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은 평가대상기술의 사업부실화 가능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로짓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확률(우량확률 또는 부실확률)을 평점화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위험등급을 구하는 단계, 상기 평가대상기술의 기술성, 사업성, 시장성을 반영하기 위해 가중치 평점모형에 의해 산출된 평점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기술등급을 구하는 단계, 상기 위험등급과 상기 기술등급을 X축과 Y축으로 하는 매트릭스에 의해 종합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기술평가인증등급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은, 수명자료분석모형(생존분석모형)에 의해 등급에 따른 연도별 부실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은, 사례기반추론에 의해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은, 경영주 기술능력,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및 수익성의 4가지 항목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평가지표에 의해 평가되는 기술평가모형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위험등급, 상기 기술등급, 상기 기술평가인증등급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평가항목별 세부검토사항의 평가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세부검토사항의 평가 내용에 의해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세부검토사항에 입력되는 평가 내용은, 평가 방법에 따라 각기 시스템에 의해 자동산출된 값에 의해 평가되는 계량평가 항목, 체크된 항목수에 의해 평가되는 체크평가항목, 등급이 부여되는 평가자 평가항목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세부검토사항을 5×5 밸런스 매트릭스 또는 5×5×5 밸런스 매트릭스에 의해 산출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위험등급을 구하기 위한 위험평점을 산출하는 단계는, 기술평가 결과로부터 사업부실화 위험을 반영한 로짓평점을 계산하는 단계, 평가대상 기술(기업)의 대내외 환경위험을 반영한 환경평점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로짓평점과 상기 환경평점을 소정의 비율로 결합하여 위험평점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로짓평점 및 상기 환경평점을 계산하는 단계는, 기술평가평점 요인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경제지표 요인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기업상태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의 각각의 단계에서 구해지는 기초산출값에 의해 로짓모형 투입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술평가 평점 요인변수를 로짓함수1에 투입하고 우량확률을 계산하여 로짓평점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경제지표 요인변수와 기업상태변수를 로짓함수2에 투입하고 우량확률을 계산하여 환경평점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기술등급을 구하는 단계는, 가중치평점모형에 의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주어 기술평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기술평가인증등급을 구하는 단계는, 로짓모형에 의한 위험등급과 가중치평점모형에 의한 기술등급을 기초로 하여 매트릭스 평가기준에 의해 인증등급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수명자료분석모형(생존분석모형)에 의해 연도별 부실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는, 투입변수와 계수를 통해 생존확률(XB)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생존확률을 반영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기대수명(또는 부실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사례기반추론에 의해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단계는, 기술평가지표별 평점을 산출하는 단계, 유클리디안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유클리디안 거리가 최소인 기업을 일정수 만큼 추출하는 단계,상기 추출된 기업의 성과를 추출하여 사례기반추론에 의해 기업의 성과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은, 매트릭스 도표와 해설부를 다양한 시각에서 기술평가를 제시하며, 기술평가모형에 사용되는 기술성, 사업성, 기술사업성, 위험등급변수를 각각 X 축 또는 Y 축으로 하는 KTCP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기업의 특성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 상기 KTCP 매트릭스를 작성하는 방법은, 기술평가 위험등급, 기술등급, 기술성 변수의 각각의 변수선정단계, 위험등급, 기술등급, 재무안정성 등급 산출단계, 기술성, 사업성, 기술사업성의 평점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평점값에 따라 매트릭스표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상기 매트릭스표에 의거하여 매트릭스 도표부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 방법은 크게 위험등급을 구하는 단계(S123), 기술등급을 구하는 단계(S125), 기술평가인증등급을 구하는 단계(S129), 등급에 따른 연도별 부실확률을 구하는 단계(S133), 경영성과예측단계(S135)로 구성되는 바, 이하에서 분설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의 평가등급은 위험등급(S123), 기술등급(S125), 기술평가(인증)등급(S129)으로 구분된다.
위험등급(S123)은 사업화 예정이거나 추진 중인 기술의 사업화 여건, 기술성 및 관련사항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해당기술에 기반한 기업의 사업부실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동시에 기업의 사업추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환경 요인 등을 종합한 기술기반의 기업위험등급으로서, 평가대상기업(기술)의 사업부실화 가능성(Risk)을 반영하기 위해 로짓모형에 의해 산출된 우량 또는 불량확률을 평점화하여 일정기준에 의해 등급을 부여하고, 10등급(aaa∼d)으로 표시한다.
