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237B1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Google Patents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1237B1 KR100721237B1 KR1020060057691A KR20060057691A KR100721237B1 KR 100721237 B1 KR100721237 B1 KR 100721237B1 KR 1020060057691 A KR1020060057691 A KR 1020060057691A KR 20060057691 A KR20060057691 A KR 20060057691A KR 100721237 B1 KR100721237 B1 KR 100721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filter
- flow plate
- water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우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이 위쪽의 물흐름판(30)과 아래쪽의 오염물포집통(40)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필터(14)(16)(18)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져 잔류되고, 비교적 오염 위험이 적은 우수만 이들 필터(14)(16)(18)들을 거쳐 집수구몸체(10) 아래쪽의 교량 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물에 의한 오염발생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기술적 수단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1차 여과시킬 수 있도록 1차필터(14)가 장착되어 상기 그레이팅덮개(2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물흐름판(30)과, 상기 물흐름판(30)의 1차필터(14)를 거친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재차 걸러져 통과되지 않고 잔류될 수 있도록 2차필터(16) 및 3차필터(18)가 필터장착부(44)에 장착되면서 상기 물흐름판(30)과의 틈새 공간으로 대용량의 우수가 넘쳐흐를 수 있도록 대용량유입구(42)를 형성하는 오염물포집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having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by the initial rainwater, the various wastes introduced with rainwater in the rain is installed in the upper water flow plate 30 and the lower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40 respectively. Only the rainwater that is filtered out by the plurality of filters 14, 16 and 18 sequentially and remains relatively low in risk of contamination is passed through these filters 14, 16 and 18 via the bridge drain pipe below the catchment body 10. By allowing the discharge to be discharged to the structure can be prevented structurally caused by dirt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The water flow plate 30 and the water flow plate 30 is installed below the grating cover 20 to be equipped with a primary filter 14 so as to first filter the dirt contained in the rainwater introduced by the technical means. The secondary filter 16 and the tertiary filter 18 are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art 44 so that the dirt contained in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filter 14 of 30 may be filtered out and left behi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minant trap 40 to form a large inlet 42 so that the overflow of the large capacity in the gap space with the water flow plate 30.
집수구몸체, 필터, 물흐름판, 오염물포집통, 대용량유입구, 필터장착부 Catchment body, filter, water flow plate, pollutant collection container, large-capacity inlet, filter mounting par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집수장치의 단면구조도.1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water collecting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를 구성하는 그레이팅덮개의 평면구조도.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grating cover constituting th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필터가 장착되는 물흐름판이 하부에 조립된 그레이팅덮개의 측단면 및 A-A선 평단면 구조도.Figure 3a and Figure 3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A lin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grating cover is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flow plate is mounted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를 구성하는 물흐름판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low plate constituting the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를 구성하는 오염물포집통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minant collecting container constituting the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집수장치의 단면구조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집수구몸체 12 : 배수관연결부10: sump body 12: drain pipe connection
14 : 1차필터 16 : 2차필터14: 1st filter 16: 2nd filter
18 : 3차필터 20 : 그레이팅덮개18: 3rd filter 20: grating cover
22 : 우수유입공 24 : 몸체걸림턱22: excellent inlet hole 24: body catching jaw
26 : 흐름판걸림턱 30 : 물흐름판26: flow plate catching chin 30: water flow plate
32 : 필터받침단부 34 : 물역류공32: filter base 34: water backflow hole
36,46 : 물투과공 40 : 오염물포집통36,46: water permeable 40: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42 : 대용량유입구 44 : 필터장착부42: large-capacity inlet 44: filter mounting portion
