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820B1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9820B1 KR100709820B1 KR1020060014632A KR20060014632A KR100709820B1 KR 100709820 B1 KR100709820 B1 KR 100709820B1 KR 1020060014632 A KR1020060014632 A KR 1020060014632A KR 20060014632 A KR20060014632 A KR 20060014632A KR 100709820 B1 KR100709820 B1 KR 100709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plate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나 숫자 등의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며, 전면에는 각종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촉 면에 설치되어 메인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바디를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반원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소정의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서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발생 되는 추가적인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부가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향상됨은 물론, 기존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비하여 독특한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keypad for signal input such as letters and numbers; A slide bod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enable a sliding movement, and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I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e body and comprises a slide modu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body from the main body, the slide body is a predetermined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mi-circular trajectory Since the slide module is configured to slide open and close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install various additional devices by utilizing the additional space generated,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realizing a unique feeling of oper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lide type terminal. Provided is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드 모듈, 곡선운동, 반원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 module, curve motion, semicirc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더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slider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lide modul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ide module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FIG. 4.
도 7a 내지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7A to 7C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lide module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A - 이동통신 단말기 100 - 메인 바디A-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main body
200 - 슬라이드 바디 300 - 슬라이드 모듈200-Slide Body 300-Slide Module
310 - 메인 플레이트 311 - 가이드 리브310-main plate 311-guide rib
3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321 - 가이드 슬릿320-Slide Plate 321-Guide Slit
330 - 탄성부재 340 - 운동 전환수단330-Elastic member 340-Means for switching motion
341 - 제 1고정 플레이트 341a - 제 1가이드홀341-
342 - 제 2고정 플레이트 342a - 제 2가이드홀342-
342b - 걸림홈 342c - 고정부342b-
343 - 슬라이드 부재 343a - 결합부343-
344 - 스프링344-spr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바디의 전면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는 슬라이드 바디가 반원형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후 확보되는 메인 바디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he slide body coup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lide the opening and closing along the trajectory of the semi-circular shape, the main body of the secured after opening the slide body It relates to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tilize a variety of space.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음성을 통화하는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넘어, 사진 및 동영상감상 기능, 카메라 및 캠코더 기능, 또는 전자수첩 및 전자사전기능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re not only functions as telephones for making voice calls with other parties, but also photo and video viewing functions, camera and camcorder functions, or electronic organizers and electronic dictionary functions. It is expanding variously.
따라서,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한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대형화가 요구되어 지기 때문에 기존 단말기에 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늘릴 수 있는 슬라이드형으로 제조되는 단말기를 선호하고 있다.Therefore, since the display unit needs to be enlarged to display a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at a time, a terminal manufactured in a slide type that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s preferred to the existing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더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slider of a conven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ide modul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11)와, 송화부(12)가 구비된 메인 바디(10); 메인 바디(10)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며, 디스플레이부(21)와 수화부(22)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바디(20) 및; 메인 바디(10)와 슬라이드 바디(20)의 접촉 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디(20)의 슬라이드 개폐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그리고, 슬라이드 모듈(30)은 메인 바디(10)에 고정 설치되며 양측에는 한 조의 가이드 리브(31a)를 구비하는 메인 플레이트(31)와, 슬라이드 바디(20)에 고정 설치되며, 메인 플레이트(31)의 가이드 리브(31a)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 조로 결합 되도록 내부 양측에는 가이드 슬릿(32a)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32)및, 메인 플레이트(31)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2)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2)가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켜주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슬라이드 모듈(30)의 메인 플레이트(31)는 메인 바디(10)에 슬라이드 플레이트(32)는 슬라이드 바디(20)에 설치되어 메인 바디(10)로부터 슬라이드 바디(2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ly, the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바디(20)의 개폐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30)이 일자형 운동을 하기 때문에 메인 바디(10)의 전면 상단 부분의 공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어 다른 키나, 버튼들의 배치에 어려운 문제점을 갖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또한, 최근에는 게임 기능의 강화 및, DMB시청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능이 강조되면서 추가적인 버튼을 필요로 하지만, 버튼의 추가 실장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recently, as a function of a multimedia service such as enhanced game function and DMB viewing is emphasized, an additional button is requir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ditional mounting space of the button is insufficien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바디로부터 개폐되는 슬라이드 바디가 반원형의 궤적을 따라 개폐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모듈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기존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데드 스페이스인 메인 바디의 상 단 공간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slide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long the trajectory of the semi-circular By improving the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utilize the upper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ead space in the existing slide-type terminal.