기술등급(S125)은 사업화 예정이거나 추진 중인 기술의 기술성, 사업성 및 시장성 등을 종합 검토하여 해당기술에 기반한 기업의 사업 성공가능성과 기술혁신능력을 산출한 기술기반의 등급으로서, 평가대상기업(기술)의 기술성, 사업성, 시장성 등을 반영하기 위해 가중치평점모형에 의해 산출된 평점에 일정기준을 적용하여 등급을 부여하고, 10등급(V1∼V10)으로 표시한다.
기술평가(인증)등급(S129)은 위험등급, 기술등급을 Matrix에 의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등급을 부여하고, 10등급(AAA∼D)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평가등급 표시 체계는 아래의 표1과 같다.
여기에서 위험등급(S123), 기술등급(S125)은 각 모형에 의해 산출된 위험평점과 기술평점에 따라 일정기준에 의해 부여된 등급이며, 기술평가(인증)등급(S129)은 위험등급과 기술등급을 X축과 Y축으로 하는 Matrix에 의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부여되며, 그 결과는 표2와 같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 의해 위험등급, 기술등급, 기술평가인증등급을 구하는 방법을 상술한다.
본 기술평가방법에서의 위험등급, 기술등급, 기술평가인증등급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평가 항목은 표3과 같다. 기술평가 항목은 대ㆍ중ㆍ소항목, 세부검토항목의 계층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세부 검토항목의 평가결과를 기초로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점수(등급)가 산출되고, 이 기술평가항목(소항목)의 점수(등급)가 위험등급, 기술등급 산출을 위한 투입변수로 활용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항목별 평가등급을 산출하는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평가표를 로그인(S201)하여,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세부검토항목의 평가 내용을 입력한다(S203).
입력되는 평가내용은 평가방법에 따라 각각 계량평가항목, 체크평가항목, 평가자 평가항목의 3가지로 구분된다.
계량평가 항목은, 기업개요데이터, 기업재무데이터 등 별도 입력된 기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스템에 의해 자동산출된 값에 의해 평가되는 항목이다. 시스템에 의해 자동계산되는 항목이므로, 데이터의 입력누락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계량평가항목은, 해당 계산값 자체의 크기(수준)에 의한 평가 항목과, 동업계 평균값(업종별 평균비율 등) 대비 수준에 의한 평가 항목으로 구분된다.
항목별 계산방법은 표4와 같다.
체크평가 항목은, 평가기준으로 제시된 체크항목을 평가자가 체크(Check)하여, 체크된 항목수에 의해 자동 평가한다.
체크평가항목 현황은 아래의 표5와 같다.
평가자 평가 항목의 대상은 계량 및 체크 평가항목 이외의 평가항목이며, 평가화면(Pop-up)상에서 제시되는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자가 임의의 등급을 부여하여 평가한다.
평가항목별 평가자 평가방법은 전술한 표3으로 요약된다.
이상과 같은 평가방법에 의해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세부검토항목의 평가 내용을 입력(S203)한 후, 입력항목의 누락여부(S205)를 확인하여, 누락된 항목이 존재하면 이를 입력한다.(S207)
모든 세부검토항목이 입력되면,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세부 검토항목 수에 따라 5×5 Balance Matrix, 또는 5×5×5 Balance Matrix에 의해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점수(등급)가 자동 산출된다.(S209)
5×5 Balance Matrix에 의한 산출의 예시는 아래의 표6과 같다.
5×5×5 Balance Matrix에 의한 산출 예시는 아래의 표7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등급을 구하기 위한 위험평점(로짓모형)을 산출하는 흐름도이다. 위험 예측모형은 기술평가표에 의해 평가된 기술평가 데이터를 로짓 모형에 적용하여 모형을 수립한다.
위험등급을 구하기 위한 로짓평점을 구하기 위한 절차로서는, 우선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세부검토항목의 평가입력 누락여부를 체크한다(S301). 이는 평가항목의 점수부여 누락여부, 기타 투입변수의 입력누락 여부를 자동체크하는 단계이다. 체크 결과 평가점수의 입력이 누락된 경우 항목을 보완한다.(S303)
다음으로 평가입력된 기술평가항목(소항목)별 점수(등급)을 활용하여, 함수식에 의한 기술평가평점 요인변수를 산출한다.(S305)
요인변수 산출식은 아래의 표8과 같다.
