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175B1 - Low level vehicles - Google Patents
Low level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5175B1 KR100715175B1 KR1020050077068A KR20050077068A KR100715175B1 KR 100715175 B1 KR100715175 B1 KR 100715175B1 KR 1020050077068 A KR1020050077068 A KR 1020050077068A KR 20050077068 A KR20050077068 A KR 20050077068A KR 100715175 B1 KR100715175 B1 KR 100715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 case
- pipe
- body frame
- suppor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5/00—Fuel tank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의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의 후측부에 후륜이 피봇 지지되고, 스윙 아암과 차체 프레임의 사이에는 리어 쿠션이 설치되며,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의 아래쪽 및 리어 쿠션의 위쪽에 수납 부재가 배치되는 저상식(低床式) 차량에 있어서, 리어 쿠션과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면서 수납 부재의 바닥벽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 부재의 수납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wheel is pivotally supported on a rear side of a swing arm which is supported to swing up and down by a body frame, a rear cushion is installed between the swing arm and the body frame, In a low-floor vehicle in which a storage member is disposed above a rear cushion, the bottom wall of the storage member can be set at a lower position while providing a gap between the rear cushion an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member. The purpose is to secure a large.
수납 부재(140)의 바닥벽(140a)의 하면에 리어 쿠션(72)을 그 중심 축선이 상기 바닥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설치된다. An accommodating recess 14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140a of the accommodating member 140 so as to accommodate the rear cushion 72 so that its center axis is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40a.
Description
도 1은 제1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1 is a side view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front side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도 3은 엔진의 정면도. 3 is a front view of the engine.
도 4는 도 1의 4-4선의 확대 단면도.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1;
도 5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Fig. 5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rear side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도 6은 도 5의 6-6선의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5;
도 7은 제2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7 is a side view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8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8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front side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도 9는 흡기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파워 유닛의 평면도. 9 is a plan view of the power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intake machine is omitted.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10 방향에서 본 도면. 10 is a view from the
도 11은 도 9의 화살표 11 방향에서 본 도면. FIG. 11 is a view from the
도 12는 도 7의 12-12선의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12-12 line of FIG. 7.
도 13은 제3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Fig. 13 is a side view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4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14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front side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도 15는 제4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Fig. 15 is a side view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0: 스윙 아암60: swing arm
72: 리어 쿠션72: rear cushion
133: 승차용 시트133: seat for riding
140: 수납 부재로서의 수납 박스140: storage box as a storage member
140a, 180a: 바닥벽140a, 180a: bottom wall
142, 181:수납 오목부142, 181: storing recess
143: 헬멧143: helmet
144: 바이저144: visor
180: 수납 부재로서의 연료 탱크180: fuel tank as storage member
F: 차체 프레임F: body frame
WR: 후륜WR: rear wheel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의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의 후측부에 후륜이 피봇 지지되고, 스윙 아암과 차체 프레임의 사이에는 리어 쿠션이 설치되며,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의 아래쪽 및 리어 쿠션의 위쪽에 수납 부재가 배치되는 저상식 차량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wheel is pivotally supported on a rear side of a swing arm which is supported to swing up and down by a body frame, a rear cushion is installed between the swing arm and the body frame, It relates to a low-rise vehicle in which a storage member is disposed above the rear cushion.
이러한 저상식 차량은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알려져 있다. Such low-floor vehicles are known,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특허 공개 2004-116423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04-116423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서는 수납 부재로서의 수납 박스의 바닥면이 리어 쿠션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리어 쿠션과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납 박스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그 바닥면을 보다 낮게 설정하고자 하는 것에 제한이 있다. By the way, in the scooter type motorcycle shown by the said patent document 1,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x as a storage member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a rear cush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learance gap with a rear cushion, and therefore the capacity of a storage box There is a limit to wanting to set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in order to secure th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리어 쿠션과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면서 수납 부재의 바닥벽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 부재의 수납 용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저상식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possible to set the bottom wall of the storage member at a lower position while securing a gap between the rear cushion, thereby ensuring a larg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member. It aims to provide a common sense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의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의 후측부에 후륜이 피봇 지지되고, 스윙 아암과 차체 프레임의 사이에는 리어 쿠션이 설치되며,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의 아래쪽 및 리어 쿠션의 위쪽에 수납 부재가 배치되는 저상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의 바닥벽의 하면에 상기 리어 쿠션을 그 중심 축선이 상기 바닥벽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pivotally supports a rear wheel on a rear side of a swing arm which is supported to be swingable up and down by a body frame, and a rear cushion is provided between the swing arm and the body frame. In a low-rise vehicle in which a storing member is disposed below a seat for riding a vehicle and above a rear cushion, the rear cushion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of the storage member, and the center axis thereof is small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recess is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수납 부재가 헬멧 등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 기 수납 부재가 연료를 수납하는 연료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storage member is a fuel tank for storing fuel.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리어 쿠션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스윙 아암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벽의 폭 방향 중앙부에 상기 수납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4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수납 오목부가 제트형 헬멧을 그 바이저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수납 박스에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storage recess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jet helmet in the storage box with the visor raised.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도 1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3은 엔진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의 단면도이다. 1 to 6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ide view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FIG.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front side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and FIG. 3 is an engin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4-4 of FIG. 1, FIG. 5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rear portion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6-6 of FIG.
