 간편하나 악취발생을 차단하기 어려우며 파리의 서식처가 되고 여재의 폐쇄현상이 발생되기 쉬우며 여재의 양이 많으면 중량의 의하여 장치의 구조가 불안정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활성슬러지법은 포기조에서 공기에 의한 폐수를 포기하여 용존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하여 섭취되거나 분해된 유기물과 증식된 미생물이 침전지에서 침전되는데 이것을 슬러지라 한다. 이러한 슬러지에 일부는 포기조에 반송되며 나머지 슬러지는 인출장치와 탈수공정을 거처 퇴비화하거나 소각과 매립하는 방법으로 최종폐슬러지를 처리하고 있다. 활성슬러지법은 처리 효율이 좋아 현재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주요공정으로는 재래식 프러그 흐름, 완전혼합, 점감포기, 단계주입기포기, 수정포기, 접촉안정식등 여러 가지 포기방법이 있으나 소규모의 폐수처리에 적용시켰을 때 부하변동에 약하고 슬러지와 공기량의 조정에 전문적인 관리를 필요 하며 콤프레셔와 포기장치의 가동으로 에너지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폐슬러지와 벌킹 등의 문제점 등이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살수여상법과 활성슬러지법의 처리효율등의 장점을 살린 접촉산화법이 있는데 이것은 고정상식 활성슬러지법이라고 하며 회전원판법이나 살수여상법 등과 같이 생물막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인데 접촉 여재표면에 생성된 생물막을 폐수로 접촉시키면서 동시에 포기를 함으로써 폐수중의 증식된 미생물과 유기물 분해물을 제거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포기조내에 균일한 포기가 어렵고 부하변동 적응력이 낮아 많은 양의 폐수유입으로 접촉재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폐스치로폴로 만든 미생물담체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통합 폐수처리장치로써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고자 버려지는 폐스치로폴 등의 가벼운 비중의 특성으로 수중에서 물의 비중과 비슷한 0.8~1.2의 비중으로 반부상하는 담체를 이용하여 현실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침전법, 여과법, 활성슬러지법, 살수여상법 그리고 접촉산화법 등의 방법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구조물의 시설과 기계장치의 최소화와 완전 밀폐식으로 악취의 발생을 저감하고 운전비용의 저감과 반영구적인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인의 특허등록 제0499914호(폐스치로폴, 폐경질우레탄폼을 이용한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단열재)에 또 다른 수단과 방법을 추가하여 반부상 유동상 미생물담체를 만들 수 있다. 그것의 제조방법은 폐스치로폴을 20mm~35mm로 파쇄하여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섬유 보강제와 시멘트방수제를 첨가하고 시멘트, 모래, 물을 3:2:1의 비율로 홉합물을 만들어 파쇄된 스치로폴체적의 25%로 시멘트 혼합물을 회전드럽에 넣어 2~3분간 겔상태 즉 반 액체상태로 만들어 몰드에 넣고 125㎢의 진동 압축으로 압축고정하여 콘크리트 고유의 수화,응결작용을 거처 양생단계에 이르러 파쇄하여 큰자갈과 작은 자갈의 크기로 만든후 파쇄된 표면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그 표면에 접착제와 활성탄입자를 코팅하여 표면적이 넓은 반부상 유동상 미생물담체를 만드는 방법이며 여기서 모래는 쇄석 모래 또는 폐콘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접착제로는 스티로폴 본트, 실란트, 에폭시,폴리우레탄 등의 접착제중 선택하고 활성탄입자는 1.5mm~2.5mm로 하고 활성탄입자 또는 나무,갈대를 태운 숯과 톱밥등 미생물이 흡착할 수 있는 여재로 사용하는데 접착제와 활성탄입자를 혼합하여 접착하여 건조시켜 만드는 방법과 상기 미생물담체의 표면에 미리 접착제를 도포 한 후 활성탄입자 또는 상기여재 등을 분산하거나 접촉시켜 접착시키후 상온이나 고온에서 건조시켜 코팅하는 방법으로 미생물담체를 만드는데 최종비중은 0.8~1.2의 비중이 되어 물보다 가벼운 반부상 담체가 된다. 0.8~1.2의 비중은 시멘트혼합물과 폐스치로폴비드의 체적의 25%로 압축했을 때 무게로 1㎥에 650~850㎏으로 물에 뜨는 구조물이 되며 이것을 파쇄하여 가열 용융후 코팅처리 하면 반부상담체가 된다.
