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85965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965B1
KR100685965B1 KR1020040104899A KR20040104899A KR100685965B1 KR 100685965 B1 KR100685965 B1 KR 100685965B1 KR 1020040104899 A KR1020040104899 A KR 1020040104899A KR 20040104899 A KR20040104899 A KR 20040104899A KR 100685965 B1 KR100685965 B1 KR 10068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nt
drum
dryer
sepa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331A (ko
Inventor
손영복
조형주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9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9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에 건조작용후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가 제공된다.
건조기, 드럼, 사이클론 집진장치

Description

건조기{dry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3 및 도 5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본체 111:수납구
120:드럼 130:순환덕트
131:유입덕트 132:유출덕트
131a,132a:가이드홀 131b,132b:유입, 유출측 가이드부
140: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142:린트분리부
142a:원통부 142b:원추부
144:린트집진부 146:공기 유입부
148:공기 유출부 149:재비산 방지부
149a:연결부재 150:열교환 장치
160:히팅 장치 170:팬모터
173:송풍팬 175:냉각팬
220:드럼 230:열풍배출유로
240:열풍공급유로 250:히팅 장치
253:히팅 코일 260:송풍팬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대상물의 건조시에 발생할 수 있는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히팅 장치와 송풍팬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을 상기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20)과, 일단이 상기 드럼(20)의 전방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20)의 후방에 연통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덕트(30)와, 상기 드럼(20)의 전방측 순환덕트(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체(40)와, 상기 필터체(40)의 하류측 순환덕트(30)상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체(40)를 거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열교환기(50)와, 상기 열교환기(50)의 하류측 순환덕트(30)상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50)를 거친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50)와 히팅 장치(60) 사이 순환덕트(30)상에는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7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73)은 팬모터(7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70)의 타단에는 상기 열교환기(50)로 외기를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작용을 통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냉각팬(7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히팅 장치(6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히팅코일(63)의 발열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코일히터이다.
그리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드럼(20)은 건조과정시 소정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드럼(2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을 골고루 열풍에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20)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하고 건조기(1)를 작동시키면, 상기 팬모터(70)의 구동으로 송풍팬(73)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드럼(20) 내부와 순환덕트(30)상에는 공기의 강제 순환이 일어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히팅 장치(60)에 의하여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73)의 송풍력에 의하여 상기 드럼(2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드럼(20)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 드럼(2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건조대상물에 건조작용후 상기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체(40)를 거쳐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 상기 열교환기(5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5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모터(70)의 구동으로 송풍팬(73)과 더불어 회전되는 냉각팬(75)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50)로 공급되는 외기와 열교환작용을 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송풍팬(73)의 작동으로 상기 히팅 장치(60)을 거치면서 가열된 후, 상기 드럼(20) 내부로 재유입되어 드럼(2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건조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드럼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각종 이물질이 채집되는 필터체(40)는 드럼(20)의 전방측 하부 프론트 캐비넷(미도시)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과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필터체(40)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건조기(1)의 도어(미도시)를 개방시켜야만 필터체(40)의 탈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청소를 하기 위한 작업과정이 불편하였다.