50 : 아스콘포장 52 : 콘크리트슬래브50: Ascon pavement 52: Concrete slab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강우시 초기 우수에 포함된 각종 오물의 배출이 구조적으로 차단되어 비교적 오염위험이 적은 걸러진 우수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이 위쪽의 물흐름판과 아래쪽의 오염물포집통에 각각 설치된 필터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지면서 비교적 오염 위험이 적은 우수만 교량의 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bridge top plate so that the discharge of various waste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during the rain is structurally blocked so that only filtered rainwater having a relatively low risk of contamination can be discharged. The various inflows of dirt are sequentially filtered by the filters installed in the upper water flow plate and the lower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so that only rainwater with relatively low risk of contamination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of the bridge. It relates to a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having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by the initial rain so that it can be structurally prevented.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에 설치되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물을 배수하게 되는 교량의 집수장치는 주로 콘크리트슬래브와 아스콘포장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데, 통상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일체구조로 이루어진 집수장치인 집수구를 매립시켜 교량 아래쪽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집수구로 유입되는 우수이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집수구는 통상 개방 상측에 우수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그레이팅덮개를 체결시킨 형태를 이루 었다.In general,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on the bridge top plate and drains the incoming soil with rainwater, is installed on both edges of the bridge top plate mainly covered with concrete slab and ascon pavement. Landfills, which are made of collecting devices, are reclaimed so that rainwater flowing into the catchments can be discharged to rivers or rivers through drain pipe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ridge. Such a water collecting port is formed by fastening a grating cover in which rainwater inlet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물론 집수구의 상측은 교량 상판의 경사진 아스콘포장 아래쪽의 콘크리트슬래브의 상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아스콘포장을 따라 유입되는 우수가 그레이팅덮개의 우수유입공으로 통과되어 아래쪽의 집수구몸체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였다. 아울러 집수구의 하측인 배수관연결부는 상대적으로 구경이 큰 배수관의 상측과 체결되고 통상 고무패킹으로 밀폐되어 고정볼트 등으로 결합 연결되었다.Of course, the upper side of the catchment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ide of the concrete slab below the inclined ascon pavement of the bridge deck, and the rainwater flowing along the ascon pavement passes through the rainwater inlet of the grating cover and naturally flows into the catchment body below. It was structure that could be. In addition, the drain pipe connection portion,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catchment,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ain pip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is normally sealed by rubber packing and connected by fixing bolt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집수장치는 우선 집수구몸체 위쪽의 그레이팅덮개가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진 관계로 우수 유입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과 이물질중 우수유입공보다 작은 것은 통과할 수 있으나, 큰 것의 경우에는 집수구몸체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레이팅덮개 위로 계속해서 적체되어 어느 시점에서는 그레이팅덮개를 덮게 되며, 이에 따라 우수가 그레이팅덮개를 통해 집수수몸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 막힘현상이 초래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ter collecting device for bridges, since the grating cover on the upper side of the catchment body is formed in a flat shape, the smaller one than the rainwater inlet hole of various wastes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with rainwater at rainwater can pass. This could not be introduced into the catchment body but continued to accumulate on the grating cover to cover the grating cover at some point, which could lead to a blockage that prevents rainwater from entering the catchment body through the grating cover.
이는 결국 우수가 그레이팅덮개를 통과하여 집수구몸체 아래쪽의 배수관으로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해 교량 상판에 우수가 고이면서 침수되어 차량 통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불편과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의 원인이 되었다.This eventually caused the rainwater to pass through the grating cover and was not normally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under the catchment body, so that the rainwater was flooded on the top of the bridge and flooded, resulting in the inconvenience and the safety accidents that resulted in enormous obstacles in the traffic passage.
한편, 그레이팅덮개의 구조를 경사진 형태로 개선시켜 강우시 우수가 그레이팅덮개를 통해 집수구몸체 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강우시 집수구몸체 안으로 유입되는 초기 우수에 포함된 각종 오물이 별다른 여과처리 없이 그대로 배수관을 통해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될 수밖에 없어 오염의 직접 적인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덮개를 통과하여 집수구몸체로 유입된 각종 오물이 집수구몸체 내부에 그대로 적체됨으로서 결국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거나 막히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grating cover is improved to be inclined so that rainwater can be mor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atchment body through the grating cover, but various wastes included in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catchment body during the rainfall are different. Not only was it discharged into the river or river through the drainage pipe without filtration treatment, but it was a direct cause of pollution, and various wastes flowing through the grating cover into the catchment body accumulated in the catchment body.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that prevented or blocked.
