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51100B1 - 반도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100B1
KR100751100B1 KR1020017006074A KR20017006074A KR100751100B1 KR 100751100 B1 KR100751100 B1 KR 100751100B1 KR 1020017006074 A KR1020017006074 A KR 1020017006074A KR 20017006074 A KR20017006074 A KR 20017006074A KR 100751100 B1 KR100751100 B1 KR 10075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nductivity type
zone
type
buried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0451A (ko
Inventor
로이젠 레이몬드 반
요한네스 에이치 에이치 에이 에그베르즈
안코 헤린가
아드리아누스 빌렘 루디쿠이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8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1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4Double-diffused metal-oxide semiconductor [DMOS] FETs
    • H10D30/65Lateral DMOS [LDMOS] 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02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10D62/103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 H10D62/105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by having particular doping profiles, shapes or arrangements of PN junctions; by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10D62/108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by having particular doping profiles, shapes or arrangements of PN junctions; by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having localised breakdown regions, e.g. built-in avalanching reg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3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source or drain regions
    • H10D62/149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151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IGFETs 
    • H10D62/156Drain regions of DMOS transistors
    • H10D62/157Impurity concentrations or distribu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00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00Diodes
    • H10D8/411PN diodes having planar bod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9/00Aspects of integrated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10D84/00 - H10D88/00
    • H10D89/6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 H10D89/601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for devices having insulated gate electrodes, e.g. for IGFETs or IGBTs
    • H10D89/611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for devices having insulated gate electrodes, e.g. for IGFETs or IGBTs using diodes as prot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H10D64/5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 H10D64/514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 H10D64/516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the thicknesses being non-uniform

Landscapes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강 도핑된 컨택트존(4)이 제공된 약 도핑된 영역(3)을 포함하는 고전압 디바이스에서는, 컨택트 존의 코너에서 국부적 항복 현상에 의한 손상이 고전류 밀도에서 Kirk 효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강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일한 도전형의 환형 보호존(14)이 제공되어 가까운 거리에서 컨택트 존을 둘러싸게 된다. 결과적으로, 항복 현상은 보호존의 코너에서 처음에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보호존과 컨택트존간의 저항 때문에, 보다 더 균일한 전류 분포을 얻고, 국부적 전류 집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제 1 도전형의 제 1 영역과, 이 제 1 영역에 인접하고 제 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영역과, 제 2 영역에 인접하며 제 2 영역에 의해 제 1 영역으로부터 격리된 제 1 도전형의 제 3 영역과, 제 3 영역에 의해 제 2 영역으로부터 격리되며 제 3 영역보다 보다 더 높은 도핑 농도를 가진 제 1 도전형의 제 4 영역을 구비한 반도체 바디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2, 4 영역에는 각각 단자가 제공된다. 