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80178B1 - 광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178B1
KR100680178B1 KR1020050007711A KR20050007711A KR100680178B1 KR 100680178 B1 KR100680178 B1 KR 100680178B1 KR 1020050007711 A KR1020050007711 A KR 1020050007711A KR 20050007711 A KR20050007711 A KR 20050007711A KR 100680178 B1 KR100680178 B1 KR 10068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bjective lens
optical
beam splitt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746A (ko
Inventor
박수한
장학현
유장훈
유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178B1/ko
Priority to US11/329,119 priority patent/US7435934B2/en
Priority to EP06100792A priority patent/EP1688937B1/en
Priority to DE602006015550T priority patent/DE602006015550D1/de
Priority to CNB2006100032012A priority patent/CN100382173C/zh
Publication of KR2006008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광픽업 장치는, 저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저 개구수를 가지는 제1대물렌즈와; 고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고 개구수를 가지는 제2대물렌즈와; 제1 및 제2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한 단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과;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제1 및 제2대물렌즈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 및 제1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제1 및 제2대물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반사광을 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1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픽업, 호환, CD, DVD, HD-DVD, BD, 대물렌즈, 광디스크, 콜리메이팅렌즈

Description

광픽업 장치{An optical pick-up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3..제1 및 제2대물렌즈 15..제14광원
16..모니터링용 광검출기 17..제1광검출기
19..제1광로변환기 21,121..제1콜리메이팅렌즈
23,123..제2콜리메이팅렌즈 25,125..홀더
27,127..스테핑모터 31..편광 빔스프리터
32..무편광 빔스프리터 33.. λ/2파장판
35,36..제1 및 제2 λ/4파장판 38..반사부재
41,42..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 43,55..제2광로변환기
51..제2광원 53..제2광검출기
60..제1광검출기 61,62..제1 및 제2광검출소자
63,64..모니터링용 광검출기 71,72..제1 및 제2보정소자
본 발명은 호환형 광픽업에 관한 것이다.
대물렌즈에 의해 집속된 광을 이용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인 광디스크에 임의의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기록재생기기에서, 기록용량은 광스폿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광스폿(S)의 크기는 사용하는 광의 파장(λ)과 대물렌즈의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에 의해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된다.
S ∝ λ/NA
따라서, 광디스크의 고밀도화를 위해 광디스크에 맺히는 광스폿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청자색 레이저와 같은 단파장 광원과 개구수 0.6 이상의 대물렌즈의 채용이 필수적이다.
디지털 다기능디스크(이하, DVD:Digital Versatile Disk)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장 650nm(또는 635nm)인 광 및 개구수 0.6(기록가능형인 경우 0.65)인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된다. 이 DVD는 직경 120mm, 트랙피치 0.74㎛로 하면, 단면에 대해 4.7GB 이상의 기록용량을 가진다.
따라서, DVD는 고선명(HD:High Definition)급의 동영상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매체로는 불충분하다. 이는 135분 분량의 동영상정보를 고선명급으로 기록하려면, 단면에 대해 예컨대, 23GB 이상의 기록용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밀도 기록용량 요구에 부응하도록, 적색보다 짧은 파장(405 내지 408nm)의 광 즉, 청색광 및 0.6보다 큰 개구수의 대물렌즈를 사용하며, 보다 협 트랙을 갖는 고밀도 광디스크 즉, 차세대 DVD(이하, HD-DVD(High Definition-DVD))에 대한 개발 및 규격의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
한편, 광디스크의 틸트에 의한 공차를 확보하려면, 고밀도화를 위해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높임에 따라 광디스크의 두께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의 틸트에 의한 허용 공차를 고려할 때, CD의 경우 1.2mm에서 DVD의 경우 0.6mm로 두께를 줄였으며, HD-DVD는 0.6mm 두께로 될 가능성이 높다. 대물렌즈의 개구수는, CD의 경우 0.45에서 DVD 및 HD-DVD의 경우 0.65으로 높아진다. 그리고, HD-DVD의 경우에는, 광원으로서 기록용량을 고려할 때, 청색 광원이 채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새로운 규격의 광디스크를 개발함에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은 기존 광디스크와의 호환성이다.
