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982B1 -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river bank - Google Patents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river b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3982B1 KR100673982B1 KR1020060100815A KR20060100815A KR100673982B1 KR 100673982 B1 KR100673982 B1 KR 100673982B1 KR 1020060100815 A KR1020060100815 A KR 1020060100815A KR 20060100815 A KR20060100815 A KR 20060100815A KR 100673982 B1 KR100673982 B1 KR 100673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block
- roller
- sides
- groove
- r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38—Rolling gates or gates moving horizontally in their own plane, e.g. by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에 유입되는 쓰레기 등의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의 제방(1)에 각각 삽입설치되며 하천쪽의 측면이 경사진 사각통형상의 베이스블럭(10)과, 상기 베이스블럭(10)내에 설치된 탄성부재(20)와, 상기 양측 베이스블럭(10) 사이에 설치된 레일(50)과, 상기 양측의 베이스블럭(10)내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사각통형상의 거름망부재(30,30')와, 상기 베이스블럭(10)하부에 결합되며 레일(50)위로 이동하는 지지부재(40)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원웨이롤러(60)와, 상기 지지부재(40)와 원웨이롤러(6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거름망부재(30,30')를 레일(50)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70)를 포함하므로, 유수를 방해하지 않고 하천에 유입된 각종 부유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a river bank to remove various floating matters such as garbage flowing into a river, each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nks on both sides (1) and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side of the river is inclined. The base block 10, the elastic member 20 installed in the base block 10, the rail 50 provided between the base blocks 10 on both sides, and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into the base block 10 on both sides of the base block 10. Rectangular cylindrical sieve member (30, 30 '), and the support member 40 which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10 and moved above the rail 50, and one-way roller to rotate in only one direction 60 and a wire 70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40 and the one-way roller 60 to move the strainer members 30 and 30 'on the rail 50,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various floating matters in the river without disturbing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easy.
Description
도 1은 하천제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ating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river embankment is closed.
도 2는 도 1의 부유물 제거장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float removing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블럭과 레일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base block and th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블럭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by partially cutting the bas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블럭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by partially cutting the bas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가 베이스블럭과 레일에 결속되어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eve member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and the rai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이다.Figure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eve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거름망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다.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iner is separated from the strainer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와 지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eve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의 하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웨이롤러의 세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one-way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제방 2:하천1: levee 2: river
10:베이스블럭 11:측면개방부10: Base Block 11: Side Opening
12:상부개방부 13:커버12: Upper part opening 13: Cover
14:메인홈 15:보조홈14: main home 15: secondary home
16:공간부 17:내측면16: space part 17: inside
20:탄성부재 21:주름호스20: elastic member 21: wrinkle hose
22:스프링 23:플랜지22: Spring 23: Flange
24:결합패널 25,33,400,430,440,480:볼트24: Combined
30:거름망부재 31:거름망30: strainer member 31: strainer
32:프레임 34:결속홈32: frame 34: binding groove
34':결속구 35:결합구34 ': Binding Sphere 35: Coupling Sphere
40:지지부재 41:결합홈40: support member 41: coupling groove
42:패널홈 43:안내패널42: panel groove 43: guide panel
44:고무커버 45:연장부44: Rubber cover 45: Extension part
46:수평돌기 47:수직돌기46: horizontal protrusion 47: vertical protrusion
48:롤러 49:고리48: roller 49: ring
50:레일 51:플랜지50: Rail 51: Flange
54:메인홈 55:보조홈54: main home 55: secondary home
60:원웨이롤러 61:롤러60: one-way roller 61: roller
62:브래킷 63:볼트공62: Bracket 63: Bolt ball
64:톱니기어 65:수직면64: toothed gear 65: vertical surface
66:핸들 67:고정구66: handle 67: fixture
68:힌지축 69:핸들68: hinge axis 69: handle
141:수평홈 142:수직홈141: horizontal groove 142: vertical groove
541:수평홈 542:수직홈541: horizontal groove 542: vertical groove
본 발명은 하천에 유입되는 쓰레기 등의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식 거름망을 구비한 장치를 하천 제방의 양측에 설치하여 필요시 작동시킴으로써 하천에 유입되는 부유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a river bank to remove various floating matters such as garbage flowing into a river,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openable strainer on both sides of the river bank to operate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a river bank that can be easily removed as well as easy to install and have low installation costs.
