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44347B1 -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347B1
KR100744347B1 KR1020010066887A KR20010066887A KR100744347B1 KR 100744347 B1 KR100744347 B1 KR 100744347B1 KR 1020010066887 A KR1020010066887 A KR 1020010066887A KR 20010066887 A KR20010066887 A KR 20010066887A KR 100744347 B1 KR100744347 B1 KR 100744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retransmission
importance
constellations
initi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028A (ko
Inventor
김헌기
문용석
윤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347B1/ko
Priority to US10/282,472 priority patent/US7280606B2/en
Publication of KR2003003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347B1/ko
Priority to US11/851,275 priority patent/US7912150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4/00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4/02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 H04B14/04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6Paralle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8Unequal err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 비트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비트들 중 중요한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심벌에 매핑하여 전송하며, 중요도 낮은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심벌들에 매핑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송신/수신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였다.
데이터 통신시스템, 이동통신시스템, 부호화, 복호화, 16 QAM, 64 QAM, 인터리버, SMP, 성상도 재배열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RECEVING DATA IN CDMA MOBILE SYSTEM}
도 1은 8PSK 성상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16QAM 성상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64QAM 성상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5는 종래 중요도에 따른 심벌매핑(SMP) 기술을 사용하는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6은 종래 성상도 재배열(CoRe) 기술을 사용하는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7은 도 6의 구조에 의해 재전송 시 사용하는 심벌매핑 성상도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기 구조 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의 성능과 종래 기술들의 성능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는 그래프.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및 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되는 데이터 비트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데이터 송신 및 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시스템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때 아무런 왜곡이나 잡음이 섞이지 않고 신호를 받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무선망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경우에는 유선망을 통하는 경우보다 왜곡이나 잡음의 영향이 더욱 심하다.
따라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신호의 송신 및 수신에 따른 왜곡이나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왔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에러 컨트롤 코딩(Error Control Coding) 기법이다. 상기 에러 컨트롤 코딩 기법으로 사용되는 코드는 크게 메모리래스(memoryless) 코드와 메모리(memory) 코드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메모리래스 코드로는 선형 블록 코드 등이 있으며, 상기 메모리 코드로는 컨벌루션날(Convolutional) 코드와 터보(Turbo) 코드 등이 있다. 이러한, 상기 코드들을 만드는 장치를 채널 부호화부(Channel Encoder)라 하고, 그 출력은 사용하는 상기 에러 컨트롤 코딩 기법에 따라 정보(systematic) 비트와 잉여(parity) 비트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정보(systematic) 비트와 잉여(parity) 비트로 구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에러 컨트롤 코딩 기법에 사용되는 코드로 대표적인 것이 터보 코드이다. 물론, 상기 터보 코드 외에도 컨벌루션날 코드 중 시스티메틱 컨벌루션날 코드가 출력을 상기 정보(systematic) 비트와 잉여(parity) 비트로 구별한다.
상기 정보(systematic) 비트는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 그 자체를 의미하며, 상기 잉여(parity) 비트는 상기 정보(systematic) 비트의 전송 중 발생한 에러를 디코딩 과정에서 보정하기 위해 채널 부호화 과정에서 추가되는 신호이다. 그러나 이렇게 에러 컨트롤 코딩된 신호라도 정보(systematic) 비트 혹은 잉여(parity) 비트에 군집 에러(Burst Error)가 발생할 경우 이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페이딩(fading) 채널을 통과하면서 자주 발생하며, 이 현상을 방지하는 기법의 하나로 인터리빙(interleaving) 기술이 있다. 상기 인터리빙 기술은 데이터 전송시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한곳에 집중시키지 않고 여러 곳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에러 컨트롤 코딩으로 극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인터리빙(interleaving)된 신호는 디지털 변조기(Digital Modulation)에서 심벌 단위로 매핑(mapping)된다. 상기 심벌 단위의 매핑은 상기 디지털 변조기에서 사용하는 변조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변조방식으로는 QPSK, 8PSK, 16QAM, 64QAM 등이 존재한다. 상기 심벌 단위의 매핑은 I-채널의 값을 x축으로 하고, Q-채널의 값을 y축으로 하는 좌표(이하 "심벌 매핑 좌표"라 칭함)에 있어 상기 심벌의 위치를 지정함을 의미한다. 한편, 심벌 단위의 매핑은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 수와 각 비트들의 값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 수는 각각의 변조방식들에 대응하여 정의되어 있다. 각각의 변조방식들에 대응하여 한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 수는 하기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변조방식 매핑 비트 수
QPSK 2 비트
8PSK 3 비트
16QAM 4 비트
64QAM 6 비트
상기 <표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한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 수는 변조방식의 차수(order)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특히, 변조방식들 중 16QAM 이상의 높은 차수(high order)의 변조방식의 경우, 한 심벌이 4비트(bits)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한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은 심벌 매핑 좌표에 심벌을 매핑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된다. 또한, 한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bits)은 신뢰도(reliability)에 따라 비트 수가 달라진다. 즉,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심벌은 비트 수가 증가하고,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심벌은 비트 수가 감소한다.
이하, 신뢰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각각의 변조방식에 대응된 심벌들이 심벌 매핑 좌표에 매핑되는 예들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변조방식에 따라 한 심벌은 상기 <표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된 해당 심벌은 심벌 매핑 좌표에 있어 특정 좌표를 결정한다. 상기 심벌 매핑 좌표는 X축(I-채널 값)과 Y축(Q-채널 값)상의 위치에 따라 좌/우 혹은 상/하와 같이 4개의 큰(macro) 영역(이하 "사분면"이라 칭함)으로 구분되며, 상기 각각의 사분면은 점차 작은(micro) 영역으로 좁혀 가면서 복조 결정영역을 구분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부호화 비트들 중 일부 부호화 비트들은 상기 심벌 매핑 좌표의 사분면을 지정하며, 나머지 부호화 비트들은 지정된 사분면에서 복조 결정영역을 지정하거나 특정 좌표를 지정한다. 이하 상기 사분면을 구분하기 위한 부호화 비트들을 사분면 결정 비트라 칭하고, 상기 복조 결정영역 또는 특정 좌표를 구분하기 위한 부호화 비트들을 복조 결정 비트라 칭한다. 상기 사분면은 제1사분면 내지 제4사분면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사분면은 I-채널과 Q-채널의 값이 모두 양의 값을 가지는 영역이다. 상기 제2사분면은 I-채널의 값이 음의 값을 가지며, Q-채널의 값이 양의 값을 가지는 영역이다. 상기 제3사분면은 I-채널과 Q-채널의 값이 모두 음의 값을 가지는 영역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4사분면은 I-채널의 값이 양의 값을 가지며, Q-채널의 값이 음의 값을 가지는 영역이다. 상기 복조 결정영역은 사용되는 변조방식에 의해 세분화되어 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채널을 통해 심벌 단위로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 대부분의 오류 발생은 동일 사분면 내의 복조 결정영역들간에서 발생함에 따라 상기 사분면 결정 비트들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보다는 상기 복조 결정 비트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상기 사분면 결정 비트들은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상기 복조 결정 비트들은 상기 사분면 결정 비트들에 비해 낮은 신뢰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즉, 가장 큰 결정영역(사분면)을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높은 신뢰도(high reliability) 비트, 가장 작은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낮은 신뢰도(low reliability) 비트라 하며, 그 외의 비트들은 중간 단계의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각 심벌내의 비트 신뢰도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상기 변조방식들에 대응하여 한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의 비트 신뢰도를 표현한 심벌 매칭 성상도이다. 도 1은 변조방식으로 8PSK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심벌 매핑 성상도이고, 도 2는 변조방식으로 16QAM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심벌 매핑 성상도이며, 도 3은 64QAM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심벌 매핑 성상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8PSK를 사용하는 경우 한 심벌은 3 비트의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된다. 이는 3비트의 부호화 비트들에 의해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심벌 매핑 성상도에서 심벌이 매핑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심벌을 구성하는 3 비트의 부호화 비트들 중 앞에 2 비트는 사분면 결정 비트들이며, 상기 사분면 결정 비트들은 4개의 사분면들 중 어느 하나의 사분면을 지정한다. 그리고 한 심벌을 구성하는 3비트의 부호화 비트들 중 나머지 한 비트의 복조 결정 비트는 해당 사분면에서 특정 위치(좌표)를 지정한다. 예컨대, 한 심벌이 "011"이라는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되면, 사분면 결정 비트들인 "01"에 의해 제2사분면이 지정되며, 복조 결정 비트인 "1"에 의해 상기 제2사분면에서 도 1에서 보이는 특정 위치(좌표)에 해당 심벌이 매핑된다.
16QAM을 사용하는 경우 한 심벌은 4 비트의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된다. 이는 4비트의 부호화 비트들에 의해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심벌 매핑 성상도에서 심벌이 매핑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즉, 4 비트의 부호화 비트들 중 앞에 2 비트는 사분면 결정 비트들이며, 상기 사분면 결정 비트들은 4개의 사분면들 중 어느 하나의 사분면을 지정한다. 그리고 한 심벌을 구성하는 4비트의 부호화 비트들 중 나머지 2 비트의 복조 결정 비트들은 해당 사분면에서 특정 복조 결정영역을 지정한다. 도 2에서는 제1 내지 제4사분면들이 각각 4개의 복조 결정영역들(제1 내지 제4복조 결정영역들)을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한 심벌이 "1011"이라는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되면, 사분면 결정 비트들인 "10"에 의해 제2사분면이 지정되며, 복조 결정 비트인 "11"에 의해 제1 내지 제4복조 결정영역들 중 제2복조 결정영역에 해당 심벌이 매핑된다.