또한, 개구수 0.85와 같은 고개구수를 갖는 대물렌즈를 이용한 차세대 고밀도 광정보기록저장매체로서, 일명 BD(BD, Blue-ray Disk)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 BD의 경우에는, 광원으로서는 단파장(405 내지 408nm)의 광 즉, 청색 광원이 이용되며, 디스크의 두께는 0.1mm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BD의 경우, DVD의 대략 10배의 기록용량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규격의 광정보저장매체를 개발함에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은 기존의 광정보기로매체와의 호환성이다.
예를 들어, 기존 광디스크 중 일회 기록용의 DVD-R 및 CD-R은 파장에 따라 반사율이 현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650nm와 780nm 파장의 광원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DVD-R 및/또는 CD-R과의 호환성을 고려할 때, HD-DVD용 광픽업 및 BD용 광픽업 각각은 두 개 또는 세 개의 파장이 서로 다른 광원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데. 상기와 같이 0.85와 같은 고개구수를 갖는 대물렌즈를 일 매로 설계, 제작하는데는 상당한 기술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고개구수를 가지면서 HD-DVD에 적합하고 DVD 및/또는 CD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작동거리(Working Distance)를 DVD용 대물렌즈와 같이 길게 대물렌즈를 제작하는 것이 여렵다. 또한, 단파장(450nm) 고밀도 디스크들(HD-DVD, BD)의 규격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아, 동시에 두 가지 디스크를 대응하면서도, CD 및/또는 DVD를 함께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광픽업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광부품과 조정부가 요구되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대물렌즈를 구비하여 상이한 기록밀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광정보저장매체를 호환 채용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픽업은, 저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저 개구수를 가지는 제1대물렌즈와; 고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고 개구수를 가 지는 제2대물렌즈와;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한 단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 및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상기 반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1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편광 빔스프리터와;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1/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1/4파장판; 및 상기 제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1/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입사하는 광의 파장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는 파장의존성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대물렌즈 및 상기 제2대물렌즈 각각으로 입사하는 광경로 상에는 입사광을 평행광으로 변경해주는 제1 및 제2콜리메이팅렌즈가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 2콜리메이팅렌즈를 함께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광진행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는 광경로 상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는 광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광검출기는, 상기 제1대물렌즈를 경유하여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소자와; 상기 제2대물렌즈를 경유하여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제1대물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1보정소자와;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광검출소자로 입사되는 광의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2보정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콜리메이팅렌즈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콜리메이팅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간의 간격보다 더 멀리 이격되게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대물렌즈와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 사이에는 광경로를 변경해주는 반사부재가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며,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제1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대물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소자 사이에 설치되는 제2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제1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λ/4파장판; 및 상기 제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λ/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보정소자는 상기 제2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광검출소자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와 상기 제2 λ/4파장판 사이에 설치되어 광경로를 안내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광원은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는 400nm대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한 장자장의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광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광원에서 출사된 뒤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제1대물렌즈로 안내하고, 상기 제1대물렌즈를 통해 광정보 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상기 제2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2광로변환 기;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적외선광과 적색광을 독립적으로 출사하는 트윈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광원은, 78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광을 출사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와; 650nm 이상 78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제2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편광 빔스프리터와;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λ/4파장판; 및 상기 제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λ/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광로변환기는,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다른 편광 빔스프리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λ/4파장판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상기 제2광원에서 출사되고, 반사되어 되돌아가는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는 단파장의 광은 반사시키고, 상기 제2광원에서 출사되는 장파장의 광은 투과시키는 파장 의존성을 갖는 큐빅형 빔스프리터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광검출기는, 상기 다른 편광 빔스프리터를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서로 다른 기록밀도를 가지는 광기록매체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PDIC 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는 광보다는 긴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1대물렌즈를 이용하여 저밀도 광기록매체에 대응할 수 있는 광을 출사하고,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모듈과; 상기 광모듈과 상기 제1대물렌즈 사이에서의 광경로를 안내하는 제2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모듈은, 780nm 이상의 장파장을 출사하고, 상기 제1대물렌즈를 통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홀로그램 모듈과; 상기 제1홀로그램 모듈보다는 짧고 상고 상기 제1광원보다는 긴 파장의 적색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1대물렌즈를 통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2홀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편광 빔스프리터와;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λ/4파장판; 및 상기 제 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λ/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광로변환기는, 입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며, 상기 광모듈과 상기 제1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 사이에 설치되는 파장 의존성 빔스프리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상기 광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대물렌즈는 0.65 이하의 개구수를 가지며, 상기 제2대물렌즈는 0.85 이상의 개구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및 광정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기록밀도가 서로 상이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광정보 기록매체 즉, 광디스크를 호환 채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는, 기록밀도가 서로 다른 적어도 한 종류의 저밀도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재생하는데 사용되는 제1대물렌즈(11)와, 저밀도 광디스크보다 고밀도인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재생하는데 사용하는 제2대물렌즈(13)와, 제1광원(15)과, 제1광검출기(17) 및 제1광로변환기(19)를 구비한다.
