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775B1 - Refrigerator Home Ba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Home 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3775B1 KR100673775B1 KR1020050029423A KR20050029423A KR100673775B1 KR 100673775 B1 KR100673775 B1 KR 100673775B1 KR 1020050029423 A KR1020050029423 A KR 1020050029423A KR 20050029423 A KR20050029423 A KR 20050029423A KR 100673775 B1 KR100673775 B1 KR 1006737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door
- door
- home bar
- groove
- ho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홈바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개구부에 개/폐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홈바도어의 내부에 상기 홈바도어의 내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밀착되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자중에 의한 낙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홈바도어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됨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의 잠금장치에 대한 해제만으로 상기 홈바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홈바도어의 제작 및 사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bar for a refrigerator, wherein a weight ad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hape of the home bar door is installed inside the home bar door installed to open / close the opening formed in the refrigerator doo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rotate by self weight and being closely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home bar door, the home bar door is opened only by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of the home bar door, and the deformation by the manufacture and use of the home bar door. It is intended to prevent.
냉장고, 홈바, 홈바도어, 무게추 Refrigerator, Home Bar, Home Bar Door, Weigh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부분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ome ba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프레임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ove ba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의 분리 결합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oved ba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의 개방작동 상태도이다.4 and 5 is an ope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home ba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냉장고 20 - 도어10-Refrigerator 20-Door
30 - 개구부 40 - 홈바프레임30-opening 40-groove bar frame
50 - 홈바도어 51 - 베이스플레이트50-Home Bar Door 51-Base Plate
52 - 커버플레이트 53 - 발포재52-Cover Plate 53-Foam
60 - 래치어셈블리 61 - 래치홈60-Latch Assembly 61-Latch Groove
70 - 걸쇠부재 71 - 걸쇠홈70-Clasp 71-Clasp Groove
80 - 댐퍼부재 82 - 힌지홀80-Damper member 82-Hinge hole
90 - 무게추90-weight
본 발명은 냉장고용 홈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 회동되면서 개방되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bar for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home bar that is opened while being rotated by a load.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도록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rooms in which the food is accommodated so as to freeze or refrigerate food, and one side of the storage room is opened to store and retrieve the food.
또, 상기 냉장고 저장실의 개방된 일면은 상기 저장실의 개방면 전체를 덮어 막도록 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one open surface of the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to be opened / closed by a door to cover the entire open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또한, 근래에 상기 도어의 잦은 개/폐로 인한 냉기 누출을 방지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음료 등 비교적 사용이 잦은 음식물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냉장고 도어에 홈바가 구비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home bar is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due to frequent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an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store and take out food, which is frequently used, such as a drink.
여기서, 상기 홈바는 상기 도어에 냉장고 저장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상기 도어와 별도로 개/폐 작동되는 홈바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 저장실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를 개/폐하면서 상기 홈바도어의 내측, 통상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스켓에 수용된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여 사용하게 된다.Here, the home bar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doo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the opening is provided with a home bar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separately from the door, the home bar in the state th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is closed While opening / closing the door, food stored in the baske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me bar door and usually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is stored and taken out.
상기 종래의 홈바도어는 상기 홈바도어의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부재 또는 상기 홈바도어의 양면에 체결되는 링크 등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구부 틀을 형성하는 홈바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The conventional home bar door is generally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home bar frame forming an opening frame of the door by a hinge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bottom of the home bar door or a link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home bar door.
또, 상기 힌지부재 또는 링크에 의해 개방되는 홈바도어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그 회동이 정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를 위해 상기 힌지부재 또는 링크에 의해 회동된 홈바도어가 또 다른 링크 등에 의해 상기 홈바프레임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걸쳐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home bar door opened by the hinge member or the link is generally stopp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For this purpose, the home bar door rotated by the hinge member or the link is It is formed so as to spa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ove bar frame by another link or the like.
또한, 상기 홈바도어의 개방은, 상기 홈바도어의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 등을 사용작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를 냉장고의 외측으로 당겨내어 상기 홈바도어를 힌지부재를 축으로 상기 개구부에서 회동시켜 개방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home bar door is opened by pulling the home bar door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while holding a handle or the lik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me bar door and rotating the home bar door in the opening around the hinge member shaft. It was univers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홈바도어는 사용자가 홈바도어의 손잡이 등을 지속적으로 파지하고, 당겨내는 등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면서 상기 홈바도어의 개/폐를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의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성상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해야 하는 음료용기 등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의 개/폐가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홈바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me bar doo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ontinuously forms an opening / closing of the home bar door while continuously applying a pressing force such as holding and pulling the handle of the home bar door and pulling out the home bar doo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eterioration, and the nature of the home bar door is impossible to open / close the home bar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ping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held by two han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ability of the home bar.
