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22318B1 -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318B1
KR100722318B1 KR1020060033848A KR20060033848A KR100722318B1 KR 100722318 B1 KR100722318 B1 KR 100722318B1 KR 1020060033848 A KR1020060033848 A KR 1020060033848A KR 20060033848 A KR20060033848 A KR 20060033848A KR 100722318 B1 KR100722318 B1 KR 10072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diment
water
harrow
ch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규
손점식
Original Assignee
국성종합건설(주)
(주)국성관리공사
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성종합건설(주), (주)국성관리공사, 정상규 filed Critical 국성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06003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3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 강, 호수 등의 바닥에 퇴적되어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침전물을 뒤집으면서 정화제를 투입함으로써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침전물을 건져낼 수 있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침전물 정화제와 해수 또는 담수를 혼합하고, 그 혼합액이 저장되기 위한 혼합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혼합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된 선박과, 수중으로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을 미끌어지면서 선박에 의해 견인되도록 선박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에 연결된 프레임과, 호스를 통해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고압으로 유입된 혼합액을 침전물을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정화제 봄베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침전물을 경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경운수단과, 부유된 침전물이 유입되어 수집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그물망이 구비된 분사 및 경운 써레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저, 개펄, 정화

Description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DEVICE FOR PURIFYING AND REPAIRING DEPOSIT OR UNDERWATET BOTTO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분사 및 경운 써레와 오물제거 써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경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정화제 봄베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에어 봄베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해저 침전물 정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선박
11 혼합탱크
12 펌프
13 컴프레서
14 저장탱크
15 이송수단
16 교반기
17 윈치
2 분사 및 경운 써레
21 프레임
211 스키드보드
212 가이드
213 봄베 고정부
214 로프 연결부
22 정화제 봄베
221 노즐
222 격막
223 액실
224 헤더
225 연결관
23 경운수단
231 체인브라켓
232 복동실린더
233a,233b 체인스프로킷
234 체인
235 경운날
235a 쿠션재
236 구동모터
24 에어 봄베
241 노즐
242 연결구
25 그물망
3 오물제거 써레
31 프레임
32,33 써레날
33a 커팅날
R1,R2 견인로프
H1,H2 호스
C 윈치케이블
본 발명은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 강, 호수 등의 바닥에 퇴적되어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침전물을 뒤집으면서 정화제를 투입함으로써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침전물을 건져낼 수 있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각종 생활 오폐수, 산업폐기물들이 인근 바다나 호수 혹은 강으로 유입되면 이들 오폐수에 포함된 다량의 무기 혹은 유기물질이 수중 저면에 퇴적된다. 퇴적된 오염물은 단순한 퇴적으로 끝나지 않고 이들이 다양한 생물종, 특히 조류에 대한 영양공급원으로 작용하여 적조류나 녹조류가 극심하게 번성하게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류의 번성에 의한 피해는 어패류가 주로 생산되는 바다의 개펄에서 특히 심각하게 발생된다. 근래에 수산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연근해에서 각종 어류, 패류, 해초류의 양식이 실시되고 있으나, 임해도시의 공업폐수, 도시하수, 선상 폐기물 등으로 인해 개펄이 극심하게 오염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오염된 해수는 난류, 한류 등의 해류에 의해 어느 정도의 자생력을 회복할 수 있지만, 오염물질이 퇴적된 해저 개펄에는 산소 결핍현상이 발생하여 혐기성세균과 원생동물의 작용으로 오수나 오염물질을 분해한 메탄(CH4), 암모니아(HN4), 유화수소(H2S) 및 저분자 지방산 등의 중간산물이 생성되며, 이러한 중간산물이 해수 중에 분해 확산되어 정착성 수산생물의 서식생장을 방해하고 유독성 적조현상의 근본요인을 제공하게 되어 어족회유의 방해 등 해양생태계를 파괴시키 게 된다. 특히 정착성 수산생물, 예를 들면, 피조개, 굴 우렁생이 등의 이매패류나 미역, 김,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 있어서는 양식이 불가능할 정도의 개펄 오염에 의해 양식업 자체가 불가능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펄의 자생력 향상을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개펄은 연안침식작용에 의한 미세입자의 모래, 죽은 미소조류의 석회질과 규산질의 골격등 무기질에 기원하는 점토가 기본구성물로서, 여기에 전기한 각종 오염물, 고형침전물이 누적적층될 경우 동,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장을 저해하여 먹이 연쇄사실의 상실을 초래하게 되므로 결국, 해수의 부영양화에 의한 적조현상이 발생되어 생태계 파괴가 유발된다.