상기 제1대물렌즈(11)는 예를 들어, 저밀도 광디스크인 DVD 계열의 광디스크(이하, DVD)에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으면서, 부가적으로 CD 계열의 광디스크( 이하, CD)에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대물렌즈(11)는 예를 들어, DVD 보다 고밀도 광디스크인 HD-DVD 계열의 광디스크(이하, HD-DVD)에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대물렌즈(10)는 CD, DVD 및 HD-DVD의 서로 다른 광디스크를 호환하여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0.65 이하의 개구수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대략 0.6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광디스크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여기서, 상기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서로 기록밀도가 상이한 3종류 이상의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재생하는데 따른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제1대물렌즈(11)로 입사하는 광경로 상에는 제1콜리메이팅렌즈(21)가 마련된다. 이 제1콜리메이팅렌즈(21)는 제1대물렌즈(11)로 입사하는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어주어 두께가 다른 광디스크에 따른 구면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제1콜리메이팅렌즈(21)는 후술할 제2콜리메이팅렌즈(23)와 동시에 광경로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대물렌즈(13)는 제1대물렌즈(11)보다는 기록밀도가 높은 광디스크 예를 들어, 0.1mm의 디스크 두께를 가지는 BD 계열의 광디스크(이하 BD라 함)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저장하기에 적합하도록 대략 0.85 이상의 개구수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2대물렌즈(13)는 제1대물렌즈(11)와 함께 블레이드에 지지되어 미도시된 액튜에이터에 의해 트랙방향 및 포커싱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다. 상기 BD와 같이 두께가 얇은 광디스크에 따른 제2대물렌즈(13)에서의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2콜리메이팅렌즈(23)가 제2대물렌즈(13)로 입사되는 광경로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23)는 제1콜리메이팅렌즈(21)와 함께 홀더(25)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25)는 스테핑모터(27)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광의 진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제어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콜리메이팅렌즈(21,23)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부품 수를 줄이고 그에 따른 공간도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광원(15)은 대략 405nm 내지 408nm(바람직하게는 405nm)의 단파장을 가지는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광원(15)에서 출사되는 청색광은 상기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해서는 HD-DVD 계열의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청색광은 제2대물렌즈(13)를 이용할 경우, BD 계열의 고밀도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되는데 적합하다.
상기 제1광검출기(17)는 상기 HD-DVD 및 BD 각각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모두 수광하여 정보신호와 오차신호 등을 검출해낼 수 있는 PDIC(Photo Diod Integrated Circuit)인 것이 좋다. 이 제1광검출기(17)는 하나가 마련되어 HD-DVD 및 BD 각각에 공용으로 사용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8은 제1광검출기(17)로 수광되는 광의 스폿을 확대하기 위한 센싱렌즈를 나타낸다.
상기 제1광로변환기(19)는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편광 빔스프리터(31)와,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32)와, 제1광원(15)에서 출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 파장판(33)과,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11,13) 각각에서 집속된 뒤 디 스크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의 편광성분를 각각 바꾸어주는 제1 및 제2 λ/4파장판(35,37)을 구비한다.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31)는 편광 의존성 빔스프리터로서, 예를 들어 P파는 대부분 투과시키고, S파는 대부분 반사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제1광원(15)에서 출사되어 입사된 광의 편광성분이 S파인 경우, 편광 빔스프리터(31)는 제2대물렌즈(13)로 입사광을 대부분 반사시키고, 일부는 광파워의 모니터링을 위해 투과시키게 된다.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32)는 편광 빔스프리터(31)를 경유한 광을 제1대물렌즈(11) 쪽으로 대부분 반사시킨다. 한편, 이 무편광 빔스프리터(32)는 후술할 홀로그램모듈(41,42)에서 출사되는 장파장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파장 의존성을 갖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무편광 빔스프리터(32)는 400nm대 단파장의 광은 반사시키고, 600nm 이상의 장파장을 갖는 광은 투과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빔스프리터들(31,3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1광원(15)에서 출사되어 상기 빔스프리터들(31,32)을 경유한 일부광을 수광하기 위한 모니터링용 광검출기(16)가 제1광원(15)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광검출기(16)는 제1광원(15)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수광하여 광의 파워를 측정한 뒤, 제1광원(15)의 출력 값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데 이용된다.