우선 도 1에 있어서, 이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5) 및 이 프론트 포크(15)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16)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7)와, 이 헤드 파이프(17)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18…)와, 이들 다운 파이프(18…)의 아래쪽에서 상기 헤드 파이프(17)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동시에 양 다운 파이프(18…)보다도 급경사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파이프(19…)와, 이들 로어 파이프(19…) 하단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양 다운 파이프(18…) 하단이 중간부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20…)를 구비한다. First, in FIG. 1, the body frame F of this scooter type motorcycle can steer the
상기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는 이들 로커 아암 파일럿(19…)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이 접합된다. 상기 메인 파이프(20…)는 로어 파이프(19…) 및 엔진 행거 브래킷(19a…)의 접합부 근방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이 메인 파이프(20…)와 로어 파이프(19…) 하단의 연결 부재로서의 기능을 다하게 된다. 또한 좌우로 쌍을 이루는 다운 파이프(18…) 및 로어 파이프(19…)의 중간부 사이에는 보강용 연결판(21…)이 설치된다. An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메인 파이프(20)는 상기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전반 경사부(20a)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후반 경사부(20b)와, 상측으로 팽창하도록 만곡되어 전반 경사부(20a)의 후단 및 후반 경사부(20b)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부(20c)가 일체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도 3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보다도 길게 한 대략 직각 사변형의 각진 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반 경사부(20a)의 중간부에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용접에 의해 연속해서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후반 경사부(20b)의 전측부에는 연결판(22)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시트 레일(23)의 전단이 상기 연결판(22)에 연결되며,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23…)의 후측부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더구 나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판(22)의 전단측의 일부가 만곡부(20c)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연결판(22) 및 시트 레일(23)을 효율적으로 메인 파이프(20)의 후반 경사부(20b)의 전측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레일(23…)의 후측부에는 전단을 후반 경사부(20b)의 후단에 접합하게 하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어 파이프(24…)의 후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좌우로 쌍을 이루는 시트 레일(23…) 및 리어 파이프(24…)의 중간부 사이에는 보강용 연결판(25…)이 설치된다. The connecting
도 3을 참조하면, 차체 프레임(F)에는 4 사이클인 엔진(EA)과, 이 엔진(EA)의 출력을 변속하는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A)이 후륜(WR)을 구동하기 위해 탑재된다. 상기 엔진(EA)은 예컨대 수냉식 단기통으로 구성되며, 크랭크 케이스(28)와, 상하로 연장되는 실린더 축선을 갖고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블록(29)과, 크랭크 케이스(28)와는 반대측에서 실린더 블록(29)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30)와, 실린더 헤드(30)의 꼭대기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31)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a power unit PA including a four-cycle engine EA and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 for shifting the output of the engine EA drives the rear wheel WR in the body frame F. FIG. To be mounted. The engine EA is configured of, for example, a water-cooled single cylinder, and has a
그런데 상기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다운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는 제1 엔진 행거(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EA)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29)의 전방에서 크랭크 케이스(28)의 상부가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된다. 또한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 연속해서 있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의 하단에는 제2 엔진 행거(33…)가 한 쌍의 볼트(43…)로 결합되어 있고, 크랭크 케이스(28)의 전방측 하부가 제2 엔진 행 거(33…)에 볼트(44)에 의해 체결 및 지지된다. By the way,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이 하여 강성이 높은 부분에서 엔진(EA)을 양 메인 파이프(20…)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제1 엔진 행거(32…)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볼트(26…) 체결에 의해서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EA)의 크랭크 케이스(28)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볼트(27) 체결에 의해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되며, 효율적이면서 강성을 보다 높게 하여 크랭크 케이스(28)를 제1 엔진 행거(32…)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engine EA can be supported by both
도 4에 있어서, 크랭크 케이스(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 축(34)은 한 쌍의 크랭크 웨브(34a, 34a)와, 이들 크랭크 웨브(34a, 34a) 사이를 연결하는 크랭크 핀(34b)을 일체로 구비하며, 실린더 블록(29)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피스톤(35)은 커넥팅 로드(36)를 통해 상기 양 크랭크 웨브(34a, 34a) 사이의 크랭크 핀(34b)에 연결된다. In FIG. 4, the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좌측에서, 크랭크 축(34)의 일단부는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돌출되고, 이 크랭크 축(34)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로터(37)와, 이 로터(37) 안에 수용되는 스테이터(38)에 의해 AC 발전기(39)가 구성되며 해당 AC 발전기(39)는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40)로 덮이고, 상기 스테이터(38)는 좌측 커버(40)에 고정되어 있다. On the left side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torcycle,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30)에 배치되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 생략)를 개폐 구동하는 구동 밸브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실린더 헤드(30)에 회 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 축(41)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28) 및 AC 발전기(39) 사이의 크랭크 축(34) 사이에는 시간 조절 전동 장치(42)가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 축(34)의 회전 동력은 상기 시간 조절 전동 장치(42)에 의해서 1/2로 감속되어 상기 캠 축(41)에 전달된다. In addition, a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우측에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28)에는 해당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주체(45)가 연결되어 있고, 이 케이스 주체(45)의 우측에 체결되는 우측 커버(46)와, 상기 케이스 주체(45)의 후측부의 우측에 체결되는 기어 케이스(47)와, 상기 케이스 주체(45)에 의해 변속기 케이스(48)가 구성되고, 케이스 주체(45)와 우측 커버(46) 사이에는 변속실(49)이 형성되며, 케이스 주체(45)와 기어 케이스(47) 사이에는 기어실(50)이 형성된다. The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의 변속실(49)에는 크랭크 축(34)의 회전 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후륜측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M)가 수납된다. 이 무단 변속기(M)는 변속실(49) 안을 향하는 크랭크 축(34)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풀리(51)와, 크랭크 축(34)과 평행한 축선을 갖고 변속기 케이스(48)의 후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축(54)의 변속실(49) 안을 향하는 부분에 장착되는 드리븐 풀리(52)와, 드라이브 풀리(51) 및 드리븐 풀리(52)에 감겨지는 무단형 벨트(53)를 구비한다. The
드라이브 풀리(51)는 도시하지 않는 전동 모터 등의 작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축(34)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통(56)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상기 벨트(53)의 권취 반경을 변화시킨다. 또한 드리븐 풀리(52)는 드라이브 풀리 (51)에서의 벨트(53)의 권취 반경의 변화에 따라서 권취 반경을 드라이브 풀리(51)와는 반대측으로 변화시키며, 이 드리븐 풀리(52) 및 전동축(54) 사이에 원심 클러치(55)가 장착된다. The
상기 전동축(54)의 타단측은 기어실(50)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전동축(54)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출력축(57)이 케이스 주체(45) 및 기어 케이스(47)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실(50)에는 상기 전동축(54)의 회전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출력축(57)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열(58)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출력축(57)의 일단부는 기어 케이스(47)의 후측부를 관통하여 기어 케이스(47)의 후측부 좌측으로 돌출된다. The other end side of the
