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49059B1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059B1
KR100749059B1 KR1020060081365A KR20060081365A KR100749059B1 KR 100749059 B1 KR100749059 B1 KR 100749059B1 KR 1020060081365 A KR1020060081365 A KR 1020060081365A KR 20060081365 A KR20060081365 A KR 20060081365A KR 100749059 B1 KR100749059 B1 KR 10074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washing
case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중찬
강명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0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수위감지장치 내에 마련되어 세척수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수위감지장치의 케이스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가열된 세척수에서 발생된 습증기가 케이스 상부로 상승하여도 스위치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부식에 의해 스위치가 오작동 될 가능성이 제거되어 식기세척기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케이스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세척행정과 헹굼행정의 각 모드별로 급수에러, 배수에러 및 누수에러 등의 세척조 내의 수위이상을 판단하고 판단된 급수에러, 배수에러, 누수에러 등의 수위이상을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함께 각 모드별로 각각의 에러로 인한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상기 에러들로 인한 식기세척기의 오동작, 손상 또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와 에어브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기세척기본체 2: 세척조
20; 에어브레이크 30: 수위감지장치
32:케이스 33: 플로트
34: 마이크로스위치 35:상부덮개
36:회동레버 37:전극센서
38:리드스위치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조 내부에 급수된 세척수의 수위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조에 적정량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키면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서,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통과, 세척수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와, 세척수를 세척조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펌프 및 노즐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조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수위감지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 내부에는 내부수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구(float)가 설치되고, 이 케이스 상부, 보다 자세하게는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부구와의 접촉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상태변 화를 근거로 하여 세척조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스위치가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세척수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일 경우에는 세척수의 습증기가 케이스 상부로 상승하여 스위치에 접촉됨으로 인해 스위치가 부식되어 스위치가 오작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치가 오작동된 경우, 세척조 내의 수위변화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어 식기세척기가 세척조 내의 잘못된 수위변화정보로 인해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수위감지장치는 식기세척기는 세척조 내의 수위이상을 감지하여 이상발생시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식기세척기가 오작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세척수로 인한 수위감지장치내의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도 세척조 내부의 수위이상을 감지하여 이상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함께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서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와, 급수모드, 세척모드 및 배수모드 수행 중 상기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케이스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이상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이상을 경고하는 경고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는 회동레버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로트에 설치된 자석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하로 복수 개가 나란히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거나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급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통해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면, 누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세척을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면, 배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통해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수행중인 배수를 유지시키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과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과수위 이상일 때 저수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두 개의 전극이 통전되어 온 되도록 마련된 전극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센서가 온 되면, 과급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통해 과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식기세척기는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터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세척수가 제1수위에 도달할 때 상승된 플로트에 설치된 자석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온 되는 리드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 상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세척수가 제2수위에 도달할 때 상승된 플로트에 의해 온 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모드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가 온 되면, 과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거나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급수에러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상기 급수모드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하는 세척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누수에러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누수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상기 세척모드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배수에러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배수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본체(1)는 전방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케이스(1a)와, 외측케이스(1a)와 마찬가지로 전방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외측케이스(1a)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장되어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2)가 마련되는 내측케이스(1b)로 구성되고, 세척조(2)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가 본체(1)의 전면에 힌지 결합된다. 세척조(2) 내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식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상부식기바구니(4a) 및 하부식기바구니(4b)가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식기바구니(4a, 4b)는 그 외부에 롤러(5a, 5b)를 각각 구비하여, 세척조(2) 측벽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안내레일(6a,6b)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 상부식기바구니(4a)의 상부 및 하부식기바구니(4b)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물분사노즐(7; 7a, 7b, 7c)이 설치되며, 상기 각 물분사노즐(7)에는 세척수를 순환공급하는 순환관(8)이 마련된다. 이 순환관(8)에는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10a)이 설치되며, 급수관에는 급수밸브(10)가 설치된다.
세척조(2)의 하부에는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통(9; sump)이 형성된다. 이 집수통(9)에는 집수통(9)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수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이물질이 함유된 세척수를 후술할 에어브레이크로 바이패스(bypass)하기 위해 에어브레이크와 연통되는 제1연결구(9a)가 마련된다.
또한, 세척조(2) 내부의 수위와 후술할 수위감지장치의 수위가 동일하게 되도록 수위감지장치와 연통되는 제2연결구(9b)가 마련된다.