상기한 적조현상의 발생시에 적절한 대책으로는 점토를 해수에 살포하여 산성화된 개펄을 알카리화 시킴으로써 적조현상을 소멸시킨 사례가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로 천해의 살포식 패류 양식장에 매년 점토를 살포하여 개펄의 자생력 회복에 의해 어느 정도의 생산성이 향상된 효과를 얻고 있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토 살포방식은 해류에 의해 점토가 넓은 범위로 확산되어 살포효율이 저하되고, 수중 해저면의 부영양화물질은 그대로 잔류하여 적조현상은 해마다 반복되는 것이다. 또한 항만이나 포구와 같은 곳은 각종 산업, 생활폐기물들이 축적되면서 죽은 바다로 전락하므로, 이곳을 정기적인 청소기를 동원하여 바다나 강 등과 같은 수중 바닥의 침전물을 정화시키고 청소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0106587호에는 후방에 망체(57)를 구비한 프레임(52)의 하부에 바닥판(51)을 설치하고 프레임(52)의 양측에는 웨이트부(56)를 구비하여 선체에 연결된 와이어(4)에 의해 해저 개펄에 접촉 견인되는 회수틀(5)과, 상기 회수틀(5) 전방 양측의 연결대(58)에 고정설치되어 연결호스(7)를 통해 펌프로부터 공급받은 정화제가 혼합된 해수를 노즐(64,65)을 통해 개펄과 후방측으로 폭기살포하는 분사기구(6)로 이루어진 해저 침전물 정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해저 침전물 정비 장치는 분사된 해수에 혼합된 정화제가 개펄에 잘 혼합되지 않아 정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 바닥의 침전물에 정화제를 분사함과 동시에 분사된 정화제가 수중 바닥의 침전물과 잘 혼합되도록 침전물을 경운함으로써 수중 바닥의 침전물의 정화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침전물 정화제와 해수 또는 담수를 혼합하고, 그 혼합액이 저장되기 위한 혼합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혼합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된 선박과, 수중으로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을 미끌어지면서 선박에 의해 견인되도록 선박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에 연결된 프레임과, 호스를 통해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고압으로 유입된 혼합액을 침전물을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정화제 봄베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침전물을 경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경운수단과, 부유된 침전물이 유입되어 수집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그물망이 구비된 분사 및 경운 써레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에 의해 정화제가 수중 침전물로 분사됨과 동시에 경운수단에 의해 침전물이 뒤집히게 됨으로써 정화제가 침전물에 골고루 혼합되어 정화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수중으로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을 미끌어지면서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 전방에서 선박에 의해 견인되도록 선박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에 연결된 프레임과, 각각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써레날이 구비된 오물제거 써레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물제거 써레는 분사 및 경운 써레 전방에서 오물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상기 오물제거 써레의 써레날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 커팅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날에 의해 해저 침전물에 위치된 폐그물과 폐로프가 절단됨으로써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는 폐그물이나 폐로프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의 정화제 봄베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액실로 분할되 고, 상기 복수개의 액실 각각은 호스를 통해 상기 펌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제 봄베는 비교적 길이가 길기 때문에 호스가 연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압력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길이가 긴 정화제 봄베를 수개의 액실로 분할하여 각각의 액실에 호스를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고른 압력으로 정화제 혼합액이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상기 선박에는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에는 호스를 통해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고 고압으로 유입된 공기를 개펄을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에어 봄베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가 침전물에 분사됨으로써 공기의 분사력과 부력에 의해 개펄의 경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상기 선박에는 분상이나 고상의 정화제가 저장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화제를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혼합탱크로 투입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해수에 투입된 정화제와 해수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분상이나 고상의 정화제를 선박에서 해수에 혼합 용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상기 