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38047B1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047B1
KR100738047B1 KR1020010001589A KR20010001589A KR100738047B1 KR 100738047 B1 KR100738047 B1 KR 100738047B1 KR 1020010001589 A KR1020010001589 A KR 1020010001589A KR 20010001589 A KR20010001589 A KR 20010001589A KR 100738047 B1 KR100738047 B1 KR 100738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conditioner
air
air guide
outdoor 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473A (ko
Inventor
정주현
오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0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0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0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내측의 공기유동을 형성하고 실외측과 실내측을 구획하는 에어가이드(50)에 파이프안착부(58)를 형성하였다. 상기 파이프안착부(58)는 실외측으로 개방되게 실내측을 향해 요입되게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파이프(60)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파이프(60)의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파이프안착부(58)에 파이프(60)가 안착됨에 의해 상대적으로 실외측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공기조화기, 에어가이드, 냉매파이프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An pipe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의 파이프피난구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에어가이드 51: 유로형성부
52: 콘트롤박스안착부 54: 후면벽
55: 모터안착공 56: 배수부
57: 배수구 58: 파이프안착부
60: 파이프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 하는 부품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설치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을 베이스팬(1)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에는 공기조화기를 형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에는 전면그릴(3)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그릴(3)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3i)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3i)는 상기 전면그릴(3)의 대략 하반부를 차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그릴(3)의 상단에는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그릴(3e)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그릴(3)의 상기 흡입부(3i)에 대응되게 실내열교환기(5)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5)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으로 작동유체가 그 내부에서 유동되어 실내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5'는 냉매를 전달하는 파이프이다.
상기 실내열교환기(5)의 후방에는 실내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7)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7)는 그 중앙에 오리피스공(8)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오리피스(7)는 상기 오리피스공(8)을 통해 실내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될 시로코팬(10)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7)는 상기 실내열교환기(5)와 에어가이드(12)의 사이에 설치된다.
시로코팬(10)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5)에서 열교환하게 하고 다시 상기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것 으로, 그 전면이 상기 오리피스(7)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오리피스공(8)을 통해 실내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시로코팬(10)은 실내측, 즉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상기 흡입부(3i)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열교환기(5)를 거치면서 열교환시켜,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로코팬(10)은 상기 오리피스(7)와 에어가이드(12)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2)는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고, 그 하면 상에 상기 실내열교환기(5)의 하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2)의 배면과 아래에서 설명될 쉬라우드(20)의 일면의 사이에 해당되는 실외측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3)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2)의 실외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로코팬(10)과 송풍팬(17)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5)가 장착된다. 물론 상기 모터(15)는 공기조화기의 설계조건에 따라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터(15)는 회전축이 그 양단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시로코팬(10)과 송풍팬(17)을 동시에 회전시켜 주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15)에 의해 구동되도록 송풍팬(17)이 실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7)은 상기 모터(15)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 외부(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열교환기(24)를 통과시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되게 한다. 상기 송풍팬(17)의 선단부를 연결하게 링(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18)은 송풍팬(17)의 회전시에 베이스팬(1) 바닥면에 있 는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24)로 튀겨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17)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쉬라우드(20)가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20)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송풍팬(17)이 위치되는 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0)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실외열교환기(24)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4)는 상기 송풍팬(17)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가이드(12)의 상단에는 상기 시로코팬(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토출그릴(3e)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2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토출가이드(27)는 상기 에어가이드(12)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쉬라우드(21)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된 각종 부품들은 아웃케이스(28)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아웃케이스(28)에는 상기 송풍팬(17)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내외부로 유동되는 공기를 위한 공기통공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는 냉방과 난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냉방의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5)에서 냉방을 위한 공간의 열을 전달받고, 상기 실외열교환기(24)에서 외부로 상기 열을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소형화하기 위한 설계에 있어서 가장 문제로 되는 것 중의 하나가 열교환사이클 부품 사이에서 작동유체를 유동시키 는 파이프(5')의 배치문제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실내열교환기(5)와 연결되는 것만을 예로 들었으나 이외에도 많은 파이프가 있으나 상기 파이프(5')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5')들은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파이프에 용접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용접되어 연결된 파이프(5') 들에 공기조화기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면, 상기 용접된 부분에 반복하중이 가해지면서 이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압축기(13)에서는 많은 진동이 발생하므로 상기 압축기(13)와 연결되는 파이프는 진동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사이클 구성부품을 연결하는 파이프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의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실외측 공간을 형성하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내부에 안착되고 열교환사이클의 구성부품 사이에서 작동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입부는 에어가이드의 실외측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형성 되어 실외측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는 상기 요입부의 상부와 하부사이에 위치되게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에 의하면 에어가이드의 파이프안착부에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장착되도록 하여 실외측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가 전체적으로 소형화되는 이점과 파이프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절곡하여 상기 파이프안착부에 안착시키므로 파이프의 진동이 덜 발생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의 파이프피난구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함과 동시에 실내측의 공기흐름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50)에는 유로형성부(51)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형성부(51)는 실내측에서의 공기흐름을 형성하고 열교환을 위한 부품들, 예를 들어 블로워, 오리피스 및 실내열교환기 등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50)의 일측 단부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의 안착을 위한 콘트롤박스안착부(5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유로형성부(51)의 후방은 후면벽(54)에 의해 실외측과 구획된다. 