이러한, 본 발명은 문자나 숫자 등의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며, 전면에는 각종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촉 면에 설치되어 메인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바디를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반원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소정의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서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keypad for signal input such as letters and numbers; A slide bod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enable a sliding movement, and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I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e body and comprises a slide modu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body from the main body, the slide body is a predetermined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mi-circular trajectory The slid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접촉 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을 반원형의 곡선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운동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lide module may include a slide plate coupled to a main plate, a structure capable of linear sliding movemen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ain plate, a contact plate of the main plate, and a slide plate to open the slide plate. One or more elastic members install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force in the direction or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movement switching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late to change the linear sliding motion of the slide plate into a semi-circular curved sliding mo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조의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 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기 위한 가이드 슬릿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ain plate has a pair of guide rib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 slide plate is provided with guide slits for coupling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guide ribs on both sides inside.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릿의 내부에는, 가이드 리브와의 슬라이딩운동을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소정의 윤활부재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lubrication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slit to more smoothly and smoothly maintain the sliding movement with the guide rib.
또한, 상기 운동 전환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는 폭 방향으로 직선 형태의 제 1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 1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 및 메인 플레이트를 감싸는 구조로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 형태의 제 2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 2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의 제 1가이드홀과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제 2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 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vement switching means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late, the first fixing plate having a first guide hole of the linear 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lide plate and the main plate It is fixed to the main plate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econd plate, the second fixing plate having a second guide hole of the semi-circ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fixing plate, the first of the first fixing plate It comprises a slide member hav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lide body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along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of the second fixing plate.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결합부는 2개의 결합부가 한 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제 2가이드홀은 상기 2개의 결합부가 각각 결합 되도록 2개의 제 2가이드홀이 한 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lide member is composed of two pairs of coupling parts, and the second guide hole of the second fixing plate is configured of two pairs of second guide holes such that the two coupling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제 2가이드홀 중간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시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middle of the second guide hole of the second fixing plate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and the spring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fixing plate so that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when the slide member slides.
또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인 슬라이드 부재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pring is fixed to the end of the slide member which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fixed to the end of the slide plate.
또한, 상기 메인바디에는, 슬라이드 바디가 반원 궤적을 따라 슬라이드 개폐 시 노출되는 부위에 소정의 촬영장치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apparatus is rotatable at a portion where the slide body is exposed when the slide body is opened and closed along the semicircle trajectory.
또한, 상기 메인바디에는, 슬라이드 바디가 반원 궤적을 따라 슬라이드 개폐시 노출되는 부위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In addition, the main body,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tha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area expos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along the semi-circle trajectory.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드 개폐시 노출되는 부위에는 상기 촬영장치를 구동시키는 조작버튼이 구비된다.In addition, an operation button for driv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slide body is exposed when the slide is opened and closed.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부에는 단말기의 각종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한 기능키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a lower end of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function key for utilizing various functions of the terminal.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메인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바디를 슬라이드 개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접촉 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을 반원형의 곡선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운동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lide module is a slide module that is installed to slide the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body from the main body, the slide module is coupled to the main plate, a structure capable of linear sliding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ain plate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installed at a contact surface of the main plate and the slide plat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plate is opened or closed, and a linear sliding motion of the slide plate in a semicircular sha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ement switch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late to change the curved sliding movement of the.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조의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 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기 위한 가이드 슬릿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ain plate has a pair of guide rib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 slide plate is provided with guide slits for coupling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guide ribs on both sides inside.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릿의 내부에는, 가이드 리브와의 슬라이딩운동을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소정의 윤활부재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lubrication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slit to more smoothly and smoothly maintain the sliding movement with the guide rib.
또한, 상기 운동 전환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는 폭 방향으로 직선 형태의 제 1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 1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구성품을 감싸는 구조로 메인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 형태의 제 2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 2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의 제 1가이드홀과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제 2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 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vement switching means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late, the first fixing plate having a first guide hole of the linear form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surface and the main plate in a structure surrounding each of the components A second fixing plate having a second guide hole having a semicircle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urface thereof, and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being installed inside the first fixing plate,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of the first fixing plate It comprises a slide member hav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lide body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cond guide hole of the plate.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결합부는 2개의 결합부가 한 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제 2가이드홀은 상기 2개의 결합부가 각각 결합 되도록 2개의 제 2가이드홀이 한 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lide member is composed of two pairs of coupling parts, and the second guide hole of the second fixing plate is configured of two pairs of second guide holes such that the two coupling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제 2가이드홀 중간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시 탄성력이 발생 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middle of the second guide hole of the second fixing plate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and the spring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fixing plate so that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when the slide member slides.