경운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복수의 체인브라켓과, 로드에 상기 체인브라켓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브라켓의 하부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출몰되도록 로드가 하방으로 출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복동실린더와, 상기 체인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지지된 한 쌍의 체인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스프로킷에 걸쳐져 회전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체인에 결합된 경운날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운수단은 경운 작업시에만 체인브라켓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체인의 회전으로 경운날이 회전되고, 경운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체인브라켓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경운날이 개펄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상기 경운날의 선단에는 상기 체인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쿠션재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운날의 회전으로 개펄에 서식하는 패류가 경운날의 선단에 충돌되더라도 쿠션재에 의해 충격이 완충되어 패류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상기 선박에는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와 오물제거 써레를 투하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윈치에 의해 분사 및 경운 써레와 오물제거 써레를 투하하고 들어올리는 작 업이 용이해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분사 및 경운 써레와 오물제거 써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경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정화제 봄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의 에어 봄베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선박(1), 분사 및 경운 써레(2) 및 오물제거 써레(3)로 구성된다.
상기 선박(1)은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와 오물제거 써레(3)를 견인하고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에 정화제가 혼합된 혼합액과 공기 및 기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박(1)에는 점토, 석회나 기타 약제와 같은 수중 바닥의 침전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제와 담수나 해수를 혼합하고, 그 혼합액이 저장되기 위한 혼합탱크(11)가 구비된다. 상기 혼합탱크(11)에는 수중 바닥 근처로부 터 펌핑한 물이 수용되고, 그 물에 정화제가 투입되어 용해 또는 분산되어 혼합된다. 또한, 상기 선박(1)에는 상기 혼합탱크(11)로부터 정화제 혼합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12)가 구비되며,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1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선박(1)에는 분상이나 고상의 정화제가 저장되기 위한 저장탱크(14)와, 상기 저장탱크(14)에 저장된 정화제를 저장탱크(14)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혼합탱크(11)로 투입하기 위한 스크류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15)과, 상기 저장탱크(14)에 수용된 해수에 투입된 정화제와 해수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16)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선박(1)에는 윈치케이블(C)을 감거나 풀면서 상기 윈치케이블(C)에 연결된 분사 및 경운 써레(2)와 오물제거 써레(3)를 수중 바닥으로 투하하거나 수중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선박(1)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1a)에 설치된다.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는 상기 선박(1)으로부터 공급된 정화제 혼합액을 수중 바닥의 침전물로 분사함과 동시에 그 침전물을 경운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는 프레임(21), 정화제 봄베(22), 경운수단(23), 에어 봄베(24) 및 그물망(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은 다른 구성이 지지 또는 결합되고 견인로프(R1)에 매달려 선박(1)에 의해 견인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에는 하부에 수중 바닥면(B)에 잘 미끌 어지도록 스키드 보드(211)가 폭방향으로 양측 각각에 구비된다. 상기 스키드 보드(211)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상기 경운수단(23)이 가이드되기 위한 가이드(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12)의 전방에는 상기 정화제 봄베(22) 및 에어 봄베(24)가 고정되기 위한 봄베 고정부(2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전방에는 선박(1)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R1)가 연결되기 위한 로프연결부(21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은 수중으로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B)을 미끌어지면서 선박(1)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R1)에 연결되어 선박(1)에 의해 견인된다.