상기 후면벽(54)에는 상기 블로워와 실외측의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안착되는 모터안착공(55)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50)의 선단 하면에는 배수부(56)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56)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배수부(56)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유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는 상기 에어가이드(50)의 후단을 통해 실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구(5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50)의 상기 유로형성부(51)와 콘트롤박스안착부(52)의 사이에는 파이프안착부(58)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안착부(58)는 상기 에어가이드(50)의 후방에서 상기 실내측을 향해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외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안착부(58)의 상단은 상부에어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은 파이프안착부(58)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 사이에서 작동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60)가 안착된다. 상기 파이프안착부(58)에 안착되는 파이프(60)의 예로서는 압축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연결하는 것이 있다. 물론 상기 파이프(60)외에도 상기 에어가이드(50) 배면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각종 파이프 들도 상기 파이프안착부(58)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안착부(58)는 상기 에어가이드(50)의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이프안착부(58)가 소정의 폭으로 길게 상하로 형성됨에 의해, 그 내부에 안착되는 파이프(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절곡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60)는 상기 파이프안착부(58)의 일측벽에 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가이드(50)를 설계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50)의 유로형성부(51)와 콘트롤박스안착부(52)의 사이에 파이프안착부(58)를 형성하여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 사이에서 작동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60)를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에어가이드(50)에 의해 구획되는 실외측에 설치되는 파이프(60)를 상기 파이프안착부(58)에 안착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내부공간을 줄여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50)의 횡방향으로의 크기는 상기 콘트롤안착부(52)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줄여서 상기 유로형성부(51)의 공간손실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형성부(51)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파이프안착부(58)를 형성하여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안착부(58)에 안착되는 파이프(60)는 'U'자형으로 절곡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파이프(60)가 'U'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안착부(58)의 측벽에 의해 안내되면, 공기조화기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파이프(6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에어가이드에 파이프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안착부에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 사이에서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파이프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안착부는 에어가이드의 일측에 실외측으로 개방되고 실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안착부에 파이프가 안착되면 공기조화기의 내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파이프안착부에 의해 파이프가 안내되므로 파이프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안착부 내에 안착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실외측에 구비되는 파이프가 줄어들게 되어 실외측에서의 공기유동이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의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실외측 공간을 형성하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에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안착되고, 열교환사이클의 구성부품 사이에서 작동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는 에어가이드의 실외측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형성되어 실외측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3. 삭제
KR1020010001589A 2001-01-11 2001-01-11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738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589A KR100738047B1 (ko) 2001-01-11 2001-01-11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589A KR100738047B1 (ko) 2001-01-11 2001-01-11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473A KR20020060473A (ko) 2002-07-18
KR100738047B1 true KR100738047B1 (ko) 2007-07-12

Family

ID=2769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5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8047B1 (ko) 2001-01-11 2001-01-11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0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551U (ko) * 1977-11-08 1979-05-29
JPH0228018A (ja) * 1988-07-18 1990-01-30 Toyota Motor Corp 表皮材の端末処理方法
JPH0659722U (ja) * 1993-01-29 1994-08-19 株式会社ゼクセル 天井装着型空調装置
KR19980050932U (ko) * 1996-12-30 1998-10-07 오상수 룸 에어컨의 실내기
KR20000005777U (ko) * 1998-09-02 2000-04-06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저소음 구조
KR20010001649A (ko) * 1999-06-07 2001-01-05 구자홍 공기조화기용 증발기의 연결파이프 배출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551U (ko) * 1977-11-08 1979-05-29
JPH0228018A (ja) * 1988-07-18 1990-01-30 Toyota Motor Corp 表皮材の端末処理方法
JPH0659722U (ja) * 1993-01-29 1994-08-19 株式会社ゼクセル 天井装着型空調装置
KR19980050932U (ko) * 1996-12-30 1998-10-07 오상수 룸 에어컨의 실내기
KR20000005777U (ko) * 1998-09-02 2000-04-06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저소음 구조
KR20010001649A (ko) * 1999-06-07 2001-01-05 구자홍 공기조화기용 증발기의 연결파이프 배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473A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513B1 (ko) 공기조화기
KR10073804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안착구조
KR10072867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336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36651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78193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KR10141994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388252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moderate airflow
KR10063361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0168801Y1 (ko) 일체형 에어컨
JP379213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0757482B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00792060B1 (ko) 공기조화기의 연결배관 설치구조
KR10062645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흡입토출구조
KR10085432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30106451A (ko) 공기조화기
KR100701930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연결배관 정렬구조
KR10038943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토출구조
KR10038942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20090085889A (ko) 송풍팬 조립체
KR20020059484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KR10054893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루버그릴
KR10054893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루버그릴
KR2002008226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
KR2002000983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