상기 제 4 영역은 동일한 도전형의 제 3 영역의 컨택트 존(contact zone)으로 간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영역의 연속은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바이폴라 또는 MOS)나 다이오드로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수평이나 수직 npn 또는 pnp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소자는 동작 중에 큰 전류 흐름이 존재하는 동시에 제 2 영역과 제 4 영역 사이의 pn-접합 양단에 역방향으로 고전압이 인가되면 종종 손상을 입기쉽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손상은 온도의 국부적 증가와 후속하는 전류 증가를 일으킬 수 있는 영역 3부터 영역 4까지의 접합에서 전기장의 증가를 야기하는 항복 현상(breakdown)의 결과로서 국부적 전류 집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영역에서 항복 전압의 증가는 제 2 영역의 가장자리에 반대 도전형의 전기적으로 플로우팅 링(floating ring)이나 존(zone)을 제공하여 전기장의 감소를 일으킴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존의 도전형은 제 3 영역의 도전타입과 반대되기 때문에, 이러한 존의 제공은 추가적인 공정 단계를 요구한다. 게다가, 이러한 링은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회로 소자 크기가 증가되어 특히 집적 회로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소자의 직렬 저항의 증가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다른 단점은 제 3 영역과 제 4 영역간의 접합에서의 전기장 증가와 전류 집중이 거의 억제되지 않거나 전혀 억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특히, 본 발명은 추가적인 공정 단계 없이 전류 집중과 전기장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 서두에서 언급된 타입의 반도체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라 제 3 영역에 이 제 3 영역보다 높은 도핑 농도를 갖는 제 1 도전형의 보호 존━보호 존은 제 3 영역에 의해 제 2 영역으로부터 격리되고, 제 4 영역 근처에 위치하며, 제 3 영역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상대적 고 임피던스 영역에 의해 제 4 영역으로부터 격리됨━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전류 밀도에서 pn-접합 양단의 차단 전압(cutting voltage)은 전기장 강도의 최고점이 전류로 인해 pn-접합에서 컨택트 존으로 옮겨지도록 하게 하는 Kirk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Kirk 효과를 초래하는 전류는 기생 pnp 또는 npn 작용에 의해서 제 1 영역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트 존의 만곡부(curvature)나 이 컨택트 존의 확산 프론트(diffusion front)에서의 국부적 불규칙성은 항복 현상 발생 시의 전류 집중과 관련 손상을 일으키는 전기장 강도에서 국부적 피크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컨택트 존 근처에, 제 3 영역의 고임피던스 재료에 의해서 컨택트 존으로부터 격리되도록, 동일한 도전형의 강 도핑된(heavily doped) 존을, 예를 들어, 컨택트 존을 두르는 링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Kirk 효과가 처음에 보호 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전류 경로에 저항을 형성하는 고 임피던스 영역은 보호 존과 컨택트 존간에 위치하고, 항복 현상 발생 시의 전류 집중은 방지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억제된다. 추가적인 공정 단계가 필요치 않도록 보호 존과 컨택트 존은 일반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음이 나중에 기술될 것이다. 게다가, 보호 존은 추가적인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서 디바이스의 크기의 증가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제 3 영역이 반도체 바디의 표면과 인접하는 제 1 도전형의 표면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제 4 영역과 보호 존은 제 1 도전형의 인접하는 표면 존으로서 제공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형 형태로 응용될 수도 있지만, 종형 형태로 응용될 때 특별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종형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는 제 3 영역이 표면의 반대측에서 제 2 도전형의 제 2 영역과 접하고, 제 1 도전형의 제 1 영역은 표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제 2 영역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집적 회로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실시예는 제 3 영역이 제 2 도전형의 기판 상에 제공된 에피테셜층의 섬 모양(island-shaped)의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각기 제 1 도전형의 매립층과 제 2 도전형의 매립층에 의해 형성되며, 위의 두 매립층은 에피테셜층과 기판간에 한 층이 다른 층 위에 배열되고, 제 2 도전형의 제 2 매립층은 에피테셜층과 제 1 도전형의 제 1 매립층을 서로 격리시키면서, 제 1 매립층에 의해 제 2 도전형의 기판으로부터 격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제 1 도전형의 섬 모양의 부분과 제 2 도전형의 매립층이 집적 회로에서 회로 소자로 기능하는 다이오드를 형성한다. 