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52389B1 - 틀비계용 난간대 - Google Patents

틀비계용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389B1
KR100752389B1 KR1020060130643A KR20060130643A KR100752389B1 KR 100752389 B1 KR100752389 B1 KR 100752389B1 KR 1020060130643 A KR1020060130643 A KR 1020060130643A KR 20060130643 A KR20060130643 A KR 20060130643A KR 100752389 B1 KR100752389 B1 KR 10075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vertical
rod
fixing
ro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대주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주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주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3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현장에서 틀비계의 상측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틀비계용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제1 고정홈을 형성한 제1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1 수직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봉과 제1 수직지지봉의 상, 하측으로 제1 수평지지봉을 형성한 제1 난간봉과 일측으로 제1 결합홈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1 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이동홈을 형성한 제1 고정봉과 내측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홈을 형성한 다수개의 제1 수직봉과 상기 제1 고정봉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밀착홈을 형성한 제1 수평봉으로 구성되는 제1 난간부와 다수개의 제2 고정홈을 형성한 제2 지지봉과 상기 제2 지지봉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2 수직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봉과 제2 수직지지봉의 상, 하측으로 제2 수평지지봉을 형성한 제2 난간봉과 일측으로 제2 결합홈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2 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2 이동홈을 형성한 제2 고정봉과 내측으로 상기 제2 수직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2 슬라이드홈을 형성한 다수개의 제2 수직봉과 상기 제2 고정봉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돌출된 밀착부를 형성한 제2 수평봉으로 구성되는 제2 난간부로 이루어진 틀비계용 난간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틀비계용 난간대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제1, 2 난간봉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난간대를 넘어다닐 필요없이 편리하게 작업을 하거나 봉과 같은 길이가 긴 건축자재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작업공간의 확보로 인하여 작업 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틀비계, 난간, 안전난간