산업발전과 인구증가로 인해 하천을 오염시키는 폐수 또는 생활하수와 같은 오염물질들이 아무런 여과없이 방출됨으로써 수질오염 및 자연생태계를 파괴되고 이를 농수로 활용함으로써 인간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장마나 홍수 등에 의해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부유물이 그대로 방치될 경우 하천의 오염뿐만 아니라 수로를 폐쇄시켜 원활한 물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방을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그 복구에 있어서 막대한 비용과 인력투입이 요구된다.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pollutants such as wastewater or domestic sewage, which pollute rivers, are released without any filtration, which can destroy water pollution and natural ecosystems, and damage humans by using them as agricultural water. In particular, if various floats flowing into the river due to rainy season or flooding are left as it is, not only the pollution of the river but also the waterway can be closed and the water can not be made smoothly, which can destroy the embankment. Manpower input is required.
이와 같이 하천에 유입되는 부유물은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한 제거에 의존하고 있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uch, the floating matters flowing into the river are generally dependent on the removal by manpower, which causes a lot of time and is not easy to work with.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개폐식 거름망을 구비한 베이스블럭을 하천 제방의 양측에 삽입설치하여 필요시 작동시킴으로써 유수를 방해하지 않고 하천에 유입된 각종 부유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insert and install the base block provided with a retractable strainer on both sides of the river bank to operate as necessary simply to prevent various flows flowing into the river without disturbing the flow of water. Not only can it be removed, but also to provide a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river bank easy to install and low installation cos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측면개방부와 상부에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상부개방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메인홈과 그 양측에 보조홈들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천제방의 양측에 삽입설치되는 일측면이 경사진 사각통형상의 베이스블럭; A space portion is formed therein, an upper opening portion having a side open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 cov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and a main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side and auxiliary grooves are formed in both side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river bank A base block having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side of which is installed is inclined;
신축가능한 주름호스와 그 내부에 종방향으로 삽입된 스프링을 구비하며, 결합패널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블럭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된 탄성부재; An elastic member having a stretchable corrugated hose and a spring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elastic member being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block through a coupling panel;
상부에 형성된 메인홈과 그 양측에 보조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각 메인홈과 보조홈들이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들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 A main groove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uxiliary groove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he rail being installed between the base blocks so that the main grooves and the auxiliary groov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일면에 프레임을 매개한 거름망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베이스블럭의 측면개방부에 각각 삽입 또는 인출하며, 상기 인출시 상호 접촉하는 부위가 결속되도록 일측에 결속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속구가 형성된, 전후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의 거름망부재; Frame-filtered sieve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and a pair of coupling hole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bottom, and each part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side open portions of the base blocks, and the parts contacting each other at the time of withdrawal are A bind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to be bound and a bindi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a rectangular cylindrical sieve member having an open front and rear surface;
상기 결합구와 결속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메인홈에 삽입되도록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양측에 형성된 패널홈과, 상기 패널홈에 고정결합되는 안내패널과, 상기 안내패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무커버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2열로 설치된 다수의 롤러와, 일측면에 설치된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coupler,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groove, a panel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 guide panel fixed to the panel groove; A support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member including a rubber cover coupled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anel,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in two rows on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and a ring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롤러, 상기 롤러의 일측에 고정결합된 톱니기어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톱니기어와 맞물려 롤러의 일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구비한 원웨이롤러; 및A roller, a gear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ller, and a handle capable of rotating the roller, and having a fastener that meshes with the gear to prevent one-way rotation of the roller, and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block. One-way roller having a bracket to be; And