요인변수의 산출이 종료되면(S305), 다음으로 별도 저장된 경제지표를 활용하여, 함수식에 의한 경제지표 요인변수를 산출한다.(S307)
경제지표 변수목록은 아래의 표9와 같다.
다음으로 기업상태 변수를 산출한다.(S309)
기업상태변수를 산출하기 위한 변수목록은 아래의 표10과 같으며, 이는 별도 입력된 기업데이터에 의해 구한다.
기업상태변수는 상시조사 및 자료관리 DB 입력과정에서 입력오류나 입력누락이 상존하는 항목이므로, 최종 평점을 산출하기 전에 기업상태변수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Pop-UP)하여 평가자의 재확인을 거치도록 구성한다.(S311)
다음으로 기초 산출값, 로짓모형 투입값을 확정하여 저장한다.(S313)
이어서, 기술평가 평점 요인변수를 로짓모형에 투입하여 로짓점수1을 구하고(S315), 우량확률을 계산하여(S317) 로짓평점을 구한다.(S319)
로짓평점을 산출하기 위한 항목과 변수명은 아래의 표11과 같다.
우량확률(Score)은
의 산식에 의해 산출하며(S317), 우량확률이 계산되면 로짓평점 = 우량확률 * 100의 식에 의해 로짓평점을 계산한다.(S319)
환경평점을 산출하기 위한 항목과 변수명은 아래의 표12와 같으며, 위의 로짓평점을 구하는 절차와 동일하게 로짓점수2를 계산하고(S321), 우량확률를 구하여(S323) 환경평점을 구한다.(S325)
로짓평점과 환경평점이 구해지면, 위험평점 = 로짓평점 * 0.95 + 환경평점 * 0.05의 산식에 의해 위험평점을 구한다.(S327)
위험평점이 구해지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따른 위험등급을 산출한다.(S123)
다음은 가중치평점모형에 의한 기술등급을 구하는 단계이다.(S125) 여기에서는 아래의 표13에서와 같이 기술평가항목(소항목)에 의해 기술평점을 구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평가항목별 가중치는 업종별 특성을 반영하여, 업종별로 가중치를 차별화하여 적용한다.
가중치 평점모형에 의해 기술평점이 정해지면 아래 평가기준에 의해 기술등급을 부여한다.(S125)
로짓모형에 의한 위험등급(S123)과 가중치평점모형에 의한 기술등급(S125)이 산출되면, 이를 기초로 하여 매트릭스 평가기준에 의해 최종적으로 기술평가인증등급을 부여하는 단계를 설명한다.(S129)
기술평가인증등급 산출은 상술한 표2의 내용과 같이, Matrix에 의한 등급평가에 따른다.
다음은 수명자료분석모형(생존 분석모형)에 의해 등급에 따른 연도별 부실확률(생존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S133) 이 단계는 기술평가표의 평가결과를 투입변수로 하여 기술평가인증등급에 따른 연도별 부실확률(기대수명)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수명(생존) 자료는 어떤 정해진 시작점으로부터 사건의 발생시점까지, 예를 들어 기술평가 및 평가결과에 따른 신용보증(융자) 시점으로부터 기업부실(사업화실패)이란 사건이 발생한 시점까지의 기간으로 구성되며, 이 시간을 생존기간이라 한다.
수명자료 분석(생존분석)은 그 생존기간을 분석하여 기술평가 및 신용보증(융자) 기업의 t시점 이후의 생존할 확률과 위험율을 구하여 평가대상기업의 기대수명을 측정함으로써 시간변화에 따른 기술평가 등급별 사업부실화율 변동추이 등과 같은 추가정보를 제공한다.
수명자료분석모형의 생존확률을 산출하기 위한 투입변수 목록은 아래의 표14와 같다.
아래의 표15는 시간(t)별 기대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Parameter 목록의 예시이다.
이러한 변수에 의해 연도별 기대수명(또는 부실확률) 산출방법은,
① 투입변수와 계수의 선형방정식에 의해 생존확률(XB)을 계산하고,
② 시간별 기대수명(또는 부실확률) 계산한다.