이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정전기적 방전(ESD)에 의해서 야기되는 손상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런 측면들과 다른 측면들은 나중에 기술될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보호 존과 컨택트 존간의 거리가 ESD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픽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은 단지 개략적인 것이며 동일한 축척으로 도시된 것이 아님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부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에서 회로를 ESD로부터 보호하는 다이오드로 사용되는 데 적합한 다이오드에 의해서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서, 도 1은 기존 다이오드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오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다이오드는 제 1 도전형(본 예에서는 n-형)의 제 1 영역(1)과, 이 제 1 영역에 인접하며 제 2 도전형(본 예에서는 p-형)의 제 2 영역(2)과, 제 2 영역에 의해 제 1 영역으로부터 격리되고 제 2 영역에 인접하는 n-형의 제 3 영역(3)과, 이 제 3 영역에 인접하며 컨택트 존을 형성하고 제 3 영역보다 더 높은 도핑 농도을 갖는 n-형의 제 4 영역이 제공되는 반도체 바디를 포함한다. 제 3 영역은 p-형 실리콘 기판(6) 상에 제공된 실리콘의 n-형 에피테셜층(5)의 섬 모양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 에피테셜층 내에서, 섬(3)은 층(5)의 두께를 곧게 가로질러 연장되는 깊은 p-형 존(a deep p-type zone)(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 1 영역(1)과 제 2 영역(2)은 에피테셜층(5)과 기판(6)간의 계면에 제공된 n-형 매립층과 p-형 매립층에 의해 각기 형성된다. n-형 매립층(1)은 p-형 매립층(2)과 p-형 기판(6)간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p-형 매립층(2)은 한편에 있는 n-형 매립층(1)을 다른 한편에 있는 n-형 섬(3) 및 n-형 컨택트 존(4)과 격리시킨다. 매립 존(1,2)에는 깊은 n-형 컨택트 존(8)과 깊은 p-형 컨택트 존(9)이 각기 제공된다. 이 존(8,9)에는 다이오드의 양극(anode)을 형성하는 공통 단자(10)가 제공된다. 존(4)은 음극을 형성하는 금속 컨택트(11)에 접속된다.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에피테셜층(5)의 두께는 대략 9 ㎛였고 도핑 농도는 3.5ⅹ1015/cm3 였다. n-형 컨택트 존(4)의 깊이는 대략 1.0 ㎛였다. 기판과 에피테셜층간의 계면으로부터 측정된 매립된 p-형 존의 상향 확산은 대략 5 ㎛가 되었으므로, n-형 컨택트 존(4)과 p-형 존(2)간의 거리는 대략 3 ㎛였다.
본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전원(음극)과 접지(양극)사이에서 집적 회로의 보호 다이오드로 사용될 수 있다. 전압이 순방향으로 다이오드의 양단에 인가되었을 때, 영역(2)과 영역(3)간의 pn-접합(12)은 순바이어스가 되고 전자를 p-형 영역(2)으로 주입한다. p-형 영역(2)을 통해 확산하는 전자는 n-형 영역(1)에 의해 수집되고 단자(10)를 경유하여 다이오드 전류로서 적어도 대부분 방전된다. 주입된 전자의 오직 적은 부분만이 기판(6)에 도달할 것이기 때문에, 이런 다이오드는 "저누설 다이오드(low leakage diodes)"로 호칭된다. 다이오드가 역바이어스가 될 때, 적어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 동안은 전기장 강도는 p-형 매립층(2)과 n-형 영역(3)간의 pn-접합(12)에서 가장 커진다. 전류가 항복 현상의 결과로서 영역(2)과 영역(3)간에 흐르기 시작할 때, 영역(1)과 영역(2)간의 pn-접합은 순바이어스가 된다. 이런 결과적인 전류는 전기장의 최고점이 전류 밀도에 의해 야기된 Kirk 효과의 결과로 인해 pn-접합(12)에서 컨택트 존(4)으로 이동하게 한다. 전기장이 컨택트 존(4)의 만곡부(13)에서 가장 커지기 때문에 항복 전압은 이 지점에서 더 낮아진다. 이 항복 전압의 낮아짐으로 인해, 전류는 더 커지며 영역(1)과 영역(2)간의 접합은 보다 더 순바이스어가 되어 항복 전압이 더욱 감소하도록 한다. 그 결과로, 다이오드를 손상시킬 수 있는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2는 동일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를 도 1에서와 같이 쓰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오드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디바이스는 컨택트 존(4)을 두르고 있는 강 도핑된 n-형 링(14)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서 도시된 디바이스와 크게 다르다. 이 링(14)과 컨택트 존(4)간의 거리는 특정 실시예에서 대략 2 ㎛였다. 이는 마스크의 크기 정도 되기 때문에, 존(4)과 존(14)의 확산 프로파일의 말단(talis)━도 2에서 분리되게 도시됨━이 측방향 확산의 결과로 인해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존(4)과 존(14)은 중간의 고 임피던스 물질에 의해서 서로 분리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존(14)은 소정의 컨택트, 즉 컨택트(11)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존(14)는 존(4)에 가깝기 때문에, 다이오드 양단에 인가되는 역방향 전압은 전기장의 최고점이 링(14)의 만곡부(15)에 위치하도록 할 것이다. 항복 현상은 도 1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존(4)에서 발생하지 않고 존(14)에 발생할 것이다. 링(14)과 존(4)간의 호형(arch-shaped) 영역(16)은 영역(15)과 컨택트(11) 간의 저항을 형성하고, 그것은 애벌런치 효과(avalanche effect)와 전류 집중에 의해 초래되는 다이오드의 국부적 손상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다이오드는 도 1에서 도시된 다이오드보다 훨씬 더 강건하고 특히 ESD에 대한 보호로서 적절하다. 도 3의 측정치는 다이오드가 ESD 보호(인체 모델(Human Body Model))에 대해 수 kV에서도 손상되지 않고 견딜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와 비교해서, 보호링(14)이 없는 다이오드는 대략 1.5 킬로볼트에서도 손상될 수 있었다.