그런데 후륜(WR)의 차축(59)은 스윙 아암(60)의 후측부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이 스윙 아암(60)의 전단에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의 일부를 구성하는 케이스 주체(45) 및 기어 케이스(47)의 후측부 사이를 상호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지지 아암부(60a, 60b)가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한쪽 지지 아암부(60a)는 상기 출력축(57)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지지 아암부(60b)는 상기 출력축(57)과 동축으로서 상기 케이스 주체(45)의 후측부에 설치된 지지축(61)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스윙 아암(60)의 전단부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에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By the way, the
상기 출력축(57)의 일단은 상기 스윙 아암(60)이 구비하는 한쪽 지지 아암부(60a)로부터 돌출되고, 이 출력축(57)의 상기 지지 아암부(60a)로부터의 돌출부에 구동 스프로킷(62)이 고정된다. 한편,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좌측에서 후륜(WR)의 차축(59)에는 종동 스프로킷(63)이 고정되어 있고, 구동 스프로킷(62) 및 종동 스프로킷(63)에 무단형 체인(64)이 감겨진다. 또한 상기 지지 아암부(60a)의 전단 외면측에는 구동 스프로킷(62)을 덮는 스프로킷 커버(65)가 부착된다. One end of the
상기 변속기 케이스(48)의 후측부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66…)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브래킷(66…)은 메인 파이프(20…)의 후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1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48)의 후방측 하부에는 한 쌍의 메인 스탠드축(67…)이 동축으로 설치되고, 이들의 메인 스탠드축(67…)에 의해 메인 스탠드(68)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또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c…) 사이에는 크로스 파이프(7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크로스 파이프(71)와, 상기 스윙 아암(60)의 전측부에 설치된 쿠션용 브래킷(60c) 사이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이 설치된다. The rear side of the
도 2를 참고하면, 실린더 헤드(30)의 전방측 측면에는 스로틀 바디(74)의 하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다운 파이프(18…)에 걸쳐지도록 연료 탱크(90A)가 배치되어 있고, 스로틀 바디(74)의 상류단에는 엔진(EA)의 앞쪽 및 상기 연료 탱크(90A)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76A)가 접속되며 스로틀 바디(74)에는 연료 분사 밸브(77)가 부착된다. 2, the downstream end of the
에어 클리너(76A)는 클리너 케이스(148) 안에 클리너 엘리먼트(149)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클리너 케이스(148)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아암형 제1 케이스 부재(150)와, 전방으로 개방된 아암형 제2 케이스 부재(151)가 클리너 케이스(148) 안을 전방의 미정화실(152) 및 후방의 정화실(153)로 구획하는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149)를 양 케이스 부재(150, 151)의 주연부 사이에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In the
제1 케이스 부재(150)에는 에어 클리너(76B)의 전방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도록 미정화실(152)로 통하는 외기 도입관(154)이 설치되고, 또한 제2 케이스 부재(151)를 통해 스로틀 바디(74)의 상류단에 하류단을 접속하는 흡기관(155)이 정화실(153)에 수납된다. The
에어 클리너(76A)에 있어서의 제1 케이스 부재(150)의 전측부 아래쪽에는 수냉식인 엔진(EA)에 의해 따듯해진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91)가 해당 엔진(E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라디에이터(91)의 하부에는 차체 프레임(F)이 구비하는 제2 엔진 행거(33…)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부착 아암부(168…)가 설치되고, 이 부착 아암부(168…)는 제2 엔진 행거(33…)에 설치된 브래킷(169…)에 마운트 고무(170…)를 통해 지지된다. 또한 라디에이터(91)의 상부에는 그 상방의 로어 파이프(19…)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부착 아암부(171…)가 설치되고, 로어 파이프(19…)에 설치된 브래킷(172…)에 상기 부착 아암부(171…)가 도시하지 않은 마운트 고무를 통해 지지된다. 즉 라디에이터(91)는 차체 프레임(F)의 로어 파이프(19…) 및 제2 엔진 행거(33…)에 지지된다. The
상기 에어 클리너(76A)에 있어서의 클리너 케이스(148)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 부재(15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을 라디에이터(91)측으로 유도하는 도풍판(15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도풍판(156)은 클리너 케이스(148)의 전단 하부로부터 라디에이터(91)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The lower part of the
엔진(EA)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30)의 후측부 측면에는 배기관(95)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95)의 하류단은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97)에 접속된다. The upstream end of the
도 2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F)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의 전에는 조향 핸들(16)의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로크 기구(101)가 설치되고, 이 로크 기구(101)는 로크 기구(10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의해 전환 작동한다. As shown in FIG. 2, before the
그런데 헤드 파이프(17)에는 그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테이(111)가 고착되어 있고, 이 스테이(111)의 상단에는 조향 핸들(16)의 중앙부 전방에 배치되는 미터(112)가 부착되고, 또한 헤드 램프(11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14)가 스테이(111)의 상부에 부착된다. However, the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실린더 바디(115)는 상기 미터(112) 근방에서 스테이(111)에 부착되어 있고, 정규 키(116)를 삽입하여 회전 운동을 조작함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로터(117)가 실린더 바디(115) 안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 로터(117)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링크 부재(121)가 요동 작동함으로써, 상기 로크 기구(101)가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하도록 작동한다. The
도 1을 참고하면, 연료 탱크(90A), 에어 클리너(76A) 및 파워 유닛(PA)과, 차체 프레임(F)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차체 커버(125)로 덮이고, 이 차체 커버(125)는 헤드 파이프(17)의 전측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동시에 헤드 램프(113)가 부착되는 프론트 커버(126)와, 헤드 파이프(17) 및 연료 탱크(90A)를 후방 측에서부터 덮어 프론트 커버(126)에 연속해서 있는 센터 커버(127)와, 상기 프론트 커버(126)의 좌우 양측에 접합되어 탑승자의 다리 부분 전방을 덮는 좌우 한 쌍의 레그 실드(128…)와, 탑승자의 발 밑을 지지하도록 레그 실드(128…)에 연속해서 있는 좌우 한 쌍의 발판부(129…)(도 3 참조)와, 이들 발판부(129…) 사이에서 위쪽으로 융기하여 센터 커버(127)의 후측부에 연속해서 있는 플로어 터널부(130)와, 상기 양 발판부(129…)의 바깥 모서리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각각 펴지는 스커트부(131…)(도 3 참조)와, 차체 프레임(F)의 후측부의 좌우 양측을 덮어 발판부(129…) 및 플로어 터널부(130)에 접합되는 리어 커버(13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리어 커버(132)상에는 조향 핸들(16)을 조향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를 태우는 동시에 차량 운전자 뒤쪽에 동승자를 태울 수 있도록 하는 탠덤형 승차용 시트(13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이 승차용 시트(133)는 연료 탱크(90A)보다도 뒤쪽에 배치되며, 차체 커버(125) 중 연료 탱크(90A)를 후방측에서부터 덮는 센터 커버(127)와, 이 센터 커버(127)의 후측부에 연속해서 있는 플로어 터널부(130)와, 상기 승차용 시트(133)가 설치되는 리어 커버(132)로부터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U 자형의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이 전방측의 연료 탱크(90A) 및 에어 클리너(76A)와, 후방측의 승차용 시트(13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형성되고, 라디에이터(91), 및 차체 프레임(F)의 양 다운 파이프(18…) 및 양 로어 파이프(19…)도 상기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On the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상기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는 이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에 의해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도록 하여 수납 부재로서의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고, 이 수납 박스(140)는 상기 시트 레일(23…) 및 리어 파이프(24…)에 의해 지지된다. 5 and 6, the bottom of the