이러한 반부상 유동상 미생물담체는 압축강도가 1㎠당 50~74㎏정도로 강도가 높아 강한 공기의 폭기작용과 유속에 의해 담체끼리 충돌하여 파손 되거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율이 높은 여재가 되는 것으로 폐스치로폴 등의 가벼운 비중의 특성을 이용하고 콘크리트의 강한 압축강도를 결합하여 반영구적인 폐수처리장치에서 사용하는 반유동상 부상담체가 된다. 이러한 담체의 사용처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미생물 담체와 그것을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에 있어서 처리장치의 구성은 폐수처리장치 외부에 유입수 및 밸브(2), 공기압축기(1), 역세정공기배출밸브(8), 악취제거기부착 공기배출밸브(16), 반송슬러관(4),유출수 및 밸브(17)가 구비되고 내부처리조구조는 1차침전조 및 밸브(5),1차산기폭기조(6), 1차살수여상반응조(7), 2차산기포조(10) 2차살수여상반응조(12), 최종침전조(15)로 이루어진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부 처리구조물 중 상기와 같이 제조한 미생물담체를 1차산기폭기조(6), 2차산기포조(10)에는 45~60%, 1차살수여상반응조(7), 2차산기포조(10)에는 70~85%까지 우고 공기를 가압하여 각각의 반응조가 별도의 기계장치 없이 공기압과 밸브의 개폐조작으로 운전되어 폐수가 최종처리되는 통합 오폐수처리조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발포합성수지를 담체로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발포합성수지를 담체로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발포합성수지를 담체로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나타내는 (A)부분의 상세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는 유입수가 유입수 및 밸브(2)를 거쳐 들어오면 공기압축기(1)에 의해서 1차산기폭기조(6)의 하단부를 통해 유입되고 압축공기는 1차다공성산기관(18)을 통해 1차산기폭기조(6)내부의 반부상담채입자(21)에 접촉폭기된다. 1차산기폭기조(6)를 거친 유입수는 1차살수여상반응조(7)의 상단부에 1차분배기(9)를 통해 유입수는 자연낙하로 반부상담체입자에 고르게 살수된다.
한편 압축공기는 1차살수여상반응조(7)상단부에서 2차산기폭조(10)하단에 2차다공성산기관(11)의 입구까지 유입수를 밀어 내리면 1차살수여상반응조 내부의 공기가 가압되고 산소량이 증가되어 미생물의 반응이 용이하게 된다.
2차산기폭조(10)하단부의 2차다공성산기관(11)을 통해 들어온 유입수와 압축공기는 1차산기폭기조(6) 하단부1차다공성산기관(18)을 통해 들어온 유입수와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처리되는 과정과 같이 2차산기포조(10) 2차살수여상반응조(12), 최종침전조(15)를 거치면서 2차 반응을 한다.