또한, 집수통(9)에 공급된 세척수는 순환펌프(11)에 의해 순환관(8)으로 공급되고, 순환관(8)으로 공급된 물은 물분사노즐(7)을 통해 식기바구니(4a, 4b)에 적재된 식기에 분사된 후, 세척조(2)의 바닥면에 형성된 집수구(12)로 흘러 들어가고 집수통(9)에 설치된 필터(13)를 거쳐 다시 집수통(9)에 모인 후 다시 세척 또는 헹굼작용에 사용된다.
세척 또는 헹굼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4)이 집수통(9)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14)에는 배수밸브(15) 및 배수펌프(16)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내측케이스(1b) 외측면에는 세척조(2)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세척조(2) 내부의 압력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에어브레이크(20)가 설치되고, 에어브레이크(20)의 측면 하부에는 세척조(2)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30)가 설치된다.
에어브레이크(20)는 하부에 급수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급수호스연결구(22)와, 집수통(9)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집수통(9) 내부의 수압 상승으로 세척수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 이물질이 함유된 집수통(9) 내부의 세척수를 에어브레이크(20) 측으로 바이패스(bypass)하여 세척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도록 집수통(9)의 제1연결구(9a)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된 집수통급수연결구(2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세척조(2) 내부의 압력평형과 건조행정 시에 더운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통과구(23)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세척조(2)와 연통되어 공기가 통과되거나 또는 급수호스연결 구(22)에 의해 유입된 수돗물과 집수통급수연결구(21)에 의해 유입된 세척수가 에어브레이크(20) 내에 형성된 급수유로(24)를 따라 상승하다 세척조(2)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세척조연결구(25)가 형성된다.
에어브레이크(20)의 측면에는 급수유로(24)의 일부를 분기하여 수위감지장치(30)로 소량의 물을 공급하는 분지구(26)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감지장치(30)는 수위감지장치(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2)와, 케이스(32)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floater,33)와, 이 플로트(33)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3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케이스(32)의 상부에는 개구를 덮는 상부덮개(35)가 설치된다. 이 상부덮개(35)는 케이스(32)의 상부 일측에 케이스(32)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급수구(39)가 형성되도록 케이스(36) 상부 전체를 덮도록 설치된 것이 아니라 케이스(36)의 상부 일측은 덮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때, 급수구(39)가 형성된 상부덮개가 케이스 상부 전체를 덮도록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케이스(32)의 하부에는 집수통(9)의 제2연결구(9b)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배수구(31)가 형성되어, 급수 중에는 케이스(32) 내부의 수위와 세척조(2) 내부의 수위를 연동되게 하고, 배수 시에는 케이스(32) 내부의 물을 집수통(9)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플로트(33)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마련되어, 케이스(32) 내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배수되어 케이스(32)에 저수된 수위가 변함에 따라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한다.
급수구(39)가 형성된 케이스(32)의 반대편 측면 상부에는 플로트(33)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34)가 설치된다. 이 스위치(34)는 스위치레버(34a)와 스위치단자(34b)가 형성되어 스위치레버(34a)가 스위치단자(34b)와 접촉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이다. 이때, 마이크로스위치(34)는 케이스(34) 내부의 수위가 소정의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소정의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위치(34)를 상부덮개(35)에 설치하던 종래기술과 달리 케이스(32)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스(32)에 온수가 저수되어 온수에서 발생된 습증기가 상부덮개(35) 측으로 상승하더라도 습증기가 마이크로스위치(34)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한다. 이로 인해 스위치레버(34a)와 스위치단자(34b)가 종래와 같이 부식될 염려가 없어 마이크로스위치(34)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위치(34)를 케이스(32)의 측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로트(33)와 마이크로스위치(34) 간에 동작력을 전달해 주는 수단으로 케이스(32)의 상부에 힌지점(36a)을 두고 결합되는 방식, 즉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회동레버(36)가 설치된다. 이 회동레버(36)는 대략 직선형상으로 상부덮개(35)에 형성된 구멍(35a)을 관통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케이스(32) 내측에 위치하여 플로 트(33)가 소정 높이 상승하는 경우에 플로트(33)의 상면(33a)과 접촉하는 회동레버936)의 일단에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플로트(33)의 상승력을 확실히 전달받도록 "U"자형을 이루는 곡선부(36b)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2)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동레버(36)의 타단은 두 부분으로 분기되는데 상부덮개(35)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플로트(33)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회동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회동부(36c)와, 플로트(33)가 상승하여 회동레버(36)가 회동하는 경우에 마이크로스위치(34)의 스위치레버(34a)를 스위치단자(35b)로 가압하는 가압부(36d)로 분기된다.
