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51765B1 -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765B1
KR100751765B1 KR1020050059277A KR20050059277A KR100751765B1 KR 100751765 B1 KR100751765 B1 KR 100751765B1 KR 1020050059277 A KR1020050059277 A KR 1020050059277A KR 20050059277 A KR20050059277 A KR 20050059277A KR 100751765 B1 KR100751765 B1 KR 10075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ase
steam
drum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358A (ko
Inventor
김창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5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7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7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2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작동이 이루어지는 터브의 내부에 고온, 고압의 증기가 분사되어 세탁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브 내부로 분사되는 증기가 세탁물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므로 세탁물 일 부분에 증기의 분사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세탁작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전면이 개구되어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도어 내측에 일정량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공간을 이루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세탁물이 담겨지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드럼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터브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탁수를 가열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브 및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터브 사이에 설치되고, 토출 측 단부가 터브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럼세탁기, 증기발생장치, 순환장치, 초기 급수, 살균작용

Description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STEAM INJECTION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개폐수단이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연결관이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2 : 도어
20 : 터브 22 : 관통홀부
30 : 드럼 34 : 리프터
40 : 구동장치 50 : 급수장치
52 : 세제통 70 : 증기발생장치
70a : 가열부 70b : 압축부
72 : 케이스 72a : 제 1 케이스
72b : 제 2 케이스 72c : 배출구
72d : 유입구 74 : 히터코일
76 : 공급유로 78 : 개폐수단
78a : 턱부 78b : 핀
78c : 걸림돌기 78d : 마개부
79 : 구획수단 79a : 격벽
79b : 유입홀부 80 : 순환장치
82 : 순환관 84 : 순환펌프
86 : 연결관 86a : 본관
86b : 분지관 90 : 공급관
본 발명은 세탁작동이 이루어지는 터브의 내부에 고온, 고압의 증기가 분사 되어 세탁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브 내부로 분사되는 증기가 세탁물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므로 세탁물 일 부분에 증기의 분사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세탁작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회전축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드럼 내에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과 세탁물간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전면이 개구되어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설치되고, 세탁작동이 이루어지는 일정 공간을 이루는 터브(2)와, 상기 터브(2)와 캐비닛(1) 사이에 설치되어 터브(2)가 일정량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완충장치(3)와, 상기 터브(2)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 및 세탁물이 담겨지는 드럼(4)과, 상기 드럼(4) 내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럼(4)이 회전됨에 따라 세탁물을 끌어올려 떨어지도록 하는 리프트(5)와, 상기 터브(2)의 후방에 상기 드럼(4)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구동장치(6)와, 상기 터브(2)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2) 및 드럼(4) 내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7)와, 상기 터브(2)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2) 및 드럼(4)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1) 외측 으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8)와, 상기 터브(2) 일 측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고온의 증기로 가열하여 상기 터브(2) 및 드럼(4)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장치(9)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발생장치(9)는, 상기 급수장치(7)로부터 연결되어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유로(9a)와, 상기 급수유로(9a)가 연결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도록 일정 공간을 이루는 케이스(9b)와, 상기 케이스(9b)에서 터브(2) 내측으로 연장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브(2) 및 