64QAM을 사용하는 경우 한 심벌은 6 비트의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된다. 이는 6 비트의 부호화 비트들에 의해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심벌 매핑 성상도에서 심벌이 매핑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즉, 6 비트의 부호화 비트들 중 앞에 2 비트는 사분면 결정 비트들이며, 상기 사분면 결정 비트들은 4개의 사분면들 중 어느 하나의 사분면을 지정한다. 그리고 한 심벌을 구성하는 4비트의 부호화 비트들 중 나머지 6 비트의 복조 결정 비트들은 해당 사분면에서 특정 복조 결정영역을 지정한다. 도 3에서는 제1 내지 제4사분면들이 각각 4개의 메인 복조 결정영역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메인 복조 결정영역들이 각각 4개의 서브 복조 결정영역들을 가짐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한 심벌이 "101111"이라는 부호화 비트들로 구성되면, 사분면 결정 비트들인 "10"에 의해 제2사분면이 지정되고, 메인 복조 결정 비트인 "11"에 의해 상기 제2사분면을 구성하는 메인 복조 결정영역들 중 좌측 상단의 메인 복조 결정영역을 지정한다. 마지막으로, 서브 복조 결정 비트인 "11"에 의해 상기 지정된 메인 복조 결정영역을 구성하는 서브 복조 결정영역들 중 좌측 상단의 서브 복조 결정영역에 해당 심벌이 매핑된다. 도 3에서는 상기 메인 복조 결정영역들을 굵은 점선으로서 구분하고 있으며, 상기 서브 복조 결정영역은 가는 점선으로 구분하고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변조방식들 각각에서의 심벌의 구조는 하기 <표 2>와 같이 정의된다.
변조방식 심벌 구조
8PSK [H,H,L]
16QAM [H,H,L,L]
64QAM [H,H,M,M,L,L]
상기 <표 2>에서 "H"는 높은 신뢰도를 의미하고, "M"은 중간 신뢰도를 의미하며, "L"은 낮은 신뢰도를 의미한다.
통상적인 고속 하향 패킷 억세스(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 칭함) 무선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기의 개략적 구조는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채널 부호화부, 인터리버(interleaver), 및 변조부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소오스(410)로부터의 N개의 전송 블록들(N Transport Blocks)은 CRC 부(420)로 제공되어 상기 N 개의 전송 블록들 각각에 대응한 CRC 비트들이 추가된다. 상기 CRC 비트들이 추가된 상기 N개의 전송 블록들은 채널 부호화부(430)로 입력되고,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에 의해 상기 N개의 전송 블록들을 구성하는 비트들은 소정 부호화를 통해 부호화 비트들로 출력된다.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는 상기 N개의 전송 블록들을 부호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율을 가진다. 상기 부호화 율은 1/2, 3/4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가 1/6 또는 1/5 모부호기(mother code)를 가지고 코드 심벌 천공 또는 심벌 반복을 통하여 복수의 부호화 율들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지원하는 복수의 부호화 율들 중 사용할 부호화 율을 결정하는 동작이 필요할 것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가 사용할 부호화 율을 결정함에 있어 제어부(460)의 제어를 받아 결정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4와 후술될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레이트 매칭부를 나타내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와 인터리버(440) 사이에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호화 비트들은 레이트 매칭부(Rate Matching)로 입력되고, 상기 레이트 매칭부에 의해 상기 부호화 비트들은 레이트 매칭이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트 매칭은 통상적으로 트랜스 포트 채널 멀티플렉싱이 있거나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들의 수와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트들의 수가 불일치 하는 경우에 상기 부호화 비트들에 대한 반복(Repetition), 천공(Puncturing) 등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설명되는 송신기 구조에서는 상기 레이트 매칭부의 동작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 비트들은 인터리버(Interleaver)(440)로 입력되고, 상기 인터리버(440)에 의해 상기 부호화 비트들은 인터리빙된다. 상기 인터리빙 동작은 데이터 전송 중 버스트 에러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터리빙된 부호화 비트들은 변조부(M_ary Modulator)(450)로 입력되고, 상기 변조부(450)에 의해 상기 인터리빙된 부호화 비트들은 QPSK, 8PSK, 16QAM, 64QAM 등 변조 방식에 따라 심벌 매핑되어 송신된다.
제어부(460)는 현재 무선 채널의 상태에 의해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의 부호화 동작과 상기 변조부(450)의 변조 방식 등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HSDPA 무선 통신시스템의 경우 무선 환경에 따라 변조방식으로 QPSK, 8PSK, 16QAM, 64QAM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상기 제어부(460)로 사용한다. 상술한 도면에서는 보여지고 있지 않지만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월시부호(W), 직교부호(PN) 등을 사용하여 확산함으로써 해당 이동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송신기의 구조에 있어서 부호화 비트들은 정보(systematic) 비트들과 잉여(parity) 비트들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송신기를 구성하는 채널 부호화부(430)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비트들은 정보(systematic) 비트들과 잉여(parity) 비트들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널 부호화부(430)로부터 출력된 정보(systematic) 비트들과 잉여(parity) 비트들의 중요도(priority)는 당연히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전송하는 데이터가 전송 중 소정 비율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정보(systematic) 비트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보다는 잉여(parity) 비트에 에러가 발생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신기에서는 더 정확하게 복호(decoding)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앞에서도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인 데이터 비트들은 정보(systematic) 비트들이며, 잉여(parity) 비트들은 전송 중 발생한 에러를 디코딩시에 보정하기 위해 추가되는 비트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호화 비트들을 소정 변조방식에 의해 심벌 매핑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도가 높은 정보 비트들과 상기 정보 비트들에 비해 중요도가 낮은 잉여 비트들을 차별화 시키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현재 HSDPA 표준화에서 논의되고 있는 중요도에 따른 심벌 맵핑(Symbol Mapping based on Priority, 이하 "SMP"라 칭함) 기술이 있다. 상기 SMP 기술은 부호화 비트들의 중요도와 고차 변조부의 심벌내 신뢰도를 결합하는 기술이다. 상기 SMP 기술의 목적은 중요도가 높은 부호화 비트들은 신뢰도가 높은 비트로 매핑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부호화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비트로 매핑하는 것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비트들이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줄여 줌으로서 수신성능을 높이고자 함이다.
도 5는 상기 SMP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송신기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정보비트(systematic bit)를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비트로 매핑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련의 동작을 통해 채널 부호화부(530)로부터는 부호화 비트들이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로 구분되어 출력된다. 상기 정보비트들은 제1인터리버(540)로 제공되어 상기 정보비트들간에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후 출력되고, 상기 잉여비트들은 제2인터리버(550)로 제공되어 상기 잉여비트들간에 인터리빙이 이루어진 후 출력된다. 즉, 부호화 비트들이 중요도에 따른 심벌 매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인터리버들을 사용하여 정보비트는 제1인터리버(540), 잉여비트는 제2인터리버(550)에서 각각 인터리빙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서로 상이한 중요도를 가지는 정보비트와 잉여비트가 혼합되어 인터리빙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터리빙된 정보비트들과 상기 인터리빙된 잉여비트들은 P/S 변환부(560)로 입력되어 하나의 비트 열로 출력된다. 이때, 부호율에 따라 상기 채널 부호화부(530)로부터의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간의 비트 수가 변화되므로 상기 P/S 변환부(560)는 제어부(580)에 의해 제어되어 진다. 즉, P/S 변환부(560)는 변조방식과 부호율에 따라 상기 분리된 각 인터리버(540, 550)의 출력을 배열한다. 상기 P/S 변환부(560)로부터의 부호화 비트들은 변조부(570)로 제공되며, 상기 변조부(570)는 상기 부호화 비트들을 소정 심벌들에 매핑 시켜 상기 수신기로 전송한다. 상기 변조부(570)의 변조 방식이 8PSK인 경우 상기 부호화 비트들은 [H H L]의 구조를 가지는 심벌에 매핑되며, 16QAM인 경우 상기 부호화 비트들은 [H H L L]의 구조를 가지는 심벌에 매핑된다. 상기 변조 방식이 64QAM인 경우 상기 부호화 비트들은 [H H M M L L]의 구조를 가지는 심벌에 매핑된다.
상기 변조방식들 중 16QAM에 대해 SMP 기술을 적용한 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6QAM과 부호율 1/2이 사용되었다면 채널 부호화부(530)로부터는 동일한 비트수의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이 출력되고, 변조부(570)의 각 심벌은 [H H L L]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2비트의 정보비트들은 높은 신뢰도(H)에 매핑되고, 2비트의 잉여비트들은 낮은 신뢰도(L)에 매핑된다.
두 번째로, 16QAM과 3/4부호율이 사용된다면 채널 부호화부(530)로부터는 3:1의 비율로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이 출력되고, 변조부(570)의 각 심벌은 [H H L L]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3비트의 정보비트들 중 2비트는 높은 신뢰도(H)에 매핑되고, 1비트의 정보비트와 1비트의 잉여비트는 낮은 신뢰도(L)에 매핑된다.
전술한 도 5의 구조에 의해 제안된 SMP 기술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KR) 출원번호 P2001-17925로 선 출원되었습니다.