둘째, 상기 필터체(40)는 대략 두께가 얇은 그물망의 형태로 청소를 하기 위하여 탈거하는 과정에서 작은 충격에도 이물질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필터체(40)는 이물질이 흡착되어 채집되기 때문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필터체(40)에 충격을 가하여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내야 하므로 청소 수행중에 이물질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실내에서는 청소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필터체(40)를 물세척할 수도 있지만, 필터체(40)의 특성상 물세척 후에는 그늘에서 장시간 완전건조를 시켜줘야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넷째, 상기 필터체(40)는 두께가 얇은 그물망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의 채집량이 적어 청소를 자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섯째, 상기 필터체(40)의 이물질 포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를 개방시켜 직접 확인해야만 포화 상태의 파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상기와 같이 필터체(40)의 이물질 채집량이 작고, 이물질의 포화 상 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필터체(40)를 제때에 청소하지 못할 경우 순환덕트(30)의 유로 막힘 등에 의한 송풍팬(73)의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저습한 환경에서 정전기의 발생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까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과정시 발생되는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포집된 이물질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구비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의하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양단이 상기 드럼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히팅 장치의 상류측 상 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열교환 장치와; 상기 열교환 장치의 상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하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일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배출유로와; 일단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로와; 상기 열풍공급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류측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 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복수 공간을 갖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양단이 상기 드럼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히팅 장치의 상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열교환 장치와; 상기 열교환 장치의 상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복수 공간을 갖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일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배출유로와; 일단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로와; 상기 열풍공급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류측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복수 공간을 갖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한편, 도 7은 도 2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구비된 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120)과, 일단이 상기 드럼(120)의 전방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120)의 후방에 연통되어 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덕트(130)와, 상기 드럼(120)의 전방측 순환덕트(1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복수의 공간을 갖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와, 상기 집진장치(140)의 하류측 순환덕트(1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를 거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열교환 장치(150)와, 상기 열교환 장치(150)의 하류측 순환덕트(130)상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 장치(130)를 거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장치(150)는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를 거쳐 유동되는 공기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유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공냉식 응축기이고, 상기 히팅 장치(16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히팅코일(163)을 발열시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코일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열교환 장치(150)의 일측에는 상기 열교환 장치(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면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통(미도시)이 구비되며,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공냉식 응축기 대신,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팽창기구로 구성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장치를 열교환 장치(150)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 장치(150)와 히팅 장치(160) 사이 순환덕트(130)상에는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17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173)은 팬모터(17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 (170)의 타단에는 상기 열교환 장치(150)로 외기를 공급하는 냉각팬(175)이 구비된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드럼(120)은 건조과정시 소정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드럼(120)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터로 건조대상물을 끌어올려 낙하시킴에 따라, 상기 건조대상물이 드럼(12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에 골고루 노출되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좋게 한다.
한편, 도 3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는 상기 드럼(120:도 2참조)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하여 선회시켜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도록 복수개가 병렬로 구비된 린트분리부(142)와,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의 각각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린트집진부(144)로 크게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린트집진부(144)는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와 모두 연통되게 구비되지만,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는 서로 다른 린트분리부(142)와 직접 연통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린트분리부(142)는 그 내경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원통부(142a)와, 상기 원통부(142a)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내경이 하향 축소되는 원추부(142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드럼(120)의 전방측과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덕트(131:이하, 유입 덕트라 약칭함)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해당되는 린트분리부(142)의 내부로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46)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46)는 서로 대향되게 두 개로 구비되고, 각 공기유입부(146)가 해당되는 린트분리부(142)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 각각의 공기유입부(146)와 연통되는 상기 유입덕트(131)의 하단면에는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와 대응되는 가이드홀(131a)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유입덕트(131)의 하단면에 가이드홀(131a)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와 상기 유입덕트(131)가 연통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부(146)를 해당되는 린트분리부(142)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따라 린트분리부(142)의 축선에 경사지게 구비시키는 이유는,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를 통해 해당되는 린트분리부(14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린트분리부(142)의 내주면 접선방향으로 내주면을 따라 인접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린트분리부(142)로 유입된 공기가 린트분리부(142)의 내주면을 타고 보다 빠르게 선회됨과 아울러 원심력이 증대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각각의 린트분리부(142)에는 린트분리부(142)의 내부 상 측공간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린트분리부(142)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 장치(150:도 2참조)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유출부(14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는 상기 열교환 장치(150)와 연통된 순환덕트(132:이하, 유출덕트라 약칭함)와 연통되게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연통되는 상기 유출덕트(132)의 측단면에는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대응되는 가이드홀(1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유출덕트(132)의 측단면에 가이드홀(132a)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상기 유출덕트(132)가 연통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내부에는 린트집진부(144)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이물질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비산 방지부(149)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재비산 방지부(149)는 박판의 디스크 형상으로 그 직경이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하부측 연통홀(142c)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저면에 고정된 연결부재(149a)에 의하여 린트분리부(142)의 하부측 연통홀(142c)에 더 가깝도록 린트집진부(144)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149a)는 상기 재비산 방지부(149)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적용되는 멀티 사이클 론 집진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설명에서 전술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하기로 전제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는 전술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도 3참조)와 유사하게 드럼(120:도 2참조)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하여 선회시켜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도록 복수개가 병렬로 구비되며 원통부(142a)와 원추부(142b)로 이루어진 린트분리부(142)와,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의 각각의 하부에 연통홀(142c)을 통해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린트집진부(144)로 크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는 전술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공기유입부(146) 및 공기유출부(148)의 구조가 다르다.
