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97433B1 -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433B1
KR100697433B1 KR1020040055994A KR20040055994A KR100697433B1 KR 100697433 B1 KR100697433 B1 KR 100697433B1 KR 1020040055994 A KR1020040055994 A KR 1020040055994A KR 20040055994 A KR20040055994 A KR 20040055994A KR 100697433 B1 KR100697433 B1 KR 10069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image
area
user
proc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218A (ko
Inventor
신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4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4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학 학습을 위해 일반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이나 VCR의 오픈 캡션(open caption)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전체 화면에서 영역크기 및 영역위치를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일정주기로 업데이트 하면서 저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캡션가림 모드를 선택할 경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기 저장된 영상으로 해당 영역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픈 캡션이 존재하는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에서 오픈 캡션이 존재할 경우 해당 영역의 이전 영상으로 덮어씔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래 시청중이던 화면을 자연스럽게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표시기기/캡션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입력데이터 처리부 102 : 음성처리부
103 : D/A 컨버터 104 : 영상처리부
105 : 비디오 엔코더 106 : 캡션정보 처리부
106a : 캡션 처리부 106b : 캡션모드 선택부
107 : 제어부 108 : 사용자 인터페이스
109 : 저장부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학학습을 위해 일반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이나 VCR의 오픈 캡션(open caption)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션은 크게 오픈캡션(open caption)과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으로 나누어진다. 오픈 캡션은 통상 '캡션'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방송국에서 송출하면 무조건 텔레비젼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말하고, 클로즈드캡션은 소위 '캡션' 수신기능이 있는 경우에만 화면에 표시되는 '숨겨진 캡션'을 의미한다.
즉, 오픈 캡션은 주로 제작진 소개나 노래의 제목, 가수이름, 민방위 훈련안내, 대여용 비디오테입의 한글캡션 등과 같이 시청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표시되는
내용인 반면, 클로즈드 캡션은 프로그램의 대사나 특별한 부가정보 등 원하는 사람만 볼 수 있는 내용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특히, 클로즈드 캡션 기능은 텔레비젼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등의 대사를 화면에 캡션으로 표시해 주는 것으로서 어학 학습이나 청각 장애인에게 큰 도움이 되는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데이터 처리부(11), 음성처리부(12), DA컨버터(13), 영상처리부(14), 비디오엔코더(15), 및 캡션정보처리부(16)를 구비한다.
또한, 캡션정보처리부(16)는 캡션처리부(16a) 및 캡션모드선택부(16b)를 구비한다.입력데이터 처리부(11)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스트림을 입력받아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캡션정보 등으로 분리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2)는 입력데이터 처리부(11)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DA컨버터(13)는 음성처리부(1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4)는 입력데이터 처리부(11)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대개 압축된 형 태의 데이터로부터 영상을 재 구성하여 국제표준규격에 적합한 영상신호를 비디오엔코더(15)에 전송한다. 비디오엔코더(15)는 VGA 등과 같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RGB 정보를 텔레비젼에서 수신할 수 있는 아날로그 형태의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방식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캡션처리부(16a)는 캡션모드선택부(16b)를 통해 캡션모드가 선택되면, 입력데이터 처리부(11)로부터 캡션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캡션처리부(16a)는 수신된 캡션정보를 규격에 맞도록 디코딩하여 비디오엔코더(15)에 전송한다. 비디오엔코더(15)에 전송된 캡션정보는 변환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텔레비젼에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캡션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신된 캡션정보를 캡션처리하여 영상신호의 지정된 위치에 결합시킬 뿐이었으며, 캡 션윈도우의 위치, 크기, 및 배경색, 캡션 문자의 크기, 글꼴 등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지 못하였다.
