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백 활성을 갖는 도자 (Persicae fructus)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도자의 구성 중 도인을 제외한 나머지인 과피 및 과육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자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자는 세척 후 씨를 제거하고 절단하여, 도자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및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첨가하여 약 10 ℃ 내지 100 ℃에서 약 1시간 내지 4일,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2일 동안 열탕 추출, 환류 순환 추출, 침지 추출 또는 압력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탕 환류 추출 및 침지 추출하여 원심분리, 감압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하여 본 발명의 도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도자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미백효과가 탁월하여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자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첩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미백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들어, 각종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α-토코 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트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 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 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 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카본블랙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 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친산페닐, 살리친산옥틸, 살리친산벤질, 살리친산부틸페닐, 살리친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 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치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3 중량 %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도자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예로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크림, 클렌징밀크, 클렌징로션,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팩, 에프터세이빙크림, 썬텐방지크림, 썬텐용 오일, 바디샴푸, 헤어샴푸, 헤어린스,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 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동물세포주
배양
본 발명에 사용된 동물세포주인 마우스 유래의 멜라노사이트인 멜란-에이 (Melan-a) 세포주는 영국의 베넷박사 (Dr. D.C. Bennett, University of London)로부터 분양받았으며, 2 mM 글루타민 (glutamine), 100 U/㎖ 페니실린 G (penicillin G), 100 ㎍/㎖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Gibco, USA), 10 % 우태아혈청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 100 nM TPA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Sigma, USA)를 포함하는 RPMI 1640 (Gibco, USA) 배지를 첨가하여 37 ℃의 10 % 이산화탄소 및 90 % 공기 조성의 배양기 (CO2 incubator) 내에서 계대배양하면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도자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도자는 충청도 장호원산 공시재료를 구입하여 세척한 후 씨를 제거하고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인 도자 (껍질을 포함한 복숭아 과육) 1 ㎏에 80 % 에탄올을 1: 5 (w/v)의 비율로 첨가하고 혼합 후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3회 반복 환류 추출하여 획득한 추출액을 여지 No.2 (Advantec TOYO, Japan)로 여과한 후 50 ℃에서 회전감압농축기 (Rotary vacuum evaporator ; Heidolph VV2011, Switzerland)로 감압농축한 후에 동결 건조하여 갈색의 도자 에탄올추출물 304 g을 수득하였으며, -20 ℃에 보관하며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하 PFE라 명명함).
실험예
1. 도자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측정 (
in vitro
)
티로시나제 (Tyrosinase; monophenol monooxygenase, E.C.1.14.18.1, Sigma, USA) 저해 활성 측정은 티로시나제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크롬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마사모토 등 (Masamoto Y et al., Planta Med., 40(4), pp361-365, 1980)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100 mM 인산나트륨완충액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1.8 ㎖과 버섯유래의 티로시나제 (mushroom tyrosinase, 120 unit, Sigma, USA) 40 ㎕와 증류수로 100 mg/㎖ 농도가 되도록 녹인 실시예 1의 PFE을 최종 농도가 1, 2, 5 ㎎/㎖이 되도록 첨가하고 최종 2.6 ㎖이 되도록 증류수로 보정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기질로서 6.3 mM 디페닐알라닌 (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 0.4 ㎖을 첨가한 후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 U-3000, Hitachi, Japan)로 475 nm에서 반응액 중 생성된 도파크롬 (Dopachrome)의 변화량을 실온에서 10분간 측정 (time scanning)하여 시료용액 대신 증류수를 첨가한 대조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율(inhibition rate, %)을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FE을 1 ㎎/㎖ 첨가시 12.5 %, 2 ㎎/㎖ 첨가시 34.5 %, 5 ㎎/㎖ 첨가시 43.1 %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였다 (IC50= 5.7 ㎎/㎖). 상기 결과로부터 도자 추출물은 탁월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PFE 처리 농도 (㎎/㎖) |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 |
1 |
12.5 |
2 |
34.5 |
5 |
43.1 |
실험예
2. 도자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측정 (
in
vivo
)
시험관 외 (in vivo)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측정은 도자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인 멜란-에이 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이뤄졌다. 멜라닌 정량은 호소이 등 (Hosoi J et al., Cancer Res., 45(4), pp1474-1478, 1985)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인 멜란-에이 (Melan-a) 세포를 6-웰 플레이트 (6-well plate)에 3× 104 세포수/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48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PFE를 최종농도 1, 2, 5 ㎎/㎖이 되도록 처리하고 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세포를 염화칼슘 (CaCl2), 염화마그네슘 (MgCl2)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 (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2회 세척하고 트립신 (trypsin, Gibco, USA)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각 군당 동일한 수의 세포를 수집하였다. 