상기 λ/2 파장판(33)은 전압인가시 파장판으로 작동하여 제1광원(15)에서 출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준다. 예를 들어, 제1광원(15)에서는 P파의 편광이 출사될 경우, λ/2파장판(33)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P파의 편광이 그대로 편광 빔스프리터(31)로 입사된다. 반대로, λ/2파장판(33)에 전압인가시에는, 출사된 P파의 편광이 S파로 변환되어 편광 빔프스리터(31)로 입사된다. 이와 같이, 상기 λ/2파장판(33)의 동작에 의해서 제1 및 제2대물렌즈(11,13) 중 어느 쪽을 이용하여 광스폿을 맺힐 것이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λ/2파장판(33)은 제1광원(15)과 편광 빔프스리터(31)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λ/2파장판(33)과 제1광원(15) 사이에는 그레이팅소자(14)가 설치된다. 이 그레이팅소자(14)는 대물렌즈들(11,13)들의 포커싱 및 트랙방향으로의 정밀서보제어를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λ/4파장판(35)은 무편광 빔스프리터(32)를 경유하여 제1대물렌즈(11)로 입사될 P파의 편광을 제1원형파(오른)의 광으로 바꾸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원형파의 광이 저밀도의 광디스크에서 반사되면서 바뀐 반대의 제2원형파(왼)의 광은 제1 λ/4파장판(35)에 의해 S파로 편광으로 바뀌어 진다. 따라서,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들(31,32)을 경유하여 제1대물렌즈(11)로 입사된 P파의 편광은 반사되어 되돌아올 때는 S파의 편광으로 변경되고, 편광 빔스프리터(31)에서 반사되어 제1광검출기(17)로 수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λ/4파장판(37)의 경우에는 편광 빔스프리터(31)를 경유하여 제2대물렌즈(13)로 입사되는 S파의 편광을 제1원형파의 광으로 바꾸어준다. 그리고, 제1원형파의 광이 고밀도의 광디스크에서 반사되어 바뀐 제2원형파의 광은 제2 λ/4파장판(37)에 의해 P파의 편광으로 바뀌어진다. 따라서, 편광 빔스프리터(31)에서 반 사되어 제2대물렌즈(13)로 입사되는 S파의 편광은 반사되어 되돌아올 때는 P파의 편광으로 변경되어 편광 빔스프리터(31)를 그대로 통과하여 제1광검출기(17)로 수광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5)와 두개의 서로 다른 개구수를 가지는 대물렌즈(11,13)를 이용함으로서, HD-DVD 및 BD를 호환하여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광픽업 장치는,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하여 CD와 같은 저밀도의 광디스크에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제1홀로그램모듈(41)과, DVD와 같은 저밀도 광디스크에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제2홀로그램모듈(42) 및 제2광로변환기(4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홀로그램모듈(41)은 대략 780nm의 장파장을 가지는 적외선광을 출사하는 광원(미도시)과,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미도시)를 가진다. 이러한 제1홀로그램모듈(41)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하여 CD와 같은 저밀도의 광디스크를 채용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홀로그램모듈(42)은 DVD에 적합하도록 대략 650nm의 파장을 가지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광원(미도시)과,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미도시)를 가진다. 이러한 제2홀로그램모듈(42)도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하여 DVD의 채용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광로변환기(43)는 제1 및 제2홀로그램모듈(41,42) 각각에서 출사되 는 광을 상기 제1대물렌즈(11)로 안내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다시 각각의 홀로그램모듈(41,42)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이 제2광로변환기(43)는 파장의존성을 가지는 큐빅형 빔스프리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스프리터(43)는 예를 들어, 제1홀로그램모듈(41)에서 출사되는 780nm의 장파장은 반사시키고, 제2홀로그램모듈(42)에서 출사되는 650nm의 장파장은 투과시키도록 마련되다.
