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66004B1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004B1
KR100766004B1 KR1020060000873A KR20060000873A KR100766004B1 KR 100766004 B1 KR100766004 B1 KR 100766004B1 KR 1020060000873 A KR1020060000873 A KR 1020060000873A KR 20060000873 A KR20060000873 A KR 20060000873A KR 100766004 B1 KR100766004 B1 KR 10076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hock absorber
rod guide
piston rod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214A (ko
Inventor
임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0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0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0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일부는 실린더에 삽입되고, 일부는 실린더의 외측으로 인출된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실린더에 삽입되고 피스톤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드 가이드와, 로드 가이드의 상측에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를 관통시키며 실린더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실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단부가 로드 가이드의 측면에 고정되는 패킹 캡을 포함하므로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부품을 생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쇽업소버, 로드 가이드, 실링부재, 오일실

Description

쇽업소버 {Shock absorber}
도 1a,1b는 종래의 쇽업소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실링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쇽업소버 110 : 실린더
111 : 내통 120 : 피스톤 로드
130 : 리바운드 스프링 140 : 피스톤 밸브
150 : 로드 가이드 151 : 관통홀
153 : 안착홈 155 : 걸림홈
160 : 실링부재 161 : 관통부
163 : 평판부 165 : 스프링부
167 : 안착부 170 : 패킹 캡
171 : 걸림돌기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시 임팩트 노이즈를 줄여주는 차량용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쇽업소버는 차체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현가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이룬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노면불규칙 등에 의한 차륜(바퀴)의 상하 방향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완화함으로써, 진동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쇽업소버는 승객의 승차감 향상, 적재화물의 보호 그리고, 차량의 각 부품을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위와 같은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며, 실린더는 현가 암 등을 통해 차륜 측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는 차체 측에 연결되며,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는 피스톤 밸브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쇽업소버는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 연속적으로 컴프레션 행정(Compression stroke)과 리바운드 행정(Rebound stroke)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노면에서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현가 장치는 크게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소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그 실린더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을 포함하되, 실린더는 현가암 등을 통해 차륜측에 연결되고, 피스톤은 피스톤 로드에 의해 차체측에 연결된다.
도 1a,1b에 도시된 쇽업소버는 심 웰딩형(Seam welding type)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쇽업소버(10)는 실린더(12)의 내부에 내통(17)이 설치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13)는 실린더(12)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실린더(12)의 일측에는 피스톤 로드(13)가 관통되어 실린더(12)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18)가 설치된다.
여기서, 쇽업소버는 실린더(12)에 주입되는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진다.
작동유체가 오일일 경우 도 1a를 참조하면, 로드 가이드(18)의 상측에는 실링부재(19)가 설치되고 오일이 주입된 후 패킹 캡(11)의 내측으로 실링부재(19)를 압입하고 패킹 캡(11)의 단부를 실린더(12)에 용접한다. 이때, 오일은 쇽업소버의 조립공정시 미리 주입되어도 무방하다.
반면, 작동유체가 가스일 경우 도1b를 참조하면, 로드 가이드(18)의 상측에는 패킹 캡(11)과 접촉되는 제1실링부재(21)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 제1실링부재(21)와 이격되게 탄성을 갖는 러버 재질의 제2실링부재(22)가 설치된다. 또한, 제2실링부재(22)의 하측에는 탄성부재(23)가 설치된다. 가스는 쇽업소버가 모두 조립된 후 패킹 캡(11)과 제1,2실링부재(21,22) 사이로 가스를 주입한다. 가스가 주입되면, 실린더(12)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어 탄성부재(23)가 밀려올라가 제2실링부재(22)를 가압하므로 실린더(12)는 실링된다. 이때, 패킹 캡(11)을 실린더(12)에 용접하여 실린더(12)를 밀봉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쇽업소버는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부품을 각각 생산해야하므로 생산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패킹 캡(11)을 압입하는 공정은 과도한 설비하중으로 실링부재(19)가 변형되어 실린더(12)의 실링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쇽업소버는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조립공정이 달라지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유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와, 일부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인출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드 가이드와, 상기 로드 가이드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를 관통시키며 상기 실린더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로드 가이드의 측면에 고정되는 패킹 캡을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도록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상측과 하측을 구분하도록 외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를 중심으로 상기 관통부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부 및 상기 평판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드 가이드와 접촉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쇽업소버를 제공한다.