존(14)은 추가적인 공정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이 존(4)과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존(14)은 추가적인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서 디바이스의 표면적이 거의 증가하지 않거나 전혀 증가하지 않는다.
컨택트존(4)과 보호존(14)간의 거리는 중요한 변수다. 도 3은 다수의 다이오드 중에서 기설정 비율의 다이오드가 손상될 수 있는 kV의 ESD 전압과 링(14)과 컨택트존(4)간의 거리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최적점은 대략 2 ㎛에서이다. 만약 거리가 1.5 ㎛보다 가까워진다면, 저항이 너무 낮기 때문에 효과는 줄어든다. 만일 거리가 2.5 ㎛보다 멀어지면, 소정 거리보다 클 때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디바이스에서와 같은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보호존의 효과는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서 급속하게 줄어들 것이다.
또한, 다이오드와는 별도로,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회로 소자에도 사용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횡형 DMOS 트랜지스터(a Lateral DMOS transistor)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디바이스는 n-형 에피테셜층(5)이 제공되는 p-형 기판(6)을 포함하는 실리콘 반도체 바디(1)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는 제 2 영역 p-형 백게이트(21)내에 위치하는 n-형 소스(제 1 영역)(20)를 포함한다. 상기 백게이트 영역은 에피테셜층(5)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백게이트 영역의 반대편에서 강 도핑된 제 n-형 드레인(제 4 영역)(23)과 혼합된 고임피던스 n-형 드리프트 영역(제 3 영역)(22)에 접한다. 소스 영역(20)과 드리프트 영역(22)간에 위치한 백게이트 영역(21)의 일부 위에, 절연 게이트(24)가 제공된다. 소스는 본 예에서는 백게이트 영역(21)에 접속된 소스 컨택트(25)에 접속된다. 본 예에서는, 깊은 p-형 존(26)을 경유하여, 백게이트 영역이 기판(접지)(6)에 접속되나 이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드레인은 드레인 컨택트(27)에 접속된다. 드레인(23)과 벡게이트 영역(21)간에, 본 예에서는 드레인(23)의 어느 한 편 상에, 강 도핑된 n-형 보호존(14)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도, 존(14)은 드레인(23)으로부터, 예를 들어, 2 ㎛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드레인(23)과 동일한 공정 단계 동안에 형성된다. 고전압이 드레인(23)과 벡게이트 영역(21)및/또는 기판(6)간에 인가되고, 고전류 밀도에서 Kirk 효과의 결과로 인해 전기장의 최고점이 비도전성 pn-접합을 지나 드레인(23)으로 이동할 때, 항복 현상은 처음으로 보호존(14)에서 재발할것이며 존(14)과 단자(27)간의 저항은 전류 집중을 방지하여 디바이스의 손상 위험을 줄인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수많은 변경이 당업자에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지막으로 언급된 예에서, p-형 기판(6)은 전기 절연 물질의 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보호존이 존(4) 주위에 환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컨택트 존(4)의 부분 주위로만 연장되는 실시예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존(14)이 없으므로 Kirk 효과에 의한 항복 현상이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따르는 LDMOST의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같은 약 도핑된 제 3 영역의 두께와 도핑 농도는 RESURF 원리에 해당되도록 유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는 제 3 영역의 두께와 도핑 농도의 곱이 1012원자/cm2인 RESURF 타입일 수 있다.