결국 기존의 교량용 집수장치는 타이어 분진, 중금속 오일, 협잡물 등의 지면에 축적된 각종 오염물질인 오물이 제대로 걸러지지 못하고 강우시 초기 우수와 함께 그대로 강이나 하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을 유발시킬 수밖에 없어 환경파괴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As a result, the existing water collecting device for bridges is not polluted with various pollutants accumulated on the ground such as tire dust, heavy metal oil, and contaminants. Inevitably, it cause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강우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이 위쪽의 물흐름판과 아래쪽의 오염물포집통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필터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져 잔류되고 비교적 오염 위험이 적은 우수만 이들 필터들을 거쳐 집수구몸체 아래쪽의 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물에 의한 오염발생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의 교량용 집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various wastes introduced with rainwater during rainfall are sequentially filtered and retained by a plurality of filt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water flow plate and the lower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Only rainwater with a relatively low risk of contamination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below the catchment body through these filters, so that water collection for bridges with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due to the early rainwater can structurally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by the dirt contained in the early rainwater. The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나아가 본 발명의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는 강우가 계속되어 우수가 대량으로 유입될 경우에는 다수의 필터들을 순차적으로 거치지 않고 그레이팅덮개와 물흐름판에 의해 최소한의 상대적으로 커다란 오물 정도만이라도 걸러져서 집수구몸체의 중앙부위를 통해 바로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 도록 함으로서 집수구몸체 위쪽으로 우수가 역류되는 현상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도 보다 발전된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by the initial rain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grating cover and a water flow plate without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when rainwater continues to flow in large quantities. There is a more advanced purpose in that even a large amount of dirt can be filtered out so that it can flow directly into the drain pipe through the central part of the catchment body, thereby structurally preventing the rainwater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catchment bod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는, 콘크리트슬래브와 아스콘포장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집수구몸체의 상측에 다수의 우수유입공이 관통 형성된 그레이팅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집수구몸체의 하측에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관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교량용 집수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1차 여과시킬 수 있도록 1차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그레이팅덮개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물흐름판과, 상기 물흐름판의 1차필터를 거친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재차 여과되어 통과되지 않고 잔류될 수 있도록 2차필터 및 3차필터를 포함한 다단필터가 장착되면서 상기 물흐름판과의 틈새 공간으로 대용량의 우수가 넘쳐흐를 수 있도록 대용량유입구를 형성하는 오염물포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ter collecting device for a bridge having an anti-pollution function by the initial rain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rainwater inflows on an upper side of a catchment body installed at both edges of a bridge top plate covered with concrete slab and ascon pavement. In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grating cover formed through the ball and the drain pipe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body, the primary filter is mounted to filter the dirt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s first Multi-stage filter including a secondary filter and a tertiary filter so that the water flow plate installed below the grating cover and the dirt contained in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filter of the water flow plate are filtered again and remain without being passed through again. While forming the large-capacity inlet so that the overflow of the large flow into the gap space with the water flow pl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aminant collecting container.
특히 오염물포집통은 탈부착 가능하게 최소한 2차필터와 3차필터를 포함한 다단필터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해 모두 순차적으로 장착되거나 최소한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중 어느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그레이팅덮개는 집수구몸체의 상단에 걸림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외측으로 몸체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면서 하부 내측으로는 1차필터가 주연 위쪽으로 위치하는 물흐름판이 걸림 안착될 수 있도록 흐름판걸림턱이 돌출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contaminant collecting container is detachably equipped with a multistage filter including at least a secondary filter and a tertiary filter, sequentially mounted in bot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r selectively mounted in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grating cover has a flow plate catching jaw so that the body catching jaw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to be s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atchment body, and the water flow plate located at the upper periphery of the primary filter is seated at the lower inside. Is formed to protrude.