상기 정화제 봄베(22)는 상기 선박(1)으로부터 고압으로 공급된 정화제 공급액을 노즐(221)을 통해 개펄로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정화제 봄베(22)는 내부로 정화제 혼합액이 유입되기 위한 공간을 갖는 길이가 긴 원통체로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에 구비된 봄베 고정부(213)에 양단부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정화제 봄베(22)의 원통체에는 고압으로 유입된 혼합액을 개펄을 향햐여 분사하기 위한 노즐(221)이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정화제 봄베(22)는 비교적 길이가 길기 때문에 호스(H1)가 연결된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화제 봄베(22)의 원통체 내부에 격막(222)을 형성하여 상기 정화제 봄베(22)를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액실로 분할(223)하고, 상기 복수개의 액실(223) 각각이 호스(H1)를 통해 펌프(12)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면을 참조하며 상기 정화제 봄베(22)의 액실(223) 각각의 유입구가 헤더(224)에 연결되고, 상기 헤더(224)에는 펌프(12)로 연결된 호스(H1)가 연결된 Y자형의 연결관(225)이 연결된다.
상기 경운수단(23)은 침전물을 경운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경운수단(23)은 상기 경운수단(23)은 체인브라켓(231), 복동실린더(232), 체인스프로킷(233a,233b), 체인(234), 경운날(235) 및 구동모터(236)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브라켓(231)은 상기 체인스프로킷(233a,233b)이 회전지지되고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에 구비된 가이드(212)에 지지되어 상하로 왕복이동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체인브라켓(231)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상기 체인스프로킷(233a,233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스프로킷 장착부(231a,23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브라켓(231)은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폭방향으로 수개가 배열 설치되는데 그 중 폭방향으로 양측에 위치된 체인브라켓(231)의 상부에는 상기 복동실린더(232)의 로드(232a)가 연결되기 위한 로드 연결부(231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드연결부(231c)의 전후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21)의 가이드(212)가 안착되기 위한 가이드홈(231d)이 형성된다. 상기 체인브라켓(231)은 상기 가이드홈(231d)에 가이드(212)가 안착되어 그 가이드(212)를 따라 복동실린더(232)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된다.
상기 복동실린더(232)는 상기 체인브라켓(231)을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복동실린더(232)는 로드(232a)가 하방으로 출몰되도록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중앙에서 상부에 설치되어 로 드(232a)에 상기 체인브라켓(231)의 로드연결부(231c)가 연결된다. 상기 복동실린더(232)는 상기 체인브라켓(231)의 하부가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하부로 출몰되도록 로드(232a)가 하방으로 출몰된다. 상기 복동실린더(232)는 침전물의 경운 작업시에는 체인브라켓(231)을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경운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체인브라켓(231)이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인브라켓(231)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체인스프로킷(233a,233b)은 체인(234)이 지지되고 구동모터(236)에 연결된 회전축(237)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체인(23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체인브라켓(231)의 스프로킷 장치부(231a,231b)에는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23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37)에는 상기 체인스프로킷(233a,233b)이 장착된다.
상기 체인(234)은 회전되도록 상기 체인스프로킷(233a,233b)에 걸쳐지게 설치된다.
상기 경운날(235)은 침전물을 헤집고 뒤집어 경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인(23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인(234)에 결합된다. 상기 체인(234)이 회전되면 상기 경운날(235)은 체인(234)과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운날(235)에 의해 침전물이 경운되는 경우에 상기 경운날(235)에 수중 바닥에 서식하는 패류가 충돌되어 파손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운날(235)의 선단에는 상기 체인(234)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쿠션재(235a)가 부설된다.
상기 구동모터(236)는 상기 회전축(237)에 장착된 체인스프로킷(233a)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에어 봄베(24)는 상기 선박(1)의 컴프레서(13)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침전물로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봄베(24)는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간을 갖는 길이가 긴 원통체로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에 구비된 봄베 고정부(213)에 양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에어 봄베(24)에는 고압으로 유입된 공기를 침전물을 향햐여 분사하기 위한 노즐(241)이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폭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며, 선박(1)의 컴프레서(13)에 연결된 호스(H2)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242)가 구비된다.