도 6은 종래 성상도 재배열 기술을 사용하는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성상도 재배열 기술(CoRe-Constellation Rearrangement)은 발전된 재전송기술로 논의되고 있는 재전송 시 고차변조 성상도(constellation)를 재배열(rearrangement)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심벌을 표현하는 비트들의 신뢰도를 평균화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송신기는 통상적인 송신기의 구조에 성상도 재배열 제어기(670)를 추가한 것이다.
도 6에서 데이터 소오스(610) 내지 인터리버(6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도 4의 통상적인 송신기에서 보여지고 있는 구성들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구체적인 동작을 생략한다. 재배열 제어부(670)는 제어부(660)와 함께 수신기로부터 재전송이 요구될 때 이전 전송된 부호화 비트들을 재배열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변조부(650)는 상기 재배열 제어부(67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터리버(640)로부터 인터리빙되어 출력되는 부호화 비트들을 대응하는 성상도에 의해 심벌 매핑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심벌 매핑을 위해 사용되는 성상도는 전송 횟수에 의해 결정되어 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전송 횟수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성상도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초기 전송 및 재 전송에 따라 성상도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a)는 초기전송 시의 성상도를 보이고 있으며, (b)는 첫 번째 재전송 시의 성상도를 보이고 있다. (c)는 두 번째 재전송 시의 성상도를 보이고 있으며, (d)는 세 번째 재전송 시의 성상도를 보이고 있다. 상기 각각의 성상도들은 대응하는 횟수의 전송에서 심벌 매핑에 사용한다. 한편, 상기 세 번째 재전송이 이루어진 후 그 다음 재전송(네 번째 재전송)이 요구될 경우에는 다시 (a)에서 보이고 있는 성상도를 반복하여 사용한다.
도 7의 제1사분면의 심벌들 중 (0 0 1 1)을 표현하는 심벌을 예로 보면, 초기전송 시에는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0 0 1 1)이라는 비트는 우상측의 심벌에 매핑 된다. 첫 번째 재전송 시 상기 (0 0 1 1)이라는 비트는 (b)에서 보이고 있는 성상도의 제3사분면의 좌하측의 심벌에 매핑 되어지고, 두 번째 재전송 시 상기 (0 0 1 1)이라는 비트는 (c)에서 보이고 있는 성상도의 제1사분면 좌하측의 심벌에 매핑 되어진다. 세 번째 재전송 시 상기 (0 0 1 1)이라는 비트는 (d)에서 보이고 있는 성상도의 제3사분면 우상측의 심벌에 매핑 되어진다.
한편, 신뢰도 측면에서 보면 초기전송 시 (0 0 1 1)중 앞의 두 비트 0 0은 제1사분면의 높은 신뢰도(H) 비트임을 알 수 있다. 뒤쪽 두 비트 1 1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L)의 위치에 있다. 상기 첫 번째 재전송 시 제3사분면의 높은 신뢰도 비트는 1 1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재전송 시 제1사분면의 높은 신뢰도 비트는 0 0이며, 상기 세 번째 재 전송 시 제 3사분면의 높은 신뢰도 비트는 1 1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재전송 시 성상도를 재배열함으로써 각 비트들의 신뢰도를 평균화 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16QAM에 국한되었으나 모든 고차변조 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전술한 두 기술, 즉 중요도에 따른 심벌 맵핑(SMP-Symbol Mapping based on Priority) 기술과 발전된 재전송 기술의 하나인 성상도 재배열(CoRe) 기술의 공통점은 심벌의 각기 다른 신뢰도 비트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한편, 다른 점은 첫 번째 기술은 중요도를 신뢰도에 일치시키려는 것이고, 두 번째 기술은 중요도와 관계없이 신뢰도를 평균화 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상도 재배열 기술은 부호화 비트들의 중요도에 의해 심벌 매핑을 수행하는 SMP 기술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상기 성상도 재배열 기술은 재전송 시 부호화 비트들의 중요도와 무관하게 심벌 매핑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요도가 높은 부호화 비트들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부호화 비트들을 구분하여 처리하는 SMP 기술에 대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초기 전송 및 재 전송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수신 확률에 의해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요도에 따른 심벌 매핑 기술과 복합 재전송 기술을 접목시켜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상승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전송과 여러 번의 재 전송이 발생할 경우 정보비트들을 항상 높은 신뢰도에 매핑 시키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전송과 여러 번의 재 전송이 발생할 경우 정보비트들간의 신뢰도를 평균화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비트들의 평균 신뢰도가 잉여비트들의 평균 신뢰도 보다 우위에 있도록 함으로서 차별적 평균화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소정 변조방식에 대응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하기 위해,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동일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에서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가 변경된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초기전송 또는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에 의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초기전송 및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들을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초기 전송 및 재전송 횟수에 의해 선택된 성상도를 기반으로 심벌 매핑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심볼 내에서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도록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소정 변조방식에 대응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동일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에서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가 변경된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초기전송 또는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에 의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초기전송 및 재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들을 부호화하여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채널 부호화부와,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인터리빙하는 제1인터리버와, 상기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인터리빙하는 제2인터리버와, 상기 제1인터리버와 상기 제2인터리버로부터의 출력을 하나의 부호화 비트 열로 출력하는 병/직렬 변환부와, 병/직렬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도록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위치 변경부와, 이전 심벌 매핑을 위해 사용된 성상도와 현재 사용할 성상도를 비교하여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 변경을 위해 상기 위치 변경부를 제어하는 재배열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높은 심벌들로 매핑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낮은 심벌들로 매핑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에 매핑된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부터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기에 의해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변경된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위치 변경부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가 송신기에 의해 변경되었을 시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이전에 수신한 동일한 비트들과 컴바이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4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높은 심벌들로 매핑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낮은 심벌들로 매핑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에 매핑된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부터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가 송신기에 의해 변경되었을 시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변경하는 위치 변경부와, 상기 송신기에 의해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변경된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위치 변경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변경부로부터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이전에 수신한 동일한 비트들과 컴바이닝을 수행하는 컴바이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 전에 본 발명에서 접목하고자 하는 두 기술로서 각 비트별 신뢰도 평균에 목적을 두고 있는 성상도 재배열(CoRe) 기술은 SMP 기술과 대치될 수 있다. 즉, 상기 SMP 기술에 의해 초기 전송 시 정보비트(높은 중요도의 비트)를 높은 신뢰도(H)에 맵핑하였으나 성상도 재배열(CoRe) 기술이 적용될 경우 재전송 시 상기 정보비트(높은 중요도의 비트)가 낮은 신뢰도(L)에 맵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전송 시 정보비트(높은 중요도의 비트)가 낮은 신뢰도(L)에 맵핑되고 잉여비트(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가 높은 신뢰도(H)에 맵핑될 경우 상기 정보비트와 상기 잉여비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항상 정보비트가 높은 신뢰도(H)에 맵핑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재전송 기법은 채널 부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천공패턴(puncturing pattern)에 따라 Chase Combining(CC), Full Incremental Redundancy(FIR), Partial Incremental Redundancy(PIR)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재전송 기법에 따라 약간의 데이터 운영 방식이 다르다. 그 이유는 상기 CC의 경우 초기전송과 재전송 시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어지는 반면, 상기 FIR과 상기 PIR은 다른 형태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한, 상기 FIR은 오직 잉여비트만 전송되는 반면, 상기 PIR은 정보비트와 잉여비트가 동시에 재전송 되기 때문에 SMP 기술을 운영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전송할 정보비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정보비트와 잉여비트를 각각 높은 신뢰도와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로 맵핑하면 된다. 하지만, 전송할 정보비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잉여비트를 임의로 높은 신뢰도와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로 분리하여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구성을 살펴보면, 데이터 소오스(810)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CRC 부(820)로 제공되고, 상기 CRC 부(820)에 의해 에러 정정을 위한 CRC 비트가 상기 데이터에 추가되어 출력된다. 상기 CRC 비트가 추가된 데이터는 채널 부호화부(830)로 제공된다.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는 상기 CRC 부(8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소정 코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소정 코드는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를 부호화함으로써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들과 상기 비트들의 에러 제어 비트들을 출력하도록 하는 코드를 통칭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들은 정보 비트(S)들이며, 상기 에러 제어 비트들은 잉여 비트들(P)이 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코드로는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터보 코드, 시스티메틱 컨벌루션날 코드 등이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부호화부(830)는 모 부호율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복수 개의 부호기들과, 상기 부호기들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비트들에 대해 소정 천공 패턴에 의해 천공을 수행하는 천공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는 Incremental Redundancy(IR)을 재전송 방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천공 패턴들을 구비하고, 재전송 시마다 천공 패턴을 바꾸어서 천공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재전송 방식으로 PI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 재전송 시마다 초기 전송된 정보비트들은 유지하고, 잉여 비트들만이 바뀌어서 출력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천공 패턴들을 가진다. 한편, 상기 재전송 방식으로 FI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초기 전송 시에만 정보비트들을 출력하고, 재전송 시에는 상기 정보 비트들은 모두 천공하고 매 재전송 시마다 서로 다른 잉여비트들이 출력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천공 패턴들을 가진다. 따라서, PI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전송 시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로부터는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이 출력되지만 FI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 전송 시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로부터는 잉여비트들만이 출력된다.