또, 상기 홈바도어의 잠금장치가 해제된 후에 상기 힌지부재 등을 축으로 외부 가압력 없이 개방되도록 된 홈바도어의 요구가 있었다.Further,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groove bar door that is opened without external pressing force about the hinge member or the like after the locking device of the groove bar door is rel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홈바도어에 대한 누름 조작만으로 상기 홈바도어가 회동 작동되면서 도어에 개구된 개구부의 개방을 이루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home bar for a refrigerator to achieve the opening of the opening opened in the door while the home bar door is rotated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on the home bar door. There is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바도어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홈바도어를 잠금 해제하여 개방하고, 상기 홈바도어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 기 홈바도어를 폐쇄된 상태로 잠그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groove bar door to the inside to unlock and open the groove bar door, and to press the inside of the groove bar door to the inside to lock the groove bar door in a closed state. The object is to provide a home ba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 해제된 홈바도어가 소정위치에서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 회동되면서 개방되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bar for a refrigerator in which the unlocked home bar door is opened while being rotated by a self loa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의 내부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홈바프레임과, 일단부는 상기 홈바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면서 열림/닫힘 동작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홈바도어와,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쇠부재와, 상기 홈바도어가 상기 홈바프레임에 닫혔을 때 상기 걸쇠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홈바도어 및 홈바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부재가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홈을 가지며, 상기 걸쇠부재가 상기 홈을 통해 삽입되면서 걸림상태로 되고, 상기 홈바도어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래치어셈블리와, 상기 홈바도어와 홈바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회전에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door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efrigerator, the home bar frame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opening, and one end is hinged to the home bar frame A groove bar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opening by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a clasp memb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ny one of the groove bar door and the groove bar frame, and the latch member when the groove bar door is closed to the groove bar frame.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groove bar door and the groove bar frame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e latch member has a groove for reciprocating movement, the latch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groove is in a locked state, applied to the home bar door The latch assembly is released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hinge connecting the groove bar door and the groove bar frame The damper membe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to provide a damping force to the rotation of the home bar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걸쇠부재는 상기 홈바도어의 타단부 내에 매몰 설치되고, 상기 래치어셈블리는 상기 걸쇠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홈바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member is buried in the other end of the groove bar door, and the latch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groove bar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 memb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홈바도어는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를 상기 홈바프레임으로 닫으면서 상기 걸쇠부재가 상기 래치어셈블리의 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에 걸려서 닫히고,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의 외표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bar door is closed by the latch assembly while the latch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atch assembly while the user closes the groove bar door to the groove bar frame, and the user closes the outer surface of the groove bar 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by pres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홈바도어의 내부에 홈바도어가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중을 증가시키는 무게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bar is installed inside the home bar door to increase the load so as to fall by its own load in a state in which the home bar doo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무게추는 상기 홈바도어의 내측면 형성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bar door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bar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무게추는 상기 홈바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외압 및 가열에 의해 변형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bar door to prevent deformation by the external pressure and heating of the groove bar door.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50)가 냉장고(10) 도어(20)에 형성된 개구부(30)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프레임(40)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50)에 걸쇠부재(70)와 댐퍼부재(80) 및 무게추(90)가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50)가 래치어셈블리의 작용으로 도어의 외측으로 가압되어 회동되고, 이렇게 소정폭 이동된 홈바도어가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되며, 홈바도어의 양측단에 형성된 댐퍼부재의 작용으로 상기 홈바도어의 낙하가 감속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1 shows that the
본 발명은 냉장고(10) 도어(20)에 형성된 개구부(30)에 홈바도어(50)가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본 발명은 상기 홈바도어(50)와 홈바프레임(40)이 걸쇠부재(70)와 래치어셈블리(60)에 의해 잠금/해제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홈바도어(50)가 댐퍼부재(80)의 회전축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홈바프레임(40)에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개구부(30)는 상기 냉장고(10) 저장실의 개방면을 덮어 막도록 형성된 도어(20)의 중앙부 등 일지점이 상기 냉장고(10) 저장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The