최종침전조(15)까지 도달한 유입수는 최종침전되어 유출수 및 밸브(17)을 통해 방류되고 압축공기는 2차살수여상반응조(12)의 하단부에 있는 공기배기관(13) 입구까지 유입수를 밀어내려 악취제거기부착 공기배출기(16)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처리과정을 내부에 추가하거나 병렬로 설치하여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과정에서 공기는 처리수를 밀어 내리는 압력이 걸려 각 처리조내에서 산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폭기조의 공기는
물속에서 공기방울에 의한 산소공급은 5%밖에 이용되지 못하고 낭비되는 비효율적인 방법이나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는 콤프레셔의 효율적인 가동으로 에너지가 절약되며 밀폐된 처리조의 특성으로 악취 등이 처리과정을 거치면서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반부상담체는 자갈이나 쇄석의 무게보다 30%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양을 적층하여 처리조를 만들더라도 무게를 견딜 수 있고 자갈이나 쇄석보다 70~120%까지 표면적이 더 많기 때문에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값이 저렴하고 흔한 스치로폴과 시멘트를 이용하므로 대량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부상체는 스치로폴과 적은량의 시멘트로 미생물의 생장에 독성의 영향이 없으며 용융된 코팅막과 제조할 때 시멘트방수제의 의해서 반부상체의 화학적인 시멘트의 부식이 없어 반영구적인 담체가 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서 코팅된 활성탄등이 표면적을 더욱 높여 미생물의 부착이 용이하고 증가하여 처리효율이 높아지며 다량의 미생물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폐수의 공급에 양이 적어지거나 장시간 공기주입이 중지하더라도 부착된 미생물이 분해와 재합성 등 미생물의 자기소화작용이 일어나 결국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어 없어지므로 약품이나 물리적 작용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종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중 접착제에 코팅된 활성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자의 특허 제0199914호에 제시된 경량콘크리트단열재를 자갈크기로 파쇄하여 표면을 용융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한편 압축공기의 주입을 주기적으로 공급하지 않거나 공기펌프의 고장 등으로 중
단 될 시에도 자연수압의 의해 1차살수여상반응조(7)와 2차살수여상반응조(12)가 상단부 폐수처리장치수위표시(20B)까지 유입수가 차게되어 혐기성반응조로 바뀔 수 있어 1차살수여상반응조(7)와 2차살수여상반응조(12)의 호기성 생활환경에서 과잉증식한 미생물의 탈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어 공기압축기의 가동을 중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한다.
압축공기의 물리적인 작용이 처리조내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살펴보면 공기의 양은 전체 처리조의 산소공급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량을 조절하여 공급하여야 하며 장기적인 운전으로 부유물질이 축적이 과하여 허용 손실수두에 이르면 역세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장치에서는 주기적으로 역세정 공기배출밸브(8)를 열어 폐수처리장치 내부에 압축된 공기를 외부로 급격히 방출하면 1차살수여상반응조(7), 2차산기폭기조(10), 2차살수여상반응조(12),최종침전조(15)가 압축된 공기가 강하게 배출하면서 유동상담체와 공기 및 폐수가 강하게 요동하므로 역세정을 시킬 수 있어 복잡한 설비가 생략되어 장치의 고장이나 사후 관리가 편리하게 되므로 공기배출밸브(8)의 개폐와 횟수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유입수의 증감에 따라 주기적으로 역세정을 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역세정을 해야하는 방법과 이유는 생략하기로 한다.
압축공기의 물리적인 작용이 일반적인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보면 활성슬러지 반응조의 역할은 호기성 미생물이 부유상태로 유지되는 반응조로 유기폐수가 유입되면서 폭기하게 되는데 포기식에는 산기식과 기계식이 있다.
종래 활성슬러지 공법에는 포기가 마친 처리수는 침전지에서 처리수와 미생물이 분리되고 일부 미생물은 반송되어 농도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하며 나머지는 폐기되 는 것이 일반적인 공법이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공기가 처리수를 밀어 내린 1차살수여상반응조(7), 2차살수여상반응조(12)의 특징적인 작동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위한 영양소인 무기,유기물을 처리저내로 연속적으로 운전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1차산기포기조(6)를 통과한 유입수는 1차살수여상반응조(7)의 상단부에 설치된 1차분배기(9)를 도달하게 된다. 1차살수여상반응조(7)의 상단부의 도3의 (A)부분의 상세도와 같이 2차산기폭기조(10)에서 분배기로 압축공기와 처리수가 합성수지격자(26) 위에 부직포(28) 등으로 덮여 있는 1차분배기(9)에서 처리수유입방향(25)을 통과하여 처리수 유출방향(26)으로 균일하게 살수되는 장치이다.
상기 처리조의 역할은 이곳을 통과한 유입수가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고 시설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유입수의 농도의 변화가 크더라도 많은 양의 반부상 담체에 특성으로 일정한 유출수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반응조이다. 이 반응조의 특징들은 여재의 물리적 성질이 콘크리트와 프라스틱의 결합으로 수리학적 부하량이 0.16~0.46 gal/ft²ㆍd 이고 BOD loading,은 60~120 lb/10³ft³ㆍd이다.