Description

틀비계용 난간대{RAILING FOR BUILD-UP TYPE SCAFFOL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틀비계용 난간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틀비계용 난간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난간봉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난간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난간봉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난간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2 수평지지봉에 제1, 2 홈을 형성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난간봉 11 : 제1 고정홈
12 : 제1 지지봉 13 : 제1 수직지지봉
14 : 제1 수평지지봉 18 : 제1 홈
20 : 제1 난간부 21 : 제1 결합홈
22 : 제1 이동홈 23 : 제1 고정봉
24 : 제1 슬라이드홈 25 : 제1 수직봉
26 : 밀착홈 27 : 제1 수평봉
30 : 제2 난간봉 31 : 제2 고정홈
32 : 제2 지지봉 33 : 제2 수직지지봉
34 : 제1 수평지지봉 38 : 제2 홈
40 : 제2 난간부 41 : 제2 결합홈
42 : 제2 이동홈 43 : 제2 고정봉
44 : 제2 슬라이드홈 45 : 제2 수직봉
46 : 밀착부 47 : 제2 수평봉
100 : 틀비계용 난간대
본 발명은 틀비계용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틀비계에 놀이 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설치하고, 상기 난간대의 높이를 상, 하측으로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틀비계에서 편리하게 작업을 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틀비계용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틀비계용 난간대는 틀비계의 상측에 고정결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난간대는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틀 비계 상단에서 이동하거나 건축자재를 옮기기 위해서는 상기 난간대을 넘어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긴 건축자재와 같은 물품들은 상기 난간대에 의해 옮기기 힘든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틀비계에 안전 난간대를 설치하지 않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틀비계 상측에서 작업을 하거나 이동을 할 때, 작업자가 추락하여 다치는 인명사고가 자주 발생하였기 때문에 안전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제1, 2 난간봉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난간대를 넘어다닐 필요없이 편리하게 작업을 하거나 봉과 같은 길이가 긴 건축자재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작업공간의 확보로 인하여 작업 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틀비계용 난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틀비계용 난간대는 다수개의 제1 고정홈을 형성한 제1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1 수직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봉과 제1 수직지지봉의 상, 하측으로 제1 수평지지봉을 형성한 제1 난간봉과 일측으로 제1 결합홈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1 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이동홈을 형성한 제1 고정봉과 내측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홈을 형성한 다수개의 제1 수직봉과 상기 제1 고정봉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밀착홈을 형성한 제1 수평봉으로 구성되는 제1 난간부와 다수개의 제2 고정홈을 형성한 제2 지지봉과 상기 제2 지지봉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2 수직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봉과 제2 수직지지봉의 상, 하측으로 제2 수평지지봉을 형성한 제2 난간봉과 일측으로 제2 결합홈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2 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2 이동홈을 형성한 제2 고정봉과 내측으로 상기 제2 수직지지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2 슬라이드홈을 형성한 다수개의 제2 수직봉과 상기 제2 고정봉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돌출된 밀착부를 형성한 제2 수평봉으로 구성되는 제2 난간부를 그 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틀비계용 난간대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틀비계용 난간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틀비계용 난간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난간봉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난간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난간봉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난간부의 사시도로서 설명한다.
먼저, 틀비계용 난간대는 제1 난간봉(10)과 제1 난간부(20)와 제2 난간봉(30)과 제2 난간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난간봉(10)은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1 고정홈(11)을 형성한 제1 지지봉(12)과 상기 제1 지지봉(12)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1 수직지지봉(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봉(12)과 제1 수직지지봉(13)의 상, 하측으로 형성된 제1 수평지지봉(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홈(11)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결합할 때에, 안쪽과 바깥쪽에서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봉(12)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수평지지봉(14)은 원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지지봉(12)과 제1 수직지지봉(13)을 결합할 때에, 제작자가 편리하게 용접을 하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난간부(20)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제1 결합홈(21)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1 지지봉(12)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이동홈(22)을 형성한 제1 고정봉(23)과 내측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봉(13)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홈(24)을 형성한 다수개의 제1 수직봉(25)과 상기 제1 고정봉(23)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밀착홈(26)을 형성한 제1 수평봉(2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홈(21)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결합할 때에, 안쪽과 바깥쪽에서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봉(23)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홈(22)과 제1 슬라이드홈(24)은 상기 제1 지지봉(12)과 제1 수직지지봉(13)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봉(12)과 제1 수직지지봉(13)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 가장자리의 제1 수직봉(25)은 클램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틀비계와 결합될 때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틀비계의 양 측면 기둥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난간봉(30)은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2 고정홈(31)을 형성한 제2 지지봉(32)과 상기 제2 지지봉(32)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2 수직지지봉(33)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봉(32)과 제2 수직지지봉(33)의 상, 하측으로 형성된 제2 수평지지봉(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수평지지봉(34)은 원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지지봉(32)과 제2 수직지지봉(33)을 결합할 때에, 제작자가 편리하게 용접을 하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홈(31)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결합할 때에, 안쪽과 바깥쪽에서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봉(32)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난간부(40)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제2 결합홈(41)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2 지지봉(32)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2 이동홈(42)을 형성한 제2 고정봉(43)과 내측으로 상기 제2 수직지지봉(33)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다수개의 제2 슬라이드홈(44)을 형성한 제2 수직봉(45)과 상기 제2 고정봉(43)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양 측면으로 상기 밀착홈(26)에 삽입되는 밀착부(46)를 형성한 제2 수평봉(4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홈(41)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결합할 때에, 안쪽과 바깥쪽에서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봉(43)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홈(42)과 제2 슬라이드홈(44)은 상기 제2 지지봉(32)과 제2 수직지지봉(33)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봉(32)과 제2 수직지지봉(33)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46)는 상기 밀착홈(26)에 삽입될 때,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홈(26)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부(46)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밀착홈(26)과 결합시 상기 틀비계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틀비계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2 수평지지봉(14, 34)에 제1, 2 홈(18, 38)을 형성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1, 2 난간부(20, 40)를 틀비계에 결합할 때에, 상기 제1, 2 난간부(20,40)에 결합된 제1, 2 난간봉(10,30)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 2 수평지지봉(14, 34)의 양측으로 제1, 2 홈(18, 38)을 더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홈(18, 38)을 형성할 때에는 상기 제1, 2 홈(18, 38)에 삽입되는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 ,2 수평지지봉(14, 34)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에 틀비계를 이동하여 위치시킨다.
그런 후, 틀비계의 단 반향 쪽으로 제2 난간봉(20)이 결합되어 있는 제2 난간부(40)에 형성된 제2 수직봉(45)을 상기 틀비계 일측의 기둥에 클램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한쪽의 제2 수직봉(45)을 기둥에 고정한 다음, 다른 쪽의 제2 수직봉(45)을 틀비계 타측 기둥에 클램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난간부(40)를 상기 틀비계에 고정하여 결합시킬 때에, 제2 수평봉(47)이 상기 틀비계의 상측 동일 선상에 위치시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 난간부(40)에 형성된 밀착부(46)는 상기 틀비계의 외측으로 위치시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2 난간부(40)를 상기 틀비계에 고정시킨 후, 밀착홈(26)이 형성된 제1 수평봉(27)을 상기 제2 수평봉(47)에 형성된 밀착부(46)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수평봉(27)의 타측으로 형성된 밀착홈(26)에 제2 수평봉(47)의 밀착부(46)를 삽입한다.
이와 동시에, 제1 난간부(20)와 결합된 제2 난간부(40)의 제2 수직봉(45)을 상기 틀비계의 기둥에 클램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난간부(40)를 고정시킨다.
그런 후, 상기 제1 난간부(20)가 결합된 상기 틀비계의 타측으로 제1 난간부(2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틀비계에 고정된 상기 제2 난간부(40)의 밀착부(46)에 제1 수평봉(27)의 밀착홈(26)을 결합하여 고정시킴과 동시에, 타측의 밀착홈(26)에 상기 틀비계의 기둥 한쪽으로 제2 수직봉(45)이 결합된 제2 난간부(40)를 상기 틀비계의 외측으로 인력을 가하면서 상기 제2 수평봉(47)의 밀착부(46)를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2 난간부(40)에 제1 난간부(20)를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틀비계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 난간부(40)의 제2 수직봉(45)을 클램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틀비계에 제1, 2 난간부(20, 40)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틀비계에 제1, 2 난간부(20, 40)를 결합을 하고난 후, 작업자가 상기 비계틀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제1 수평지지봉(14)을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봉(12)과 제1 수직지지봉(13)이 제1 난간부(20)에 형성된 제1 이동홈(22)과 제1 슬라이드홈(2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 후, 작업자의 목적에 맞게 제1, 2 수평지지봉(14, 34)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제1 난간봉(10)과 제1 난간부(20)에 형성된 제1 고정홈(11)과 제1 결합홈(21)에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제1 난간봉(10)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난간봉(10)을 고정시킨 다음, 제2 수평지지봉(34)과 타측의 제1 수평지지봉(14)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제1, 2 수평지지봉(14, 34)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2 난간봉(10, 30)이 벌어지지 않도록, 제1, 2 수평지지봉(14, 34)에 형성된 제1, 2 홈(17, 37)에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다수개의 상기 틀비계를 결합하여 사용할 때에는, 제2 난간봉(30)의 제2 고정홈(31)과 제2 결합홈(41)에 삽입되어 있는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분리하여 상기 제2 수평지지봉(34)을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1, 2 고정홈(11, 31)과 제1, 2 결합홈(21, 41)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1, 2 난간봉(10, 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 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틀비계용 난간대는 제1, 2 난간봉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상기 제1, 2 난간봉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난간대를 넘어다닐 필요없이 편리하게 작업을 하거나 봉과 같은 건축자재를 옮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작업공간의 확보로 인하여 작업 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건설현장에서 틀비계의 상측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틀비계용 난간대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 고정홈(11)을 형성한 제1 지지봉(12)과 상기 제1 지지봉(12)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1 수직지지봉(13)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봉(12)과 제1 수직지지봉(13)의 상, 하측으로 제1 수평지지봉(14)을 형성한 제1 난간봉(10);
    일측으로 제1 결합홈(21)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1 지지봉(12)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이동홈(22)을 형성한 제1 고정봉(23)과 내측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봉(13)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홈(24)을 형성한 다수개의 제1 수직봉(25)과 상기 제1 고정봉(23)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밀착홈(26)을 형성한 제1 수평봉(27)으로 구성되는 제1 난간부(20);
    다수개의 제2 고정홈(31)을 형성한 제2 지지봉(32)과 상기 제2 지지봉(32)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제2 수직지지봉(33)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봉(32)과 제2 수직지지봉(33)의 상, 하측으로 제2 수평지지봉(34)을 형성한 제2 난간봉(30);
    일측으로 제2 결합홈(41)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제2 지지봉(32)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2 이동홈(42)을 형성한 제2 고정봉(43)과 내측으로 상기 제2 수직지지봉(33)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2 슬라이드홈(44)을 형성한 다수개의 제2 수직봉(45)과 상기 제2 고정봉(43)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되 돌출된 밀착부(46)를 형성한 제2 수평봉(47)으로 구성되는 제2 난간부(40)에 특징이 있는 틀비계용 난간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수평지지봉(14, 34)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틀비계용 난간대.
  3. 제 1항 내지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수평지지봉(14, 34)에는 제1, 2 홈(18, 38)이 더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틀비계용 난간대.
KR1020060130643A 2006-12-20 2006-12-20 틀비계용 난간대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43A KR100752389B1 (ko) 2006-12-20 2006-12-20 틀비계용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43A KR100752389B1 (ko) 2006-12-20 2006-12-20 틀비계용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389B1 true KR100752389B1 (ko) 2007-08-27