분배기(Distributor)(835)는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로부터의 상기 정보 비트들과 상기 잉여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정보 비트들과 상기 잉여 비트들을 복수의 인터리버들로 분배한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로 두 개의 인터리버들(840, 850)이 존재할 시 상기 분배기(835)는 상기 정보 비트들과 상기 잉여 비트들이 동일한 비트 수를 가지도록 두 개의 비트 그룹들로 분배한다. 예컨대,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에서의 부호율이 1/2 등과 같은 대칭 부호율인 경우 상기 분배기(835)는 정보 비트들을 상기 제1인터리버(840)로 분배하고, 잉여 비트들을 상기 제2인터리버(850)로 분배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분배기(835)는 본 발명에 있어 필수 구성이 아니다. 그 이유는 1/2 등과 같이 대칭 부호율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정보 비트들과 상기 잉여 비트들이 동일한 비트 수로 제공되므로 상기 정보 비트들은 상기 제1인터리버(840)로 제공되며, 상기 잉여 비트들은 상기 제2인터리버(850)로 제공되면 되기 때문이다. 이는 3/4와 같이 비대칭 부호율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제1인터리버(840)와 상기 제2인터리버(850)가 고정 길이가 아닌 가변 길이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분배기(835)는 비대칭 부호율과 가변 길이를 지원하지 않는 제1인터리버(840)와 제2인터리버(850)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필수 구성으로서 요구된다. 상기 필수 구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분배기(835)는 3:1의 비율로 제공되는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정보 비트들로만 이루어진 비트 열을 상기 제1인터리버(840)로 제공하고, 상기 정보 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로 이루어진 비트 열을 상기 제2인터리버(850)로 분배한다. 한편, 초기 전송이 아닌 재전송의 경우 CC 방식과 PIR 방식을 사용할 때 상기 분배기(835)는 전술한 초기 전송의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잉여 비트만을 재전송하는 FIR 방식을 사용할 때 상기 분배기(835)는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로부터 제공되는 잉여비트들을 두 개의 잉여비트 열들로 분배한 후 하나의 잉여비트 열은 상기 제1인터리버(840)로 분배하고, 나머지 하나의 잉여비트 열은 상기 제2인터리버(850)로 분배한다.
상기 제1인터리버(840)는 초기 전송 시 상기 분배기(835) 또는 상기 채널 부호기(830)로부터의 정보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입력되는 정보 비트들을 인터리빙 한다. 상기 제1인터리버(840)는 FIR에 의한 재전송 시에는 상기 분배기(835)로부터 분배되는 잉여비트들을 인터리빙 한다. 상기 제2인터리버(850)는 상기 분배기(835) 또는 상기 채널 부호기(830)로부터의 잉여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입력되는 잉여 비트들을 인터리빙 한다.
병/직렬 변환부(P/S 변환부)(860)는 상기 제1인터리버(840)로부터 인터리빙되어 출력되는 부호화 비트들과 상기 제2인터리버(850)로부터 인터리빙되어 출력되는 부호화 비트들을 병렬로 입력받아 상기 두 부호화 비트들을 하나의 부호화 비트 열로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제1인터리버(840)에 의해 중요도가 높은 부호화 비트들이 인터리빙되고, 상기 제2인터리버(850)에 의해 중요도가 낮은 부호화 비트들이 인터리빙되는 경우 상기 P/S 변환기(860)는 상기 제1인터리버(840)로부터의 입력을 출력한 후 상기 제2인터리버(850)로부터의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요도가 높은 부호화 비트들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부호화 비트들이 교대로 출력되는 비는 상기 사용된 부호율과 변조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이후 수행되는 변조 동작에서 중요도가 높은 정보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심벌에 매핑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상기 변조방식이 16QAM인 경우에는 한 심벌에 4비트의 부호화 비트들이 매핑됨에 따라 2비트의 중요도가 높은 부호화 비트들을 출력한 후 연속하여 2비트의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변조방식이 64QAM인 경우에는 한 심벌에 6비트의 부호화 비트들이 매핑됨에 따라 3비트의 중요도가 높은 부호화 비트들을 출력한 후 연속하여 3비트의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출력한다.
재배열 제어부(890)는 수신기로부터 재전송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 즉 ACK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NACK가 수신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P/S 변환부(860)에서의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의 위치 변경을 수행할지 하지 않을지를 결정하여 위치 변경부(870)를 제어한다.
위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초기 전송의 경우, 상기 위치 변경부(870)는 상기 재배열 제어부(890)의 제어를 받아 상기 P/S 변환부(86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하지만, 위치 변경이 필요한 재전송의 경우, 상기 위치 변경부(870)는 상기 재배열 제어부(890)의 제어를 받아 하나의 심벌을 구성하는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동작하는 상기 위치 변경부(870)는 재전송시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이 변조 심벌 내에서 초기전송 시와 동일한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 위치에 매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재전송 시에도 SMP 기술에 의해 부호화 비트들을 변조 심벌에 매핑하는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함이다. 즉, 재전송 시 중요도가 높은 정보비트들은 초기전송 시와 마찬가지로 높은 신뢰도의 비트 위치에 매핑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잉여비트들은 초기전송 시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의 비트 위치에 매핑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 변경부(870)의 동작은 CC, PIR, FIR에 적용 가능하며, 후술되는 실시 예에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변조부(880)는 상기 위치 변경부(870)로부터의 부호화 비트들을 변조 심벌들에 매핑시켜 상시 수신기로 전송한다. 상기 변조부(880)는 상기 부호화 비트들을 상기 변조 심벌에 매핑함에 있어 심벌 매핑 성상도들을 이용한다. 상기 변조부(880)에서 이용되는 심벌 매핑 성상도는 복수 개가 존재하며, 상기 변조부(880)는 초기전송 시와 재전송 시마다 상기 복수의 성상도를 상기 재배열 제어부(890)의 제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성상도의 예는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다. 도 7에서는 초기전송 시 (a)의 성상도를 사용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하고, 첫 번째 재전송 시에는 (b)의 성상도를 사용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한다. 두 번째 재전송 시에는 (c)의 성상도를 사용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하며, 세 번째 재전송 시에는 (d)의 성상도를 사용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한다. 그 후 네 번째 재전송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a)의 성상도를 사용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한다. 상기 변조부(880)는 상기 초기전송과 재전송 시에 사용할 성상도 관련 정보를 상기 재배열 제어부(89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보이고 있지 않으나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에서는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로부터의 부호화 비트들에 대해 반복(Repetition), 천공(Puncturing) 등의 동작을 통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는 레이트 매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는 이에 대해 생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동작을 도 10의 제어 흐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0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수들에 대해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i : 재전송 횟수(number of re-transmission)
imax : 재전송 최대 수행 횟수(maxium number of re-transmission)
kmax : 천공 패턴의 총 수(number of puncturing pattern)
PPk : 인덱스 k에 대응한 PIR에서의 천공 패턴(Partial IR puncturing pattern according to index k {k=0...kmax-1}
FPk : 인덱스 k에 대응한 FIR에서의 천공 패턴(Full IR puncturing pattern according to index k {k=0...kmax-1}
j : 성상도를 결정하는 인덱스(determinated index of constellation)
jmax : 성상도의 총 수{number of constellations}
Mj : 인덱스 j에 대응한 성상도{constellation according to index j {j=0...jmax-1}
1010단계에서 재전송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i를 0으로 초기화하고,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변조를 위해 사용할 하나의 성상도를 선택하기 위한 값 j를 0으로 초기화한다. 상기 초기화가 이루어지면 10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기로부터의 재전송 요청에 따른 재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1012단계에서 재전송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1014단계 내지 1026단계에 의해 초기 전송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1012단계에서 재전송이라고 판단되면 1028단계 내지 1056단계에 의해 재전송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초기 전송에 따른 동작은 SMP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상기 재전송에 따른 동작은 CC, PIR, FIR 각각에 따른 동작을 보이고 있다.
