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47991B1 -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991B1
KR100747991B1 KR1020060043823A KR20060043823A KR100747991B1 KR 100747991 B1 KR100747991 B1 KR 100747991B1 KR 1020060043823 A KR1020060043823 A KR 1020060043823A KR 20060043823 A KR20060043823 A KR 20060043823A KR 100747991 B1 KR100747991 B1 KR 100747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data
portable terminal
screen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익
이영민
표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4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9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의 페이지 이동시 현재 보고 있던 데이터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페이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수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 크기에 맞게 재구성하여 페이지 이동하며 출력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데이터의 페이지 이동시 그 이동된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의 마지막 토큰을 찾아 해당 위치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페이지 구분수단;을 포함한다.
단말기, 브라우저, 페이지 구분, 선, 막대

Description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PAGE PARTITION IN DATA DISPLAY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스크롤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전 페이지의 끝 부분에 페이지 식별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전 페이지의 끝 부분에 페이지 구분선을 표시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페이지 구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RF부 220 : 키입력부
240 : 표시부 260 : 메모리
261 :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262 : 페이지 구분 모듈
270 : 표시부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 및 네트워크 속도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는 단순한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벨소리 다운로드, 이미지 다운로드, 네트워크 게임 등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는 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벨소리 다운로드, 이미지 다운로드, 네트워크 게임 등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표시부는 단말기의 휴대성 추구에 따라 그 절대적 크기가 작아, 한 화면상에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로 뉴스나 신문기사 등의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이용할 때,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표시부는 상기 뉴스, 신문기사 등의 대용량의 텍스트 콘텐츠를 한 화면에 표시하기에는 크기가 작아, 페이지 업/다운 키, 또는 상/하 스크롤 키로 페이지를 이동하며 상기 텍스트 콘텐츠를 보아야 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페이지 업/다운 키, 또는 상/하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이동할 때, 텍스트 데이터는 약 반 페이지 정도씩 이동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페이지가 이동될 때마다 사용자는 이동된 페이지에서 이전에 보던 내용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매번 페이지 이동 때마다 반복적으로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표시부에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할 때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스크롤바 형태의 스크롤 정보가 우측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스크롤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표시부에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될 때 현재 화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전체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지를 스크롤바(101)를 통해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롤바(101) 형태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현재 표시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전체 텍스트 데이터 범위 중 어느 범위에 위치해 있는지 정도만 알려줄 뿐 상술한 바와 같이 반 페이지 기준으로 페이지가 이동할 때 바로 직전에 보던 내용이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지 정확히 알려주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의 페이지 이동시 바로 직전에 보던 데이터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페이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표시수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 크기에 맞게 재구성하여 페이지 이동하며 출력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데이터의 페이지 이동시 그 이동된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의 마지막 토큰을 찾아 해당 위치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페이지 구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재구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되, 현재 화면에 출력 중인 데이터의 마지막 토큰을 저장하는 제1단계;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이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현재 화면에 출력 중인 데이터를 페이지 이동하는 제3단계; 이동된 페이지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저장한 마지막 토큰을 찾아 해당 위치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RF부(200), 키입력부(220), 송수화부(240), 메모리(260), 표시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RF부(200)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한 후 복조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290)로부터 전달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변조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로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시 기지국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웹 서버로부터 전송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 예를 들면 뉴스, 신문 기사 등의 텍스트 데이터는 RF부(200)를 통해 수신되어 메모리부(260)에 저장된다.
키입력부(220)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명령 입력이나 다이얼링 등을 위한 다 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그 키 입력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90)로 전달한다.
송수화부(24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회로로서, 마이크, 스피커를 포함하고, 전기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메모리부(26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모바일 플랫폼, 각종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부(26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Random Access Memory) 및 전기적으로 삭제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변경되지 않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61)은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와 같이 일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들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판독 전용 메모리(ROM)에 저장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에 저장된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삭제되기 전까지 다시 보기가 가능하다.
메모리부(260)에 저장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키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무선 인터넷 웹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예를 들 면 뉴스, 신문 기사 등과 같은 텍스트 콘텐츠, 또는 이미지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표시부(270)에 표시한다. 또한 키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메모리부(26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표시부(270)에 표시한다.
이때, 메모리부(260)의 판독 전용 메모리(ROM)는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의 페이지를 구분하기 위한 선, 막대 등의 식별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User Interface element)를 저장한다. 그리고,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에 구현된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상기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표시부(270)에 표시할 때 이전 페이지의 마지막 콘텐츠 부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페이지 이동시에도 현재 보고 있던 콘텐츠 내용의 위치를 명확히 인식 가능하도록 한다.