Family

ID=3861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6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389B1 (ko) 2006-12-20 2006-12-20 틀비계용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0475A (zh) * 2019-02-27 2021-10-08 八乐梦床业株式会社 构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0475A (zh) * 2019-02-27 2021-10-08 八乐梦床业株式会社 构造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47047B2 (ja) 安全レールシステム
US4676341A (en) Adjustable roof scaffold jack
JP2010019071A (ja) 建築用足場の据置先行手摺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100752389B1 (ko) 틀비계용 난간대
EP1700973B1 (en) Ladder support bracket
KR20120074248A (ko) 가설 난간지주
JP2018204306A (ja) 梯子固定金具
KR20180001951A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KR102408722B1 (ko) 착탈식 높이연장 스마트 안전난간대
KR200498509Y1 (ko) 난간 지주대
KR20120139889A (ko) 다기능 작업 안전대
JP4621028B2 (ja) 足場板構造
JP2007284916A (ja) 階段手摺構造
KR200489141Y1 (ko) 시스템 난간대
JP3865433B2 (ja) L型作業台
JP7671704B2 (ja) 移動範囲規制ブラケット及びエレベーター
JP7347452B2 (ja) 支柱の固定構造及び支柱の固定方法
JP5968391B2 (ja) 仮設足場
JP7181374B1 (ja) 安全通路
JP4986419B2 (ja) 仮設階段
JP5305432B2 (ja) 移動足場
JP2008291586A (ja) 楔緊結式足場用壁あて受け材及び壁あて材
KR102086828B1 (ko) 건축용 슬라이딩슈
KR20100009343U (ko) 건설현장의 기둥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