초기전송에 따른 동작
초기전송이라 판단되면 1014단계에서 CRC 부(820)는 데이터 소오스(8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CRC 비트를 추가하며, 상기 CRC 비트가 추가된 데이터는 채널 부호화부(830)로 제공된다. 상기 CRC 비트가 추가된 데이터는 1016단계에서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에 의해 소정 모 부호율에 의해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모 부호율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로 구성된 부호화 비트들은 1018단계에서 초기전송에 따른 천공 패턴 P0에 의해 천공이 이루어진 후 소정 부호율에 따른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로 구성된 부호화 비트들이 출력된다.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로 구성된 부호화 비트들은 분배기(835)로 제공되며, 1020단계에서는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이 상기 분배기(835)에 의해 분리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정보비트들은 제1인터리버(840)로 분배되며, 상기 잉여비트들은 제2인터리버(850)로 분배된다. 1022단계에서는 상기 분배된 정보비트들은 상기 제1인터리버(840)에 의해 인터리빙되고, 상기 분배된 잉여비트들은 상기 제2인터리버(850)에 의해 인터리빙된다. 상기 각각의 인터리버에 의해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의 인터리빙이 이루어지면 1026단계에서 변조부(880)에 의한 심벌 매핑이 이루어진다. 상기 변조부(880)는 상기 인터리빙된 정보비트들과 상기 인터리빙된 잉여비트들에 대한 심벌 매핑을 위해 소정의 성상도를 사용한다. 상기 성상도는 상기 초기화된 j에 의해 M0의 성상도가 사용될 것이다. 상기 초기전송에 따른 성상도의 일 예는 도 7의 (a)에서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초기전송 시에 1024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것은 초기전송 시에는 동일한 데이터가 이전에 전송된 적이 없음에 따라 비교할 심벌 구조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1024단계에서 동일 심벌 구조인지를 판단하는 상세한 동작은 후술될 재전송에 따른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재전송에 따른 동작(CC의 경우)
상기 1012단계에서 재전송이라고 판단하면 102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를 1 증가시키고, 10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를 imax와 비교하여 상기 i가 상기 imax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imax는 재전송 횟수를 제한하기 위한 값으로, 재전송 최대 수행 횟수를 의미한다. 만약, 상기 1030단계에서 상기 i가 상기 imax보다 같거나 크다면 모든 재전송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1014단계로 진행하여 초기전송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1030단계에서 상기 i가 상기 imax보다 작으면 1032단계로 진행하여 재 전송할 데이터를 버퍼로부터 독출한다. 상기 버퍼는 도 8에서 도시하고는 있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재전송을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의 경우에는 재전송을 대비하여 ACK가 수신되기 전의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재 전송할 데이터를 독출하면 1034단계로 진행하여 재전송 방식이 CC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재전송 방식이 CC인 경우에는 초기 전송한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그대로 재 전송하여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고 IR인 경우에는 전송할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에 대한 변경이 요구된다. 본 과정에서는 재전송 과정이 CC인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고 재전송 과정이 IR인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1034단계에서 재전송 방식이 CC라고 판단되면 1036단계로 진행하여 이번 재전송 시 심벌 매핑에 사용할 성상도를 결정한다. 상기 사용할 성상도를 결정하는 인덱스 j는 상기 i값을 jmax로 모듈러 연산을 취한 결과 값에 의해 결정한다. 따라서, CC에 의한 재전송에 있어 상기 j는 1 내지 jmax범위에서 결정되며, 상기 jmax개의 성상도들이 순환되어 사용된다. 상기 j가 0을 가지는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초기전송의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jmax는 심벌 매핑에 사용 가능한 총 성상도 수를 의미하며, 도 7에 의하면 상기 jmax는 4로 설정된다. 따라서, 재전송 방식이 CC인 경우에는 매 재전송 시마다 심벌 매핑을 위한 성상도가 바뀜을 알 수 있다.
상기 1036단계에서 심벌 매핑에 사용할 성상도를 지정하는 인덱스 j가 결정되면 1016단계 내지 1022단계를 통해 초기전송 시와 동일한 채널 부호화 과정에서부터 인터리빙 과정까지를 수행한다. 상기 1022단계에 의해 인터리빙이 이루어지면 10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재전송 이전에 전송한 심벌 구조와 이번에 전송할 심벌 구조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심벌 구조는 부호화 비트들이 매핑되는 위치들과 신뢰도의 관계를 의미한다. 예컨대, 16QAM의 경우 통상적으로 [H H L L]의 심벌 구조를 가지며, 상기 "H"에 매핑되는 앞쪽 두 개의 부호화 비트들은 성상도의 사분면을 결정한다. 하지만, 재전송 시에 사용되는 성상도들은 상기한 심벌 구조와 동일한 심벌 구조를 가지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재전송 시에 사용되는 심벌 구조는 [L L H H]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H"에 매핑되는 뒤쪽 두 개의 부호화 비트들은 성상도의 사분면을 결정한다. 즉, 상기 성상도를 구성하는 심벌들의 구조는 초기전송 및 재전송 횟수에 의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재전송 시 SMP 기술을 접목하여 정보비트들을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 위치에 매핑하기 위해서는 상기 심벌 구조가 상기 재전송 이전에 전송한 심벌 구조와 상이한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변조방식들 중 16QAM에서 사용되는 성상도를 보이고 있는 도 7을 참조하여 심벌 구조가 상이한지를 판단하는 예를 살펴보면, (a)에서의 성상도에서는 각 심벌에 매핑된 4개의 부호화 비트들 중 앞쪽 두 비트가 사분면을 결정하는 "H"에 매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앞쪽 2비트가 "00"인 경우는 제1사분면을 가리키며, 앞쪽 2비트가 "10"인 경우에는 제2사분면을 가리킨다. 또한, 앞쪽 2비트가 "11"인 경우에는 제3사분면을 가리키며, 앞쪽 2비트가 "01"인 경우에는 제4사분면을 가리킨다. 하지만, 첫 번째 재전송 시에 사용되는 (b)에서의 성상도에서는 각 심벌에 매핑된 4개의 부호화 비트들 중 뒤쪽 두 비트가 사분면을 결정하는 "H"에 매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뒤쪽 2비트가 "00"인 경우는 제1사분면을 가리키며, 뒤쪽 2비트가 "10"인 경우에는 제2사분면을 가리킨다. 또한, 뒤쪽 2비트가 "11"인 경우에는 제3사분면을 가리키며, 뒤쪽 2비트가 "01"인 경우에는 제4사분면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성상도의 예는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마다 심벌 구조가 [H H L L]에서 [L L H H]로, 다시 [L L H H]에서 [H H L L]로 반복적으로 변경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재전송에 있어 홀수 번째 재전송 시에는 심벌 구조가 초기전송 시에서 변경되며, 짝수 번째 재전송 시에는 심벌 구조가 초기전송 시와 동일하다.
상기 1024단계에서 상기 재전송 이전에 전송한 심벌 구조와 재전송에 따른 상기 j에 의해 결정된 성상도에서의 심벌 구조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103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3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재전송 이전에 전송한 심벌 구조와 재전송에 있어 현재 사용할 심벌 구조가 동일하지 않음으로 인해 SMP 기술에 대치되지 않도록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의 위치를 바꾸어 출력한다. 이를 위해 위치 변경부(870)는 P/S 변환부(860)로부터 통보된 상기 재전송 이전에 전송한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의 위치를 바꾸어 출력한다. 예컨대, 초기전송 시에 [H H L L]의 심벌 구조를 사용하였으나 첫 번째 재전송 시 [L L H H]의 심벌 구조로 변경되었다면 두 개의 잉여비트들을 출력한 후 두 개의 정보비트들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잉여비트들이 상기 심벌 구조에 있어 "L"의 위치에 매핑되도록 하고, 상기 정보비트들이 상기 심벌 구조의 "H"에 매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두 번째 재전송 시 [H H L L]의 심벌 구조로 변경되었다면 두 개의 정보비트들을 출력한 후 두 개의 잉여비트들을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의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면 변조부(880)는 1026단계에서 상기 위치 변경부(870)로부터의 상기 위치 변경된 잉여비트들과 상기 정보비트들을 상기 j 번째 성상도(Mj)에 따른 변경된 심벌 구조에 매핑하여 출력한다. 이로 인해, 위치가 변경된 상기 2비트의 잉여비트들은 상기 변경된 심벌 구조에 있어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 "L"에 매핑될 것이며, 위치가 변경된 상기 2비트의 정보비트들은 상기 변경된 심벌 구조에 의해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H"에 매핑될 것이다.
전술한 과정에서는 CC를 이용한 재전송 시 초기전송 시와 동일한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상기 초기전송 시와 상이한 심벌 구조를 통해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초기전송 시의 상기 정보비트들의 위치와 상기 잉여비트들의 위치를 SMP 기술에 위배되지 않도록 상기 재전송에 따른 심벌 구조에 맞추어 변경한다.
재전송에 따른 동작(PIR의 경우)
상기 1034단계에서 재전송 방식이 CC가 아닌 경우에는 104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재전송 방식이 CC가 아니라는 것은 상기 재전송 방식으로 IR이 사용됨을 의미한다. 상기 IR에 의한 재전송은 초기 전송된 정보비트들 및 잉여비트들과 상이한 정보비트들 및 잉여비트들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040단계에서는 IR에 따라 전송할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얻기 위한 천공 패턴을 선택하는 인덱스 k를 결정한다. 상기 k는 상기 i를 kmax로 모듈러 연상을 취한 결과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IR에 의한 재전송에 있어 상기 k는 0 내지 kmax-1의 범위에서 결정되며, 상기 kmax개의 천공 패턴들이 모두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천공 패턴들은 반복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kmax는 IR에서 각각 사용되는 천공 패턴들의 총 수를 의미한다. 상기 IR은 PIR과 FIR로 구분되며, 상기 kmax개의 천공 패턴들은 상기 PIR과 FIR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천공 패턴들에는 초기전송 시에 사 용된 천공 패턴 P0도 포함된다.
상기 k가 결정되면 1042단계에서 상기 k가 "0"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k가 "0"인 경우는 한번의 초기 전송과 kmax-1번의 재전송을 수행하였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IR의 경우 최대 4개 내지 6개의 다른 천공패턴들을 사용한다. 예컨대, 상기 Kmax가 "6"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6개의 천공 패턴들에 의해서는 한번의 초기전송과 다섯 번의 재전송이 수행될 것이며, 이때 상기 i는 "6"을 가짐에 따라 k는 "0"으로 계산된다. 본 발명에서 SMP 기술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성상도 재배열 기술에 있어 I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천공패턴들에 의한 재전송들에 한해서는 동일한 성상도에 의해 심벌 매핑을 수행한다. 즉, IR의 경우는 천공 패턴들의 순환되어 사용됨으로서 처음 천공 패턴으로 돌아오는 시점에서 심벌 매핑 성상도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k가 "0"이라고 판단되면 1046단계로 진행하여 복수의 성상도들 중 다음 성상도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j를 새로이 결정한다. 상기 j는 현재 j를 1 증가시킨 후 이를 jmax로 모듈러 연산을 취하여 얻어지는 결과로서 결정한다.