즉,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는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린트분리부(142)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46)가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측면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린트분리부(142)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유출부(148)가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상면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 각각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는 상기 드럼(120)의 전방측과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 치(140)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덕트(131:이하, 유입덕트라 약칭함)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해당되는 린트분리부(142)의 내부로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유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는 해당되는 린트분리부(142)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반경방향에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유입덕트(131)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6a)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축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점 더 커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 각각의 공기유입부(146)와 연통되는 상기 유입덕트(131)의 측단면에는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유입측 가이드부(131b)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덕트(131)와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는 연통된다.
물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유입덕트(131)의 측단면에 유입측 가이드부(131b)를 형성하는 대신, 상기 측단면 자체에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유입덕트(131)와 상기 각 공기유입부(146)를 연통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부(146)의 유입구(146a)를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가 주로 드럼(120)의 전방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유입덕트(131)를 통해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전방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146)의 유입구(146a)를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린트분리부(142)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의 공기유출부(148)는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142) 각각의 상면에 구비되는데,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는 상기 열교환 장치(150:도 2참조)와 연통된 순환덕트(132:이하, 유출덕트라 약칭함)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해당되는 린트분리부(142)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연통되는 상기 유출덕트(132)의 하단면에는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유출측 가이드부(132b)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출덕트(132)와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는 연통된다.
물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유출덕트(132)의 하단면에 유출측 가이드부(132b)를 형성하는 대신, 상기 하단면 자체에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유출덕트(132)와 상기 각 공기유출부(148)를 연통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내부에는 전술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마찬가지로 린트집진부(144) 내부에 구비된 재비산 방지부(149)가 연결부재(149a)를 통해 구비되는데, 이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120)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하고 건조기(1)를 작동시키면, 송풍팬(173)이 구동되면서 상기 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130)를 통해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에 건조작용을 하도록 순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송풍팬(173)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유입덕트(131)를 통해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를 거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유출덕트(132)를 통해 열교환 장치(150)를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 장치(150)를 거쳐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순환덕트(130)를 통해 히팅 장치(16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드럼(120)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이 건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과 같은 건조과정 중에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에서의 이물질 제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유입덕트(131)를 타고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의 공기유입부(146)를 통해 린트분리부(142)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부(146)는 상기 린트분리부(142)의 내주면에 접선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유입부(146)를 통해 린트분리부(142)로 유입된 공기는 린트분리부(142)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강한다.
이 때, 상기 공기가 선회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비중이 큰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낙하하여 린트집진부(144)로 포집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공기가 선회 하강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선회 중심축 즉, 린트분리부(142)의 중심축을 따라 상승하여 송풍팬(173)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유출부(148)를 통해 유출덕트(132)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린트집진부(144)로 포집된 이물질은 린트분리부(142)에서 제거되고 상승되는 공기의 기류 영향을 받아 재비산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린트집진부(144)에는 재비산 방지부(149)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는 주로 건조기(100) 내에 드럼(120)의 전방측 하부에 설치되는데, 이 때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의 린트집진부(144)는 건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외부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전면측에 상기 린트집진부(144)를 분리할 수 있도록 수납구(111)를 형성하여 상기 린트집진부(144)가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린트집진부(144)를 서랍과 같은 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본체(110)의 수납부(111)를 통해 건조기(100) 외부로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린트가 포집되는 린트집진부(144)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전체 또는 상기 본체(110)의 수납부(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만을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내부를 외부에서 투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린트집진부(144)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의 양을 손쉽게 인식할 수 있어, 상기 린트집진부(144)를 적절한 시기에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도 3 및 도 5참조)가 배기식 건조기에 구비된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200)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220)과, 일단이 상기 드럼(220)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2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배출유로(230)와, 일단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220)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220)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로(240)와, 상기 열풍공급유로(240)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20)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250)와, 상기 열풍배출유로(2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260)과, 상기 드럼(220)과 송풍팬(260) 사이 상기 열풍배출유로(2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 장치(25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히팅코일(253)을 발열 시켜 유동하는 외기를 가열하는 코일히터이다.