그런데 수납 박스(1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차체 프레임(F)의 크로스 파이프(71) 및 스윙 아암(60)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 쿠션(72)의 위쪽에 배치되며, 수납 박스(140)에 있어서의 바닥벽(140a)에는 상기 리어 쿠션(72)을 그 축선이 상기 바닥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마련된다. 또한 이 수납 오목부(142)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박스(140)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며, 이와 같은 수납 오목부(142)는 제트형 헬멧(143)을 그 바이저(144)가 올려진 상태로 수납 박스(14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However, the
다음에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와, 이 파이프(17)에 의해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 핸들(16)을 조작하는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133)의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U 자형인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이 차체 커버(125)로 형성되고, 차체 프레임(F)은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의 전방에서 헤드 파이프(17)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파이프(18…)와, 이들 다운 파이프(18…)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헤드 파이프(17)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로어 파이프(19…)와, 이들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양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20…)를 구비하고, 메인 파이 프(20)는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연장되는 동시에 다운 파이프(18)의 하단이 중간부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전반 경사부(20a)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후반 경사부(20b)와, 위쪽으로 팽창되도록 만곡되어 전반 경사부(20a)의 후단 및 후반 경사부(20b)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부(20c)가 일체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이러한 차체 프레임(F)의 구조에 의하면, 메인 파이프(20)가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또한 위쪽으로 만곡된 후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20)의 아래쪽 공간을 비교적 크게 하여 엔진(EA) 형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는 동시에 메인 파이프(20) 중간의 만곡부(20c)를 적절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조종성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F, since the
또한 다운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서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엔진(EA)을 지지하는 제1 엔진 행거(32…)가 설치되기 때문에, 다운 파이프(18…)와의 연결로 강성이 강해지는 부분에 의해 메인 파이프(20…)에 엔진(EA)을 지지하도록 하여 엔진(EA)을 효율적이면서 확실하게 차체 프레임(F)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또한 승차용 시트(133)를 지지하도록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23…)의 전단이 양 메인 파이프(20…)에 있어서의 후반 경사부(20b…)의 전측부에 각각 접합됨으로써, 메인 파이프(20…) 및 시트 레일(23…)이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시트 레일(23…)의 메인 파이프(20 …)에 대한 접합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at rails 23... Which are inclined upwardly to the rear to support the riding
더구나 메인 파이프(20…)가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보다도 길게 한 직각 사변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각진 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20…)의 상하 방향의 강성을 높게 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는 가요성을 갖게 하여, 보다 쾌적한 조종성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그런데, 후륜(WR)을 후측부에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60)의 전측부는 변속기 케이스(48)에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차체 프레임(F) 및 스윙 아암(60)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의 위쪽 및 차량 운전자가 앉는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으로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지만, 수납 박스(140)의 바닥벽(140a)의 하면에는 리어 쿠션(72)을 그 중심 축선이 상기 바닥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마련되기 때문에, 리어 쿠션(72)과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면서, 수납 박스(140)의 바닥벽(140a)을 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어 수납 박스(140)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the way, the front part of the
더구나 리어 쿠션(7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스윙 아암(60) 및 차체 프레임(F)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 박스(140)의 바닥벽(140a)의 폭 방향 중앙부에 상기 수납 오목부(142)가 설치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140)의 폭 방향 양측의 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수납 오목부(142)가 제트형 헬멧(143)을 그 바이저(144)가 올려진 상태로 수납 박스(14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트형 헬멧(143)을 수납 박스(140) 안에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엔진(EA)의 앞쪽에는 라디에이터(91)가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91)의 위쪽에 에어 클리너(76A)가 배치되어 있으며, 에어 클리너(76A)의 클리너 케이스(148)에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을 유도하도록 라디에이터(91)측으로 연장되는 도풍판(156)이 일체로 연속해서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으면서, 라디에이터(91)측에 주행풍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라디에이터(91)를 냉각할 수 있다. Moreover, the
더구나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이 연료 탱크(90A), 에어 클리너(76A) 및 라디에이터(91)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는, 연료 탱크(90A) 및 에어 클리너(76A)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라디에이터(91)의 후방에 부피가 큰 부재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 도풍판(156)의 도풍 효과를 한층 더 끌어낼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또한 조향 핸들(16)의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로크 기구(101)와, 이 로크 기구(101)에 전환 조작력을 작용시키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가 상호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지만,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로터(117)에 이 로터(117)의 회전 운동에 따라 요동하도록 링크 부재(12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로크 기구(101)는 상기 링크 부재(121)의 요동에 따라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링크 부재(12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Moreover, although the
따라서 키 실린더 자물쇠(102)로부터의 조작력이 링크 부재(121)의 요동에 의해 로크 기구(101)측에 전달되고, 키 실린더 자물쇠(102) 및 로크 기구(101) 사이의 조작력 전달 구조를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더구나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절도감(節度感)을 얻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operation force from the
또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가 조향 핸들(16)의 전방에서 미터(112)의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에 의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8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9는 흡기계를 생략한 상태의 파워 유닛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10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1은 도 9의 화살표 11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2는 도 7의 12-12선의 단면도이며, 상기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도시할 뿐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 7 is a side view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front side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and FIG. 9 is a plan view of the power unit with the intake machine omitted; FIG. 10 is a view seen from the
우선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이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이 차체 프레임(F)에는 4 사이클인 엔진(EB)과, 이 엔진(EB)의 출력을 변속하는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B)이 후륜(WR)을 구동하기 위해 탑재된다. First, in FIG. 7 and FIG. 8, the body frame F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engine frame EB, which is four cycles, is provided in the body frame F. A power unit PB mad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 that shifts the output of EB is mounted to drive the rear wheel WR.
