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08622B1 - 냉장고의 제상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622B1
KR100708622B1 KR1020050126509A KR20050126509A KR100708622B1 KR 100708622 B1 KR100708622 B1 KR 100708622B1 KR 1020050126509 A KR1020050126509 A KR 1020050126509A KR 20050126509 A KR20050126509 A KR 20050126509A KR 100708622 B1 KR100708622 B1 KR 10070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refrigerator
temperature
defrost mode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6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3Removal by evaporation using heat from electric elements or using an electric field for enhancing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방법으로서, 제상모드의 수행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판단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제상모드를 수행하는 제상모드 수행 단계; 상기 제상모드 수행 후,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 및 제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의 양이 많은 경우,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 구동하고, 착상된 서리의 양이 적은 경우, 제상히터만을 구동하여 제상온도 및 제상시간에 따라 제상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냉장고 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제상히터, 제상센서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방법{Defrosting method for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제상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도 2의 단계를 구체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의 양이 많은 경우,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 구동하고, 착상된 서리의 양이 적은 경우, 제상히터만을 구동하여 제상온도 및 제상시간에 따라 제상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냉장고 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 팽창, 증발 과정으로 된 냉각 사이클을 거치면서 냉각이 실행되는데, 이러한 냉각 사이클을 갖는 냉장고의 구성을 살펴보 면, 냉장고의 냉동실 후방에 설치된 증발기의 상부에 팬이 설치되고, 냉동실에는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냉기가 송풍되는 냉기 송풍구가 형성된다.
또한, 냉동실에는 증발기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냉동실 내부를 순환한 후, 다시 증발기로 돌아가도록 냉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냉장실 상측 후방에는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냉기가 송풍되도록 하는 냉기 송풍구와, 송풍된 냉기가 냉장실 내부를 순환한 후, 다시 증발기로 돌아가도록 하는 냉기 흡입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냉장고의 냉기 순환동작은 냉장고의 가동과 함께 증발기의 팬이 가동되면, 냉동실과 냉장실로 냉기가 송풍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냉기는 증발기에서 발생된 후 냉동실 고내 공기를 냉각하고 냉기 흡입구를 통해 냉동실을 빠져 나가 냉장실로 유입되며, 냉장실로 유입된 냉기는 냉장실 내부를 순환한 후, 냉기 흡입구를 통해 냉장실을 빠져나간다.
이때,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열게 되면, 냉장고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동실 측으로 유입되어 냉각되고, 그 안에 포함된 수분은 차가운 상태의 증발기 표면에 응착되어 서리층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서리층이 증발기 표면에 부착되면 증발기의 열교환을 방해함으로써, 냉장고의 냉각기능을 떨어뜨리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제상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제상장치는 증발기에 응축된 서리층을 가열하여 녹임으로써, 증발기 표면의 서리층을 제거하는데, 이러한 제상장치는 보편적으로 제상히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는 이러한 제상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제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의 제상방법은 먼저, 압축기의 구동 적산시간을 계산하고(S10), 냉장고 도어의 오픈 누적시간을 계산한 후(S20), 미리 설정해놓은 냉장고의 제상주기와 상기 계산된 값들을 비교하여 제상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제상모드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결과, 제상주기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모든 냉각장치를 오프상태로 하고(S40), 이와 동시에 제상히터를 가동시킨다(S50).