또한, 현재 나와 있는 기술로는 어학 학습을 위해 일반 영상표시기기나 VCR의 오픈 캡션을 가리기 위해 캡션이 나오는 순간에 OSD로 강제로 가리는 방법등이 있으나, OSD로 강제로 가리게 되면 화면의 상당 부분을 볼 수 없게 되어 시청자의 입장에서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어학 학습을 위한 오픈 캡션의 효율적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픈 캡션과 무관하게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 등을 분리하여 각각 처리하는 입력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입력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해당 설정영역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설정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영상으로 해당 영역을 대체하고, 캡션 가림 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캡션가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부는 일정주기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갱신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중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영상으로 대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은 사용자가 캡션가림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캡션가림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의 영상신호를 일정주기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션가림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체 화면에서 영역크기 및 영역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캡션가림 영역의 영상신호를 일정주기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캡션가림 영역을 일정주기로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결과 캡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캡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설정 영역을 캡쳐하여 갱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된 맨 마지막 영상을 원 화면에 덮어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에 따른 실시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 등을 분리하여 각각 처리하는 입력데이터 처리부(101)와,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8)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캡션 가림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입력데이터 처리부(101)를 통해 처리된 영상 신호에서 상기 설정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9)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설정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영상으로 해당 영역을 대체하고, 캡션가림 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7)와, 상기 제어부(107)의 제어신호에 따라 캡션가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04)와, 상기 제어부(107)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데이터 처리부(101)를 통해 입력되는 캡션정보를 처리하는 캡션정보 처리부(106)와, 상기 영상처리부(104)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엔코딩하는 비디오 엔코더(105)와, 상기 입력데이터 처리부(101)에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음성처리부(12)와,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103)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처리부(102)는 입력데이터 처리부(101)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D/A컨버터(103)는 음성처리부(10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입력데이터 처리부(101)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대개 압축된 형 태의 데이터로부터 영상을 재 구성하여 국제표준규격에 적합한 영상신호를 비디오엔코더(105)에 전송한다.
상기 비디오엔코더(105)는 VGA 등과 같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RGB 정보를 텔레비젼에서 수신할 수 있는 아날로그 형태의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방식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캡션처리부(106a)는 캡션모드선택부(106b)를 통해 캡션모드가 선택되면, 입력데이터 처리부(101)로부터 캡션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캡션처리부(106a)는 수신된 캡션정보를 규격에 맞도록 디코딩하여 비디오엔코더(105)에 전송한다. 비디오엔코더(105)에 전송된 캡션정보는 변환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영상표시기기에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 인 동작 이외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캡션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캡션가림 명령을 입력하고, 원하는 캡션가림 영역을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설정된 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캡션이 존재하지 않는 영상에 대해서는 일정주기로 상기 저장부(109)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캡션 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여 캡션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저장부(109)에 저장한 영상데이터 중 맨 마지막에 저장한 영상을 덮어씌워 해당 캡션이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영상처리부(104)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101∼S102).
그리고 사용자가 캡션가림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3), 사용자가 캡션가림 명령을 입력하였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캡션가림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일정주기로 저장한다(S104).
그리고,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는지를 일정주기로 검출한다(S105).
이어서 상기 검출 결과(S105), 상기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중 가 장 나중에 저장한 영상을 캡쳐하여 현재 화면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106∼S107).
그리고 사용자가 캡션가림을 해제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상기 판단 결과 (S108), 사용자가 캡션가림을 해제하였으면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종료한다(S109)
한편 상기 판단 결과 (S106), 상기 일정주기로 검출결과 캡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영역의 영상을 저장한 후 상기 단계(S105)로 복귀한다(S11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의 실시예를 도 4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오픈 캡션을 어학학습의 목적으로 가리기 위해서는 캡션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다. 왜냐하면, 오픈 캡션이기 때문에 화면의 어느 위치에 어떤 크기의 캡션이 나올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션가림 모드를 선택하면 캡션가림 영역 설정을 위한 화면이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데, 이때 캡션가림 설정을 위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캡션가림 영역 설정화면(220)과,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캡션가림 설정영역(210)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캡션가림 영역 설정화면(220)은 설정키, 취소키, 상/하 키 및 좌/우키가 디스플레이 되며, 사용자가 상기 상/하 키를 이용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크기를 설정하고, 좌/우 키를 이용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고나서, 모든 설정이 끝나면 상기 설정 버튼을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7)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210)을 도 5의 (a)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캡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 5에 캡션이 없으면 설정영역(210')을 캡쳐하여 상기 저장부(109)에 저장한다.
그리고, 캡션이 나올때까지 일정 간격으로 계속하여 영역을 캡쳐함으로써 캡션 설정영역의 캡쳐 데이터를 계속해서 갱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정영역에 캡션이 존재할 경우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캡션가림 설정영역(210)에 다수개의 캡션이 검출될 것이며, 이와 같이 캡션이 검출되면 상기 저장부(109)에 기 저장한 해당 영역(210')의 영상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화면에 덮어쓰기 한다.