도 9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엔진(EB)은 예컨대 수냉식 2 기통 V 형으로 구성되며, 크랭크 케이스(28)와, 앞이 약간 올라가게 기울어진 실린더 축선을 갖고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측부 뱅크(BF)와, 이 전측부 뱅크(BF)와 V 형을 이루도록 상기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후측부 뱅크(BR)를 구비하며, 각 뱅크(BF, BR)는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29F, 29R)과, 크랭크 케이스(28)와는 반대측에서 실린더 블록(29F, 29R)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30F, 30R)와, 실린더 헤드(30F, 30R)의 꼭대기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31F, 31R)를 각각 구비한다. 9 to 11 together, the engine EB is configured, for example, of a water-cooled two-cylinder V type, having a crank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다운 파이프(18…)의 하단 근방에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된 제1 엔진 행거(32…)에는, 엔진(EB)에 있어서의 전측부 및 후측부 뱅크(BF, BR) 사이에서 크랭크 케이스(28)의 상부가 지지되고, 후측부 뱅크(BR)는 양 메인 파이프(20…)의 만곡부(20c…)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메인 파이프(20…)의 전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2 엔진 행거(33…)에는 전측부 뱅크(BF) 아래쪽에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28)의 하부가 지지된다. The engine EB is provided in the
이와 같이 하여 강성이 높은 부분에서 엔진(EB)을 양 메인 파이프(20…)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 더구나 제1 엔진 행거(32…)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볼트(26…)의 체결에 의해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EB)의 크랭크 케이스(28)는 상기 다운 파이프(18…)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볼트(27)의 체결에 의해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되며, 효율적이면서 강성을 한층 더 높게 하여 크랭크 케이스(28)를 제1 엔진 행거(32…)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engine EB can be supported by both
도 12에 있어서, 상기 양 뱅크(BF, BR)의 피스톤(35…)은 크랭크 케이스(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 축(34)이 구비하는 양 크랭크 웨브(34a, 34b) 사이의 크랭크 핀(34b)에 커넥팅 로드(36…)를 통해 공통으로 연결된다. In FIG. 12, the
또한 상기 양 뱅크(BF, BR)의 실린더 헤드(30F, 30R)에 각각 배치되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구동하는 밸브 작동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양 실린더 헤드(30F, 30R)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 축(41…)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28) 및 AC 발전기(39) 사이의 크랭크 축(34) 사이에는 시간 조절 전동 장치(42)가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 축(34)의 회전 동력은 상기 시간 조절 전동 장치(42)에 의해 1/2로 감속되어 상기 캠 축(41…)에 전달된다. In addition, the two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된 변속기 케이스(48)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66…)은 메인 파이프(20…)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양 메인 파이프(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c…)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크로스 파이프(71)와, 스윙 아암(60)의 전측부에 설치된 쿠션용 브래킷(60c) 사이에,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이 설치된다. A pair of
도 8을 참고하면, 엔진(EB)의 흡기계(73)는 전측부 및 후측부 뱅크(BF, BR) 사이에서 이들 뱅크(BF, BR)의 실린더 헤드(30F, 30R)의 일측면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스로틀 바디(74F, 74R)와, 양 스로틀 바디(74F, 74R)의 상류단에 각각 접속되는 흡기관(75F, 75R)과, 이들 흡기관(75F, 75R)이 공통으로 접속되도록 전측부 뱅크(BF)의 위쪽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76B)를 구비하고, 각 스로틀 바디(74F, 74R)에는 연료 분사 밸브(77F) 77R)가 부착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에어 클리너(76B)는 클리너 케이스(78) 안에 클리너 엘리먼트(79)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클리너 케이스(78)는, 위쪽으로 개방된 아암형의 제1 케이스 부재(80)와, 클리너 케이스(78) 안을 상부 미정화실(83) 및 하부 정화실(84)로 구획하는 칸막이 벽(81a)을 일체로 갖는 제2 케이스 부재(81)와, 아래쪽으로 개방 된 아암형의 제3 케이스 부재(82)가 제2 케이스 부재(81)의 주연부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80, 82)의 주연부 사이에 유지하는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칸막이 벽(81a)에 설치된 유통 구멍(85)에 상측, 즉 미정화실(83)측으로부터 클리너 엘리먼트(7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In the
상기 흡기관(75F, 75R)은 정화실(84)로 돌입(突入)하도록 클리너 케이스(78)에 접속되고, 미정화실(83)로 통하는 흡기 구멍(89)이 클리너 케이스(78)에 있어서의 제3 케이스 부재(82)의 측부에 설치된다. The
에어 클리너(76B)의 클리너 케이스(78)는 그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전후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여 형성되며, 이 에어 클리너(76B)의 위쪽에서 양 다운 파이프(18…)가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연료 탱크(90B)가 차체 프레임(F)의 전측부, 즉 양 다운 파이프(18…)에 탑재 및 지지된다. The
또한 상기 클리너 케이스(78)의 천정 벽, 즉 제3 케이스 부재(82)의 천정 벽(82a)은 연료 탱크(90B)의 바닥벽(90Ba)에 대향하여 전후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81)의 칸막이 벽(81a)도 전후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eiling wall of the
상기 엔진(EB)에 있어서의 전측부 뱅크(BF)의 앞쪽이면서 상기 에어 클리너(76B)의 아래쪽에는 수냉식인 엔진(EB)에서 따뜻해진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91)가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91)는 차체 프레임(F)의 로어 파이프(19…)에 의해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라디에이터(91), 상기 연료 탱크(90B) 및 상기 에어 클리너(76B)는 차체 커버(125)에 의해 형성되는 다리가 위치하는 공 간(135)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A
더구나 상기 에어 클리너(76B)에 있어서의 클리너 케이스(78)의 하부, 즉 제1 케이스 부재(80)에는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을 라디에이터(91)측으로 유도하는 도풍판(9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도풍판(92)은 클리너 케이스(78)의 전단 하부에서부터 라디에이터(91)측을 향해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Furthermore, the lower part of the
에어 클리너(76B)의 클리너 케이스(78)에 있어서의 제2 케이스 부재(81)의 후측부에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클리너 케이스(78) 안에 수납되는 클리너 엘리먼트(79)를 교환하기 위한 엘리먼트 교환창(136)이 상기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이 엘리먼트 교환창(136)은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137)에 의해 폐쇄된다. At the rear side of the
또한 클리너 케이스(78)의 천정 벽(82a)은 연료 탱크(90B)의 바닥벽(90Ba)에 대향하여 전후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클리너 엘리먼트(79)도 상기 엘리먼트 교환창(136)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인출될 수 있어서, 상기 천정 벽(82a)에 대향하여 거의 수평인 자세로 클리너 케이스(78) 안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 교환창(136)에 대응하여 플로어 터널부(130)에는 덮개 부재(137)의 개폐 조작 및 클리너 엘리먼트(79)를 삽입 및 분리할 수 있게 한 개구부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엔진(EB)의 배기계(93)는, 전측부 뱅크(BF)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30F)의 하부 측면에 상류단이 접속되어 파워 유닛(PB)의 아래쪽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관(94)과, 후측부 뱅크(BR)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30R)의 후측부 측면에 상류 단이 접속되는 배기관(95)과, 이들 배기관(94, 95)의 하류단에 공통으로 연속해서 있는 집합 배기관(96)과,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집합 배기관(96)에 접속되는 배기 머플러(97)를 구비한다. In the