여재에 깊이는 강도에 의해서 15~40ft²(4.5m~12m)로 높고 반송비는1-4, 여상의 파리는 전혀 없으며 반부상담채는 연속적으로 탈리 되는 구조로 구성되었고 BOD  제거효율은 85~95%로 높고 유출수의 질소와 인을 양호하게 폐수를 고도처리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처리조를 통과한 공기의 성분은 흡수되고 남은 산소 외에 거의 대부분 질소, 메탄, 이산화탄소가 대부분으로 심한 악취는 생물학적 방법인 1차살수여상반응조(7)와 2차살수여상반응조(12)에서 거의 대부분 처리되며 악취가 탈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기로 방출된다.
1차살수여상반응조(7)와 2차살수여상반응조(12)에서 미세 플러그와 탁도 물질을 최종적으로 제거하고 최종침전조(15)에서 침전후 소독 처리하여 방류한다.
각각의 폐수처리조의 온도환경은 공정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데 설계온도가 적절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미생물의 활동이 동절기에 저온에서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대안으로 공정내에 유기물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덮는 방법으로 온도을 유지시키는 방법이 있고 고온의 특정폐수와 하절기의 폐수에서는 유기물의 공급을 줄이고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적온으로 유지한다.
본 처리공정에서 별도의 고도처리를 설치하지 않고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거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약품주입이나 석회의 투입이 필요 없는 간단한 공정으로 질소와 인의 제거에 효과를 나타내어 처리비용의 절감과 운전 및 관리상의 문제점이 감소한다.
기존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의 혼합제거의 공정을 보면 반응조에 폐수를 체운 후 혐기성교반과 호기성교반을 한 후 무산소교반을 한 다음 침전하여 배출하는 연속회분식 반응조SBR(Seqencing Bactch Reactor)등 여러 가지 반응 공정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혐기성교반에서 탄소, 질소, 인등을 용출하고 호기성교반에서 탄소, 질소, 인등이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 졌는데 반응시간에 따라 질소등의 탈질화가 잘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질소와 인의 제거는 반복적인 혐기성과 호기성으로 장시간에 거쳐 처리해야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처리공정에서 반복적인 처리 공정이 이루어지 는데 간단하면서도 각 반응조의 효과적인 이용으로 표면적이 큰 반부상담체로 기존의 폐수처리장치에 비해 경량성이므로 많은 양을 사용하여 폐수를 고도처리 하여 최종적으로 공기압이 없는 자연대기압에 배출한다.
반송슬러지의 반송방법은 1차살수여상과(7)과 2차산기폭기조(10)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공기펌프탱그(25)로 보내는데 그 방법은 악취제거가 부착된 공기배출밸브(16)와 유출구의 밸브를 닫고 반송슬러지밸브(19)와 공기주입구(3)를 열면 상기처리조의 하단부의 슬러지가 압축공기의 최종배출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간단하게 유입수 탱크에 반송시킬 수 있는데 슬러지양의 증감에 따라 반송슬러지밸브(19)와 공기주입구(3)의 개폐조작을 자동화로 설정하여 운전할 수 있다.
또 다른 반송방법은 반송방법은 1차살수여상과(7)과 2차산기폭기조(10)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공기탱크펌프(25))로 보내는데 반송슬러지밸브(19)와 공기주입구(3)를 열면 상기처리조의 하단부의 슬러지를 포함한 유입수가 압축공기의 힘으로 간단하게 유입수 탱크에 반송시킬 수 있다.