나아가 물흐름판은 우수가 외측의 1차필터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부위가 중앙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water flow plate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ward the center so that rainwater can flow into the outer primary filter.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초기 우수의 오물에 의한 오염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집수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tructurally prevent contamination by the dirt of the initial rainwater.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으로 다단필터를 구성하게 되는 다수의 필터(14)(16)(18)들이 그레이팅덮개(20) 아래쪽의 물흐름판(30) 및 오염물포집통(40)의 필터장착부(44)에 순차적으로 다수 설치되어 집수구몸체(10)를 구성하는 교량용 집수장치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를 구성하는 그레이팅덮개(20)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다단필터중 먼저 1차필터(14)가 장착되는 물흐름판(30)이 하부에 조립된 그레이팅덮개(20)의 측방향 단면구조 및 도 3의 A-A선방향 단면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plurality of
그리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를 구성하는 물흐름판(30)과 오염물포집통(40)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 특히 물흐름판(30)은 1차필터(14)가 장착되는 바깥쪽의 필터받침단부(32)에 상기 1차필터(14)를 거치면서 걸러진 우수가 통과되어 아래쪽의 오염물포집통(4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물투과공(36)이 관통되어 있고, 상향 돌출된 중앙부위에는 정상시(우수가 적은 양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우수가 바로 통과되지 않고 바깥쪽의 필터받침단부(32)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홍수 등과 같이 많은 양의 우수가 한꺼번에 유입될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관통된 집수구몸체(10)의 중앙부위로 유입되어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역류공(34)이 형성되어 있다.4 and 5 illustrate the
또한 오염물포집통(40)은 물흐름판(30)의 1차필터(14)에 의한 우수의 1차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최소한 2차 및 3차의 여과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단필터를 구성하는 2차필터(16)와 3차필터(18)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필터장착부(44)가 형성되고, 특히 우수가 이들 2,3차필터(16)(18)를 통해 오물이 보다 세밀하게 걸러져 정화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다수의 물투과공(46)이 관통된 구조를 형성한다. 물론 내측의 필터장착부(44) 역시 전체적으로 물투과공(46)이 형성됨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아울러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1차필터(14)가 장착되는 물흐름판(30)이 그레이팅덮개(20)의 하부에 조립되지 않고 오염물포집통(40)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태 변경된 교량용 집수장치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 6 is a shape change so that the
우선 본 발명의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역시 기본적으로 통상 콘크리트슬래브(52)와 아스콘포장(50)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집수구몸체(10)의 상측에 다수의 우수유입공(22)이 관통 형성된 그레이팅덮개(20)가 설치되며, 상기 집수구몸체(10)의 하측은 교량의 배수관(도면도시 생략)이 연결되는 배수관연결부(12)가 돌출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는 강우시 우수가 상기 그레이팅덮개(20)의 우수유입공(22)을 통해 집수구몸체(10 안으로 유입되어 배수관연결부(12)를 통해 교량 아래쪽의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되는 구성관계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First, the water collecting device for a bridge having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by the initial superio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basically an upper side of the
본 발명의 교량용 집수장치에서는 그레이팅덮개(2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집수구몸체(10)를 통해 바로 배출되지 않고 다수의 정화단계로서 보다 세밀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상기 그레이팅덮개(20)의 아래쪽과 집수구몸체(10) 내부에 각각 다수의 필터(14)(16)(18)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water collecting device for brid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ting cover is disposed so that dirt contained in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즉, 도 1 내지 도 4의 기본 실시예에서는 그레이팅덮개(20)의 하부에 바로 1차필터(14)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1차필터(14)가 장착되는 물흐름판(30)이 구성 설치되는데, 상기 물흐름판(30)은 상기 그레이팅덮개(20)의 우수유입공(22)을 통과한 우수가 바로 집수구몸체(10)의 관통된 중앙부위로 낙하되지 않고 외측의 1차필터(14)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부위가 중앙 상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것처럼 바깥쪽의 필터받침단부(32)에는 상기 1차필터(14)를 거친 우수가 통과되어 오염물포집통(4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물투과공(36)이 관통되고, 중앙쪽 돌출부위에는 많은 양의 우수가 한꺼번에 유입될 경우에 자연스럽게 관통된 집수구몸체(10)의 중앙부위로 유입되어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역류공(34)이 형성된다.That is, in the basic embodiment of FIGS. 1 to 4, the