또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인 슬라이드 부재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pring is fixed to the end of the slide member which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fixed to the end of the slide plat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 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A)는 메인 바디(100)와, 메인 바디(100)의 전면에 결합 되는 슬라이드 바디(200) 및, 메인 바디(100)로부터 슬라이드 바디(200)를 반원 궤적에 따라 슬라이드 개폐시키도록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의 접촉 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도 4a의 도시와 같이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가 완전히 겹쳐진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고, 도 4b의 도시와 같이 메인 바디(100)로부터 슬라이드 바디(200)를 일부 개방시켜 메인 바디(100)의 상단 일 측 부분을 외부로 노출 시킬 수 있게 되며, 도 4c의 도시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200)를 완전히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3 and 4,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메인 바디(100)는 내부에 PCB 등의 전자소자들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함체형을 이루며, 전면에는 문자나 숫자 등의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111)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음성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송화부(112)가 구비된다. 이때, 키패드(111)는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 단문 메시지 등의 간단한 데이터 입력을 위한 3×4배열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메인 바디(100)의 상단 일 측에는 슬라이드 바디(200)가 일부 개방되 었을 때, 확보되는 공간에 촬영장치 결합부(113)를 관통 형성하고, 이 촬영장치 결합부(113)에는 180도 회전 가능한 구조로 촬영장치(114)를 장착하여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으로의 촬영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촬영장치(114)의 주변에는 촬영장치(114)의 셔터나 줌 스위치로 활용되는 조작버튼(115)이 구비된다.In addition, an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바디(200)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 확보되는 공간에 촬영장치(114)와, 조작버튼(115)이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버튼만이 실장될 수도 있다. 즉, 최근 게임 기능 강화와 더불어 DMB시청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능이 강조됨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버튼의 실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또한, 메인 바디(100)의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16)가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된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슬라이드 바디(200)는 전면에 각종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1)를 구비하고, 상단 중앙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화부(212)가 구비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11)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TFT-LCD, 또는 LCD, 유기 EL 표시장치, 또는 PDP 표시장치,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또한, 디스플레이부(211)의 하단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A)의 각종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2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키(213)는 메뉴 호출키, 방향키, 입력키, 통화시작/종료 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의 접촉 면에는 소정의 슬라이드 모듈(300)이 설치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200)가 메인 바디(100)로부터 반원형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A)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ide module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은 크게 메인 플레이트(310)와, 메인 플레이트(31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을 곡선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화시켜 주기 위한 운동 전환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메인 플레이트(310)는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의 접촉 면 메인 바디(100) 측에 고정 설치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20)는 운동 전환수단(340)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200) 측에 고정 설치된다.The
따라서, 메인 바디(100) 상에서 슬라이드 바디(200)가 슬라이딩운동 하는 것은 메인 플레이트(310) 상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20)가 슬라이딩운동 하는 것과 같다.Therefore, sliding the
메인 플레이트(310)는 양측에 한 조의 가이드 리브(311)를 구비하고, 슬라이 드 플레이트(320)의 내부 양측에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가이드 리브(311)가 결합 되기 위한 가이드 슬릿(321)을 구비한다.The
따라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가이드 슬릿(321)은 메인 플레이트(310)의 가이드 리브(311)에 긴밀히 결합 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드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the guide slit 321 of the
이때,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가이드 슬릿(321) 내부에는 소정의 윤활부재(322)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리브(311)와의 슬라이드 동작을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installing a predetermined lubrication member 322 in the guide slit 321 of the
또한, 메인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30)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개폐를 반자동의 형태로 구현한다. 즉, 일단은 메인 플레이트(310)의 적소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적소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양단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320)가 개방되는 방향이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켜주게 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이러한, 탄성부재(330)에 의한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반자동 개폐구조는 이미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운동 전환수단(340)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을 곡선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motion switching means 340 serves to change the linear sliding motion of the
이러한, 운동 전환수단(340)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상면에 설치되며 표면에는 제 1가이드홀(341a)이 구비된 제 1고정 플레이트(341)와, 각각의 구성품 을 감싸는 구조로 메인 플레이트(310)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는 제 2가이드홀(342b)이 구비된 제 2고정 플레이트(342) 및, 제 1고정 플레이트(341)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 1가이드홀(341a)과 제 2가이드홀(342a)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슬라이드 바디(200)에 결합 되는 슬라이드 부재(3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vement switching means 3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여기서, 제 1고정 플레이트(341)에 구비된 제 1가이드홀(341a)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폭 방향으로 일자형의 형태를 가지며 형성되고, 제 2고정 플레이트(342)에 구비된 제 2가이드홀(342a)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길이 방향으로 반원형의 곡선 형태를 가지며 형성된다.Here, the