상기 지지부재를 레일상에서 이동시키도록 일단부가 상기 고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롤러에 고정된 와이어; 를 포함하는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A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ing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ller to move the support member on the rail; It provides a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in the river bank including a.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loating matter removal apparatus installed in the river b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하천제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유물 제거장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a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river bank is closed,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float removal apparatus of FIG. 1.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는, 양측의 제방(1)에 각각 삽입설치되며 하천쪽의 측면이 경사진 사각통형상의 베이스블럭(10)과, 상기 베이스블럭(10)내에 설치된 탄성부재(20)와, 상기 양측 베이스블럭(10) 사이에 설치된 레일(50)과, 상기 양측의 베이스블럭(10)내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사각통형상의 거름망부재(30,30')와, 상기 베이스블럭(10)하부에 결합되며 레일(50)위로 이동하는 지지부재(40)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원웨이롤러(60)와, 상기 지지부재(40)와 원웨이롤러(6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거름망부재(30,30')를 레일(50)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floating material remov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iver b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banks (1) of both sides, the base of the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inclined side of the river sid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블럭과 레일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블럭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블럭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가 베이스블럭과 레일에 결속되어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block and the rail separat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by partially cutting the bas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by partially cutting the bas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eve member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and the rai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perspective views.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블럭(10)은 일측면이 경사진 사각통형상을 이루어 하천제방(1)의 양측에 삽입설치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베이스블럭(10)은 하천제방(1)의 일부를 이루도록 양측 제방(1) 내에 삽입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외부면이 상기 제방(1)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3 to 6, the
또한, 상기 베이스블럭(10)의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거름망부재(30,30')가 출입할 수 있는 측면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커버(13)를 구비한 상부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3)는 상부개방부(12)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또한, 상기 베이스블럭(10)에는 하부에 메인홈(14)과 보조홈(15)들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보도홈(15)은 메인홈(14)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홈(14)과 보조홈(15)은 레일(50)과 함께 지지부재(40)의 롤러(48)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하는 연속적으로 이어진 홈을 이룬다.In addition, the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홈(14)은 그 하부 양측에 형성된 수평홈(141)과 아래로 형성된 수직홈(142)을 구비하고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그리고, 도 4 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0)는 신축가능한 주름호스(21)와 그 내부에 종방향으로 삽입된 스프링(22)을 구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거름망부재와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한다.4 and 5, the
또한, 상기 탄성부재(20)는 주름호스(21)의 일측단부에 플랜지(23)를 구비하고 있어서 결합패널(24)을 개재하여 볼트(25)에 의해 베이스블럭(10)의 내측면(17)에 수평으로 고정결합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레일(50)은 베이스블럭(10)들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부에 메인홈(5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 평행하게 보조홈(55)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블럭(10)의 메인홈(14,54) 및 보조홈(15,55)들과 함께 상호 연통되어 연속되는 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레일(50)은 하부에 플랜지(51)가 형성되어 있어서 바닥에 앵커볼트로 고정된다.Next,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거름망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름망부재와 지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의 하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eve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separated the sieve in the state where the sieve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strainer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tom perspective view to show the structure.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거름망부재(30,30')는 전후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의 부재로서, 일면에는 프레임(32)을 매개하여 볼트(33)로 고정되는 거름망(31)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거름망부재(30,30')가 베이스블럭(10)으로부터 하천(2)으로 인출되는 경우 유수내에 포함된 쓰레기 등의 부유물을 거름망(31)으로 거를 수 있다. 그와 같이 걸러진 부유물은 상기 거름망부재(30,30')가 베이스블럭(10)내로 삽입된 후 커버(13)를 벗겨낸 상부개방부(12)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 및 제거될 수 있다.7 to 10, the sieve