그러면 도 8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것이나, 현재 화면과 기 저장된 화면은 시간차가 존재하므로 약간의 화면 불일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캡션이 없는 순간에 캡쳐해둔 캡션 가림영역의 이미지를 덮어쓰기 하여 최종 화면에 나타낸 것으로써, 하단의 캡션 가림 설정영역과 원 화면이 약간의 불일치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은 뉴스나 드라마와 같이 사람이 대화를 할 때 화면 전환이 느린 곳에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배경이 빠르게 움직이는 장면에서의 대화는 캡션 가림을 위해 덮어쓴 캡쳐 이미지가 윗부분의 원 화면과 맞지않아서 시청자가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느낄수 있으나, 완전하게 OSD로 가리는 것보다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어학 학습을 위해 오픈 캡션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에 따라 기존의 강제로 OSD를 이용하여 화면의 일부를 가리는 방법으로 어학 학습을 하는 것보단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에서 어학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정적이고 배경이 많은 뉴스나 드라마 같은 방송에서의 어학 학습을 위한 화면에서 적용할 경우 보다 좋은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캡션가림 모드 및 원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되는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 등을 분리하여 각각 처리하는 입력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입력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영상 중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되는 영상을 일정주기로 업데이트 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기 설정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해당 영역의 영상으로 대체하도록 제어하여 캡션가림 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캡션가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중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영상으로 대체될 수 있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4. 사용자가 캡션가림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체 화면에서 영역크기 및 영역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의 영상신호를 일정주기로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가림 영역의 영상신호를 일정주기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캡션가림 영역을 일정주기로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결과 캡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 기 판단결과 캡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설정 영역을 캡쳐하여 갱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캡션가림 영역에서 캡션이 존재하면 상기 저장된 맨 마지막 영상을 원 화면에 덮어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방법.
KR1020040055994A 2004-07-19 2004-07-19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9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94A KR100697433B1 (ko) 2004-07-19 2004-07-19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94A KR100697433B1 (ko) 2004-07-19 2004-07-19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18A KR20060007218A (ko) 2006-01-24
KR100697433B1 true KR100697433B1 (ko) 2007-03-20

Family

ID=3711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9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7433B1 (ko) 2004-07-19 2004-07-19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026B1 (ko) * 2012-09-12 2014-02-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색종이 모자이크 기법을 이용한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15866312B (zh) * 2021-09-24 2025-05-23 青岛聚看云科技有限公司 服务器及字幕位置的设置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585A (ko) * 1994-12-30 1996-07-20 구자홍 브이씨알의 캡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KR980011368A (ko) * 1996-07-26 1998-04-30 김광호 화면 자막 가림장치
KR19980040691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Vcr 시청시 자막신호 삭제기능을 갖는 tv와 자막신호 삭제방법
KR19990019024A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영상화면의 특정 영역 스크린 설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19990026724A (ko) * 1997-09-26 1999-04-15 전주범 텔레비젼수상기의 자막 온,오프방법
KR20000021580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자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585A (ko) * 1994-12-30 1996-07-20 구자홍 브이씨알의 캡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KR980011368A (ko) * 1996-07-26 1998-04-30 김광호 화면 자막 가림장치
KR19980040691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Vcr 시청시 자막신호 삭제기능을 갖는 tv와 자막신호 삭제방법
KR19990019024A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영상화면의 특정 영역 스크린 설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19990026724A (ko) * 1997-09-26 1999-04-15 전주범 텔레비젼수상기의 자막 온,오프방법
KR20000021580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자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18A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31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JP2009164977A (ja) 映像表示装置
US6940563B2 (en) Language switching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method
US8479249B2 (en) Display device,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n which said program is stored
KR10069743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캡션 처리장치 및 방법
US20110102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isplaying text
US20050243211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display a digital caption and an OSD in the same text style and method thereof
KR10029087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10044861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자 액자 기능 수행 방법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US20030014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information by one click using caption information
KR101390010B1 (ko) 시청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636782B1 (ko) 캡션정보 처리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2006295806A (ja) 電子番組表表示装置
KR10111740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오에스디 위치 설정방법
JP4009867B2 (ja) 番組表搭載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3152494B2 (ja) 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121724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3018482A (ja) 入力切り換え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入力切り換え装置
JP3075103U (ja) ディジタル放送用受信機
KR100696106B1 (ko) Tv 및 그 제어방법
JP200709640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40001357A (ko) 미러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KR20060072010A (ko) 텔레비전의 화면 전환방법
KR20060091423A (ko) 티브이의 캡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219

Appeal identifier: 2006101009241

Request date: 2006101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20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