상기 관통부와 상기 안착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을 갖는 재질은 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면에 상기 실링부재의 안착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 캡은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의 측면에 상기 패킹 캡의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패킹 캡의 걸림돌기가 상기 로드 가이드 측면의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실링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100)는 내부에 내통(113)이 삽입된 실린더(110)와, 일측이 실린더(110)의 내통(113)에 삽입되고, 타측이 실린더(110)의 외부로 인출된 피스톤 로드(120), 피스톤 로드(120)의 둘레에 감긴 리바운드 스프링(130) 그리고, 피스톤 로드(120)의 하단에 연결된 피스톤 밸브(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120)와 실린더(110) 사이에는 로드 가이드(150)가 설치된다. 로드 가이드(150)의 상측에는 피스톤 로드(120)를 관통시키며 실린더(110)와 피스톤 로드(12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160)가 설치된다.
실링부재(160)는 피스톤 로드(120)가 삽입되는 관통부(161)와 관통부(161)의 외면에 형성된 평판부(163)와 관통부(161)에 설치되는 스프링부(165) 그리고, 평판부(163)의 외면에 설치되는 안착부(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통부(161)는 평판부(163)의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관통부(161)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스프링부(165)가 설치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평판부(163)는 관통부(161)의 외면에 상측과 하측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부(167)는 상기 평판부(163)의 외면을 둘러싸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로드 가이드(150)에 안착된다.
이때, 관통부(161)와 안착부(167)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되어 실린더 (110) 내부를 실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재질은 우레탄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로드 가이드(150)는 피스톤 로드(120)를 관통시키는 관통홀(151)이 형성된다. 로드 가이드(150)의 하측은 내통(113)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드 가이드(150)는 상면에 안착부(16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부(167)와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드 가이드(150)는 패킹 캡(170)과 결합되도록 외측면에 걸림홈(155)이 형성된다.
이에, 패킹 캡(170)은 단부에 로드 가이드(150)의 걸림홈(155)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71)가 형성된다.
한편, 리바운드 스프링(130)은 실린더(110)에 삽입된 피스톤 로드(120)의 둘레에 설치된다. 리바운드 스프링(130)은 피스톤 로드(120)가 상하운동을 할 때 인장되거나 수축된다.
피스톤 밸브(140)는 내측 공간을 후술될 리바운드 스프링(130)이 설치된 측의 리바운드 챔버(RC)와 컴프레션 챔버(CC)로 구획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쇽업소버는(100)는 실린더(110)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120)의 일단을 삽입시킨다. 이때, 피스톤 로드(120)의 일단에는 피스톤 밸브(140)가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120)의 둘레에는 리바운드 스프링(130)이 설치된다.
다음, 작동유체가 오일일 경우에는 작동유체를 주입시킨 후 실린더(110)의 내통(113)에 로드 가이드(150)를 삽입시킨다.
다음, 실링부재(160)는 관통부(161)의 상측과 하측에 스프링부(165)가 설치된 상태로 안착부(167)가 로드 가이드(150)의 안착홈(153)에 안착되도록 설치한다.
그 후, 패킹 캡(170)은 상측에서 가압하여 패킹 캡(170)의 걸림돌기(171)를 로드 가이드(150)의 걸림홈(155)에 끼운다. 이때, 탄성 재질로 형성된 실링부재(160)의 관통부(161)와 안착부(167)가 가압되면서 로드 가이드(150)에 밀착되어 실린더(110)를 실링한다.
마지막으로 실린더(110)의 외통(111)은 패킹 캡(170)과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밀봉한다.