세포침전물을 염화칼슘 (CaCl2), 염화마그네슘 (MgCl2)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 (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하고 100 ㎕의 10% 디메틸술폭시화물 (DMSO)이 첨가된 1 노르말농도 (N)의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으로 현탁한 후 60 ℃에서 30분간 처리하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합성 멜라닌으로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멜라닌 양을 환산하여 표 2, 도 2 에 나타내었으며 PFE에 의해 갈색의 멜라닌 색소가 감소되는 것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FE를 최종 농도가 1, 2, 5 ㎎/㎖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한 마우스의 멜란-에이 세포주로 상기의 시험방법에 따라 멜라닌 양을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능을 알아본 결과, PFE을 1 ㎎/㎖ 첨가시 4.9 %, 2 ㎎/㎖ 첨가시 12.1 %, 5 ㎎/㎖ 첨가시 62.4 %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멜란-에이 세포주에서의 도자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에 따른 IC50는 2.5 ㎎/㎖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피부미백제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FE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의 멜라닌 색소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또한 도 4에서 기존 미백제로 사용되고 있는 2 mM 알부틴 (α- arbutin, Sigma, USA)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과 유사한 결과를 얻어 본 발명의 PFE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은 상당히 강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FE 처리 농도 (㎎/㎖) |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 |
1 |
4.9 |
2 |
12.1 |
5 |
62.4 |
2 mM 알부틴 |
62.0 |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조성물, 마사지크림 조성물, 로션 조성물, 스킨로션 조성물, 에센스 조성물, 팩 조성물 및 클렌징폼 조성물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
원료명 |
중량 % |
1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1.0 |
2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0 |
3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2.5 |
4 |
마이크로 스탈린 납 |
2.0 |
5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2 |
6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
0.1 |
7 |
밀납 |
2.0 |
8 |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
2.0 |
9 |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
1.0 |
10 |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
5.0 |
11 |
액상 리놀린 |
5.0 |
12 |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
8.0 |
13 |
스쿠알란 |
8.0 |
14 |
농글리세린 |
5.0 |
15 |
1,3-부틸렌글리콜 |
5.0 |
16 |
알란토인 |
0.1 |
17 |
PFE |
10.0 |
18 |
향료 |
미량 |
19 |
황색4호 |
미량 |
20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
원료명 |
중량 % |
1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2.0 |
2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2.5 |
3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5 |
4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2 |
5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
0.1 |
6 |
바셀린 |
3.5 |
7 |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
3.5 |
8 |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
1.8 |
9 |
유동 파라핀 |
35.0 |
10 |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
3.0 |
11 |
옥틸도데칸올 |
5.0 |
12 |
스쿠알렌 |
2.0 |
13 |
농글리세린 |
5.0 |
14 |
PFE |
5.0 |
15 |
히아루로닉애씨드추출물 |
1.0 |
16 |
향료 |
미량 |
17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
원료명 |
중량 % |
1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2.0 |
2 |
스테아린산 |
1.0 |
3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0 |
4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2.0 |
5 |
바셀린 |
1.0 |
6 |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
1.5 |
7 |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
1.0 |
8 |
유동 파라핀 |
5.0 |
9 |
스쿠알렌 |
5.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
0.2 |
11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2 |
12 |
농글리세린 |
5.0 |
13 |
PFE |
15.0 |
14 |
트리에탄올아민 |
0.5 |
15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2 |
16 |
향료 |
미량 |
17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
원료명 |
중량 % |
1 |
글리세린 |
2.0 |
2 |
1,3-부틸렌글리콜 |
2.0 |
3 |
구연산 |
0.01 |
4 |
에탄올 |
15.0 |
5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6 |
PFE |
25.0 |
7 |
향료 |
미량 |
8 |
위치하젤추출물 |
1.0 |
9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
원료명 |
중량 % |
1 |
농글리세린 |
15.0 |
2 |
1,3-부틸렌글리콜 |
5.0 |
3 |
알란토인 |
0.1 |
4 |
에탄올 |
7.0 |
5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15 |
6 |
트리에탄올아민 |
0.15 |
7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8 |
초산토코페롤 |
0.5 |
9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5 |
10 |
PFE |
30.0 |
11 |
향료 |
미량 |
12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
원료명 |
중량 % |
1 |
폴리비닐알코올 |
15.0 |
2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
0.3 |
3 |
농글리세린 |
3.0 |
4 |
알란토인 |
0.1 |
5 |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
0.01 |
6 |
폴리에틸렌글리콜 |
1.0 |
7 |
에탄올 |
6.0 |
8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15 |
9 |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
0.05 |
10 |
디엘판테놀 |
0.1 |
11 |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
0.5 |
12 |
PFE |
45.0 |
13 |
향료 |
미량 |
14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
원료명 |
중량 % |
1 |
스테아린산 |
6.5 |
2 |
미리스틴산 |
28.0 |
3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3.0 |
4 |
프로필렌 글리콜 |
5.0 |
5 |
농글리세린 |
10.0 |
6 |
수산화나트륨 |
7.0 |
7 |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
0.1 |
8 |
태반 추출물 |
0.5 |
9 |
PFE |
15.0 |
10 |
향료 |
미량 |
11 |
정제수 |
잔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