드럼(4)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9c)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드럼(4)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한 후에 세탁기를 구동시키면 먼저, 급수장치(7)에 의해 터브(2) 및 드럼(4)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는데, 이때, 세탁수는 급수장치(7)에 설치된 세제통(7a)을 지나면서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되어 터브(2)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에,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이것이 제어부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장치(6)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드럼(4)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급수장치(7)에 의해 터브(2)에 세탁수가 공급될 때에 상기 증기발생장치(9)의 공급유로(9a)를 따라 케이스(9b)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바, 케이스(9b)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공급관(9c)을 따라 터브(2) 및 드럼(4) 내부로 안내되어 세탁물에 분사되면서 세탁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증기발생장치(9)의 공 급관(9c)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의 개구부와 캐비닛(1) 사이에 설치된 개스킷을 관통하여 드럼(4)의 전방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드럼(4) 내부에 수납된 세탁물 전체에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므로 세탁성능이 기대치 이상으로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관(9c)이 터브(2) 및 드럼(4)의 전방부에 삽입되는 것은 글라스가 설치된 도어(1a)를 통해 증기가 분사되는 작동이 가시적으로 확인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공급관(9c)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비교적 낮은 상온을 유지하는 도어 글라스와 접촉되면서 도어 글라스 배면에 습기가 발생되므로 증기가 분사되는 작동을 도어 글라스를 통해 확인할 수 없어 증기 분사작동의 가시적인 목적을 이룰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의 에너지 소모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기발생장치의 공급관을 통해 분사되는 증기가 세탁물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탁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므로 세탁작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증기발생장치는, 공급관의 단부가 세탁물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글라스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세탁작동 중에 도어 글라스를 통해 드럼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세탁작동의 진행 사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전면이 개구되어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도어 내측에 일정량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공간을 이루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세탁물이 담겨지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드럼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터브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탁수를 가열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브 및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터브 사이에 설치되고, 토출 측 단부가 터브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전면이 개구되어 도어(12)가 설치된 캐비닛(10)과, 상기 도어(12) 내측에 일정량 유동 가능하 게 설치되고, 일정 공간을 이루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20)와, 상기 터브(2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세탁물이 담겨지는 드럼(30)과, 상기 터브(20)에 설치되고, 드럼에 연결된 구동장치(40)와, 상기 캐비닛(10) 외측으로부터 터브(20)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50)와, 상기 터브(20)로부터 캐비닛(10) 외측으로 연장된 배수장치(56)와, 상기 급수장치(50)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탁수를 가열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브(20) 및 드럼(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장치(70)와, 상기 증기발생장치(70)와 터브(20) 사이에 설치되고, 토출 측 단부가 터브(20)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관(90)과, 상기 터브(20)의 저면과 공급관(90) 사이에 설치된 순환장치(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구동장치(40)에 의해 드럼(30)이 회전될 때에 증기발생장치(7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공급관(90)을 따라 터브(20)의 상측 중앙부로 공급되는 바, 상기 터브(20)는, 상기 공급관(90)이 연결되는 상면에 관통홀부(22)가 형성되므로 관통홀부(22)로 유입된 증기는 드럼(30) 내부로 유입되면서 세탁물 전체에 고르게 분사되고, 상기 순환장치(80)에 의해 유입되는 세탁수는 공급관(90)을 통해 터브(20) 및 드럼(30)으로 순환되면서 세탁작업을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증기발생장치(70)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유입구(72d) 및 배출구(72c) 가 형성된 케이스(72)와, 상기 케이스(72)에 설치된 히터코일(74)과, 상기 캐비닛(10) 외부로부터 케이스(72)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76)와, 상기 배출구(72c) 측에 설치되어 케이스(72)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열되면 