또한, 상부덮개(35)의 하면에는 케이스(32) 내부의 수위가 과수위까지 상승함에 따라 물에 잠기면 통전되고, 물에 잠기지 않으면 통전되지 않도록 (+)(37a)극과 (-)(37b)극으로 형성된 도체인 전극센서(pole sensor,37)가 설치된다. 이 전극센서(37)의 설치위치는 케이스(32)로 급수된 물이 케이스(32) 상부에 형성된 급수구(39)에 이르기 전에 전극센서(37)를 통전되도록 하여 급수구(39)로 넘쳐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수구(39)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전극센서(37)의 두 개의 전극(37a,37b)는 상부덮개(35)를 관통하여 상부덮개(35)의 하면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전극(37a,37b)와 연결된 센싱부(미도시)는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물에 의해 영향을 받아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덮개(35)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극센서(37)는 케이스(32) 내부의 수위가 소정의 과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소정의 과수위 이상일 때 저수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두 개의 전극이 통전되어 온 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케이스(32) 내부에는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세척수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영향을 받아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32) 내부로 공급된 물과 케이스(32) 측면에 위치한 마이크로스위치(34)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격부(38)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위감지장치(30)는 도 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에어브레이크(2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에어브레이크(20)의 분기구(26)와 수위감지장치(30)의 급수구(39)의 중심(C)이 일치되도록 설치하여 분기구(26)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구(39)로 바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이 제어부(40)의 입력측에는 마이크로스위치(34)와 전극센서(37), 그리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부(40)의 출력측에는 순환펌프(11), 급수밸브(17), 배수밸브(15), 배수펌프(16) 및 세척조(2) 내의 수위이상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경고출력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키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식기세척기를 운전시켜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수행하면서 식기를 세척하고 헹굼하고 건조시킴으로서 식기의 세척을 완료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세척행정과 헹굼행정시 급수밸브(17)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에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모드, 급수 후 순환펌프(11)를 구동하여 급수된 세척조(2) 내의 세척수를 하는 식기에 분사시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모드, 세척 후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 께 배수펌프(16)를 구동하여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드를 각각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급수모드, 세척모드, 배수모드시 마이크로스위치(34)와 전극센서(37)를 통해 각 모드별로 케이스(32)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세척조(2) 내의 수위이상을 판단하고, 수위이상발생시 각각의 에러상태를 경고출력부(60)를 통해 사용자게 경고함과 함께 각각 모드에 맞게 식기세척기의 오작동,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a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서는 케이스(32) 내부에 물이 저수되어 있지 않아 플로트(33)가 하강된 상태, 즉 회동레버(36)가 플로트(33)에 의해 회동력을 전달받지 못하여 회동레버(36)의 가압부(36d)가 마이크로스위치(34)의 스위치레버(34a)를 스위치단자(34b) 측으로 가압하지 못해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off)가 된다.
도 5b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급수시 케이스(32)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플로트(33)가 상승하다가 회동레버(36)의 곡선부(36b)와 접하면 플로트(33)의 상승력이 회동레버(36)에 전달된다.