한편, 제상센서를 통해 증발기측의 제상온도를 감지하고(S60), 상기 감지온도가 설정온도(영상 10도)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하여(S70),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상히터를 오프하고(S80), 다시 냉각시스템을 가동하여 제상모드를 종료한다(S90).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은 제상장치는 단순히 제상히터를 이용하여 증발기에 응착된 서리층을 가열하여 제거하고, 또한 그 제상방법에 있어서도 단순히 제상주기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제상히터를 가동고, 증발기에 소량의 서리층이 착상되는 경우에도 제상주기에 도달하면 제상히터가 작동하여 제상히터의 가열에 의해 냉장실 온도가 상승하여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제상히터 가동에 따른 소비전력 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상시 간이 길어짐에 따라 냉장고의 고내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상운전에 따른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방법으로서, 제상모드의 수행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판단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제상모드를 수행하는 제상모드 수행 단계; 상기 제상모드 수행 후,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 및 제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상모드 판단 단계는, 압축기의 구동 적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냉장고의 도어 오픈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 적산 시간 및 냉장고의 도어 오픈 누적 시간의 측정값과 기설정값을 비교하여 제상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상모드 수행 단계는, 모든 냉각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 외기온도센서를 통해 냉장고의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외기센서의 검출온도와 기설정온도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기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이면,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기설정온도 이하이면, 제상히터만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는, 상기 제상모드 수행 단계에서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에 구동한 경우, 제상센서를 통하여 증발기측의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상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상센서의 검출결과 제상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이면, 제상히터와 팬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는, 상기 제상모드 수행 단계에서 제상히터만 구동한 경우, 제상히터의 가동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제상히터의 가동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제상히터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의 양이 많은 경우,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 구동하고, 착상된 서리의 양이 적은 경우, 제상히터만을 구동하여 제상온도 및 제상시간에 따라 제상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냉장고 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제상모드의 수행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판단 단계(100)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제상모드를 수행하는 제상모드 수행 단계(200)와 상기 제상모드를 수행한 후, 제상이 완료됐는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300), 및 제상모드를 종료하는 제상모드 종료 단계(400) 로 이루어진다.
제상모드 판단 단계(100)는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가동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구동 적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10)와, 냉장고 도어의 오픈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20), 및 제상주기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방법의 흐름도로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가동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층의 양을 파악하기 위한 압축기의 구동 적산 시간을 측정하고(S110), 마찬가지로, 냉장고의 도어의 오픈 시간이 길어질수록 냉장고로 유입되는 수분의 양 또한 증가하기 때문에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층의 양을 파악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 의 오픈 누적시간을 측정한다(S120).
이와 같이 압축기 구동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 오픈 누적 시간의 측정값과 마이컴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제상모드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히기 위한 제상주기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0).
다음으로, 제상모드 수행 단계(200)는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층을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을 하기 위하여 모든 냉각시스템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S140)와, 외기온도센서를 통해 냉장고의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50), 외기센서의 검출온도와 기설정온도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S160)와, 상기 외기온도센서의 검출결과 외기온도가 기설정온도(예를 들면, 22℃) 이상이면, 제상히터와 팬을 연동하여 구동하는 단계(S170)와, 상기 외기온도센서의 검출결과 외기온도가 기설정온도(예를 들면, 22℃) 이하이면, 제상히터만 단독으로 구동하는 단계(S180)을 포함한다.
이는, 외기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냉장고의 외기온도가 22℃ 이상이면, 고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량이 많아 증발기에 착상되는 서리층의 양도 많을 것이라 판단하여, 착상된 서리층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제상히터를 구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상히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팬을 구동하여 증발기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외기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냉장고의 외기온도가 22℃ 이하이면, 고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량이 적어 증발기에 착상되는 서리층의 양도 적을 것이라 판단하여 제상히터의 단독 가동만으로도 충분히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상완료 판단 단계(300)는 상기 제상모드 수행 단계(200)에서 제상히터와 팬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S170), 제상센서를 통하여 증발기측의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90)와, 상기 제상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S200)와, 상기 제상센서의 검출결과 제상온도가 기설정온도(예를 들면, 10℃) 이상이면, 제상히터와 팬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S21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상모드 수행 단계(200)에서 제상히터가 단독으로 가동되는 경우(S180)에는, 제상히터의 가동시간이 설정시간(예를 들면, 10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와, 상기 판단결과, 제상히터의 가동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제상히터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냉각 시스템을 다시 가동하여 제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S240) 를 수행하여, 제상운전이 종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공기 중의 수분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에 구동하고, 공기중의 수분량이 많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상히터만을 구동하여 착상량이 많은 경우, 제상히터와 팬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서리를 제거할 수 있도, 착상량이 적은 경우 제상히터만 가동하여, 불필요하게 증발기 측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냉장고 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냉장고의 제상방법으로서,
    제상모드의 수행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판단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제상모드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모든 냉각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와, 외기온도센서를 통해 냉장고의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동시구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동시구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제상히터만 구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상모드 수행 단계;
    상기 제상모드 수행 후,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 및
    제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상모드 판단 단계는,
    압축기의 구동 적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냉장고의 도어 오픈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 적산 시간 및 냉장고의 도어 오픈 누적 시간의 측정값과 기설정값을 비교하여 제상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는, 상기 제상모드 수행 단계에서 제상히터와 팬을 동시에 구동한 경우,
    제상센서를 통하여 증발기측의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상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상센서의 검출결과 제상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이면, 제상히터와 팬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상모드 종료 판단 단계는, 상기 제상모드 수행 단계에서 제상히터만 구동한 경우,
    제상히터의 가동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제상히터의 가동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제상히터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방법.