한편, 작동유체가 가스일 경우에는 실린더(110)의 내통(113)에 로드 가이드(150)와 실링부재(160) 그리고, 패킹 캡(170)를 설치한다. 이때, 패킹 캡(170)의 걸림돌기(171)는 로드 가이드(150)의 걸림홈(155)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를 주입한다. 그러면 가스는 각 부품재들 사이로 주입되고, 가스가 주입되어 내부 압력이 상승된 실린더(110)는 패킹 캡(170)을 가압하여 패킹 캡(170)의 걸림돌기(171)를 로드 가이드(150)의 걸림홈(155)에 강제로 삽입시킨다. 이에, 실링부재(160)는 패킹 캡(170)과 로드 가이드(150) 사이에 접촉되어 실린더(110)를 실링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상태에서 쇽업소버(100)는 컴프레션 행정과 리바운드 행정을 반복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쇽업소버는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부품을 생산하지 않아도 된다. 즉, 작동유체가 오일이 사용되거나 가스가 사용되어도 한가지 종류의 로드 가이드와 실링부재 그리고, 헤드 캡을 생산하면 되므로 생산효율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실린더;
    일부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인출된 피스톤 로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드 가이드;
    상기 로드 가이드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를 관통시키며 상기 실린더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로드 가이드의 측면에 고정되는 패킹 캡을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도록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상측과 하측을 구분하도록 외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부;
    상기 평판부를 중심으로 상기 관통부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부; 및
    상기 평판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드 가이드와 접촉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 캡은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의 측면에 상기 패킹 캡의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패킹 캡의 걸림돌기가 상기 로드 가이드 측면의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안착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을 갖는 재질은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면에 상기 실링부재의 안착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5. 삭제
KR1020060000873A 2006-01-04 2006-01-04 쇽업소버 Expired - Fee Related KR10076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873A KR100766004B1 (ko) 2006-01-04 2006-01-04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873A KR100766004B1 (ko) 2006-01-04 2006-01-04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214A KR20070073214A (ko) 2007-07-10
KR100766004B1 true KR100766004B1 (ko) 2007-10-10

Family

ID=3850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8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6004B1 (ko) 2006-01-04 2006-01-04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307B1 (ko) * 2015-04-01 2016-10-04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938U (ja) * 1991-03-19 1992-09-29 トキコ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2003184935A (ja) * 2001-12-21 2003-07-03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KR20030067327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
JP2005023966A (ja) * 2003-06-30 2005-01-27 Tokico Ltd シリン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938U (ja) * 1991-03-19 1992-09-29 トキコ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2003184935A (ja) * 2001-12-21 2003-07-03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KR20030067327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
JP2005023966A (ja) * 2003-06-30 2005-01-27 Tokico Ltd シリン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214A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004B1 (ko) 쇽업소버
KR101744302B1 (ko) 쇽업소버
KR101272757B1 (ko) 오일 압력을 이용한 스토퍼 구조를 갖는 쇽업소버
KR101217274B1 (ko) 쇽업소버의 상부캡
KR100854601B1 (ko) 쇽업소버의 캡 부재
JP2006177531A (ja) 油圧緩衝器
KR100798141B1 (ko) 쇽 업소버의 가스 주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쇽 업소버
JP4962188B2 (ja) 液体圧スプ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63122B1 (ko) 쇽업소버
KR100832494B1 (ko)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KR20070087794A (ko) 쇽업소버
KR100724246B1 (ko) 쇽업소버
KR100834139B1 (ko) 쇽업소버
KR100774993B1 (ko) 쇽업소버
KR102768653B1 (ko) 쇼크업소버
KR1004487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1263476B1 (ko) 쇽업소버
KR200181042Y1 (ko) 차량용현가장치의쇽업소버
KR20060133826A (ko) 쇽업소버의 설치구조
KR100769524B1 (ko) 쇽업소버
KR100791470B1 (ko) 쇽 업소버의 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0776220B1 (ko) 쇽업소버의 스톱러버
KR101662225B1 (ko) 쇽업소버
KR100268080B1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KR101535510B1 (ko)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