상기 그물망(25)은 상기 침전물로부터 부유된 오염물이 유입되어 수집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프레임(21)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오물제거 써레(3)는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의 전방에서 선박(1)에 의해 견인되면서 1차적으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오물제거 써레(3)는 수중으로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B)을 미끌어지면서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 전방에서 선박(1)에 의해 견인되도록 선박(1)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R2)에 연결된 프레임(31)과, 각각 상기 프레임(31)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프레임(31)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써레날(32,3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수중 바닥에는 폐로프나 폐그물이 널려 있다. 따라서 상기 오물제거 써레(3) 뿐만 아니라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2)는 폐로프나 폐그물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써레날 중 일부(33)는 상기 폐로프나 폐그물이 걸리면 그 폐로프나 폐그물을 절단할 수 있는 커팅날(3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에 정화제를 분사함과 동시에 분사된 정화제가 침전물과 잘 혼합되도록 침전물을 경운함으로써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침전물 정화제와 해수 또는 담수를 혼합하고, 그 혼합액이 저장되기 위한 혼합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혼합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된 선박과,
    수중으로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을 미끌어지면서 선박에 의해 견인되도록 선박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에 연결된 프레임과, 호스를 통해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고압으로 유입된 혼합액을 침전물을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정화제 봄베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침전물을 경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경운수단과, 부유된 침전물이 유입되어 수집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그물망이 구비된 분사 및 경운 써레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중으로 투하되어 수중 바닥면을 미끌어지면서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 전방에서 선박에 의해 견인되도록 선박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로프에 연결된 프레임과, 각각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써레날이 구비된 오물제거 써레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제거 써레의 써레날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 커팅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의 정화제 봄베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액실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개의 액실 각각은 호스를 통해 상기 펌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에는 호스를 통해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고 고압으로 유입된 공기를 개펄을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에어 봄베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분상이나 고상의 정화제가 저장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화제를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혼합탱크로 투입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해수에 투입된 정화제와 해수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복수의 체인브라켓과,
    로드에 상기 체인브라켓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브라켓의 하부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출몰되도록 로드가 하방으로 출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복동실린더와,
    상기 체인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지지된 한 쌍의 체인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스프로킷에 걸쳐져 회전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체인에 결합된 경운날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날의 선단에는 상기 체인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쿠션재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상기 분사 및 경운 써레와 오물제거 써레를 투하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KR1020060033848A 2006-04-14 2006-04-14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2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48A KR100722318B1 (ko) 2006-04-14 2006-04-14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48A KR100722318B1 (ko) 2006-04-14 2006-04-14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318B1 true KR100722318B1 (ko) 2007-05-28

Family

ID=3827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8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2318B1 (ko) 2006-04-14 2006-04-14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31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29B1 (ko) * 2009-08-26 2010-01-20 임동열 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