또한 그레이팅덮개(20)는 집수구몸체(10)의 상단에 걸림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외측으로 몸체걸림턱(24)이 돌출 형성되면서 하부 내측으로는 1차필터(14)가 주연 위쪽으로 위치하는 물흐름판(30)이 걸림 안착될 수 있도록 흐름판걸림턱(26)이 돌출 형성된다. 물론 도 5의 응용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물흐름판(30)이 그레이팅덮개(20)의 하부에 조립되지 않고 집수구몸체(10) 상측에 안착되는 응용구조에서는 당연히 상기 물흐름판(30)을 걸림 안착시키기 위한 그레이팅덮개(20)의 하부 내측에 돌출되는 흐름판걸림턱(26)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그레이팅덮개(20)의 전체적인 구조도 응용 실시예에 따른 물흐름판(30)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계속해서 1차필터(14)가 설치되는 물흐름판(30)과 별도로 최소한 2차필터(16) 및 3차필터(18)를 포함한 다단필터가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보다 확실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필터장착부(44)를 매개로 이들 상기 2,3차필터(16)(18)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오염물포집통(40)이 집수구몸체(10)의 내부 외측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o the
특히 오염물포집통(40)의 상측은 그레이팅덮개(20)쪽의 물흐름판(30)과 일정공간의 틈새가 유지되는 대용량유입구(4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많은 양의 강우시 상기 오염물포집통(40)으로 유입되는 대용량의 우수가 상기 대용량유입구(42)를 통해 자연스럽게 2,3차필터(16)(18) 안쪽의 필터장착부(44) 내부공간으로 넘쳐흐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오염물포집통(40)은 다단필터인 2,3차필터(16)(18)를 통한 비교적 깨끗한 우수가 집수구몸체(10) 아래쪽의 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들 다단필터들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46)에 다수의 물투과공(46)이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upper side of the
즉, 본 발명의 교량용 집수장치는 기본적으로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전체적으로 다단필터를 구성하게 되는 다수의 필터(14)(16)(18)들에 의해 걸러지면서 비교적 오염 위험이 적은 우수만 순차적으로 배출되고, 또한 대용량의 강우시에는 자연스럽게 집수구몸체(10)를 통해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어 교량으로 역류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최소한 3단계의 필터(14)(16)(18)들이 그 레이팅덮개(20)가 위치하는 위쪽 공간과 집수구몸체의 아래쪽 공간에 설치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단필터는 3단계의 필터(14)(16)(18)보다 많은 4단계 이상으로 필터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으나, 집수장치의 기능구조상 3단계 정도의 필터 적용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only the rainwater having a relatively low risk of contamination as the dirt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is filtered by a plurality of
그리고 그레이팅덮개(2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초기 우수의 유입방향이 1차필터(14) 및 2,3차필터(16)(18)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물흐름판(30)이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물흐름판(30)과의 틈새 공간으로 대용량의 우수가 넘쳐흐를 수 있도록 일정공간의 대용량유입구(42)를 형성하는 오염물포집통(40)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오염물포집통(40)에 장착되는 2차필터(16)와 3차필터(18)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해 모두 순차적으로 장착됨을 기본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중 어느 일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And while the inflow direction of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교량용 집수장치는 도 6의 우수의 유입방향에서 보는 것처럼, 비교적 적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는 강우시에는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1차필터(14) 및 2,3차필터(16)(18)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져 오염물포집통(40)에 자연스럽게 잔류될 수 있으며, 당연히 오물이 걸러진 비교적 깨끗한 우수만이 상기 오염물포집통(40) 안쪽의 내부공간을 통해 교량 아래쪽의 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inflow direction of the rainwater in FIG. 6,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그리고 우수의 양이 많아져 오염물포집통(40)의 필터(16)(18)들을 통해 바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우수는 자연스럽게 상기 오염물포집통(40) 상측의 대용량유입 구(42)를 통해 넘쳐흘러 배출될 수 있으며, 또한 대용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강우시에는 상기 대용량유입구(42)를 통한 우수의 넘침과 동시에 위쪽의 물흐름판(40)으로부터 우수가 바로 집수구몸체(10)의 관통된 중앙부위로 바로 배출될 수 있어, 위쪽의 그레이팅덮개(20)를 통해 교량 상판으로의 우수 