상기 반송조작을 함에 있어서 일차침전조밸브(5)는 1차다공성산기관으로 들오 공기압의 의해서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데 유입수 및 밸브(2)도 함께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폐슬러지는 2차살수여상반응조(12), 최종침전조(15)의 하단부에 적채되면 외부 반출을 통해 최종폐슬러지를 처리하는데 적채된 슬러지는 1차침전조밸브(5),1차산기폭기조(6), 1차살수여상반응조(7), 2차산기포조(10)에서 침전되거나 활성화된 슬러지보다 미생물의 의해서 분해율이 높으므로 반송슬러지로 처리하는 것보다 폐슬 러지를 처리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통합 폐수장치로써 오폐수의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고자 버려지는 폐스치로폴 등의 가벼운 비중의 특성을 이용하고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침전법, 여과법, 활성스러지법, 살수여상법, 그리고 접촉산화법, 처리수 소독법 등의 폐수처리 방법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내부구조물의 기계장치의 최소화와 함께 완전 밀폐식으로 악취발생을 최소화하고 운전비용의 저감과 반영구적인 폐수처리 장치로 오폐수처리의 안정화와 경제성으로 산업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 제0499914호 (폐스치로폴, 폐경질우레탄폼을 이용한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단열재)인 다용도 단열재를 파쇄, 용융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미생물 담체를 만들어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고 처리장치의 시설과 기계장치의 최소화와 완전 밀폐식으로 악취발생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7)

  1.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압축공기와 유입수가 밸브작동으로 펌프역할을 하는 공기펌프탱크와, 압축된 유입수와 공기가 공기펌프탱크하단부를 거처 산기하는 1차산기폭기조와, 상기 1차산기폭기조에 압축된 유입수와 공기가 상단부에 분배기가 설치어 분배되는 1차살수여상반응조와, 상기 1차살수여
    상반응조 압축된 유입수와 공기가 하단부를 거처 산기하는 2차산기폭기조와, 상기 2차산기폭기조에 압축된 유입수와 공기가 상단부에 분배기가 설치어 분배되는 2차살수여상반응조와, 상기 2차살수여상반응조에 압축된 공기는 하단부에 설치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방출되고 유입수는 상단부에 유출구가 구비된 최종침전조에서 자연대기압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미생물담체가 45~60% 채워진 1차산기폭기조 및 2차산기폭기조하단부에 가압된 용존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다공성산기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미생물담체가 70~85% 채워진 1차살수여상반응조 및 2차살수여상반응조상단부에 분배기를 설치하여 압축공기가 유입수를 밀어 내린 공간에 살수 되어 호기성 미생물성장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4. 제1항의 있어서 2차산기폭기조의 하단부에 반송슬러지관을 설치하여 1차살수여상과 2차산기폭기조에 침전된 슬러지와 유입수를 공기펌프탱크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5.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압축공기와 유입수가 밸브작 동으로 펌프역할을 하여 압축된 유입수와 공기가 공기펌프탱크하단부를 거처 1차산기폭기조에 산기하는 단계와, 상기 1차산기폭기조에서 압축된 공기와 유입수가 상
    단부에 분배기가 설치 된 1차살수여상반응조에서 살수되어 압축공기가 유입수를 밀어 내린 공간에 살수되어 호기성 미생물성장환경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1차살수여상반응조하단부를 거처 2차산기폭기조에 산기하는 단계와, 상기 2차산기폭기조에서 압축된 공기와 유입수가 상단부에 분배기가 설치 된 2차살수여상반응조에서 살수되어 압축공기가 유입수를 밀어 내린 공간에 살수 되어 재차 호기성 미생물성장환경을 만드는 단계와, 2차살수여상반응조에 압축된 공기는 하단부에 설치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방출되고 유입수는 상단부에 유출구가 구비된 최종침전조에서 자연대기압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1차산기폭기조 및 2차산기폭기조에 반부상미생물담체가 45~60%, 1차살수여상반응조 및 2차살수여반응조에는 70~85% 채워 가압 된 공기압과 유입수로 혐기성미생물, 호기성미생물이 성장환경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반부상미생물담체는 폐발포합성수지를 파쇄한 입자는 20mm~35mm이고 최종 비중이 0.8~1.2의 비중, 무게가 1㎥에 650~850㎏, 최종 압축강도가 1㎠당 50~74㎏인 반부상 유동상 미생물담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방법.