KR100996694B1 (ko) 2010-05-07 2010-11-25 이순이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1629407B1 (ko) * 2015-05-20 2016-06-14 주식회사 해천 개폐형 케이블 가이드를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KR101648904B1 (ko) * 2015-05-20 2016-08-18 주식회사 해천 순간 변위를 위한 스키드 분사노즐을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KR20160150526A (ko) 2015-06-22 2016-12-30 이태환 수중바닥 청소장치
KR20180000172U (ko) * 2016-07-06 2018-01-16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KR102160058B1 (ko) * 2019-12-24 2020-09-25 (주)더존코리아 수저면 오염퇴적물 정화시스템
CN112021213A (zh) * 2020-06-24 2020-12-04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种文昌鱼栖息地去泥化用具
CN112425556A (zh) * 2020-12-04 2021-03-02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刺参养殖池塘底质改良设施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17A (ko) * 1998-06-10 1998-10-07 김석태 해저청소기
KR19980068642A (ko) * 1997-02-21 1998-10-26 정석권 적조제거 및 갯벌정화 처리제의 분사방법 및 그 장치
US6017400A (en) 1997-05-15 2000-01-25 Orange County Water District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 water basin floor
KR200202798Y1 (ko) 2000-05-22 2000-11-15 양한춘 갯벌 청소장치
KR20010044245A (ko) * 2001-01-19 2001-06-05 고종수 해저 침전 오물 수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642A (ko) * 1997-02-21 1998-10-26 정석권 적조제거 및 갯벌정화 처리제의 분사방법 및 그 장치
US6017400A (en) 1997-05-15 2000-01-25 Orange County Water District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 water basin floor
KR19980065017A (ko) * 1998-06-10 1998-10-07 김석태 해저청소기
KR200202798Y1 (ko) 2000-05-22 2000-11-15 양한춘 갯벌 청소장치
KR20010044245A (ko) * 2001-01-19 2001-06-05 고종수 해저 침전 오물 수거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29B1 (ko) * 2009-08-26 2010-01-20 임동열 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
KR100996694B1 (ko) 2010-05-07 2010-11-25 이순이 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유해생물제거장치
KR101629407B1 (ko) * 2015-05-20 2016-06-14 주식회사 해천 개폐형 케이블 가이드를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KR101648904B1 (ko) * 2015-05-20 2016-08-18 주식회사 해천 순간 변위를 위한 스키드 분사노즐을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KR20160150526A (ko) 2015-06-22 2016-12-30 이태환 수중바닥 청소장치
KR101708016B1 (ko) * 2015-06-22 2017-02-17 이태환 수중바닥 청소장치
KR20180000172U (ko) * 2016-07-06 2018-01-16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KR200486145Y1 (ko) * 2016-07-06 2018-04-09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KR102160058B1 (ko) * 2019-12-24 2020-09-25 (주)더존코리아 수저면 오염퇴적물 정화시스템
CN112021213A (zh) * 2020-06-24 2020-12-04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种文昌鱼栖息地去泥化用具
CN112425556A (zh) * 2020-12-04 2021-03-02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刺参养殖池塘底质改良设施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318B1 (ko)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KR101679047B1 (ko) 조류 제거용 수상콤바인 장치
KR101028175B1 (ko)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KR101584608B1 (ko) 조류제거장치
US20120125829A1 (en) Desalination intake system with net positive impact on habitat
CN101624820A (zh) 一种治理湖泊水华的自动化除藻船
WO2018190550A1 (ko) 수질개선용 산소공급장치
US10526224B2 (en) Desalination intake system with net positive impact on habitat
JP2002119169A (ja) 魚介類の養殖システム及び養殖方法
JP2003340489A (ja) 閉鎖性水域の浄水装置
CN117756271B (zh) 一种多功能曝气设备
JP3899788B2 (ja) 海水取水システムおよび海水取水方法
CN103285660A (zh) 一种用于对虾养殖的循环水装置及其工作方法
KR100352584B1 (ko) 수질정화용 선박
JP2001293467A (ja) 養殖水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101781480B1 (ko) 신형망(新形網)
KR100890361B1 (ko) 저층수를 이용한 적조 피해 방지 장치
KR102499840B1 (ko) 황토를 이용하는 적조제거 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738023B1 (ko) 믹서형 조류제거장치
CN215440088U (zh) 一种适用于黑臭水体原位修复的装置
KR100468008B1 (ko) 슬러지 제거장치
KR100292427B1 (ko) 조류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KR20010048041A (ko) 전기부상을 이용한 적조 및 녹조 제거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088860B1 (ko) 수면 표층의 이물질 흡입장치
KR970001451B1 (ko) 해저 갯벌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