전측부 뱅크(BF)의 배기관(94)은 실린더 헤드(30F)로부터 아래쪽으로 대략 C 자형으로 만곡되고, 상기 파워 유닛(PB)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파워 유닛(PB)의 후방으로부터 후륜(WR)의 우측을 향해 상승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워 유닛(PB)의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변속기 케이스(48)에 있어서의 바닥벽(48a)의 하면에는 상기 배기관(94)의 적어도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98)가 마련된다. The
더구나 상기 수용 오목부(98)는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 축(34)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풀리(51)측의 크랭크 웨브(34a)와, 드라이브 풀리(51)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비교적 대직경인 드라이브 풀리(51)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변속기 케이스(48)에 있어서의 바닥벽(48a)의 하면에 수용 오목부(98)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2, the
또한 후측부 뱅크(BR)의 배기관(95)은 메인 스탠드축(67)보다도 후방에서 전측부 뱅크(BF)의 상기 배기관(94)과 병렬로 배치되고, 크랭크 케이스(28)의 좌측으로부터 변속기 케이스(48)의 후측부로 들어가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즉, 후측부 뱅크(BR)의 배기관(95)은 실린더 헤드(30R)로부터 크랭크 케이스(28) 및 변속기 케이스(48)의 좌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변속기 케이스(48)의 후측부로 들어가 상기 메인 스탠드축(67)보다도 뒤쪽에서 전측부 뱅크(BF)의 상기 배기관(94)과 병렬 배 치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집합 배기관(96)은 파워 유닛(PB)의 후방측에 병렬 배치되는 양 배기관(94, 95)의 하류단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이 집합 배기관(96)의 하류단에 배기 머플러(97)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The
또한 차체 프레임(F)의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에는 조향 핸들(16)의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로크 기구(101)가 설치되고, 이 로크 기구(101)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여, 로크 기구(10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따른 링크 부재(121)의 요동 동작에 따라서, 조향 핸들(16)의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한다. Moreover, the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는 이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에 의해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는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고, 이 수납 박스(140)에 있어서의 바닥벽(140a)에는 리어 쿠션(72)을 그 축선이 상기 바닥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마련된다. Under the
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메인 파이프(20)의 아래쪽 공간을 비교적 크게 하고, 엔진(EB)의 형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는 동시에, 메인 파이프(20)의 중간 만곡부(20c)를 적절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최적의 조종성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다운 파이프(18…)와의 연결로 강성이 강해지는 부분에 의해 메인 파이프(20…)에 엔진(EB)을 지지하도록 하여 엔진(EB)을 효율적이면서 확실하게 차체 프레임(F)으로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econd embodiment, the space below the
또한 리어 쿠션(72)과의 사이의 간극을 마련하면서 수납 박스(140)의 바닥벽 (140a)을 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어, 수납 박스(140)의 수납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Moreover, the
또한 엔진(EB)의 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91)측에 연장되는 도풍판(92)이 에어 클리너(76B)에 있어서의 클리너 케이스(78)에 일체로 연속해서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으면서, 라디에이터(91)측에 주행풍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라디에이터(91)를 냉각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guiding
더구나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이 연료 탱크(90B), 에어 클리너(76B) 및 라디에이터(91)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연료 탱크(90B) 및 에어 클리너(76B)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라디에이터(91)의 후방에 부피가 큰 부재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 도풍판(92)의 도풍 효과를 한층 더 끌어낼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또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 및 로크 기구(101) 사이의 조작력 전달 구조를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between the
또한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된 V 형 엔진(EB)의 전측부 뱅크(BF)는 전방으로 기울어진 실린더 축선의 실린더 블록(29F) 및 실린더 헤드(30F)를 가지며, 그 엔진(EB)의 크랭크 케이스(28)의 우측에 엔진(EB)과 동시에 파워 유닛(PB)을 구성하는 무단 변속기(M)를 수용하는 변속기 케이스(48)가 결합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실린더 축선의 실린더 헤드(30F)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배기관(94)이 파워 유닛(PB)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지만, 변속기 케이스(48)에 있어서의 바닥벽 (48a)의 하면에는 배기관(94)의 적어도 상측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98)가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front bank BF of the V-shaped engine EB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F has a
따라서 배기관(94)을 파워 유닛(PB)에 의해 근접시키도록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최저 지상 높이를 확보하여 엔진(EB)을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저상식 차량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또한 엔진(EB)의 후측부 뱅크(BR)가 구비하는 실린더 헤드(30R)의 후측부 측면에 연속해서 있는 배기관(95)이, 메인 스탠드(68)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도록 파워 유닛(PB)의 후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메인 스탠드축(67)보다도 후방에서, 전측부 뱅크(BF)의 실린더 헤드(30F)에 연속해서 상기 파워 유닛(PB)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배기관(94)과 병렬로 되도록 하여, 크랭크 케이스(28)의 좌측으로부터 변속기 케이스(48)의 후측부로 들어가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후측부 뱅크(BR)의 후방에 확보해야 할 배기관(95)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후측부 뱅크(BR)의 후방 공간을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엔진(EB)의 최저부보다도 위쪽으로 배기관(95)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최저 지상 높이를 확보하기 쉽고,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V 형 엔진(EB)이 그 전측부 및 후측부 뱅크(BF, BR) 사이에서 제1 엔진 행거(32…)에 지지되도록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되어 있고, 후측부 뱅크(BR)가 양 메인 파이프(20…)의 만곡부(20c)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메인 파이프(20…) 중 강성이 비교적 높은 부분에 V 형 엔진(EB)의 전측부 및 후측부 뱅크(BF, BR) 사이 를 지지하도록 V 형 엔진(EB)을 차체 프레임(F)에 효율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Further, the V-shaped engine EB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F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또한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되는 엔진(EB)에 연속해서 있는 흡기계(73)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 클리너(76B)가 연료 탱크(90B) 아래쪽으로 배치되고, 에어 클리너(76B)의 클리너 케이스(78)에 이 클리너 케이스(78) 안에 수납되는 클리너 엘리먼트(79)를 교환하기 위한 엘리먼트 교환창(136)이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측을 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76B)의 클리너 엘리먼트(79)를 교환할 때에 엘리먼트 교환창(136)을 개방한 상태로 클리너 엘리먼트(79)를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측에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ir cleaner 76B constituting a part of the