케이스(72)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수단(78)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유로(76)는, 급수장치(50)에 연결되어 급수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일 부분이 공급유로(76)를 따라 케이스(7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히터코일(74)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는, 증기로 변환되어 배출구(72c) 및 개폐수단(78)을 지나 공급관(90)을 따라 터브(20)의 내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72)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저면에 개방되어 상기 공급관(90)이 연결되는 배출구(72c)가 상면에 형성된 제 1 케이스(72a)와, 일정 공간을 이루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 1 케이스(72a)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코일(74)이 삽입되고 공급유로(76)가 연결되는 유입구(72d)가 형성된 제 2 케이스(72b)와, 상기 케이스(72) 내벽에 설치되어 케이스(72) 내부를 가열부(70a)와 압축부(70b)로 분할하는 구획수단(79)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수단(79)은, 상기 제 1 케이스(72a)의 하단 형성되어 제 1 케이스(72a)가 밀폐되도록 하는 격벽(79a)과, 상기 격벽(79a) 중에 배출구(72c)와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유입홀부(79b)로 이루어지므로 공급유로(76)를 따라 가열부(70a)에 담수된 세탁수는 히터(74)에 의해 증기로 변환되어 상승되는 바, 상기 유입홀부(79b)를 따라 압축부(70b)로 이동되고, 압축부(70b) 내부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압축되면 상기 개폐수단(78)이 개방되면서 고온, 고압의 증기가 공급관(90)을 따라 터브(20) 및 드럼(30) 내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수단(7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72c) 내벽에 형성된 턱부(78a)와, 상기 턱부(78a)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78b)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핀(78b)은 둘레면에 걸림돌기(78c)가 형성되고, 상측 단부에 배출구(72c)를 개폐하는 마개부(78d)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배출구(72c)에 연결되는 상기 공급관(90)은, 상기 배출구(72c)와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압축부(70b)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일 때는 핀(78b)의 걸림돌기(78c)가 턱부(78a)에 안착되어 마개부(78d)가 배출구(72c)를 폐쇄하고, 압축부(70b)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핀(78b)을 상측으로 밀어내므로 마개부(78d)가 상승되면서 배출구(72c)가 개방되어 걸림돌기(78c)와 턱부(78d) 사이로 유출된 증기는 공급관(90)을 따라 터브(20)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마개부(78d)는, 배출구(72c)에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 공급관(90)의 내벽에 대응되므로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지 못하여 핀(78b)이 배출부(72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증기가 일정량 배출되어 압축부(70b)의 압력이 낮아지면 핀(78b)의 자중에 의해 마개부(78d)가 하강하면서 배출구(72c)가 다시 폐쇄된다.
상기 순환장치(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20)와 공급관(90) 사이에 연결된 순환관(82)과, 상기 순환관(82)에 설치된 순환펌프(84)와, 상기 순환관(82)의 토출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90)과 터브(20) 사이에 개재된 연결관(86)이 포함되어 구성되므로 드럼(30)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될 때에 순환펌프(84)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가 순환관(82)을 지나 연결관(86)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순환됨으로써, 순환되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이 쉽게 적셔질 수 있으므로 초기 급수 시에 요구되는 세탁수가 절감되고, 세탁작동 중에도 순환되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세탁성능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8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90)이 상측 단부에 연결되고, 하측 단부가 터브(20)에 설치된 본관(86a)과, 상기 본관(86a)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순환관(82)이 연결된 분지관(86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관(86a)과 분지관(86b)은, 동일한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됨으로써, 본관(86a)을 따라 유동되는 증기와 분지관(86b)을 따라 유동되는 세탁수가 합류될 때에 각각의 유체가 진행되는 방향이 예각을 이루면서 합류되도록 하므로 증기와 세탁수가 충돌되면서 발생되는 저항이 최소화되어 와류가 발생되거나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2)를 개방하여 드럼(30)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한 후에 세탁기를 구동시키면 상기 급수장치(50)에 의해 터브(20) 및 드럼(30)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바, 급수장치(5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는, 세제통(52)을 지나면서 세제가 포함되어 공급되며, 세탁물이 적셔지는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급수장치(50)를 통해 공급되는 일 부분의 세탁수가 공급유로(76)를 통해 케이스(72) 내부 로 유입되고, 상기 히터코일(74)에 의해 가열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관(90)을 따라 터브(20)에 분사된다.