또한, 광픽업장치의 슬림화 및 소형화를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홀로그램모듈(41,42)에서 출사되고, 되돌아오는 광의 경로는 상기 제2광로변환기(19)와 일부 공유하게 된다. 즉, 상기 큐빅형 빔스프리터(43)와 제1대물렌즈(11) 사이에는 상술한 무편광 빔스프리터(32)와 제1콜리메이팅렌즈(21) 및 제1 λ/4파장판(35)이 배치된다. 이러한 광학요소(32,35)는 적외선광 및 적색광과 같은 장파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무편광 빔스프리터(32)의 경우에는, 큐빅형 빔스프리터(43)와 마찬가지로, 파장의존성을 갖되, 600nm이상의 장파장은 투과시키고, 그 이하의 단파장 예컨대 405nm의 단파장을 갖는 광을 반사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λ/4파장판(35)은 장파장의 광이 입력시에는 작동하지 않도록 전압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서, 광의 편광성분이나 광경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21)는 스테핑모터(27)의 구동에 의해 제2콜리메이팅렌즈(23)와 함께 이동하면서 구면수차를 보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두개의 대물렌즈(11,13)를 채용하고 적어도 3개의 광원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고, 4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록밀도를 가지는 광디스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1에 개시된 광픽업장치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광원(15)으로서의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위치와 제1광검출기(17)의 위치가 도 1의 실시예와 바뀐 점에 특징 있다. 이 경우, λ/2파장판(14)과 그레이팅소자(14)는 당연히 제1광원(15)과 편광 빔스프리터(31)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된다.
한편, 도 2의 도시된 광픽업의 특징으로서는,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한 저밀도의 광디스크를 채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2광원(51)과, 제2광검출기(53) 및 제2광로변환기(55)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즉, 상기 제2광원(51)은 예컨대, CD를 채용할 수 있도록 대략 780nm의 적외선광을 출사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51a)와, DVD를 채용할 수 있도록 대략 650nm의 적색광을 출사하는 제2레이저 다이오드(51b)가 동시에 구비된 트윈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광검출기(53)는 CD 및 DVD 모두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PDIC인 것이 좋다.
상기 제2광로변환기(55)는 상기 트윈 레이저 다이오드(51)에서 출사되는 장파장의 광들은 제1대물렌즈(11)로 반사시키고, 되돌아오는 반사광은 제2광검출기(53)로 향하도록 투과시키는 플레이트형 편광 빔스프리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트윈 레이저 다이오드(51)에서 출사된 편광은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뒤 상기 제1 λ/4파장판(35)에 의해 다른 편광성분으로 바뀌어 편광 빔스프리터 (55)를 그냥 투과하여 제2광검출기(53)로 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32)는 장파장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지만, 편광 의존성을 갖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장파장을 투과시킨다. 그리고, 일부 장파장의 광은 무편광 빔스프리터(32)에서 반사되어 모니터링 광검출기(16)로 입사된다. 따라서, 상기 광검출기(16)를 이용하여 트윈 레이저 다이오드(51)의 광출력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 1에 도시된 도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에 도시된 광픽업 장치는, 제1광원(15)에서 출사된 뒤 각 대물렌즈(11,13)에서 집속되어 광디스크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기(60)로서, 제1 및 제2광검출소자(61,62)를 구비한다. 제1광검출소자(61)는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한 HD-DVD에 사용되고, 제2광검출소자(63)는 제2대물렌즈(13)를 이용한 BD에 사용된다.
또한, 제1광원(15)에서 출사된 청색광의 광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1광로변환기(19´)로서, 제1편광 빔스프리터(31´), 무평광 빔스프리터(32), λ/2파장판(33)과, 제2편광 빔스프리터(34), 제1 및 제2 λ/4파장판(35,36)과 반사부재(3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편광 빔스프리터(31´)는 도 1에 도시된 편광 빔스프리터(3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2편광 빔스프리터(34)는 제1편광 빔스프리터(31´)와 동일한 편광의존성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되돌아오는 편광 중에서 제1편광 빔스프리터(31´)에서 반사된 편광은 제2편광 빔스프리터(34)에서도 반 사되어 제2광검출소자(61)로 수광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편광 빔스프리터(31´)(34)를 투과한 편광은 제2광검출기(62)로 수광된다.