또한 클리너 케이스(78)의 천정 벽(82a)이 연료 탱크(90B)의 바닥벽(90Ba)에 대향하여 전후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클리너 엘리먼트(79)가 엘리먼트 교환창(136)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천정 벽(82a)에 대향한 거의 수평인 자세로 클리너 케이스(78) 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90B) 및 에어 클리너(76B)를 각각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더구나 에어 클리너(76B)의 클리너 케이스(78)가 그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전후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76B)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14는 자동 이륜차의 전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며,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 13 is a side view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front side of the motorcycl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is shown by giving,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차체 프레임(F)에는 4 사이클인 엔진(EC)과, 이 엔진(EC)의 출력을 변속하는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C)이 후륜(WR)을 구동하기 위해 탑재된다. 상기 엔진(EC)은 예컨대 수냉식 단기통으로 구성되며, 크랭크 케이스(28)와, 전방으로 기울어진 실린더 축선을 갖고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블록(29')과, 크랭크 케이스(28)와는 반대측에서 실린더 블록(29')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30')와, 실린더 헤드(30')의 꼭대기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31')를 구비한다. The body frame F of the scooter-type motorcycle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engine frame EC and the output of the engine EC are four cycles. The power unit PC which consists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 which shifts is mounted in order to drive the rear wheel WR. The engine EC consists of, for example, a water-cooled short cylinder, a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다운 파이프(18…)의 후단 근방에서 상기 양 메인 파이프(20…)의 전반 경사부(20a…)에 설치된 제1 엔진 행거(32…)에는 크랭크 케이스(28)의 상측부가 지지된다. 또한 로어 파이프(19…)의 하단에 연속해서 있는 엔진 행거 브래킷(19a…)에 부착되는 제2 엔진 행거(33…)에는 크랭크 케이스(28)의 전방측 하측부가 지지된다. 크랭크 케이스(28)에 결합된 변속기 케이스(48)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66…)은 메인 파이프(20…)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양 메인 파이프(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c…) 사이에 가설되는 크로스 파이프(71)와 스윙 아암(60)의 전측부에 설치된 쿠션용 브래킷(60c) 사이에,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이 설치된다. The crank
실린더 헤드(30')의 상측부 측면에는 스로틀 바디(74)의 하류단이 접속되고, 스로틀 바디(74)의 상류단에는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다운 파이프(18…)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는 연료 탱크(90C)의 아래쪽 및 엔진(EC)의 위쪽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76C)가 접속되며, 스로틀 바디(74)에는 연료 분사 밸브(77)가 부착된다. The downstream end of the
에어 클리너(76C)는 클리너 케이스(158) 안에 클리너 엘리먼트(159)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클리너 케이스(158)는 상측으로 개방된 아암형의 제1 케이스 부재(160)와, 하측으로 개방된 아암형의 제1 케이스 부재(160)에 위로부터 결합되는 제2 케이스 부재(161)와, 전방으로 개방된 아암형의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160, 161)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159)를 두도록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160, 161)에 결합되는 제3 케이스 부재(162)로 이루어지고, 클리너 케이스(158) 안은 클리너 엘리먼트(159)보다도 후방의 미정화실(163)과, 클리너 엘리먼트(159)보다도 전방의 정화실(164)로 구획된다. In the
제3 케이스 부재(162)의 상측부에는 미정화실(163)로 통하는 외기 도입관(165)이 다리가 위치하는 공간(135)을 향하도록 접속되고, 제2 케이스 부재(161)를 통해 스로틀 바디(74)의 상류단에 하류단을 접속시킨 흡입 기관(166)이 정화실(164)에 수납된다. The outside
수냉식인 엔진(EC)에서 따듯해진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91)가 해당 엔진(EC)보다도 전방에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91)는 차체 프레임(F)의 로어 파이프(19…)에 의해 지지된다. A
엔진(EC)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30')의 하측부 측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관(94)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94)은 파워 유닛(PC)의 아래쪽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파워 유닛(PC)의 후방에서 후륜(WR)의 우측을 향해 상승 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워 유닛(PC)의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변속기 케이스(48)에 있어서의 바닥벽(48a)의 하면에는 상기 배기관(94)의 적어도 상측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98)가 마련되고, 배기관(94)의 하류단은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97)에 접속된다.An upstream end of the
또한 차체 프레임(F) 전단의 헤드 파이프(17)에는 조향 핸들(16)의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로크 기구(101)가 설치되고, 이 로크 기구(101)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로크 기구(10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실린더 자물쇠(102)의 조작에 따른 링크 부재(121)의 요동 동작에 따라서, 조향 핸들(16)의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전환한다. In addition, a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는 이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에 의해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는 수납 박스(140)가 배치되고, 이 수납 박스(140)에 있어서의 바닥벽(140a)에는 리어 쿠션(72)을 그 축선이 상기 바닥벽(140a)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42)가 마련된다. Under the
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메인 파이프(20)의 아래쪽 공간을 비교적 크게 하고, 엔진(EC)의 형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는 동시에, 메인 파이프(20) 중간의 만곡부(20c)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조종성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다운 파이프(18…)와의 연결로 강성이 강해진 부분에 의해 메인 파이프(20…)에 엔진(EC)을 지지하도록 하여, 엔진(EC)을 효율적이면서 확실하게 차체 프레임(F)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space below the
또한 리어 쿠션(72)과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면서 수납 박스(140)의 바닥벽 (140a)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고, 수납 박스(140)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수납 박스(140)의 폭 방향 양측의 용적을 증대할 수 있어 제트형 헬멧(143)을 수납 박스(140) 안에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Fig. 15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a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이 차체 프레임(F)에는 4 사이클인 엔진(EC)과, 이 엔진(EC)의 출력을 변속하는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C)이 후륜(WR)을 구동하기 위해 탑재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메인 파이프(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c…) 사이에 가설되는 크로스 파이프(71)와, 스윙 아암(60)의 전측부에 설치된 쿠션용 브래킷(60c) 사이에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리어 쿠션(72)이 설치된다. The body frame F of the scooter type motorcycle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body frame F is provided with four cycles of the engine EC and the output of the engine EC. The power unit PC which consists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 which shifts is mounted in order to drive the rear wheel WR. In addition, the