역류가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nd rainwater that flows out through the lar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는, 강우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이 위쪽의 물흐름판과 아래쪽의 오염물포집통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필터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걸러져 잔류되고 비교적 오염 위험이 적은 우수만 이들 필터들을 거쳐 집수구몸체 아래쪽의 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물에 의한 오염발생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having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by the initial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dirts flowing into the rainwater rainwater at the top and a plurality of pollutant collecting vessel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water flow plate and the lower. Only rainwater that is filtered out sequentially by the filters and which has a relatively low risk of contamination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below the catchment body through these filters to structurally prevent contamination by dirt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또한 강우가 계속되어 우수가 대량으로 유입될 경우에는 다수의 필터들을 순차적으로 거치지 않고 그레이팅덮개와 물흐름판에 의해 최소한의 상대적으로 커다란 오물 정도만이라도 걸러져서 집수구몸체의 중앙부위를 통해 바로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집수구몸체 위쪽으로 우수가 역류되는 현상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rainfall continues and the rainwater flows in large quantities, the grating cover and the water flow plate are filtered through the grating cover and the water flow plate without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sequentially, and flow directly into the drain pipe through the central part of the catchment body. By making it possible to be able to structurally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rainwater flows back toward the catchment body can also be provid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7691A KR100721237B1 (en) | 2006-06-26 | 2006-06-26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7691A KR100721237B1 (en) | 2006-06-26 | 2006-06-26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1237B1 true KR100721237B1 (en) | 2007-05-23 |
Family
ID=3827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7691A KR100721237B1 (en) | 2006-06-26 | 2006-06-26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1237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7621B1 (en) | 2008-08-06 | 2009-01-07 | 신인식 | Ways to strengthen ozone oxidation process preprocessing wastewater processing device |
KR100920689B1 (en) | 2009-07-16 | 2009-10-14 |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 The apparatus of prevent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for drain type |
KR100987178B1 (en) | 2008-06-02 | 2010-10-11 |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 Rain water treatment device |
KR101098900B1 (en) | 2011-03-04 | 2011-12-26 | (주)스템즈 건설 | Drain for bridge |
KR101134952B1 (en) | 2011-10-06 | 2012-04-09 | (주)워터 아이엠에스 | Rainwater purify device for bridge |
KR101172023B1 (en) | 2009-02-17 | 2012-08-07 | 윤봄이 | Filterring device |
KR101632919B1 (en) * | 2015-12-07 | 2016-06-24 |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 Waterspout with preventing function an odious smell and water purifying function |
KR101822469B1 (en) * | 2015-04-20 | 2018-01-29 | 그린로드(주) |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2125814B1 (en) * | 2019-03-20 | 2020-07-08 | 정영호 | A Rain Water Filtration Device |
KR102265280B1 (en) * | 2020-04-29 | 2021-06-15 |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 A drain for bridg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9290U (en) | 1986-07-04 | 1988-01-21 | ||
KR100486105B1 (en) * | 2004-09-09 | 2005-04-2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KR200393332Y1 (en) * | 2005-05-31 | 2005-08-18 | 나상철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KR100539146B1 (en) * | 2003-09-04 | 2005-12-26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KR100558709B1 (en) * | 2005-03-14 | 2006-03-13 | 김원주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