이 작동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유로(76) 및 유입구(72d)를 따라 가열부(70a)로 유입된 세탁수는 히터코일(74)에 의해 가열되고, 100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세탁수는 증기로 변환되어 상승되는 바, 상기 유입홀부(79b)를 따라 압축부(70b)로 이동되며, 히터코일(74)에 의한 가열이 계속되면 압축부(70b) 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압축부(70b)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배출구(72c)에 설치된 핀(78b)을 상측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마개부(78d)가 상승되면서 배출구(72c)가 개방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턱부(78a)와 걸림돌기(78c) 사이의 틈으로 분사되고, 상기 공급관(90)을 따라 터브(20) 및 드럼(30) 내부로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90)은, 터브(20)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터브(20) 및 드럼(30) 내부에 고르게 분사되므로 세탁물의 포 적심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초기 급수에 소요되는 세탁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순환펌프(84)가 구동되므로 터브(20)의 저면으로 떨어진 세탁수는 순환관(8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공급관(90)을 지나 터브(20)의 상측에서 다시 분사되면서 세탁물의 포 적심을 보다 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순환관(82)을 따라 터브(20)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86)에서 증기와 합류되는데, 연결관(86)의 본관 (86a)을 따라 유동되는 증기와 분지관(86b)을 따라 유동되는 세탁수가 곡선을 그리면서 유동되고, 연결관(86)의 하단에서 각각의 유로가 일정 각도 이하의 예각을 이루도록 합류되므로 증기와 세탁수가 충돌되면서 발생되는 와류 및 역류가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 급수가 이루어져 세탁물이 적셔진 후에는 구동장치(40)에 의해 드럼(30)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때도 상기 순환장치(80) 및 증기발생장치(70)가 구동되어 순환되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세탁물에 고온의 증기가 분사되므로 세탁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살균작용을 행할 수 있으며, 특히 헹굼작동을 행할 때에 고온의 증기가 분사되면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세탁물에서 잔존하는 세균을 박멸할 수 있다.
이후에, 세탁작동 및 헹굼작동이 완료되면 제어부에 의해 급수장치(50) 및 증기발생장치(70), 순환장치(80)가 정지되고, 배수장치(56)가 구동되므로 세탁수가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되며, 구동장치(40)에 의해 드럼(30)이 회전되면서 탈수작동이 이루어져 세탁이 완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다른 실시 예는, 캐비닛(10)과, 터브(20)와, 드럼(30)과, 구동장치(40)와, 급수장치(50)와, 배수장치(56)와, 증기발생장치(70)와, 공급관(90)과, 순환장치(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상기 증기발생장치(70)의 케이스(72)에 설치된 구획수단(79)에 그 특징이 있 는 바, 상기 구획수단(79)은, 상기 제 1 케이스(72a)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격벽(79a')과, 상기 제 2 케이스(72b)의 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격벽(79a')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제 2 격벽(79b')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제 1 격벽(79a')과 제 2 격벽(79b')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로를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72)의 좌측 부분은, 배출구(72c)가 배치되는 압축부(70b)를 이루고, 케이스(72)의 우측 부분은, 유입구(72d) 및 히터(74)가 설치되는 가열부(70a)를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획수단(78)은, 가열부(70a)에서 형성된 고온의 증기가 압축부(70b)에 축적되면서 고압의 증기로 변환되도록 하므로 개폐수단(78)이 개방되면 고온, 고압의 증기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공급관(9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터브(20)의 내부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탁수가 담겨지는 가열부(70a)와 배출구(72c)가 형성된 압축부(70b)가 구획되므로 증기로 변환되지 않은 세탁수가 배출구(72c)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증기발생장치로부터 연장된 공급관이 터브의 상측 중앙에 연결됨으로써, 초기 급수가 이루어질 때에 고온, 고압의 증기가 세탁물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므로 세탁물의 포 적심을 행하는데 소요되는 세탁수가 절감되어 세탁작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에 의해 분사되는 증기는, 도어와 일정 거리 떨어진 터브의 중앙부에서 분사되기 때문에 도어 글라스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도어 글라스를 통해 드럼 내부를 관찰할 수 있어 세탁작동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가시적인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터브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된 증기발생장치 및 공급관에 의해 세탁작동 및 헹굼작동이 이루어질 때에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브와 드럼 내부로 고르게 분사되므로 세탁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박멸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한 세탁작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는, 순환관 및 순환펌프,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순환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초기 급수 시에 세탁물의 포 적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소요되는 세탁수를 절감할 수 있고, 세탁작동 및 헹굼작동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 없이 공급관에 의해 증기 및 세탁수가 터브로 공급되고, 증기와 세탁수가 합류되면서 발생되는 와류 및 역류를 방지하여 상기한 세탁수 절감 및 살균효과가 배가되는 이점이 있고, 증기발생장치 및 순환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전면이 개구되어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도어 내측에 일정량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공간을 이루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세탁물이 담겨지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탁수를 가열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상기 터브 및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정 공간을 이루고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히터코일과, 상기 캐비닛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열되면 상기 케이스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터브 사이에 설치되고, 토출 측 단부가 상기 터브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된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저면에 개방되어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상기 배출구가 상면에 형성된 제 1 케이스와, 일정 공간을 이루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 1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코일이 삽입되고 상기 공급유로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2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를 가열부와 압축부로 분할하는 구획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케이스가 밀폐되도록 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 중에 상기 배출구와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유입홀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격벽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제 2 격벽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7. 