승차용 시트(133)의 아래쪽에는 이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에 의해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는 수납 부재로서의 연료 탱크(180)가 배치되고, 이 연료 탱크(180)의 바닥벽(180a)에는 리어 쿠션(72)을 그 축선이 상기 바닥벽(180a)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81)가 설치된다. The
또한 상기 연료 탱크(180)의 후방에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수납 박스(140)보다도 소형의 수납 박스(181)가 상기 승차용 시트(133)의 바닥판(141)에 의해 상단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도록 배치되고, 제트형 헬멧(143)을 수납 가능하게 한 수납 박스(182)가 에어 클리너(76C)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측에 배치 된다. In the rear of the
이 제4 실시예에 의하면, 리어 쿠션(72)과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면서 연료 탱크(180)의 바닥벽(180a)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 연료 탱크(180)의 연료 수납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is fourth embodiment, the
이 제4 실시예의 구성을 V 형 엔진이 탑재되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configuration of this fourth embodiment to a scooter type motorcycle which is equipped with a V-type engin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design changes, without leaving | separating the range of this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수납 부재의 바닥벽의 하면에 마련된 수납 오목부에 리어 쿠션이 그 중심 축선을 수납 부재의 바닥벽의 하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수납되기 때문에, 리어 쿠션과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면서 수납 부재의 바닥벽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 수납 부재의 수납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since a rear cushion is accommodated so that the center axis line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of a storage member, in the storage reces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of a storage member, The bottom wall of the storage member can be set at a lower position while securing a gap, so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member can be largely secured.
또한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리어 쿠션과의 간섭을 피하여 수납 박스 또는 연료 탱크의 바닥벽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 수납 박스 또는 연료 탱크의 용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수납 박스의 폭 방향 양측의 용적을 증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4, the volume of the width direction both sides of a storage box can be increased.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트형 헬멧을 수납 박스 안에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5, a jet type helmet can be accommodated effectively in a storage box.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83096A JP2006096117A (en) | 2004-09-29 | 2004-09-29 | Low-floor type vehicle |
JPJP-P-2004-00283096 | 2004-09-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0552A KR20060050552A (en) | 2006-05-19 |
KR100715175B1 true KR100715175B1 (en) | 2007-05-08 |
Family
ID=3623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7068A KR100715175B1 (en) | 2004-09-29 | 2005-08-23 | Low level vehicles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2006096117A (en) |
KR (1) | KR100715175B1 (en) |
CN (1) | CN100436242C (en) |
IT (1) | ITTO20050646A1 (en) |
TW (1) | TWI270495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9787A (en) | 2013-07-02 | 2015-01-19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Saddle-riding type vehicle |
US11260934B2 (en) * | 2019-01-07 | 2022-03-01 |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LLC | Swingarm concentric motor drive for electric motorcy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7917A (en) * | 2002-05-10 | 2003-11-15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cooter type vehicle |
KR20050036728A (en) * | 2003-10-15 | 2005-04-20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light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40336B2 (en) * | 1972-04-05 | 1976-11-02 | ||
JPH01237280A (en) * | 1988-03-18 | 1989-09-21 | Honda Motor Co Ltd | Motorcycle |
JPH0818583B2 (en) * | 1993-04-05 | 1996-02-28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Scooter type motorcycle |
-
2004
- 2004-09-29 JP JP2004283096A patent/JP2006096117A/en active Pending
-
2005
- 2005-06-10 TW TW094119393A patent/TWI270495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23 KR KR1020050077068A patent/KR10071517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29 CN CNB2005100923703A patent/CN10043624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20 IT IT000646A patent/ITTO20050646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7917A (en) * | 2002-05-10 | 2003-11-15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cooter type vehicle |
KR20050036728A (en) * | 2003-10-15 | 2005-04-20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light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0552A (en) | 2006-05-19 |
CN100436242C (en) | 2008-11-26 |
TW200610691A (en) | 2006-04-01 |
ITTO20050646A1 (en) | 2006-03-30 |
TWI270495B (en) | 2007-01-11 |
CN1754755A (en) | 2006-04-05 |
JP2006096117A (en) | 2006-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081036B1 (en) | Motorcycle | |
US7044253B2 (en) | Exhaust pipe structure of vehicle with low floor | |
KR100455352B1 (en) | Scooter type vehicle | |
CN112172984B (en) | Radiator structure of saddle-type vehicle | |
KR100715175B1 (en) | Low level vehicles | |
JP4464783B2 (en) | Engine exhaust structure in vehicles | |
KR100715174B1 (en) | Automatic two-wheel vehicle | |
KR100715171B1 (en) | Scooter type motorcycle | |
JP3390464B2 (en) |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components in motorcycles | |
KR100697000B1 (en) | Motorcycle | |
KR100709956B1 (en) | Key switch apparatus in motor vehicle | |
JP4530787B2 (en) | Motorcycle | |
EP0726197B1 (en) | Swing arm structure for vehicle suspension | |
JP3975076B2 (en) | Scooter type motorcycle | |
JP2001213380A (en) | Scooter type motorcycle | |
JP2006103349A (en) | Motorcycle | |
JP3975077B2 (en) | Scooter type motorcycle | |
JP4153538B2 (en) | Engine mounting structure of scooter type motorcycle | |
JP2004284377A (en) | Low level vehicle | |
JP3975079B2 (en) | Scooter type motorcycle | |
JP2004114869A (en) | Low floor supporting structure for low-floor type vehicle | |
JP2004284390A (en) | Low level vehicle | |
JP2004284373A (en) | Motorcycle | |
JP2010052685A (en) | Engine for snowmobile | |
JP2010052686A (en) | Engine for snow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