동시에, 회동레버(36)는 힌지부(36c)가 결합된 힌지점(36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36d)가 마이크로스위치(34)의 스위치레 버(34a)를 스위치단자(34b) 측으로 가압하면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on) 상태가 되는데 이는 급수시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어 최소수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세척조(2) 내에 세척수가 정상 급수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off)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되었다가 다시 오프상태로 전환되게 되는데, 이는 급수시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았거나 공급되었다하더라도 최소수위 미만으로 공급되었거나 최소수위까지 급수되었다고 하더라도 외부 누수요인에 의해 급수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0)는 급수모드시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급수 중 케이스(24)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급수시의 케이스(24)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미만인 경우에는 급수에러로 판단한다. 급수에러로 판단되면, 경고출력부(60)를 통해 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밸브(17)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또한, 정상 급수 후 세척 중에 누수가 발생하면, 케이스(32)내의 수위가 하강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플로트(33)가 하강하면 상기 스위치레버(34a)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수(36d)가 상기 스위치레버(34a)로부터 이격되게 되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Off)상태가 되는데 이는 세척 중에 세척조(2) 내부의 세 척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으로 낮아졌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세척모드시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세척 중 케이스(34)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세척시의 케이스(24)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미만인 경우에는 누수에러로 판단한다. 누수에러로 판단되면, 경고출력부(60)를 통해 누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순환펌프(11)를 정지시켜 세척을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또한, 세척 후 배수시 케이스(32)내의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한다. 하지만,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정상 배수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를 계속유지하거나 오프상태로 전환된 후 다시 온 상태로 전환되는데 이는 배수시 세척조(2) 내부의 세척수의 수위가 최소수위 이상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배수모드시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오프된 후 다시 온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배수 중 케이스(34)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세척시의 케이스(24)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이상인 경우에는 배수에러로 판단한다. 배수에러로 판단되면, 경고출력부(60)를 통해 배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개방중인 배수밸브(15)의 개방상태를 계속 유지함과 동시에 구동중인 배수펌프(16)를 계속 구동시킨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도 5(c)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33)가 회동레버(36)의 의해 상승이 멈춘 상태에서 케이스(32) 내부로 물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수위가 과수위까지 상승하 여 상부덮개(36)의 하부에 설치된 전극센서(37)의 (+)(37a)극과 (-)(37(b)극에 이르면 전극센서(37)는 통전된다.
이와 같이 전극센서(37)가 통전되면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과공급되어 소정의 최소수위를 넘어 범람하기 직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0)는 급수모드시 전극센서(37)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급수 중 케이스(24)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급수시의 케이스(24) 내의 수위가 과수위이상인 경우에는 과급수에러로 판단한다. 과급수에러로 판단되면, 경고출력부(60)를 통해 과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밸브(17)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이때, 과급수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이유는 세척조 내에는 찌꺼기가 가라앉아 있을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세척조 내가 오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수위감지장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33)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33a)이 장착되며, 또 마이크로스위치(34)의 하부에 위치한 케이스(32)의 측면에는 플로트(33)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플로트(33) 내부에 장착된 자석(33a)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리드스위치(38)가 설치된다. 이 리드스위치(38)는 일예로, 자성체로 구성된 한 개조의 리드판이 불활성가스와 함께 유리 관 내에 봉입 된 것으로 플로트(33)에 설치된 자석에서 가해진 자기장의 강약에 의해서 일련의 스위치 작용을 한다. 이 리드스위치(38)는 케이스(32)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되도록 설치되며, 케이스(32)의 측면에 상하로 여러 개가 나란히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32)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이상일 때 여러 개의 리드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스위치가 온 되도록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리드스위치(38)는 케이스(32)의 측면의 상하측으로 소정길이를 커버 가능한 경우 한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플로트(33)의 상승에 의해 회동레버(36)와 접촉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34)는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과수위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고, 플로트(33)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리드스위치는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이상이거나 최소수위 미만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위치(38)는 케이스(32) 내부의 플로트(33)가 리드스위치(38)가 설치된 부분까지 상승하면 플로트(33)에 장착된 자석(33a)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온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 내부로 물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플로트(33)도 계속 상승하다가 회동레버(36)의 곡선부(36b)와 접하면 플로트(33)의 상승력이 회동레버(36)에 전달되어, 회동레버(36)는 힌지부(36c)가 결합된 힌지점(36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36d)가 마이크로스위치(34)의 스위치레버(34a)를 스위치단자(34b) 측으로 가압하여 마이크로스위 치(34)가 온(on) 상태가 되는데 이는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과급수되었음이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이 제어부(40)의 입력측에는 리드스위치(38)과 마이크로스위치(34), 그리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부(40)의 출력측에는 순환펌프(11), 급수밸브(17), 배수밸브(15), 배수펌프(16) 및 세척조(2) 내의 수위이상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경고출력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드스위치(38)를 이용하여 세척행정과 헹굼행정시의 급수모드, 세척모드 및 배수모드시 급수에러, 누수에러, 배수에러를 판단하는 에러판단방식 및 에러조치방식은 도 5b에서 상술한 마이크로스위치(34)를 이용한 에러판단방식 및 에러조치방식과 스위치의 종류만 다를 뿐 작동방식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40)는 급수모드시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급수 중 케이스(24)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급수시의 케이스(24) 내의 수위가 과수위이상인 경우에는 과급수에러로 판단한다. 과급수에러로 판단되면, 경고출력부(60)를 통해 과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밸브(17)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40)는 키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식기세척기를 작동시켜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수행함으로써 식기를 세척과 헹굼한 후 건조시킨다.