2006
- 2006-06-26 KR KR1020060057691A patent/KR10072123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9290U (en) | 1986-07-04 | 1988-01-21 | ||
KR100539146B1 (en) * | 2003-09-04 | 2005-12-26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KR100486105B1 (en) * | 2004-09-09 | 2005-04-2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KR100558709B1 (en) * | 2005-03-14 | 2006-03-13 | 김원주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KR200393332Y1 (en) * | 2005-05-31 | 2005-08-18 | 나상철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178B1 (en) | 2008-06-02 | 2010-10-11 |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 Rain water treatment device |
KR100877621B1 (en) | 2008-08-06 | 2009-01-07 | 신인식 | Ways to strengthen ozone oxidation process preprocessing wastewater processing device |
KR101172023B1 (en) | 2009-02-17 | 2012-08-07 | 윤봄이 | Filterring device |
KR100920689B1 (en) | 2009-07-16 | 2009-10-14 |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 The apparatus of prevent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for drain type |
KR101098900B1 (en) | 2011-03-04 | 2011-12-26 | (주)스템즈 건설 | Drain for bridge |
KR101134952B1 (en) | 2011-10-06 | 2012-04-09 | (주)워터 아이엠에스 | Rainwater purify device for bridge |
KR101822469B1 (en) * | 2015-04-20 | 2018-01-29 | 그린로드(주) |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1632919B1 (en) * | 2015-12-07 | 2016-06-24 |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 Waterspout with preventing function an odious smell and water purifying function |
KR102125814B1 (en) * | 2019-03-20 | 2020-07-08 | 정영호 | A Rain Water Filtration Device |
KR102265280B1 (en) * | 2020-04-29 | 2021-06-15 |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 A drain for brid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1237B1 (en)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
KR100805334B1 (en) | SH Purication appratus for road | |
KR100957464B1 (en) | A cover apparatus for a waterspout | |
KR102067348B1 (en) | Collecting well of point drainage type for back flow and bad smell protection and inpurity filtering | |
KR100896015B1 (en) | Non-point source decrease equipment | |
KR101332781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 |
KR100486105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
KR101277785B1 (en) |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 |
KR101013091B1 (en) | Purification structure for rainwater | |
KR101683816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0976851B1 (en) | Drain box | |
KR100802335B1 (en) | Purification apparatus for rainfall used a bridge | |
KR20130120052A (en) | A collection well for roads and bridfes with nonpoint pollution soure reduction feature | |
KR101175998B1 (en) | Internal linear drainage equipment having road percolating water discharge ability of bridge | |
KR100683119B1 (en)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
KR101027931B1 (en) | Rainwater for grating | |
JP3354126B2 (en) | Vertical oil / water separation tank for road surface drainage, road surface drainage treatment facility, and its precast block | |
KR100755626B1 (en) | Oil seperating drain apparatus of bridge | |
KR200224137Y1 (en) | Drainage for pollutant removal | |
KR100686286B1 (en) | Sewage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0690380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0558709B1 (en)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
CN209323356U (en) | A kind of bridge drainage structure | |
KR20160027786A (en) | Multifunction Rain Gutters to prevent river pollution separation to collect various contaminants on the road and the initial rainfall | |
KR100516777B1 (en) | Catchment bulk that have water pass h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