상기 반사부재(38)는 후술할 제2콜리메이팅렌즈(123)와 제2대물렌즈(13) 사이의 광경로를 변경해주도록 마련된다. 이 반사부재(38)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123)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123)는 BD를 채용할 경우, 제2대물렌즈(13)를 이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구면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제2대물렌즈(13)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콜리메이팅렌즈(123)는 홀더(125)에 지지된 상태로 스테핑모터(127)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제어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제1콜리메이팅렌즈(121)는 제1대물렌즈(11)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콜리메이팅렌즈(123)만 구동시키기 위해서, 그 공간확보를 위해 각 콜리메이팅렌즈(121,123)는 대물렌즈들(11,13) 간의 간격보다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대신에,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123)만 구동시키면 되므로, 구동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121)가 고정된 점을 감안 할 때, 제1대물렌즈(11)를 이용하여 HD-DVD를 채용할 경우 발생하는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보정소자(71)(73)가 구비된다. 상기 제1보정소자(71)는 제1대물렌즈(11)로 입사되는 광의 구면수차를 보정하도록, 제1콜리메이팅렌즈(121)와 제1대물렌즈(11) 사 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된다. 제2보정소자(73)는 제1광검출소자(61)로 수광되는 광의 구면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제2빔스프리터(34)와 제1광검출소자(61)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63은 HD 채용시 제1광원(15)의 광출력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광검출기를 나타내고, 64는 BD 채용시의 광출력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광검출기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픽업 장치에 따르면, BD와 HD-DVD를 동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BD 및 HD-DVD를 공용으로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BD와 HD-DVD에 대한 광검출기를 하나로 공용화할 수 있다.
또한, 광디스크의 듀얼 레이어(Dual Layer)에 대한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콜리메이팅렌즈들을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서, 하나의 구동부로 BD 및 HD-DVD에 공용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경우, 모니터링용 광검출기를 3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대해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 빔스프리터와 무편광 빔스프리터를 일체형으로 함으로서 BD와 HD-DVD를 혼용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징들을 종합해 볼 때, 많은 부품들을 혼용하여 공용화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픽업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무게를 줄임으로서 제품의 경량화와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34)

  1. 저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저 개구수를 가지는 제1대물렌즈와;
    고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고 개구수를 가지는 제2대물렌즈와;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한 단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 및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상기 반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1광로변환기; 및
    상기 제1대물렌즈 및 제2대물렌즈 각각으로 입사하는 광경로 상에 설치되어 각각의 입사광을 평행광으로 변경해주는 제1 및 제2콜리메이팅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편광 빔스프리터와;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λ/4파장판; 및
    상기 제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λ/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입사하는 광의 파장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는 파장의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콜리메이팅렌즈를 함께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광진행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는 광경로 상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는 광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검출기는,
    상기 제1대물렌즈를 경유하여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소자와;
    상기 제2대물렌즈를 경유하여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콜리메이팅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제1대물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1보정소자와;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광검출소자로 입사되는 광의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2보정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콜리메이팅렌즈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콜리메이팅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간의 간격보다 더 멀리 이 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물렌즈와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 사이에는 광경로를 변경해주는 반사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며,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제1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대물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소자 사이에 설치되는 제2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제1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λ/4파장판; 및
    상기 제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λ/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정소자는 상기 제2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 광검출소자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상기 제2콜리메이팅렌즈와 상기 제2 λ/4파장판 사이에 설치되어 광경로를 안내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는 400nm대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광원보다 장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광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광원에서 출사된 뒤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제1대물렌즈로 안내하고, 상기 제1대물렌즈를 통해 광정보 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상기 제2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2광로변환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적외선광 및 적색광을 독립적으로 출사하는 트윈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은,
    78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광을 출사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와;