게다가, 위에서 기술된 예에서, 도전형은 서로 바뀔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바디는 실리콘이 아닌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8)

  1. 제 1 도전형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되는 도전형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제 2 영역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 1 도전형의 제 3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에 의해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3 영역보다 보다 더 높은 도핑 농도를 가지며, 상기 제 3 영역에 자리한 상기 제 1 도전형의 제 4 영역━상기 제 1, 2, 4 영역에는 단자가 제공됨━을 구비한 반도체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영역에는 상기 제 3 영역보다 더 높은 도핑 농도를 가진 상기 제 1 도전형의 보호존이 제공되며,
    상기 보호존은 상기 제 3 영역에 의해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3 영역 중 상대적으로 고 임피던스인 중간 영역에 의해 상기 제 4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며, 제 4 영역에서가 아닌 상기 보호존에서 초기에 항복 현상이 발생하도록 상기 보호존이 상기 제 4 영역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반도체 바디의 표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도전형의 표면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4 영역과 상기 보호존은 상기 제 1 도전형의 인접 표면 존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표면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 2 도전형의 상기 제 2 영역과 접하며,
    상기 제 1 도전형의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표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 2 영역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제 2 도전형의 기판 상에 제공된 에피테셜층의 섬 모양의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도전형의 매립층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매립층에 의해 각기 형성되며,
    상기 매립층들은 상기 에피테셜층과 상기 기판간에 한 층이 다른 층 위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의 상기 제 2 매립층은 상기 에피테셜층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상기 제 1 매립층을 서로 격리시키며,
    상기 제 2 매립층은 상기 제 1 매립층에 의해 상기 제 2 도전형의 상기 기판으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의 상기 섬 모양의 부분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상기 매립층은 집적 회로에서 회로 소자로 기능하는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과 제 4 영역은 횡형 DMOS 트랜지스터(a Lateral DMOS transistor)의 드리프트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각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는 공통 제 1 단자가 제공되고, 상기 제 4 영역에는 제 2 단자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가 제 3 영역의 두께와 도핑 농도의 곱이 1012원자/cm2인 RESURF 타입인 반도체 디바이스.
KR1020017006074A 1999-09-16 2000-08-31 반도체 디바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100751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3019.7 1999-09-16
EP99203019 1999-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451A KR20010080451A (ko) 2001-08-22
KR100751100B1 true KR100751100B1 (ko) 2007-08-22

Family

ID=824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0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1100B1 (ko) 1999-09-16 2000-08-31 반도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33559B1 (ko)
EP (1) EP1138082A1 (ko)
JP (1) JP2003509867A (ko)
KR (1) KR100751100B1 (ko)
WO (1) WO2001020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2023B2 (en) * 2002-10-31 2005-04-19 Motorola, Inc. Floating resurf LDMOSF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6190837A (ja) * 2005-01-06 2006-07-20 Renesas Technology Corp フルアイソレーションダイオード
JP4845410B2 (ja) * 2005-03-31 2011-12-28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装置
US7541247B2 (en) * 2007-07-16 2009-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uard ring structures for high voltage CMOS/low voltage CMOS technology using LDMOS (lateral double-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JP5222548B2 (ja) 2007-12-25 2013-06-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WO2010029503A1 (en) 2008-09-11 2010-03-18 Nxp B.V. Protection for an integrated circuit
TWI397180B (zh) * 2008-12-17 2013-05-21 Vanguard Int Semiconduct Corp 在積體電路中具靜電放電防護能力的水平擴散金氧半導體電晶體(ldmos)元件
JP5172654B2 (ja) * 2008-12-27 2013-03-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8278710B2 (en) 2010-07-23 2012-10-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Guard ring integrated LDMOS
CN102479720B (zh) * 2010-11-29 2015-12-09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抗击穿漏电流的金属氧化物半导体晶体管及其制造方法