이하에서는 세척행정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세척행정의 급수모드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단계 S100에서 급수밸브(17)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로 세척수를 급수한다. 이에 따라, 내부수위가 세척조(2) 내의 수위가 연동된 수위감지장치(30) 내의 케이스(32)에 세척수가 채워진다. 급수 중에 단계 S101에서 수위감지장치(30) 내의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1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 상태이면, 단계 S102에서 급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102에서의 판단결과 급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에 도달하기 전이므로,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 S102에서의 판단결과 급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세척조(2) 내에 세척수가 급수되지 않았거나 급수되었다 하더라도 적은 양이 급수됨으로 인해,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이상이어야 함에도 최소수위미만이므로 급수에러로 판단하여 단계 S103에서 경고출력부(60)를 통해 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단계 S104에서 급수밸브(17)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단계 S105에서 배수 밸브(15)를 폐쇄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101에서의 판단결과, 수위감지장치(30) 내의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이면, 단계 S106에서 전극센서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전극센서(37)가 오프 상태이면, 단계 S108에서 급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8에서의 판단결과 급수가 완료되었으면, 단계 S110에서 급수밸브(17)를 폐쇄시켜 급수를 종료시키고, 급수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100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 후에도 급수를 계속 수행하여 세척조(2) 내의 수위가 정상수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때, 급수가 완료되지 않아 단계 S100로 진행한 후 단계 S1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 상태이면, 최소수위까지 급수된 세척수가 최소수위 미만으로 누수된 것이므로, 단계 S102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여 급수에러를 경고한 후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를 수행시킨다.
한편, 단계 S106에서의 판단결과, 전극센서(37)가 온 상태이면, 세척조(2) 내에 세척수가 과급수되어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과수위에 도달한 것이므로 단계 S107에서 경고출력부(60)를 통해 과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단계 S104로 진행하여 급수밸브(17)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단계 S105에서 배수밸브(15)를 폐쇄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종료시킨다.
급수 종료 후 세척모드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단계 S200에서 순환펌프를 구동시켜 세척조(2)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식기에 분사시킴으로서 식기를 세척한다. 세척 중에 단계 S201에서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2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 상태이면, 세척조(2) 내의 세척수가 누수되어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미만으로 낮아진 것으로 누수에러로 판단하여 단계 S202에서 경고출력부(60)를 통해 누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단계 S203에서 순환펌프를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단계 S204에서 배수밸브(15)를 폐쇄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2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이면, 단계 S205에서 세척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5에서의 판단결과 세척이 완료되었으면, 단계 S206에서 순환펌프(11)를 정지시켜 세척을 종료시키고, 세척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200으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세척이 완료되지 않아 단계 S200으로 진행한 후 단계 S2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 상태이면, 세척 중에 세척조(2) 내의 세척수가 누수된 것이므로 단계 S202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여 누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세척을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를 수행시킨다.
세척 종료 후 배수모드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단계 S300에서 배수밸브(15)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케이스(32) 내부의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 중에 단계 S301에 서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3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오프 상태이면, 단계 S302에서 배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302에서의 판단결과 배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미만이기 전이므로, 단계 S300으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 S302에서의 판단결과 배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세척조(2) 내의 세척수가 배수되지 않았거나 배수되었다 하더라도 적은 양이 배수됨으로 인해, 케이스(32) 내의 수위가 최소수위미만이어야 함에도 최소수위이상이므로 배수에러로 판단하여 단계 S303에서 경고출력부(60)를 통해 배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단계 S304에서 배수밸브(15)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펌프(16)의 구동상태를 유지시킨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3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이면, 단계 S305에서 배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05에서의 판단결과 배수가 완료되었으면, 단계 S306에서 배수밸브를 폐쇄시켜 배수를 종료시키고, 배수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300으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배수가 완료되지 않아 단계 S300로 진행한 후 단계 S301에서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34)가 온 상태이면, 최소수위미만으로 배수되었다가 최소수위이상으로 수위가 다시 상승한 것이므로, 단계 S302로 진행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여 배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수행중인 배수를 유지시킨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종료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위감지장치 내에 마련되어 세척수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수위감지장치의 케이스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가열된 세척수에서 발생된 습증기가 케이스 상부로 상승하여도 스위치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부식에 의해 스위치가 오작동 될 가능성이 제거되어 식기세척기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케이스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세척행정과 헹굼행정의 각 모드별로 급수에러, 배수에러 및 누수에러 등의 세척조 내의 수위이상을 판단하고 판단된 급수에러, 배수에러, 누수에러 등의 수위이상을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함께 각 모드별로 각각의 에러로 인한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상기 에러들로 인한 식기세척기의 오동작, 손상 또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외에 케이스 내의 과수위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세척행정과 헹굼행정의 급수모드시 세척조 내의 세척수의 과급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함께 과급수된 세척수로 인한 식기세척기의 오작동, 손상 또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와,