상기 k가 "0"이 아니거나 상기 j가 새로이 정의되면 1044단계에서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는 소정의 모 부호율에 의해 재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서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로 구성된 부호화 비트들을 출력한다. 상기 부호화가 이루어지면 1048단계에서 상기 IR이 PIR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IR이 PIR로 결정되면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는 1050단계에서 상기 PIR에 대응하여 결정되어 있는 천공패턴들 중 상기 k에 대응하는 천공패턴 PPk에 의해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로 구성된 부호화 비트들을 천공한다. 상기 천공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1020단계로 진행하여 분배기(835)는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로 구성된 부호화 비트들을 제1인터리버(840)와 제2인터리버(850)로 분배한다. 상기 분배된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은 상기 제1인터리버(840)와 상기 제2인터리버(850) 각각에 의해 상기 1022단계에서 인터리빙된다. 상기 인터리빙된 정보비트들과 상기 인터리빙된 잉여비트들은 P/S 변환부(860)에 의해 하나의 비트 열로서 상기 위치 변경부(870)로 제공된다. 상기 위치 변경부(870)는 상기 1024단계와 상기 1038단계에 의해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간의 위치 변경이 요구될 시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한다. 하지만, 상기 위치 변경부(870)는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의 위치 변경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면 입력된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을 그대로 출력한다. 상술되고 있는 PIR에 있어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는 상기 1042단계에서 k가 "0"이라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상기 k가"0"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이전에 전송한 성상도와 현재 재전송하고자하는 성상도가 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위치 변경부(870)로부터의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이 변조부(880)로 제공되면 상기 변조부(880)는 상기 1026단계에서 복수의 심벌 매핑 성상도들 중에서 상기 j에 대응하는 심벌 매핑 성상도에 의해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에 대한 심벌 매핑을 수행한다.
전술한 과정에서는 PIR을 사용한 성상도 재배열 기술에 있어 SMP 기술을 접목할 시의 동작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k번째 재전송 시 모 부호율에 의해 부호 화된 부호화 비트들은 k번째 천공패턴에 의해 천공된 후 인터리빙되어 j번째 심벌 매핑 성상도를 이용하여 심벌 매핑된다.
재전송에 따른 동작(FIR의 경우)
상기 1048단계에서 IR이 PIR이 아니면 105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IR이 FIR로 결정되면 상기 채널 부호화부(830)는 상기 1052단계에서 상기 FIR에 대응하여 결정되어 있는 천공패턴들 중 상기 k에 대응하는 천공패턴 FPk에 의해 모든 정보비트들과 일부 잉여비트들을 천공한다. 상기 천공 과정이 완료되면 105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분배기(835)는 상기 천공에 의해 출력되는 잉여비트들을 제1인터리버(840)와 제2인터리버(850)로 분배한다. 상기 분배된 상기 잉여비트들은 상기 제1인터리버(840)와 상기 제2인터리버(850) 각각에 의해 1056단계에서 인터리빙된다. 상기 인터리빙된 잉여비트들은 상기 P/S 변환부(860)에 의해 하나의 비트 열로서 상기 위치 변경부(870)를 통해 상기 변조부(880)로 제공된다. 상기 FIR에 있어 상기 위치 변경부(870)는 상기 잉여비트들에 대한 위치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변조부(880)는 상기 1026단계에서 복수의 심벌 매핑 성상도들 중에서 상기 j에 대응하는 심벌 매핑 성상도 Mj에 의해 상기 잉여비트들에 대한 심벌 매핑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 구성을 살펴보면, 복조부(910)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의 변조부(880)에서 사용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복조부(910)는 심벌 매핑된 비트들을 상기 복조 방식에 따른 복조를 통해 다시 비트 단위의 정보를 위치 변경부(920)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910)에서 사용되는 복조 성상도는 송신기에서 사용된 성상도를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므로 재배열 제어기(990)의 제어를 받는다. 만약, 재전송 시 상기 송신기에서 정보비트들을 높은 신뢰도(H)의 비트 위치에 매핑하기 위해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였다면 수신기에서는 상기 위치 변경에 대응한 위치 변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송신기에서 이루어진 위치 변경을 원 상태로 복원해야 하며, 이러한 동작은 위치 변경부(920)에서 수행한다. 한편, 상기 위치 변경부(920)는 상기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기(985)로부터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위치 변경부(920)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비트들은 컴바이너(930)로 제공되며, 상기 컴바이너(930)에 의해 이전에 수신된 동일 부호화 비트들과의 비트 단위로의 컴바이닝이 이루어진 후 출력된다. 즉, CC를 이용한 재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컴바이너(930)는 부호화 비트들이 수신될 때마다 비트 단위의 컴바이닝을 수행한다. PI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보비트들에 대해서는 매 전송 시마다 컴바이닝을 수행하며, 잉여비트들에 대해서는 소정 주기를 가지고서 컴바이닝을 수행한다. 한편, FI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전송 시 잉여비트들로만 전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수신되는 잉여비트들에 대해 소정 주기로 컴바이닝을 수행한다. 상기 소정 주기는 상기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천공패턴이 반복하여 사용되는 주기로서 결정된다. 상기 컴바이너(930)로부터 출력은 다시 중요도에 따라 분리하여야만 독립된 디인터리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컴바이너930)로부터의 출력은 하나의 비트 열로서 S/P 변환부(940)로 입력된다. 상기 S/P 변환부(940)는 상기 부호화 비트 열을 스위칭하여 병렬로 출력한다. 일 예로서 상기 송신기의 변조부(880)가 16QAM을 변조 방식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S/P 변환부(940)는 심벌 단위로 스위칭함에 있어 한 심벌에 매핑된 최초 2 비트는 제1디인터리버(950)로 출력하며, 다음 2 비트는 제2디인터리버(96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송신기의 변조부(880)가 64QAM을 변조 방식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S/P 변환부(940)는 심벌 단위로 스위칭함에 있어 한 심벌에 매핑된 최초 3 비트는 상기 제1디인터리버(950)로 출력하며, 다음 3 비트는 상기 제2디인터리버(960)로 출력한다. 하지만, 상기 S/P 변환부(940)는 상기 송신기가 비대칭의 부호화 율과 가변 길이를 가지는 인터리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 길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는 상기 S/P 변환부(940)가 상기 송신기의 제1인터리버(840)의 길이만큼의 부호화 비트들을 제1디인터리버(950)로 출력하고, 상기 송신기의 제2인터리버(850)의 길이만큼의 부호화 비트들을 제2디인터리버(960)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디인터리버(950)와 상기 제2디인터리버(960)는 상기 S/P 변환부(940)로부터의 부호화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부호화 비트들에 대한 디인터리빙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디인터리버(950)와 상기 제2디인터리버(960)의 디인터리빙 동작은 상기 송신기의 인터리버들(840,850)에서 수행되는 인터리빙 동작에 대응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1디인터리버(950)와 상기 제2디인터리버(960)는 상기 송신기의 인터리버들(840,850)이 수행하는 인터리빙 패턴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함에 따라 상기 인터리빙 패턴 정보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사전에 약속하여야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송신기가 상기 인터리빙 패턴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통신이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상기 수신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SMP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디인터리버(950)는 정보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정보비트들을 디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디인터리버(960)는 잉여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잉여비트들을 디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채널 복호화부(970)는 상기 상기 제1디인터리버(950)와 상기 제2디인터리버(960)로부터의 부호화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부호화 비트들을 소정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화 하여 원하는 수신 비트들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소정 복호화 방식으로는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정보비트들을 복호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이 경우 상기 잉여비트들은 상기 정보비트들의 에러정정에 사용된다. 상기 수신기의 복호화 방식은 상기 송신기의 부호화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CRC 검사부(980)는 상기 채널 복호화부(970)로부터 복호되어 출력되는 부호화 비트들에 포함된 CRC 비트들을 체크하여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며, 오류로 인한 재전송이 요구되면 NACK를 상기 송신기로 전송한다. 하지만, 오류 없이 수신 비트들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면 확인 신호로서 ACK를 상기 송신기로 전송한 후 다음 데이터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중요도가 높은 부호화 비트들(정보비트들)은 초기전송뿐만 아니라 재전송 시에도 높은 신뢰도의 비트 위치에 매핑하여 전송하 고,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의 부호화 비트들(잉여비트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의 비트 위치에 매핑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성상도 재배열(CoRe) 기술을 통해 재전송 시 비트들간 신뢰도를 평균화함에 있어 정보비트들은 높은 신뢰도(H) 위치에서만 평균화되고, 잉여비트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L) 위치에서만 평균화함으로써 상기 정보비트들의 평균 신뢰도를 상기 잉여비트들의 평균 신뢰도 보다 우위에 있도록 한다.