이 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히팅 장치(250)로서 코일히터 대신 가스를 연소기켜 발생되는 열로 상기 드럼(220)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가스연소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드럼(220)은 상기 송풍팬(26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소정의 동력전달장치로 연결되어, 건조과정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드럼(220)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터로 건조대상물을 끌러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건조대상물이 드럼(22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에 골고루 노출되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좋게 한다.
한편, 상기 제2실시예에 적용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는 상기 제1실시예에 적용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상기 제2실시예의 건조기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220)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하고 건조기(200)를 작동시키면, 송풍팬(260)이 구동되면서 상기 송풍팬(26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드럼(220) 내부의 공기가 열풍배출유로(230)로 배출됨과 동시에, 외기가 상기 열풍공급유로(240)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는 상기 열풍공급유로(240)상에 구비된 히팅 장치(250)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드럼(220)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드럼(220)으로부터 열풍배출유로(230)로 배출된 공기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를 거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송풍팬(2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송풍팬(26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히팅 장치(250)로 가열된 외기는 계속적으로 열풍공급유로(240)를 통해 드럼(220) 내부로 공급되어 건조대상물에 건조작용을 하며, 상기 건조대상물에 건조작용후 드럼(2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과정을 반복하면서 건조대상물의 건조를 완료한다.
한편, 상기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구성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작용 역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2실시예에 적용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 역시, 상기 제1실시예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건조기(200) 내에 드럼(220)의 전방측 하부에 설치되는데, 이 때 상기 제2실시예에 적용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140)의 린트집진부(144:도 7참조) 역시 건조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외부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린트집진부(144)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7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 다.
한편, 상기에서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기의 이물질 채집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이물질의 포집량을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 가능하며, 포집된 이물질의 배출 과정에서 이물질을 흩날리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린트집진부를 적절한 시기에 청소할 수 있고, 청소과정이 용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4)

  1.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그리고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린트분리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린트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린트집진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유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린트분리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린트분리부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삭제
  4. 삭제
  5.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그리고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린트분리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린트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린트집진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유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린트분리부의 측면에 상기 린트분리부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부의 끝단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건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분리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내경이 하향 축소되는 원추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분리부는 복수개가 병렬로 구비되며, 상기 린트집진부는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는,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설치되는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는 외부에서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는 상기 건조기의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만 투명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그리고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린트분리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린트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린트집진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유출부를 가지며,
    상기 린트집진부의 내부에는 상기 린트집진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이물질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비산 방지부는 박판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비산 방지부의 직경은,
    상기 린트집진부의 내부와 연통된 상기 린트분리부의 하면 연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의 저면과 상기 재비산 방지부 사이에는,
    상호간의 거리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면서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9. 삭제
  20.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양단이 상기 드럼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히팅 장치의 상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열교환 장치와;
    상기 열교환 장치의 상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하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1.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일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배출유로와;
    일단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로와;
    상기 열풍공급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류측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장치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되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일히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로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가스연소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4.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린트분리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린트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린트집진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분리부는 복수개가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린트분리부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따라 린트분리부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공기유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린트집진부는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의 하부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에는 해당되는 린트분리부의 내부 상측공간과 연통된 공기유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분리부는 복수개가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의 측면 상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린트분리부의 축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점 더 커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유입구를 갖는 공기유입부가 상기 린트분리부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린트집진부는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의 하부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에는 해당되는 린트분리부의 내부 상측공간과 연통된 공기유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분리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내경이 하향 축소되는 원추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에서 유동되는 이물질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비산 방지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0.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복수 공간을 갖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1.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양단이 상기 드럼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히팅 장치의 상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열교환 장치와;