또한, 상기 거름망부재(30,30')는 상기 양측 베이스블럭(10)의 측면개방부(11)로부터 하천쪽으로 인출되는 경우 양쪽의 거름망부재(30,30')가 상호 접촉하 는 부위끼리 상호 결속되도록 일측의 거름망부재(30)에는 결속홈(34)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거름망부재(30')에는 결속구(34')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거름망부재(30,30')는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결합구(35)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부재(40)의 결합홈(41)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결합된다.In addition, the sieve member (30, 30 ') is a pair of coupling holes 35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40)는 상부에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거름망부재(30,30')의 결합구(35)와 결속되어 다수의 볼트(400)로 고정결합된다.Next,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또한, 상기 지지부재(40)는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45)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홈(14,54)에 삽입된다. 상기 연장부(45)에는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수평돌기(46)와 한쌍의 수직돌기(4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돌기(47)의 하부에는 2열로 배열된 다수의 롤러(48)가 볼트(480)로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연장부(45)가 레일(50)과 베이스블럭(10)의 메인홈(54,14)에 삽입되고 각 쌍의 수평돌기(46) 및 수직돌기(47)가 각 쌍의 수평홈(541,141) 및 수직홈(542,142)에 각각 결속되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연장부(45)의 양측에는 패널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홈(42)에는 안내패널(43)이 다수의 볼트(430)로 각각 고정결합되며, 상기 안내패널(43)의 하단부에는 각각 고무커버(44)가 감싸면서 다수의 볼트(440)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0)은 안내패널(43)이 고무커버(44)를 매개하여 상기 레일(50)과 베이스블럭(10)의 보조홈(55,15)에 삽입된 채 좌우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외부의 수압에 의한 영향에도 상기 지지부재(40)의 위치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또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0)의 하천(2) 바깥쪽 측면에는 고리(49)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와이어(70)가 연결되기 위한 부재이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a
상기 와이어(70)는 일단부가 상기 고리(49)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롤러(61)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40)를 레일(50)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웨이롤러의 세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one-way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원웨이롤러(60)는 와이어(70)를 감는 롤러(61), 상기 롤러(61)의 일측에 고정결합된 톱니기어(64) 및 상기 롤러(6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66)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66)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돌릴 경우 와이어(70)를 감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 경우 와이어(70)를 풀게 된다.As shown in FIG. 11, the one-
또한, 상기 원웨이롤러(60)는 다수의 볼트공(63)이 천공된 브래킷(62)을 구비하고 있어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블럭(10)의 하천(2) 외부쪽 측면에 볼트로 고정장착된다.In addition, the one-
한편, 상기 원웨이롤러(60)는 상기 톱니기어(64)와 맞물려 롤러(61)의 일측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구(67)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구의 단부가 톱니기어(64)의 수직면(65)과 접촉하여 롤러(61)의 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67)에는 핸들(69)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구(67)를 힌지축(6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톱니기어(64)의 고정이 풀리게 되어 롤러(61)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e-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고정구(67)를 해제하여 핸들(6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40)와 거름망부재(30,30')가 레일(50)을 따라 하천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양쪽의 거름망부재(30,30')가 결속홈(34)과 결속구(34')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하천을 가로질러 막게 되며, 그에 따라 물은 거름망(31)을 통과하지만 유수에 포함된 부유물들은 상기 거름망(31)에 걸리게 된다.In more detail, first, by releasing the
이와 같이 부유물들이 거름망(31)에 걸린 상태에서 핸들(6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40)와 거름망부재(30,30')가 레일(50)을 따라 하천쪽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블럭(10) 내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67)의 단부를 톱니기어(64)의 수직면(65)에 고정시킴으로써 원웨이롤러(6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차단시킨다.As such, when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3)를 벗기면 상부개방부(12)를 통하여 거름망(31)에 걸려있는 부유물들을 제거할 수 있다.Removing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개폐식 거름망을 구비한 베이스블럭을 하천 제방의 양측에 삽입설치하 여 필요시 작동시킴으로써 유수를 방해하지 않고 하천에 유입된 각종 부유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loating matter removal device installed in the river b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base block having an open-type strainer on both sides of the river bank to operate as necessary, various kinds of water flowing into the river without disturbing the running water Not only can the float be easily removed, but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easy.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815A KR100673982B1 (en) | 2006-10-17 | 2006-10-17 |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river b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815A KR100673982B1 (en) | 2006-10-17 | 2006-10-17 |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river ban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3982B1 true KR100673982B1 (en) | 2007-01-25 |
Family