그리고, 제 2고정 플레이트(342)는 메인 플레이트(310)와의 고정을 위하여 양단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342c)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슬라이드 부재(343)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와 제 1고정 플레이트(341)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제 1가이드홀(341a)과 제 2가이드홀(34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바디(200)에 결합 되는 결합부(343a)가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결합부(343a)는 제 1가이드홀(341a)과 제 2가이드홀(342a) 내에서 원활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드 바디(200)에 구비된 체결공(117)과 나사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슬라이드 부재(343)의 결합부(343a)는 2개의 결합부(343a)가 한 조를 이루며 구성되고, 제 2고정 플레이트(342)에 구비된 제 2가이드홀(342a) 역시 각각의 결합부(343a)가 결합 되도록 2개의 제 2가이드홀(342a)이 한 조로 구성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즉, 2개의 결합부(343a)가 슬라이드 바디(200)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200)의 슬라이딩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A)는 슬라이드 바디(200)의 개폐동작시 중간 멈춤 단계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mediate stopping step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즉, 메인 바디(100)의 상단에 설치된 촬영장치(114), 또는 다수의 버튼 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제 2가이드홀(242a)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343)의 결합부(343a)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가이드홀(342a)의 중간에는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342b)과, 슬라이드 부재(343)의 이동시 탄성력이 발생 되도록 제 1고정 플레이트(3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44)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use the photographing
여기서, 스프링(344)은 일단이 슬라이드 부재(343)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드 부재(343)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344)이 신장 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343)가 걸림홈(342b)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스프링(344)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부(343a)가 걸림홈(342b)으로 삽입되면서 걸리게 되는 것이다.Here, one end of the
따라서, 도 7a 내지 도 7c의 도시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이 운동 전환수단(340)에 의해 곡선 슬라이딩운동으로 변화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제 2가이드홀(342a)에 형성되는 걸림홈(342b)과 슬라이드 부재 (343)의 이동에 따라 동작하는 스프링(344)에 의해 중간에서 멈출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바디(200)의 개폐에 따라 메인 바디(100)의 상단 공간부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S. 7A to 7C, the linear sliding motion of the
이상에서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의 개폐장치로 사용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은 동일한 개념으로 전자수첩, 전자사전, PDA, 노트북 등의 다양한 전자제품의 개폐방식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xample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로부터 반원형의 궤적을 따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발생 되는 추가적인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부가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향상됨은 물론, 기존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비하여 독특한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body is opened and closed along a semi-circular trajectory from the main body, so that various additional devices can be installed by utilizing the additional space generated. As a result, the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and the unique operation feeling can be realized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lide type terminal.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4632A KR100709820B1 (en) | 2006-02-15 | 2006-02-15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4632A KR100709820B1 (en) | 2006-02-15 | 2006-02-15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9820B1 true KR100709820B1 (en) | 2007-04-23 |
Family
ID=3818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46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9820B1 (en) | 2006-02-15 | 2006-02-15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982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30147A1 (en) * | 2007-04-18 | 2008-10-30 | Diabell Co., Ltd. | Sliding hinge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hinge apparatus |
KR100987405B1 (en) | 2007-04-18 | 2010-10-13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e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ame |
KR101020934B1 (en) * | 2009-04-28 | 2011-03-09 | (주)쉘라인 | Personal mobile termin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6705A (en) * | 2003-12-10 | 2005-06-16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6
- 2006-02-15 KR KR1020060014632A patent/KR1007098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6705A (en) * | 2003-12-10 | 2005-06-16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56705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30147A1 (en) * | 2007-04-18 | 2008-10-30 | Diabell Co., Ltd. | Sliding hinge apparatus and handy terminal including the sliding hinge apparatus |
KR100987405B1 (en) | 2007-04-18 | 2010-10-13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e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same |
KR101020934B1 (en) * | 2009-04-28 | 2011-03-09 | (주)쉘라인 | Personal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1238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709808B1 (en) | Rotating Slide Mobile Terminal | |
US7102881B2 (en) |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1098618B1 (en) | Composition open and clos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8219160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0993095B1 (en) | Clamshell mobile devices | |
KR20120069167A (en) |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JP2011049805A (en) | Mobile terminal | |
KR100709820B1 (en)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7492892B2 (en) | Slide opening/closing type mobile device | |
KR100662442B1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US20080303582A1 (en) |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0741285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5083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794115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Extended Resonance Space | |
KR20070030413A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100692715B1 (en)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060122583A (en)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
KR20070071462A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100662443B1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20060060269A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opens and closes in multiple directions | |
JPWO2011145262A1 (en) | Slide mechanism and portable device | |
KR100685069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856252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KR100790169B1 (en) | Swing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