    상기 열교환 장치의 상류측 상기 순환덕트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복수 공간을 갖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상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거쳐 유동되는 공기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유동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공냉식 응축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3. 건조대상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공간인 드럼과;
    일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배출유로와;
    일단이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로와;
    상기 열풍공급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와;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류측 상기 열풍배출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선회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복수 공간을 갖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4. 제 30 항, 제 31 항,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선회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린트분리부와,
    상기 복수개의 린트분리부 각각의 하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린트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린트집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분리부에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린트분리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린트분리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유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린트분리부의 상면에 상기 린트분리부의 접선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린트분리부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린트분리부의 측면에 상기 린트분리부의 접선방향을 따라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린트분리부의 반경방향에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9.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의 유입구는,
    그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린트분리부의 축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점 더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부는 상기 린트분리부의 내부 상측공간과 연통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2.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분리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내경이 하향 축소되는 원추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집진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에서 유동되는 이물질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비산 방지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4. 제 30 항, 제 31 항,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장치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되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코일히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40104899A 2004-12-13 2004-12-13 건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8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899A KR100685965B1 (ko) 2004-12-13 2004-12-13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899A KR100685965B1 (ko) 2004-12-13 2004-12-13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331A KR20060066331A (ko) 2006-06-16
KR100685965B1 true KR100685965B1 (ko) 2007-02-23

Family

ID=3716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8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5965B1 (ko) 2004-12-13 2004-12-13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9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19B1 (ko) 2006-09-29 2008-09-18 박압 폐열을 이용한 의류건조기
KR101070488B1 (ko) * 2008-12-17 201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WO2012060984A3 (en) * 2010-10-25 2012-07-1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Open-loop heat-recovery dryer
KR101487026B1 (ko) 2008-12-22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WO2015163654A1 (en) * 2014-04-21 2015-10-29 Lg Electronics Inc. Dryer for clothes
US10494758B2 (en) 2017-11-17 2019-12-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s and methods of oper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336A (ko) * 2000-12-19 2002-06-26 구자홍 건조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20020074994A (ko) * 2001-03-23 2002-10-04 엘지전자주식회사 건조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JP2003024827A (ja) 2001-07-17 2003-01-28 Sharp Corp サイクロン分離器
KR20030084070A (ko) * 2002-04-24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을 구비한 건조기
JP2004105805A (ja) 2002-09-13 2004-04-08 Sharp Corp 還流式分離器
KR20050118485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을 구비한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336A (ko) * 2000-12-19 2002-06-26 구자홍 건조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20020074994A (ko) * 2001-03-23 2002-10-04 엘지전자주식회사 건조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JP2003024827A (ja) 2001-07-17 2003-01-28 Sharp Corp サイクロン分離器
KR20030084070A (ko) * 2002-04-24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을 구비한 건조기
JP2004105805A (ja) 2002-09-13 2004-04-08 Sharp Corp 還流式分離器
KR20050118485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을 구비한 건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84070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19B1 (ko) 2006-09-29 2008-09-18 박압 폐열을 이용한 의류건조기
KR101070488B1 (ko) * 2008-12-17 201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US9217220B2 (en) 2008-12-17 2015-12-22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ereof
KR101487026B1 (ko) 2008-12-22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WO2012060984A3 (en) * 2010-10-25 2012-07-1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Open-loop heat-recovery dryer
US8572862B2 (en) 2010-10-25 2013-11-0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Open-loop heat-recovery dryer
WO2015163654A1 (en) * 2014-04-21 2015-10-29 Lg Electronics Inc. Dryer for clothes
US10329708B2 (en) 2014-04-21 2019-06-25 Lg Electronics Inc. Dryer for clothes
US10494758B2 (en) 2017-11-17 2019-12-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s and methods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331A (ko)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536B1 (ko)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건조기의 제어 방법
TWI395853B (zh) 烘乾機
KR101982533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JP7608499B2 (ja) タンブル乾燥機
EP1710338A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2202350B1 (en) A dryer and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ereof
JP2008006045A (ja) 洗濯乾燥機
KR100685965B1 (ko) 건조기
KR101241915B1 (ko) 건조기
JP2012170626A (ja) 衣類乾燥機
CN202369823U (zh) 衣物处理装置
JP4823006B2 (ja) 洗濯乾燥機
KR100577249B1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건조장치
KR100662763B1 (ko)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KR100662764B1 (ko)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KR101253193B1 (ko) 건조기
KR102577345B1 (ko) 세탁물 건조기
KR101094548B1 (ko) 건조기의 필터 구조
KR101948918B1 (ko) 건조기
CN219908178U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CN222298443U (zh) 一种干燥机尾气回收循环装置
CN222352437U (zh) 一种自带除尘过滤的转轮除湿机
KR101685977B1 (ko) 건조기
KR101191207B1 (ko) 건조기
JP4823007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