KR101986090B1 (ko) 2012-04-06 2019-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드링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10381342B2 (en) * 2015-10-01 2019-08-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voltage bipolar structure for improved pulse width scalability
JP7140349B2 (ja) * 2018-07-18 2022-09-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404600B2 (ja) * 2019-11-01 2023-12-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
CN114420759A (zh) * 2022-02-23 2022-04-29 江苏帝奥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过压保护二极管的nldmos器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3807A1 (en) * 1984-02-21 1985-08-29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Versatile generic chip substrate
EP0514060A2 (en) * 1991-05-06 1992-11-19 SILICONIX Incorporated DMOS transistor structure & method
US5940700A (en) * 1994-05-31 1999-08-17 Sgs-Thomson Microelectronics, 2 Via C. Olivetti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iode with BCD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40822A (en) 1967-01-26 1969-01-22 Westinghouse Brake & Signal Semi-conductor elements
SE427598B (sv) * 1981-08-25 1983-04-18 Ericsson Telefon Ab L M Halvledardiod avsedd att inga i integrerade kretsar
US5146298A (en) * 1991-08-16 1992-09-08 Eklund Klas H Device which functions as a lateral double-diffused insu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or as a bipolar transistor
DE4201276C1 (ko) * 1992-01-18 1993-06-17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JP3581447B2 (ja) * 1995-08-22 2004-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高耐圧半導体装置
JPH10321842A (ja) * 1997-05-15 1998-12-04 Toshiba Microelectron Corp 半導体装置
US6211551B1 (en) * 1997-06-30 2001-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olid-state re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3807A1 (en) * 1984-02-21 1985-08-29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Versatile generic chip substrate
EP0514060A2 (en) * 1991-05-06 1992-11-19 SILICONIX Incorporated DMOS transistor structure & method
US5940700A (en) * 1994-05-31 1999-08-17 Sgs-Thomson Microelectronics, 2 Via C. Olivetti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iode with BCD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8082A1 (en) 2001-10-04
US6933559B1 (en) 2005-08-23
WO2001020682A1 (en) 2001-03-22
KR20010080451A (ko) 2001-08-22
JP2003509867A (ja)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0678A (en) Trench-gated power MOSFET with protective diode
US5998837A (en) Trench-gated power MOSFET with protective diode having adjustable breakdown voltage
US7968936B2 (en) Quasi-vertical gated NPN-PNP ESD protection device
EP0746030B1 (en) Trench-gated power MOSFET with protective diodes in a periodically repeating pattern
KR101654250B1 (ko) 증가된 항복 전압 특성을 갖는 트렌치형 전력 반도체 소자
US5883413A (en) Lateral high-voltage DMOS transistor with drain zone charge draining
US7902604B2 (en) Configuration of gate to drain (GD) clamp and ESD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device breakdown protection
KR100751100B1 (ko) 반도체 디바이스
US8183631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40232510A1 (en) HV-SOI LDMOS device with integrated diode to improve reliability and avalanche ruggedness
JP2023065461A (ja) 半導体装置
KR20080106050A (ko) 쇼트키 다이오드 및 그 형성 방법
US6507050B1 (en) Thyristors having a novel arrangement of concentric perimeter zones
JP2000511353A (ja) 完全空乏領域化ボディ領域を有するロングチャネルトレンチゲート型パワーmosfet
JP2024511552A (ja) 信頼性及び導通が向上したトレンチ型パワー・デバイス
KR100510096B1 (ko) 트렌치-게이트형 파워 mosfet
US7332771B2 (en) Trench-gate semiconductor devices
JP3522887B2 (ja) 高耐圧半導体素子
CN212967714U (zh) 具有沟槽自对准P Plus掩蔽埋层的碳化硅SBD器件元胞结构
US11257919B2 (en) Schottky barrier diode with improved Schottky contact for high voltages
EP0392751A2 (en) High-voltage semiconductor device
CN223040481U (zh) 一种提高功率器件芯片可靠性的外围结构
US20250169128A1 (en) Gate trench power semiconductor devices with deep jfet patterns
JP4142943B2 (ja) 高耐圧半導体素子
US20250142877A1 (en) Gate trench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trench shielding regions and support shields that extend to different dept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