KR1020050126509A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제상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0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09A KR100708622B1 (ko)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제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09A KR100708622B1 (ko)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제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622B1 true KR100708622B1 (ko) 2007-04-18

Family

ID=3818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5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8622B1 (ko)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제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6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132A3 (en) * 2009-02-11 2010-11-25 Lg Electronics Inc.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WO2014035097A1 (en) * 2012-08-27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66149A (zh) * 2015-12-31 2016-04-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自适应化霜控制方法
KR20160095278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제상 운전 방법
CN108955034A (zh) * 2018-08-13 2018-12-07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加热控制方法
CN110513949A (zh) * 2019-08-28 2019-11-29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化霜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012A (ko) * 1993-10-22 1995-05-16 김광호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20000028459A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1395A (ko) * 1998-11-06 2000-06-05 구자홍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2000003445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장치
KR20010037545A (ko) * 1999-10-18 2001-05-15 구자홍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012A (ko) * 1993-10-22 1995-05-16 김광호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20000028459A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1395A (ko) * 1998-11-06 2000-06-05 구자홍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2000003445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장치
KR20010037545A (ko) * 1999-10-18 2001-05-15 구자홍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132A3 (en) * 2009-02-11 2010-11-25 Lg Electronics Inc.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KR101953120B1 (ko) 2012-08-27 201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14035097A1 (en) * 2012-08-27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30388A (ko) * 2012-08-27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703754A3 (en) * 2012-08-27 2016-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70700B2 (en) 2012-08-27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95278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제상 운전 방법
KR102299623B1 (ko) 2015-02-02 2021-09-1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제상 운전 방법
CN105466149A (zh) * 2015-12-31 2016-04-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自适应化霜控制方法
CN105466149B (zh) * 2015-12-31 2019-04-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自适应化霜控制方法
CN108955034B (zh) * 2018-08-13 2021-01-08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加热控制方法
CN108955034A (zh) * 2018-08-13 2018-12-07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加热控制方法
CN110513949A (zh) * 2019-08-28 2019-11-29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化霜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234B1 (ko) 냉장고
EP354034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KR100908021B1 (ko) 냉각 장치
US1154974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0708622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KR101481489B1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88927B1 (ko) 냉장고의제상제어방법
JP4119766B2 (ja) 冷凍装置
KR20090126947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208334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5331239A (ja) 冷蔵庫
KR0154441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JPH10205980A (ja) 冷蔵庫
KR100545418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JP2001324248A (ja) 冷凍装置のデフロスト制御装置
KR100234080B1 (ko) 냉난방겸용 공조기기 및 그 난방시 제상제어방법
KR100485443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KR0175633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100213718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JPH1082571A (ja) 冷蔵庫
JP2020128827A (ja) 冷却貯蔵庫
KR2000005674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7465328B2 (ja) 冷却貯蔵庫
KR100208355B1 (ko) 냉장고 및 그 제상제어방법
KR100190126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제상주기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