ID=3801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08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3982B1 (en) | 2006-10-17 | 2006-10-17 |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river b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3982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392B1 (en) | 2011-03-08 | 2011-06-07 | 주식회사 삼안 | Eco-friendly float remover |
CN112359783A (en) * | 2020-11-03 | 2021-02-12 | 朱海林 | Environmental protection irrigation canals and ditches debris retention device with quick edulcoration function |
CN113605338A (en) * | 2021-08-16 | 2021-11-05 | 天津城建大学 | Ship-mounted water bloom emergency automatic treatment device |
CN114809160A (en) * | 2022-04-20 | 2022-07-29 |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 A silt prevention and dredging structure and dredging method based on dam engineering |
CN115431439A (en) * | 2022-09-13 | 2022-12-06 | 生态环境部华南环境科学研究所(生态环境部生态环境应急研究所) | A piece-rate system for different particle diameter microplastic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35926U (en) | 1984-07-31 | 1986-03-05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Door tightening device for double gates |
KR20030033699A (en) * | 2001-10-24 | 2003-05-01 | (주)이도전자 | An exclusion installation of floating matter in a dam |
KR100624085B1 (en) | 2006-06-08 | 2006-09-15 |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 River Float Collector Installed At The Pier Of Bridge |
KR100640015B1 (en) | 2006-06-30 | 2006-11-01 | (유)대산이앤씨 | Blown Beam Structure for Removing Float from River Water Surface |
-
2006
- 2006-10-17 KR KR1020060100815A patent/KR1006739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35926U (en) | 1984-07-31 | 1986-03-05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Door tightening device for double gates |
KR20030033699A (en) * | 2001-10-24 | 2003-05-01 | (주)이도전자 | An exclusion installation of floating matter in a dam |
KR100624085B1 (en) | 2006-06-08 | 2006-09-15 |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 River Float Collector Installed At The Pier Of Bridge |
KR100640015B1 (en) | 2006-06-30 | 2006-11-01 | (유)대산이앤씨 | Blown Beam Structure for Removing Float from River Water Surfac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392B1 (en) | 2011-03-08 | 2011-06-07 | 주식회사 삼안 | Eco-friendly float remover |
CN112359783A (en) * | 2020-11-03 | 2021-02-12 | 朱海林 | Environmental protection irrigation canals and ditches debris retention device with quick edulcoration function |
CN113605338A (en) * | 2021-08-16 | 2021-11-05 | 天津城建大学 | Ship-mounted water bloom emergency automatic treatment device |
CN114809160A (en) * | 2022-04-20 | 2022-07-29 |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 A silt prevention and dredging structure and dredging method based on dam engineering |
CN114809160B (en) * | 2022-04-20 | 2023-10-20 |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 Anti-clogging dredging structure and dredging method based on dam engineering |
CN115431439A (en) * | 2022-09-13 | 2022-12-06 | 生态环境部华南环境科学研究所(生态环境部生态环境应急研究所) | A piece-rate system for different particle diameter microplastics |
CN115431439B (en) * | 2022-09-13 | 2024-01-02 | 生态环境部华南环境科学研究所(生态环境部生态环境应急研究所) | Separation system for microplastic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4085B1 (en) | River Float Collector Installed At The Pier Of Bridge | |
KR100673982B1 (en) | Float removal device installed on the river bank | |
US20050230317A1 (en) | Watershed runoff drainage device & method | |
US7040838B2 (en) | High capacity catch basin filtration system with adjustable deflector ring | |
US6976808B2 (en) | Catch basin filtration system will disposable silt/contaminant collector | |
US6986621B2 (en) | Trench drain filtration system | |
US6651825B2 (en) | Disposable net assemblies for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 |
KR100640015B1 (en) | Blown Beam Structure for Removing Float from River Water Surface | |
US20060140723A1 (en) | Fixed shape retainer for absorbent material for storm drains | |
KR20150095472A (en) | Stormwater inlet integrated with a swinging filter cartridge | |
KR100304270B1 (en) | Over flow protection apparatus for drainage | |
KR100406506B1 (en) | None power auto screen system for waste-remove of river | |
KR100538164B1 (en) | Apparatus using exclude odor | |
KR100899572B1 (en) | Mobile Float Collector at River Dike | |
KR20090036556A (en) | Enclosed Drain Cover | |
KR100596216B1 (en) | Eco-friendly Float Remover | |
KR100565856B1 (en) | Mobile deodorizer to remove odors from rivers | |
KR100591741B1 (en) | Structure to prevent backflow of sewage pipe | |
KR101530824B1 (en) | Powerless apparatus for protecting reversion of sewage | |
KR20050032090A (en) | Apparatus of removal pollutant for environment | |
KR20070108451A (en) | Eco-friendly method to clean polluted water by combining with polluted water system | |
KR20180025799A (en) | A silt protector | |
KR100576147B1 (en) | Flotation system | |
KR100565125B1 (en) | Odor eliminator installed on the bridge piers | |
KR200346699Y1 (en) | Disposal facilities structure used by a dike in the stre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10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101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