※ 부실확률 = 1 - 기대수명
연도별 기대수명(부실확률) 추정 결과의 예시는 도 8-15와 같다
다음은 사례기반추론(S121)에 의해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단계를 설명한다.(S135)
사례기반추론(Case-Based Reasoning: CBR)이란 새로운 사건과 유사한 기존사례를 찾아 기존 사례의 해결된 문제와의 유사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 분석방법을 응용하여 현재 평가하고 있는 기업(기술)과 유사한 과거의 기술평가 사례를 추출하고, 유사 기술평가 사례 기업의 경영성과를 분석함으로써 당해 기업(기술)의 경영성과를 추출한다.
도4는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방법의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단계별 산출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술평가지표별 평점을 산출한다.(S401) 여기에서는 기술평가표에 의해 산출한 평점을 그대로 활용한다.
다음으로 유클리디안 거리를 측정한다.(S403) 유클리디안 거리는 유사성의 척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술평가 소항목 기준 평점과 비교대상 기업(과거 평점사례)의 평점간 거리의 제곱합에 대한 제곱근으로 구하며, 그 산출산식은 아래와 같다.
※ 비교대상기업(과거 평점사례) 각각에 대해 유클리디안 거리를 산출
다음으로 유클리디안 거리를 측정하여 그 거리가 최소 즉 유사도가 가장 높은 기업 10개의 사례를 추출하고(S405), 10개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활동성 등의 성과를 추출한다.(S407)
평가대상기업에 대해 사례기반 추론에 의한 성과 평가 결과를 비교대상기업(과거 평점사례)에 누적 축적하여 비교대상기업으로 활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험등급, 기술등급, 기술평가인증등급, 등급에 따른 연도별 부실확률, 경영성과 예측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평가방법에 따른 기술평가 결과를 위험등급, 기술성, 사업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2차원 도표에 표시(이하, ‘KTCP 매트릭스’라 한다.)할 경우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바, 이러한 KTCP 매트릭스의 작성방법과 활용도에 대하여 살펴 본다.
도5는 KTCP 매트릭스의 도면부와 해설부를 설명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KTCP 매트릭스는, 기술평가모형에 사용된 기술성과 사업성, 기술·사업성과 위험등급 변수 등을 각각 X축과Y축으로 하여 기업의 특성을 하나의 도표로 표현한 기술평가 및 컨설팅 매트릭스로서 도표부와 해설부로 구성된다.
도표부는 평가대상기업의 기술성과 사업성, 위험관점 평가결과를 일정등급으로 분류한 후, Matrix상에 표현한다.
해설부는 Matrix를 다양한 관점에서 결합·구성한 후, 각 Matrix에 대한 설명을 자동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KTCP 매트릭스의 지표로 이용되는 기술성은 기술개발추진능력,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 및 인프라, 기술의 혁신성, 완성도, 확장성 등을 종합 평가하고, 사업성은 보유기술(제품)의 시장상황과 경쟁력, 제품화능력, 마케팅능력 등을 종합 평가한다.
도6은 KTCP 매트릭스를 구축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KTCP Matrix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변수선정단계(S601), 위험등급, 기술등급, 재무안정성 등급 산출단계(S603), 기술성, 사업성, 기술·사업성 평점산출단계(S605), 변수별 평점의 구간 설정 단계(S607), 매트릭스표 작성단계(S609), 매트릭스 도표부 구축단계 (S611)를 거쳐 완성된다.
변수선정단계(S601)에서는, 기술평가위험등급, 기술등급, 기술성 변수의 각각의 변수를 선정한다. 기술평가 위험등급은 기술평가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기술기반의 위험등급을 이용하며, 기술등급은 상술한 기술평가지표의 전체 평가항목에 대해 Scoring Method 방식에 의해 산출한 평점 또는 등급이다.
기술성 변수는 아래의 표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술평가지표의 기술성 평가항목으로 구성된다.
시장성 변수는 아래의 표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술평가지표의 시장성 평가항목으로 구성된다.
아래의 표19는 사업성① 변수이다.
아래의 표20은 사업성② 변수이다.
기술·사업성 변수는 아래의 표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술평가지표의 기술성 및 사업성 평가항목으로 구성된다.
재무안정성 변수는 기업신용평가시스템의 재무모형을 활용한 재무등급을 재무안정성 변수로 활용한다.
변수선정단계가 완료되면, 위험등급, 기술등급, 재무안정성평점(등급)을 산출한다. (S603)
위험등급은 상술한 기술평가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기술기반의 위험등급이다.