도 11은 전술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를 적용하였을 시 종래 기술과의 성능 차이를 그래프로서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기존의 재전송 기술인 체이스 컴바이닝(Chase combining) 기술, 현재 논의되고 있는 중요도에 따른 심벌매핑 기술(SMP)과 성상도 재배열 기술(CoRe), 그리고 본 발명의 중요도에 따른 차별적 평균화 기술의 성능비교를 전송량(throughput)에 의해 비교되었다. 이때, 상기 각 기술들은 IR과도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으나 도 11에서 보이고 있는 바는 기본적으로 CC와 결합된 결과이다. 상기 CC와 비교할 때 SMP는 0.1-0.3dB의 이득을 보이며, 성상도 재배열 기술(CoRe)은 0-0.5dB의 이득을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기 두 기술을 접목한 경우에는 0.3-2.3dB의 큰 상승효과를 보이고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MP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사분면간의 신뢰도만을 감안하였다. 하지만, 사분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심벌들간에도 신뢰도의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사분면 내의 심벌들에 대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P 기술과 성상도 재배열 기술을 접목시켜 적용함으로서 다른 실 시 예로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성상도들에서 각 사분면내에 심벌들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비트들을 높은 신뢰도(H) 비트(도 2, 도 3의 i1 )라 정의했다. 이는, 각 심벌이 큰(macro) 결정 범위인 사분면을 넘어 수신되었을 때만 오류를 범하는 비트이기 때문에 사분면 내에서 결정되는 낮은 신뢰도 비트보다 오류율이 낮다. 하지만 각 사분면 내의 고신뢰도(H) 비트들 간에도 신뢰도가 다른 것은 당연하다. 도 2를 참고하여 다시 설명하면 각 사분면의 4개의 심벌들이 모두 초기 2비트를 동일하게 가지고 있고, 이 높은 신뢰도 비트는 사분면을 넘을 때 오류를 범한다 했다. 그러므로 사분면의 축으로부터 가까이 있는 심벌은 사분면의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심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L)를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4개의 심벌은 3단계의 신뢰도들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즉, 두 축에 모두 가까운 심벌이 가장 낮은 신뢰도를, 한 축에 가깝고 다른 한 축에 먼 두 심벌들은 중간 단계의 신뢰도를, 그리고 두 축에서 모두 멀리 있는 한 심벌은 가장 높은 신뢰도를 갖게 된다.
만약 재전송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중요도에 따른 심벌 맵핑(SMP-Symbol Mapping based on Priority) 기술을 적용한다 해도 모든 정보비트들이 가장 높은 신뢰도를 갖는 심벌로 전송되는 경우는 1/4의 확률 밖에 되지 않는다. 물론 이 경우도 정보비트들이 높은 신뢰도에 매핑 되었기 때문에 충분한 이득이 있음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재전송 시 높은 신뢰도(H)에 매핑된 정보비트들 간에 높은 신뢰 도(H)를 평균화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그러므로 비트들의 중요도에 따라 초기 전송 시부터 높은 신뢰도(H)와 낮은 신뢰도(L) 위치에 나뉘어 매핑하고, 재전송 시 각각 높은 신뢰도(H)와 낮은 신뢰도(L)가 독립적으로 평균화되어 각 신뢰도별 차별적 평균화를 이루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높은 신뢰도의 심벌에 매핑함으로서 에러 컨트롤 코딩(error-control-coding)과 변복조 기술 및 데이터 전송분야에서 탁월한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심벌 맵핑(SMP-Symbol Mapping based on Priority) 기술과 발전된 재전송 기술인 성상도 재배열(CoRe) 기술이 결합되어 큰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중요도가 높은 비트는 잡음이나 환경에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받는 높은 신뢰도 비트로 변조되며 재전송 시 높은 신뢰도 비트간의 신뢰도 평균에 의해 더욱 큰 성능 이득이 얻어진다. 즉 기존의 시스템 보다 패킷 에러율(FER)을 낮추면서 시스템 전반의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 등 모든 송수신 장치에 응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현재 진행중인 3세대 무선통신(IMT-2000)에 활용된다면 시스템 전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중요도가 높은 비트는 잡음이나 환경에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받는 높은 신뢰도 비트로 변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즉 기존의 시스템 보다 비트 에러율(BER)을 낮추면서 시스템 전반의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 다.

Claims (26)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소정 변조방식에 대응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하기 위해,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동일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에서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가 변경된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초기전송 또는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에 의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초기전송 및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들을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초기 전송 및 재전송 횟수에 의해 선택된 성상도를 기반으로 심벌 매핑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심볼 내에서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도록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소정 모 부호율에 의해 부호화하여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에 의해 결정한 천공 패턴으로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을 천공하여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로 상기 천공이 이루어진 정보비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 상기 천공이 이루어진 잉여비트들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상기 초기전송 및 상기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는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체이스 컴바이닝인 경우 상기 초기전송을 포함한 재전송 횟수를 상기 성상도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상기 초기전송 및 상기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는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IR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이용한 재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반복하여 사용할 시 이전에 사용된 성상도를 가리키는 인덱스에 1을 증가한 값을 상기 성상도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체이스 컴바이닝인 경우 상기 천공 패턴은 상기 초기전송 시의 천공패턴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IR인 경우 상기 천공 패턴은 상기 초기전송을 포함한 재전송 횟수를 구비된 천공패턴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한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방법.
  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소정 변조방식에 대응하여 심벌 매핑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전송 및 재전송 시 동일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에서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가 변경된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초기전송 또는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에 의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초기전송 및 재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들을 부호화하여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채널 부호화부와,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인터리빙하는 제1인터리버와,
    상기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인터리빙하는 제2인터리버와,
    상기 제1인터리버와 상기 제2인터리버로부터의 출력을 하나의 부호화 비트 열로 출력하는 병/직렬 변환부와,
    병/직렬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도록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위치 변경부와,
    이전 심벌 매핑을 위해 사용된 성상도와 현재 사용할 성상도를 비교하여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 변경을 위해 상기 위치 변경부를 제어하는 재배열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호화부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소정 모 부호율에 의해 부호화하여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에 의해 결정한 천공 패턴으로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을 천공함으로서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로 상기 천공이 이루어진 정보비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 상기 천공이 이루어진 잉여비트들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상기 초기전송 및 상기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는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체이스 컴바이닝인 경우 상기 초기전송을 포함한 재전송 횟수를 상기 성상도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상기 초기전송 및 상기 재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성상도는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IR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이용한 재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반복하여 사용할 시 이전에 사용된 성상도를 가리키는 인덱스에 1을 증가한 값을 상기 성상도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체이스 컴바이닝인 경우 상기 천공 패턴은 상기 초기전송 시의 천공패턴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IR인 경우 상기 천공 패턴은 상기 초기전송을 포함한 재전송 횟수를 구비된 천공패턴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한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FIR인 경우 상기 천공 패턴에 의해 출력되는 잉여비트들을 상기 제1인터리버와 상기 제2인터리버로 분배하는 분배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장치.
  16.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정 부호화 율과 소정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들을 채널 부호화하여 출력되는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심벌들로 매핑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심벌들로 매핑하여 출력하는 초기 전송 과정과,
    수신기로부터의 재전송 요구에 의해 상기 채널 부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천공패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심벌 매핑을 위해 미리 설정된 상기 초기전송에서 심벌을 구성하는 비트들에서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가 변경된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천공 패턴에 의해 상기 채널 부호화되어 출력되는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을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로 매핑하도록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호화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소정 모 부호율에 의해 부호화하여 정보비트들과 잉여비트들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선택한 천공 패턴으로 상기 정보비트들과 상기 잉여비트들을 천공하여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로 상기 천공이 이루어진 정보비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 상기 천공이 이루어진 잉여비트들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상기 초기전송 및 상기 재전송 횟수에 의해 상기 선택된 성상도는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체이스 컴바이닝인 경우 상기 초기전송을 포함한 재전송 횟수를 상기 성상도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 중 상기 초기전송 및 상기 재전송 횟수에 의해 상기 선택된 성상도는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IR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이용한 재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복수 개의 성상도들을 반복하여 사용할 시 이전에 사용된 성상도를 가리키는 인덱스에 1을 증가한 값을 상기 성상도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체이스 컴바이닝인 경우 상기 선택한 천공 패턴은 상기 초기전송 시의 천공패턴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IR인 경우 상기 선택한 천공 패턴은 상기 초기전송을 포함한 재전송 횟수를 구비된 천공패턴들의 총 수로 모듈러 연산을 취한 결과 값을 인덱스로 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3.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높은 심벌들로 매핑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낮은 심벌들로 매핑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에 매핑된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부터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기에 의해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변경된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비트들의 위치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가 송신기에 의해 변경되었을 시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이전에 수신한 동일한 비트들과 컴바이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4.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높은 심벌들로 매핑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이 신뢰도가 낮은 심벌들로 매핑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신뢰도가 높은 비트 위치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에 매핑된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로부터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가 송신기에 의해 변경되었을 시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변경하는 위치 변경부와,
    상기 송신기에 의해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의 변경된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위치 변경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변경부로부터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비트들과 상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비트들을 이전에 수신한 동일한 비트들과 컴바이닝을 수행하는 컴바이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FIR인 경우 상기 천공 패턴에 의해 출력되는 잉여비트들 2개의 그룹으로 분배하여 각각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초기전송 및 재전송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방식이 FIR인 경우 상기 천공 패턴에 의해 출력되는 잉여비트들 2개의 그룹으로 분배하여 각각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10066887A 2001-10-29 2001-10-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4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87A KR100744347B1 (ko) 2001-10-29 2001-10-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US10/282,472 US7280606B2 (en) 2001-10-29 2002-10-2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851,275 US7912150B2 (en) 2001-10-29 2007-09-06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87A KR100744347B1 (ko) 2001-10-29 2001-10-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028A KR20030035028A (ko) 2003-05-09
KR100744347B1 true KR100744347B1 (ko) 2007-07-30

Family

ID=1971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8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4347B1 (ko) 2001-10-29 2001-10-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280606B2 (ko)
KR (1) KR100744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0402B2 (en) * 2000-06-09 2006-05-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frequency band selection
CN1149803C (zh) 2001-09-30 2004-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比特变换的数据重传方法