KR20060063619A 2006-07-06 2006-07-06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3619A KR100775183B1 (ko) 2006-07-06 2006-07-06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3619A KR100775183B1 (ko) 2006-07-06 2006-07-06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183B1 true KR100775183B1 (ko) 2007-11-12

Family

ID=3906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636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183B1 (ko) 2006-07-06 2006-07-06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18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2252A (zh) * 2010-09-16 2011-02-02 天津市农业资源与环境研究所 局部循环供氧生物膜反应装置
KR101186606B1 (ko) 2011-06-13 2012-09-27 (주)지지산업 하수 및 오/폐수의 질소 와 인을 복합적으로 제거하는 고도처리장치
KR101204395B1 (ko) 2011-05-16 2012-11-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의 처리장치
KR101231734B1 (ko) 2012-06-18 2013-02-15 김남순 재활용 자연 순환 하수처리 장치
CN110054281A (zh) * 2019-05-22 2019-07-26 沈阳环境科学研究院 一种分段填料式好氧生物反应池
KR102153224B1 (ko) * 2019-06-26 2020-09-21 (주)천마기술단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59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60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61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62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CN117066261A (zh) * 2023-09-11 2023-11-17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一种石油污染土壤再生修复装置和修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136A (ko) * 2002-01-31 2003-08-06 네오바이오다임 주식회사 미생물 담체 유동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0520848B1 (ko) 2004-02-10 2005-10-12 고천일 지방성분 함유 폐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136A (ko) * 2002-01-31 2003-08-06 네오바이오다임 주식회사 미생물 담체 유동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0520848B1 (ko) 2004-02-10 2005-10-12 고천일 지방성분 함유 폐수 처리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2252A (zh) * 2010-09-16 2011-02-02 天津市农业资源与环境研究所 局部循环供氧生物膜反应装置
CN101962252B (zh) * 2010-09-16 2012-07-11 天津市农业资源与环境研究所 局部循环供氧生物膜反应装置
KR101204395B1 (ko) 2011-05-16 2012-11-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의 처리장치
KR101186606B1 (ko) 2011-06-13 2012-09-27 (주)지지산업 하수 및 오/폐수의 질소 와 인을 복합적으로 제거하는 고도처리장치
KR101231734B1 (ko) 2012-06-18 2013-02-15 김남순 재활용 자연 순환 하수처리 장치
CN110054281A (zh) * 2019-05-22 2019-07-26 沈阳环境科学研究院 一种分段填料式好氧生物反应池
KR20210002060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59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153224B1 (ko) * 2019-06-26 2020-09-21 (주)천마기술단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61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62A (ko) * 2019-06-26 2021-01-06 (주)천마기술단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54522B1 (ko) 2019-06-26 2022-01-21 (주)천마기술단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6B1 (ko) 2019-06-26 2022-05-13 (주)천마기술단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3B1 (ko) 2019-06-26 2022-05-13 (주)천마기술단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19B1 (ko) 2019-06-26 2022-05-13 (주)천마기술단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CN117066261A (zh) * 2023-09-11 2023-11-17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一种石油污染土壤再生修复装置和修复方法
CN117066261B (zh) * 2023-09-11 2024-03-15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一种石油污染土壤再生修复装置和修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183B1 (ko)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US4182675A (en) Waste treatment process
US4009099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moving ammonia nitrogen from waste water
CN111807607A (zh) 一种具备固液分离的污水处理装置及其分离方法
CN101367595B (zh) 污水生物过滤处理和回用设备及其方法
KR100827641B1 (ko) 미세다공판을 설치한 접촉산화조
CN102219336A (zh) 综合污水处理设备
KR100839891B1 (ko) 질산성 질소가 포함된 강변 여과수의 처리장치
CN102180567B (zh) 一种自生动态膜生物反应污水处理装置
KR102095469B1 (ko) 생물막여과기를 이용한 고도 수처리장치
KR100872863B1 (ko) 악취 제거와 여과 효율이 향상된 하수 및 오수 처리장치
RU19549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US5993659A (en) Method and plant for waste water treatment
CN103193360A (zh) 一种一体化脱氮除磷曝气生物滤池净水系统及净水方法
KR100460462B1 (ko) 습지여과지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JP4512576B2 (ja) 好気性微生物による排水処理方法
CN219136609U (zh) 一种臭氧火山岩曝气生物滤池
CN104495879B (zh) 一种集成式接触氧化/除磷脱氮-过滤分离生物反应器
CN101343115B (zh) 一种兼具增氧和反冲洗功能的无动力生物滤池净水系统
CZ291479B6 (cs) Způsob dvoustupňového čištění odpadních vod biologickou cestou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způsobu
KR101898183B1 (ko) 복합담체와 분사수류장치를 구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질소 제거 방법
RU242237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05443003U (zh) 一种新型污水处理装置
KR100904213B1 (ko) 질산성 질소를 포함한 강변 여과수의 처리장치
JP2022164901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