    650nm 이상 78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제2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0. 제17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편광 빔스프리터와;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λ/4파장판; 및
    상기 제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λ/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로변환기는,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다른 편광 빔스프리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λ/4파장판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상기 제2광원에서 출사되고, 반사되어 되돌아가는 광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는 단파장의 광은 반사시키고, 상기 제2광원에서 출사되는 장파장의 광은 투과시키는 파장 의존성을 갖는 큐빅형 빔스프리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검출기는,
    상기 다른 편광 빔스프리터를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서로 다른 기록밀도를 가지는 광기록매체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PDI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는 광보다는 긴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1대물렌즈를 이용하여 저밀도 광기록매체에 대응할 수 있는 광을 출사하고,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모듈과;
    상기 광모듈과 상기 제1대물렌즈 사이에서의 광경로를 안내하는 제2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780nm 이상의 장파장을 출사하고, 상기 제1대물렌즈를 통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홀로그램 모듈과;
    상기 제1홀로그램 모듈보다는 짧고 상고 상기 제1광원보다는 긴 파장의 적색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1대물렌즈를 통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2홀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로변환기는,
    입사광의 편광성분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편광 빔스프리터와;
    입사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무편광 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편광 빔스프리터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바꾸어주는 λ/2파장판과;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1 λ/4파장판; 및
    상기 제2대물렌즈에서 집속된 뒤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주는 제2 λ/4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로변환기는,
    입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며, 상기 광모듈과 상기 제1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 사이에 설치되는 파장 의존성 빔스프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무편광 빔스프리터는 상기 광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물렌즈는 0.65 이하의 개구수를 가지며,
    상기 제2대물렌즈는 0.85 이상의 개구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2. 저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저 개구수를 가지는 제1대물렌즈와;
    고밀도 기록매체에 접합한 고 개구수를 가지는 제2대물렌즈와;
    제1 및 제2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한 단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제1 및 제2대물렌즈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제1 및 제2대물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상기 반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1광로변환기;
    상기 제1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광원보다 장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광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광원에서 출사된 뒤 상기 제1대물렌즈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제1대물렌즈로 안내하고, 상기 제1대물렌즈를 통해 광정보 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상기 제2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2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3. 저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저 개구수를 가지는 제1대물렌즈와;
    고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고 개구수를 가지는 제2대물렌즈와;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한 단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제1 및 제2대물렌즈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제1 및 제2대물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상기 반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1광로변환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는 광보다는 긴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1대물렌즈를 이용하여 저밀도 광기록매체에 대응할 수 있는 광을 출사하고,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모듈과;
    상기 광모듈과 상기 제1대물렌즈 사이에서의 광경로를 안내하는 제2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4. 저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0.65 이하의 개구수를 가지는 제1대물렌즈와;
    고밀도 기록매체에 적합한 0.85 이상의 개구수를 가지는 제2대물렌즈와;
    상기 제1 및 제2대물렌즈를 이용하기 위한 단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되어 제1 및 제2대물렌즈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와;
    상기 제1광원에서 출사돈 광의 일부를 제1 및 제2대물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상기 반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안내하는 제1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KR1020050007711A 2005-01-27 2005-01-27 광픽업 장치 KR100680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711A KR100680178B1 (ko) 2005-01-27 2005-01-27 광픽업 장치
US11/329,119 US7435934B2 (en) 2005-01-27 2006-01-11 Optical pickup apparatus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EP06100792A EP1688937B1 (en) 2005-01-27 2006-01-24 Optical pickup apparatus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DE602006015550T DE602006015550D1 (de) 2005-01-27 2006-01-24 Mit mehrfachen Medientypen kompatible optische Lesekopfvorrichtung
CNB2006100032012A CN100382173C (zh) 2005-01-27 2006-01-27 与多种类型的介质兼容的光学拾取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711A KR100680178B1 (ko) 2005-01-27 2005-01-27 광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746A KR20060086746A (ko) 2006-08-01
KR100680178B1 true KR100680178B1 (ko) 2007-02-08

Family