즉,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에 일시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 또는 메모리부(260)의 판독 전용 메모리(ROM)에 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파싱한다. 즉, 콘텐츠를 기술한 프로그램 언어 등의 소스를 정해진 문법에 따라 해석한다. 예를 들면, HTML로 기술된 콘텐츠의 경우 HT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참조하여 HTML 문서에 기술되어 있는 구문, 특히 모든 태그(이미지 태그 포함)를 분류하여 각 태그를 파싱한다. 그리고,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파싱된 콘텐츠를 표시부(270)의 화면 크기에 맞게 렌더링한다. 즉, 파싱된 콘텐츠와 위치 정보 파일(예를 들면, CSS, HTML 태그) 등을 이용하여 표시부(27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표시부(270)에 표시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콘텐츠의 데이터 크기는 표시부(270)의 화면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롤 키를 입력하여 페이지를 조금씩 내려가며 콘텐츠 내용을 본다. 사용자의 스크롤 키 입력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대략 반 페이지 정도를 스크롤 다운 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에 구현된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스크롤 다운 되기 이전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마지막 토큰을 기억하고 있다가, 스크롤 다운 되어 표시된 콘텐츠에서 상기 마지막 토큰을 찾아내어 해당 위치에 선, 막대 등의 식별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User Interface element)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화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만을 찾으면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자신이 보아야 할 콘텐츠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페이지 구분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1초 정도 활성화되었다가 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이전 페이지의 끝 부분에 페이지 식별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의 (a)는 이전 페이지 화면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도 3의 (a) 화면을 반 페이지 정도 스크롤 다운 하며 이전 페이지 마지막을 선을 이용하여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며, 도 3의 (c)는 도 3의 (b)와 달리 막대를 이용하여 이전 페이지 마지막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의 (a)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270)에 표시된 텍스트 문서를 모두 본 사용자는 다음 텍스트 문서를 보기 위해 스크롤 다운 키를 입력한다. 그러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현재 표시 중인 텍스트 문서를 약 반 페이지 정도 스크롤 다운하여 화면에 표시 중이던 텍스트 문서의 아래 부분에 다음 텍스트 문서를 이어서 표시한다. 그리고,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기존에 보던 텍스트 문서의 마지막 라인과 스크롤 다운 되어 화면에 표시된 다음 텍스트 문서의 첫 번째 라인 사이에 도 3의 (b)와 같이 선(301)을 표시하거나, 기존에 보던 텍스트 문서의 마지막 라인을 배경 화면과 다른 색의 막대(302)(예를 들면, 음영)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스크롤 다운 되기 이전에 보던 텍스트 문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이전 페이지의 끝 부분에 페이지 구분선을 표시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웹 서버로부터 뉴스를 다운로드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뉴스의 첫 부분으로, 도 4의 (a)에 표시된 뉴스를 모두 읽은 사용자는 스크롤 다운 키를 입력하고, 스크롤 다운 키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약 반 페이지 정도 페이지를 스크롤 다운 한다. 이때,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의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도 4의 (a)에 표시된 뉴스의 가장 마지막 라인을 기억하고 있다가, 도 4의 (b)와 같이 뉴스 기사가 스크롤 다운 되면 상기 마지막 라인의 위치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선(401)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4의 (b)의 뉴스 기사를 모두 읽은 사용자가 다시 스크롤 다운 키를 입력하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다시 약 반 페이지 정도 페이지를 스크롤 다운 한다. 이때도 역시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도 4의 (b)에 표시된 뉴스의 가장 마지막 라인, 즉 "Multimedia CN" 라인을 기억하고 있다가, 도 4의 (c)와 같이 약 반 페이지 정도 페이지가 스크롤 다운 된 화면에 서 상기 기억하고 있는 라인의 아래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선(402)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 문서의 페이지를 넘길 때 이전에 화면에 표시되었던 텍스트 문서의 마지막 라인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표시함으로써, 페이지가 불규칙적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보았던 텍스트 위치를 다시 찾기 위해 화면의 첫 라인부터 다시 읽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페이지 구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고(S50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서버로부터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S503).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파싱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상기 파싱된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505).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에 구현된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현재 표시 중인 콘텐츠의 가장 마지막 토큰을 기억한다(S507).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의 크기, 예를 들면 뉴스 등의 텍스트 문서의 크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콘텐츠를 모두 보기 위해 사용자는 스크롤 키를 입력하여 페이지를 이동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사용자의 스크롤 키 입력에 따라 현재 화면에 표시 중이던 콘텐츠를 반 페이지 정도 스크롤 다운 하고 다음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S509). 예를 들면, 도 4의 (a)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를 모두 본 사용자는 스크롤 키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도 4의 (b)와 같이 텍스트 문서를 반 페이지 정도를 스크롤 다운 하여 표시한다.