    급수모드, 세척모드 및 배수모드 수행 중 상기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케이스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이상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이상을 경고하는 경고출력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는 회동레버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로트에 설치된 자석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하로 복수 개가 나 란히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거나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급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통해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면, 누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세척을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면, 배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통해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수행중인 배수를 유지시키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과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과수위 이상일 때 저수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두 개의 전극이 통전되어 온 되도록 마련된 전극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센서가 온 되면, 과급수에러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출력부를 통해 과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터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세척수가 제1수위에 도달할 때 상승된 플로트에 설치된 자석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온 되는 리드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세척수가 제2수위에 도달할 때 상승된 플로트에 의해 온 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모드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가 온 되면, 과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거나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급수에러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상기 급수모드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6.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하는 세척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오프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누수에러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누수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상기 세척모드를 중지시키고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8. 내부 수위가 세척조 내의 수위와 연동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상기 최소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모드시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배수에러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배수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060081365A 2006-08-25 2006-08-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65A KR100749059B1 (ko) 2006-08-25 2006-08-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65A KR100749059B1 (ko) 2006-08-25 2006-08-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059B1 true KR100749059B1 (ko) 2007-08-13

Family

ID=3860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3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9059B1 (ko) 2006-08-25 2006-08-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0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03B1 (ko) 2007-09-04 2009-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WO2010080704A3 (en) * 2009-01-12 2010-09-30 Anacrelico Carl G Washing machine flood prevention system
KR101482023B1 (ko) 2013-09-30 2015-01-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배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652554A (zh) * 2017-03-27 2018-10-16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水位保护装置及洗碗机
JP2021137532A (ja) * 2020-02-28 2021-09-16 ホシザキ株式会社 洗浄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9819A (ja) * 1991-04-05 1992-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の水位検知装置
JPH07136097A (ja) * 1993-11-19 1995-05-30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1346748A (ja) 2000-06-08 2001-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2002000536A (ja) 2000-06-19 2002-01-08 Toto Ltd 食器洗い機
JP2002172081A (ja) 2000-12-06 2002-06-18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KR20190000900U (ko) * 2019-03-07 2019-04-10 문병승 주름 노루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9819A (ja) * 1991-04-05 1992-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の水位検知装置
JPH07136097A (ja) * 1993-11-19 1995-05-30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1346748A (ja) 2000-06-08 2001-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2002000536A (ja) 2000-06-19 2002-01-08 Toto Ltd 食器洗い機
JP2002172081A (ja) 2000-12-06 2002-06-18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KR20190000900U (ko) * 2019-03-07 2019-04-10 문병승 주름 노루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03B1 (ko) 2007-09-04 2009-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WO2010080704A3 (en) * 2009-01-12 2010-09-30 Anacrelico Carl G Washing machine flood prevention system
KR101482023B1 (ko) 2013-09-30 2015-01-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배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652554A (zh) * 2017-03-27 2018-10-16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水位保护装置及洗碗机
JP2021137532A (ja) * 2020-02-28 2021-09-16 ホシザキ株式会社 洗浄機
JP7489828B2 (ja) 2020-02-28 2024-05-24 ホシザキ株式会社 洗浄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148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0913093B1 (ko) 식기세척기
KR101266870B1 (ko) 식기세척기
KR100749059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P2764815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34120B1 (ko) 식기 세척기
US20050236019A1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05266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h washer
KR10105297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105415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1267336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KR20080006230A (ko) 수위감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0635718B1 (ko) 식기 세척기
JP4481215B2 (ja) 食器洗浄機
CN102762141A (zh) 餐具清洗机
KR101267335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감지방법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1581757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10026793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70063B1 (ko) 수위 감지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0910803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0141764B1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장치
KR101241866B1 (ko) 식기세척기
KR101054183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CN100431468C (zh) 洗碗机的空气制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