ID=3658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711A KR100680178B1 (ko) 2005-01-27 2005-01-27 광픽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35934B2 (ko)
EP (1) EP1688937B1 (ko)
KR (1) KR100680178B1 (ko)
CN (1) CN100382173C (ko)
DE (1) DE60200601555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8545B2 (ja) * 2005-04-15 2011-0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4969142B2 (ja) * 2006-04-27 2012-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80019232A1 (en) * 2006-07-21 2008-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 lens and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017807A (ko) * 2006-08-22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KR20080020901A (ko) * 2006-09-01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장치
JP2008077721A (ja) * 2006-09-20 2008-04-03 Funai Electric Co Ltd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US20080089194A1 (en) * 2006-10-02 2008-04-17 Keiichi Matsuzaki Optical pickup, optical disk driv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laying device, and tilt adjusting method
JP2008097740A (ja) * 2006-10-13 2008-04-24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CN101501774A (zh) 2006-12-28 2009-08-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介质评价方法、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介质的制造方法、信号处理方法、访问控制装置
KR20080071380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램 소자 및 이를 채용한 호환형 광픽업 장치
JP2009080916A (ja) * 2007-09-27 2009-04-16 Shinka Jitsugyo Kk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および光学記録再生装置
JP2009087413A (ja) 2007-09-28 2009-04-23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部品
CN101556807B (zh) * 2008-04-07 2012-01-04 杨南荔 Cbhd蓝光激光头
US10520592B2 (en) * 2016-12-31 2019-12-31 Waymo Llc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device with an off-axis receiver
CN109946710B (zh) * 2019-03-29 2023-12-26 中国科学院上海技术物理研究所 一种双波长多偏振激光成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905A (ja) * 1996-02-06 1997-08-15 Nec Corp 光ヘッド装置
JP2004319062A (ja) * 2003-03-31 2004-11-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ピックア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0573A (ja) * 1995-10-25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ヘッド
JP3031220B2 (ja) * 1995-11-21 2000-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式記録再生装置
US5673247A (en) * 1995-11-29 1997-09-30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pickup having two objective lenses
JP3726979B2 (ja) * 1995-11-29 2005-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KR100245666B1 (ko) 1996-12-30 2000-02-15 전주범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CN1187002A (zh) 1996-12-30 1998-07-08 大宇电子株式会社 光学拾取装置
KR100278786B1 (ko) * 1998-06-18 2001-01-15 구자홍 광기록매체와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1273669A (ja) 2000-03-29 2001-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2015455A (ja) * 2000-06-26 2002-01-18 Olympus Optical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JP2004145907A (ja) 2002-08-30 2004-05-2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ピックアップ装置、集光光学素子及び補正素子
KR100911141B1 (ko) 2002-09-03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에 따른 파면수차 보정 기능을 갖는 렌즈 및 광픽업
JP2004295983A (ja) * 2003-03-26 2004-10-21 Tdk Corp 光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US7193954B2 (en) 2003-03-31 2007-03-20 Konica Minolta Holding, Inc. Optical pickup device and objective lens for the optical pickup device
WO2005004128A2 (en) * 2003-07-07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lens,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WO2005043523A1 (ja) * 2003-11-04 2005-05-12 Konica Minolta Opto, Inc.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発散角変換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905A (ja) * 1996-02-06 1997-08-15 Nec Corp 光ヘッド装置
JP2004319062A (ja) * 2003-03-31 2004-11-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ピックアップ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9212905
163190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8937A3 (en) 2009-01-14
EP1688937B1 (en) 2010-07-21
US7435934B2 (en) 2008-10-14
CN100382173C (zh) 2008-04-16
US20060163459A1 (en) 2006-07-27
DE602006015550D1 (de) 2010-09-02
EP1688937A2 (en) 2006-08-09
CN1811940A (zh) 2006-08-02
KR20060086746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8937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JP441208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603770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US7606135B2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reproducing information onto/from various types of optical recording media of different recording densities and different thicknesses
US7898922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803592B1 (ko) 호환형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JP457311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683888B1 (ko) 광픽업 장치
US7782734B2 (en) Optical pickup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KR101046680B1 (ko) 광픽업 및 광디바이스
US7881168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multi recording/reproducing
KR100600587B1 (ko) 광픽업 장치
KR100646433B1 (ko) 광픽업장치
KR100656158B1 (ko) 광픽업장치
KR100585110B1 (ko) 광픽업
US7745770B2 (en) Light intensity controller and optical pickup device
KR20030081706A (ko) 복수의 대물렌즈를 갖는 광 픽업장치
JPH10124911A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
JP200910470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