기술등급은 상술한 기술평가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등급이다.
재무안정성은 기업신용평가시스템의 재무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재무등급이다
다음으로, 기술성, 사업성, 기술·사업성의 평점을 산출한다. (S605)
Scoring Method방식에 의한 평점모형에 의해 아래의 계산식에 따라 각 분야(변수)별 평점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산출한다.
평점이 산출되면, 도표부를 구축하기 위해서 우선, 변수별 각 평점(등급)을 6개의 구간으로 분류하여 구간을 설정한다.(S607)
다음으로 산출된 평점값에 의해 Matrix표를 작성한다.(S609)
<Matrix 구축>
마지막으로, 매트릭스 도표부 및 해설부를 구축한다.(S611)
도7a는 기술평가등급을 도시한 KTCP 매트릭스 도면으로서, 기술등급을 X축으로, 위험등급을 Y축으로 하여 작성된다. 기술평가등급은 대상 기술과 관련하여 기술력, 기술개발현황 및 제품화 능력을 바탕으로 사업화 가능성을 등급으로 평가하며, 위험등급은 대상 기업의 대내외 환경을 감안하여 기술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예측되는 향후 사업의 부실가능성을 위험평가모형에 의해 등급으로 평가한 것을 의미한다.
도7b는 경영성과예측을 도시한 KTCP 매트릭스 도면이다. 기술기반사업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기존의 전통적 형태의 기업과 비교시 향후 경영성과예측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감안하여 기술기업의 다양한 경영성과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술기업의 향후 3년간의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경영성과는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 및 활동성 등 4가지 재무지표를 중심으로 산출되며, 등급이 높을수록 양호한 성과가 예측됨을 의미한다.
도7c는 기술성 vs 사업성을 설명하는 KTCP 매트릭스 도면으로서, 대상기술의 기술내용, 기술수준 등과 기술의 제품화 능력, 마케팅 상황, 향후 수익전망 등을 매트릭스 상에 대비하여 표현한 도표이다.
도7d는 기술성 vs 시장성을 설명하는 KTCP 매트릭스 도면으로서 기술의 기술내용, 기술수준 등과 기술의 시장규모, 성장전망, 경쟁상황 등을 매트릭스 상에 대비하여 표현한 도표이다.
도7e는 시장성 vs 사업성을 설명하는 KTCP 매트릭스 도면으로서, 기술의 시장규모, 성장전망, 경쟁상황 등과 기술의 제품화 능력, 마케팅상황, 향후 수익전망 등을 매트릭스상에 대비하여 표현한 도표이다.
도7f는 재무안전성 vs 기술사업성을 설명하는 KTCP 매트릭스 도면으로서, 기술의 기술성, 사업성 및 수익성 등 미래 성장전망(기술사업성)과 기업에 대한 평가시점의 단기 재무안정성을 매트릭스에 대비하여 표현한 도표이다.
다음은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을 실제로 적용하는 컴퓨터상의 화면으로서, 본 발명의 평가순서에 따라 각각의 화면을 설명한다.
도8a는 기술평가접수단계의 접수관리화면이고,
도8b는 기술평가접수단계의 접수상세내역 입력 화면이다.
도8c 내지 도8f는 기업데이터 입력단계로서, 각각
도8c는 기업체 개요(업종, 업력, 등록, 외감, 벤처기업 여부 등)의 입력화면이고,
도8d는 대표자 현황 입력화면이고,
도8e는 재무제표 입력화면이고,
도8f는 경제환경지표 데이터 관리화면이다.
도8g 내지 8o는 평가데이터 입력단계로서,
도8g는 평가서 표지 생성화면이고,
도8h는 45개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평가표를 작성하는 화면이고,
도8i는 계량항목 예시1의 평가항목 등급 부여 화면이고,
도8j는 계량항목 예시2의 평가항목 등급 부여 화면이고,
도8k는 체크항목 예시의 평가항목 등급 부여 화면이고,
도8l는 평가자 평가항목 예시의 평가항목등급부여화면이고,
도8m은 밸런스 매트릭스를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8n은 평점산출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8o는 평가결과표시단계로서, 기술평가등급, 성과분석, 기대수명 산출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모두 컴퓨터에서 DB화된 데이터에 의해 본 발명이 구현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