KR100834655B1 (ko) * 2002-01-2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비트/심벌간신뢰도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462555B1 (ko) * 2002-07-22 2004-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가역성을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인터리빙/디인터리빙 장치 및 그 방법
US7408913B2 (en) 2003-05-12 2008-08-0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al time hybrid ARQ
US8064528B2 (en) 2003-05-21 2011-11-2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Estimating frequency-offsets and multi-antenna channels in MIMO OFDM systems
JP4291659B2 (ja) * 2003-09-30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SE0302685D0 (sv) * 2003-10-07 2003-10-07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520159B1 (ko) * 2003-11-1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US7421075B2 (en) * 2003-12-15 2008-09-02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online cryptographic key generation method
US7680278B2 (en) * 2004-02-04 2010-03-16 Microsoft Corporation Domino scheme for wireless cryptographic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incorporating same
FR2868657B1 (fr) * 2004-03-31 2006-07-21 Evolium Sas Soc Par Actions Si Gestion de taille de memoire virtuelle pour la transmission de blocs de bits de donnees dans un canal descendant de type hs-dsch d'un reseau de communications mobile
FR2868646B1 (fr) * 2004-03-31 2006-07-14 Evolium Sas Soc Par Actions Si Dispositif et procede perfectionnes de gestion de transmission de blocs de donnees dans un canal descendant de type hs-dsch d'un reseau de communications mobile
EP1655878A1 (en) * 2004-11-03 2006-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transmitter structure reducing ambiguity by repetition rearrangement in the symbol domain
WO2006048061A1 (en) 2004-11-03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transmitter structure removing phase ambiguity by repetition rearrangement
EP1657845A3 (en) * 2004-11-10 2012-03-07 Alcatel Lucent Dynamic retransmission mode selector
KR20060059499A (ko) * 2004-11-29 200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 코드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그리고 그들의 내부인터리버 선택 방법
US9385843B2 (en) * 2004-12-22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ultiple modulation schemes for a single packet
DE602005012440D1 (de) * 2005-04-28 2009-03-05 Panasonic Corp Wiederholungsabhängige abbildung für modulationsverfahren höherer ordnung
CN101176291A (zh) * 2005-05-13 2008-05-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过harq的调制切换的比特可靠性均衡
US8289952B2 (en) * 2005-05-25 2012-10-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VoIP media flow quality by adapting speech encoding based on selected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ES2930446T3 (es) * 2005-08-05 2022-12-13 Panasonic Holdings Corp Aparato de radiocomunicación y procedimiento de radiocomunicación para estimación de canal
US20070047437A1 (en) * 2005-08-24 2007-03-01 Rainer Bach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929079B1 (ko) * 2005-10-31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복호 장치 및 방법
US20070140292A1 (en) * 2005-12-17 2007-06-21 Sestok Charles K Iv De-interleaver synchronization methods and apparatus
EP1999879A2 (en) * 2006-03-17 2008-12-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adaptive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signal constellation remapping for data packet retransmissions
US8369860B2 (en) * 2006-08-18 2013-02-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ending and reducing uplink feedback signaling for transmission of MBMS data
KR100987269B1 (ko) * 2006-08-2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차 변조 기반의 버스트 매핑 방법및 장치
FI20065826A0 (fi) * 2006-12-20 2006-12-20 Nokia Corp Koodaus ja dekoodaus menetelmä ja laite
US7933372B2 (en) * 2007-03-08 2011-04-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US8077596B2 (en) * 2007-03-12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80225792A1 (en) * 2007-03-12 2008-09-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feedback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11079B1 (ko) 2007-06-15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003836B1 (en) * 2007-06-15 2018-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comprising symbols of different priorities
WO2008153330A1 (en) * 2007-06-15 200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865813B2 (en) * 2007-07-30 2011-01-04 Marvell International Ltd. Rate match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8184726B2 (en) * 2007-09-10 2012-05-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ate control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27704A1 (en) * 2007-09-10 2010-02-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Signal Priority and Channel Reliability
EP2192713B1 (en) * 2007-09-21 2016-03-09 Fujitsu Limited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device
JPWO2009066451A1 (ja) * 2007-11-21 2011-04-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442383B (zh) * 2007-11-22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阶调制中的比特优先映射方法
KR101182852B1 (ko) * 2008-03-10 2012-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WO2009113792A1 (en) * 2008-03-10 2009-09-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symbol
US8677204B2 (en) * 2008-05-05 2014-03-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509728B1 (ko) 2008-06-05 2015-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KR101334371B1 (ko) * 2008-08-28 2013-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CN101753256B (zh) * 2008-12-22 2013-09-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星座图映射方法和装置
CN101834694B (zh) * 2009-03-11 2013-07-31 富士通株式会社 数据发送装置及其方法、数据接收装置及其方法
US8194799B2 (en) * 2009-03-30 2012-06-05 King Fahd University of Pertroleum & Minerals Cyclic prefix-based enhanced data recovery method
US20120033752A1 (en) * 2009-04-24 2012-02-09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957603B1 (ko) * 2009-07-17 2010-05-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트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423861B2 (en) * 2009-11-19 2013-04-16 Lsi Corporation Subwords coding using different interleaving schemes
US8621289B2 (en) 2010-07-14 2013-12-31 Lsi Corporation Local and global interleaving/de-interleaving on values in an information word
US8402324B2 (en) * 2010-09-27 2013-03-19 Lsi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local and global interleaving/de-interleaving
CN101980464B (zh) * 2010-09-30 2013-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编码方法、解码方法、编码器和解码器
US8976876B2 (en) 2010-10-25 2015-03-10 Lsi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multiple sector sizes
US8588223B2 (en) 2010-11-09 2013-11-19 Lsi Corporation 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s having smaller memory requirements
US8782320B2 (en) 2010-11-09 2014-07-15 Lsi Corporation 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s having fixed mappings
KR101806212B1 (ko) * 2011-02-22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95198B1 (ko) * 2011-09-23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2579468B1 (en) 2011-10-05 2020-05-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a transport block of a communication signal
US9118477B2 (en) * 2012-03-31 2015-08-25 Tejas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error free packet reception using 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67272B2 (en) * 2012-04-25 2015-10-20 Omnivision Technologie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xchanging video data in parallel
US9602236B2 (en) * 2013-06-18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decoding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6507047B2 (ja) * 2015-02-10 2019-04-24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半導体チップ
EP3223446A1 (en) * 2016-03-22 2017-09-27 Xieon Networks S.à r.l. A method for protecting a link in an optical network
US11296823B2 (en) 2017-05-30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based mapping of encoded bits to symbols
WO2018228601A1 (zh) 2017-06-16 2018-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数据处理装置
CN109150199B (zh) 2017-06-17 2024-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极化Polar码的交织处理方法及装置
EP3571772B1 (en) * 2017-09-08 2023-1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lumn-row interleaving for bit interleaved coded modulation
CN109561037A (zh) * 2017-09-27 2019-04-02 株式会社Ntt都科摩 比特到符号的映射方法和通信装置
US10069519B1 (en) * 2018-01-23 2018-09-0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artition based distribution matcher for probabilistic constellation shaping
US11990998B2 (en) 2019-03-27 2024-05-21 Lg Electronics Inc. Puncturing pattern for HARQ-IR retransmission
CN119341697A (zh) * 2019-04-23 2025-01-2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基站、终端及通信方法
US10791010B1 (en) * 2019-10-15 2020-09-29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w probability of detection and low probability of intercept waveform
CN113055067B (zh) * 2019-12-27 2024-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信号处理方法、装置及基站
EP4388717A1 (en) * 2021-10-01 2024-06-26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ng a plurality of groups of symbol sequences, a related transmit node and a related receive no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648A (ja) * 1997-12-09 1999-07-02 Ricoh Co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5970098A (en) * 1997-05-02 1999-10-19 Globespan Technologies, Inc. Multilevel encoder
JP2000201132A (ja) * 1998-11-06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受信装置
JP2001077788A (ja) * 1999-09-07 2001-03-23 Sony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341B2 (en) * 2001-02-21 2005-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constellation rearrangement
DK1293059T3 (da) * 2001-02-21 200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ybrid ARQ-fremgangsmåde med enkel konstellationsomordning
KR100689551B1 (ko) * 2001-06-1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및수신장치 및 방법
KR100474682B1 (ko) * 2001-10-31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84426B1 (ko) * 2001-12-21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패킷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심벌 매핑을 위한 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KR100810350B1 (ko) * 2002-01-07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양한 채널상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098A (en) * 1997-05-02 1999-10-19 Globespan Technologies, Inc. Multilevel encoder
JPH11177648A (ja) * 1997-12-09 1999-07-02 Ricoh Co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0201132A (ja) * 1998-11-06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受信装置
JP2001077788A (ja) * 1999-09-07 2001-03-23 Sony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028A (ko) 2003-05-09
US20080056202A1 (en) 2008-03-06
US20030081690A1 (en) 2003-05-01
US7280606B2 (en) 2007-10-09
US7912150B2 (en)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47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450968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474682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572067B (zh) 在提供混合自动重复请求的通信系统中实现重传的方法和设备
JP3753677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566273B2 (ja) 符号分割多重接続(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高速データの効率的再伝送及び復号化のための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55716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재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52652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100384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receiving data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2052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비트 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KR100834655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비트/심벌간신뢰도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