일정 공간을 이루고, 전면이 개구되어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도어 내측에 일정량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공간을 이루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세탁물이 담겨지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부터 터브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세탁수를 가열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상기 터브 및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정 공간을 이루고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히터코일과, 상기 캐비닛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열되면 상기 케이스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터브 사이에 설치되고, 토출 측 단부가 상기 터브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출구 내벽에 형성된 턱부와, 상기 턱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핀은 둘레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측 단부에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배출구와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1020050059277A 2005-07-01 2005-07-01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5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277A KR100751765B1 (ko) 2005-07-01 2005-07-01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277A KR100751765B1 (ko) 2005-07-01 2005-07-01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358A KR20070003358A (ko) 2007-01-05
KR100751765B1 true KR100751765B1 (ko) 2007-08-24

Family

ID=3787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2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1765B1 (ko) 2005-07-01 2005-07-01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83B1 (ko) * 2008-08-13 2014-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스팀 발생 장치
KR102464964B1 (ko) * 2020-11-11 2022-11-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83448B1 (ko) * 2020-11-11 2022-12-3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50230B1 (ko) * 2020-11-11 2022-10-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4045634B (zh) * 2021-11-30 2022-12-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及包括其的衣物处理装置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508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20040085507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20040088884A (ko) * 2003-04-14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17489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7490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증기 세탁 방법
KR20050017488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제거 방법
KR20050018182A (ko) * 2003-08-13 200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KR20050044884A (ko) * 2005-04-27 2005-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20050060566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50065721A (ko) * 2003-12-23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5723A (ko) * 2003-12-23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20060008464A (ko) * 2004-07-20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60008465A (ko) * 2004-07-20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
KR20060023017A (ko) * 2004-09-08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508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20040085507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20040088884A (ko) * 2003-04-14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18182A (ko) * 2003-08-13 200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KR20050017490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증기 세탁 방법
KR20050017488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제거 방법
KR20050017489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0566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50065721A (ko) * 2003-12-23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5723A (ko) * 2003-12-23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20060008464A (ko) * 2004-07-20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60008465A (ko) * 2004-07-20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
KR20060023017A (ko) * 2004-09-08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50044884A (ko) * 2005-04-27 2005-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358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680B1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100504501B1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US20040244432A1 (en) Steam supplying apparatus in washing machine
US9765465B2 (en) Washer
KR101233164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US8181297B2 (en) Spray steam in drum type washer and control method
KR20070088068A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US20090293557A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2004298614A (ja) 蒸気噴射式ドラム洗濯機
US9689109B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06126813A2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70078328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US20160090680A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751765B1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JP2018518993A (ja) 衣類処理装置
KR20110053081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050044884A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20160102707A (ko) 세탁기
KR101580125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방방지를 위한 운전방법
KR100751766B1 (ko) 드럼세탁기
KR101146270B1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KR10126559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1033595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200392582Y1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동파 방지 구조
KR100349713B1 (ko) 삶음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517

Appeal identifier: 2007101003645

Request date: 2007040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1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5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51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