이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에 구현된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상기 단계 S509에서 스크롤 다운 되어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에서 상기 단계 S507에서 기억한 마지막 토큰을 찾아 해당 위치에 선, 막대 등의 식별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User Interface element)를 표시한다(S511). 예를 들면, 도 4의 (a)와 같이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의 마지막 라인을 기억해두었다가, 사용자의 스크롤 키 입력에 따라 도 4의 (b)와 같이 다음 페이지를 스크롤 다운 하여 표시하면서 상기 기억해둔 마지막 라인의 위치에 페이지 구분선을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에 구현된 페이지 구분 모듈(262)은 상기 단계 S511에서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마지막 토큰을 다시 기억하고, 다시 사용자의 스크롤 키가 입력되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에 의해 페이지가 스크롤 다운 되면, 그 스크롤 다운 된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에서 상기 다시 기억한 마지막 토큰을 찾아 해당 위치에 선, 막대 등의 식별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모두 볼 때까지 반복 수행되어, 페이지가 이동되더라도 현재 보던 콘텐츠 내용의 위치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식별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약 1초 정도 표시된 후 자동으로 사라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페이지 구분하며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이외 메모리부(26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예를 들면 텐스트 문서, 이미지 등을 페이지 구분하며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61)은 메모리부(260)에 기 저장된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파싱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상기 파싱된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507 내지 단계 S511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작은 화면에 텍스트 문서 등의 무 선 인터넷 콘텐츠를 표시할 때 이전 화면과 다음 화면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식별 요소를 표시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표시수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 크기에 맞게 재구성하여 페이지 이동하며 출력하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데이터의 페이지 이동시 그 이동된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의 마지막 토큰을 찾아 해당 위치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페이지 구분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는,
    선, 막대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구분수단은,
    상기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표시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6. 휴대용 단말기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재구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되, 현재 화면에 출력 중인 데이터의 마지막 토큰을 저장하는 제1단계;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이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현재 화면에 출력 중인 데이터를 페이지 이동하는 제3단계;
    이동된 페이지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저장한 마지막 토큰을 찾아 해당 위치에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는,
    선, 막대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 후 페이지 구분을 위한 식별자를 삭제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 방법.
KR1020060043823A 2006-05-16 2006-05-16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7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823A KR100747991B1 (ko) 2006-05-16 2006-05-16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823A KR100747991B1 (ko) 2006-05-16 2006-05-16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991B1 true KR100747991B1 (ko) 2007-08-08

Family

ID=3860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8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7991B1 (ko) 2006-05-16 2006-05-16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9668A (zh) * 2019-02-26 2020-11-24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项显示方法、装置及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856A (ja) 2003-03-27 2004-10-21 Masaji Ueda 表示された文章の「次行対応マーク」
KR20040107155A (ko) * 2003-06-12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드 아웃 효과를 이용한 표시화면 스크롤 방법
KR100518932B1 (ko) 2005-03-04 2005-10-05 (주)디지탈아리아 Pc문서를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위한처리방법
KR20060004944A (ko) * 2003-04-17 2006-01-16 노키아 코포레이션 하이라이트된 네비게이션과 페이지 변화에 대한 마크를동반하는 스무드 스크롤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856A (ja) 2003-03-27 2004-10-21 Masaji Ueda 表示された文章の「次行対応マーク」
KR20060004944A (ko) * 2003-04-17 2006-01-16 노키아 코포레이션 하이라이트된 네비게이션과 페이지 변화에 대한 마크를동반하는 스무드 스크롤링
KR20040107155A (ko) * 2003-06-12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드 아웃 효과를 이용한 표시화면 스크롤 방법
KR100518932B1 (ko) 2005-03-04 2005-10-05 (주)디지탈아리아 Pc문서를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위한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9668A (zh) * 2019-02-26 2020-11-24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项显示方法、装置及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989668B (zh) * 2019-02-26 2024-05-14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项显示方法、装置及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352B1 (ko) 컨텐츠 탐색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탐색방법
WO2006123513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WO2007004079A1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US873153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therein
US20150103099A1 (en) Electronic device
US8826159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
JP4475408B2 (ja) 表示装置
KR100747991B1 (ko) 데이터 출력시 페이지 구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JP4771731B2 (ja) 文字入力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文字入力処理プログラム
US7979093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preference item therein
JP2010003025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398555B2 (ja) 装置、装置の制御方法
WO2007049132A1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59758B1 (ko)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로딩 진행 정보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
JP2010081590A (ja) 待受画像配信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
KR1008103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4861102B2 (ja) ウェブ表示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20060127466A (ko)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060265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90036749A (ko) 텍스트를 포함하는 컨텐츠 내의 문자열을 이용하여통합검색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93080B1 (ko) 이전/ 이후 아이템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JP2005005812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JP2008205798A (ja) 情報通信端末
KR20080038933A (ko)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6008507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