또, 상기 개구부(3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바스켓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형성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30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basket to facilitate storage and take-out of food contained in the baske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홈바프레임(40)은 상기 개구부(3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20)와 개구부(30)를 마감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홈바도어(50)가 설치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홈바도어(50)의 작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부(30)의 내주에 밀착되 는 틀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또, 상기 홈바프레임(40)은 상기 개구부(3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틀로 구성됨과 더불어, 그 전면에 상기 도어(20)의 전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외장재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양측 내면에는 후술하는 댐퍼부재(80)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개구된 힌지홀(82)이 형성된다.In addition,
상기 홈바도어(50)는 상기 개구부(30)의 전면을 덮어 막도록 상기 개구부(30)의 형상과 동일한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홈바프레임(40)에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된다.The
또, 상기 홈바도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51)와, 커버플레이트(52)와, 발포재(53) 및 무게추(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home bar door includes a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는 상기 홈바도어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홈바도어가 냉장고의 내부를 향하는 일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커버플레이트(52)와 접합되어 박스체 형상을 이루도록 그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상기 커버플레이트(52)는 상기 홈바도어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홈바도어가 냉장고의 외부를 향하는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와 접합되어 박스체를 이루도록 그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When the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와 커버플레이트(52)는 그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후술하는 발포재(53)가 충진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상기 발포재(53)는 상기 홈바도어를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51)와 커버플레이트(52)의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내부 구성품을 지지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홈바도어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하도록 형성되며, 통상 액체상태로 홈바도어에 주입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내부 형상에 따라 충진되고, 상기 홈바도어의 내부에서 경화되어 홈바도어의 내부와 일체화되도록 된 통상의 충진재로 구성된다.The
또, 상기 발포재는 상기 홈바도어의 베이스플레이트(51)와 커버플레이트(52) 등의 홈바도어(50) 구성품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50)의 일측에 개구된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어 충진된 후에 경화되어 상기 홈바도어(50)와 일체로 접착된다.In addition, the foaming material is injected and filled through an injection hole opened at one side of the
상기 무게추(9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홈바도어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3 to 5, the
또, 상기 무게추(90)는 상기 홈바도어(50)의 커버플레이트(52)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52)는 사각형 박스체 형상을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상기 무게추(9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무게추(90)는 상기 홈바도어(50)가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 회동되도록 상기 홈바도어(50)에 하중에 더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52)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무게추(90)는 상기 홈바도어(50)가 홈바프레임(40)에 폐쇄되어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각도에서 소정각도 회동되어 지면과 예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지면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상기 홈바도어(50)의 댐퍼부재(80)가 이루는 힌지축에서 먼 위치, 즉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게추(9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2)의 내측면 중앙에서 상단에 이르도록 확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무게추(9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2)의 내측면에 접착되거나, 스크루 등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버플레이트(52)의 내측면에서 상기 무게추(90)의 외곽부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재(53)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5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일단, 본 실시예에서는 홈바프레임(4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 래치홈(61)에 끼워져 결합된다.As shown in FIG. 4, the
여기서, 상기 래치홈(61)은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전면 상단에서 내측으로 박스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된다.Here, the
또 상기 래치홈(61)은 상기 래치어셈블리(60)와 걸쇠부재(7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측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홈바도어(50)에 래치어셈블리가(60)가 체결되도록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일단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후술하는 걸쇠부재(7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그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슬롯이 전면에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래치홈(6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The
또,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상기 슬롯으로 삽입된 걸쇠부재(70)를 회전되는 걸고리로써 걸어 고정하거나, 상기 회전되는 걸고리가 이탈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를 이탈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고리가 이탈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이 접하도록 된 걸고리의 타단 작용부가 상기 걸쇠부재의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부를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상기 슬롯으로 걸쇠부재(70)가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이 상기 걸고리의 작용부를 가압하여 상기 걸고리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의 개구에 걸고리가 끼워져 상기 걸쇠부재(70)를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서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쇠부재(70)가 재차 가압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이 상기 걸고리의 작용부를 눌러 상기 걸고리가 상기 걸쇠부재(70)의 개구에서 이탈되어 상기 걸쇠부재(70)가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래치홈(61)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 등의 충진재에 매몰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걸쇠부재(7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중앙에 개구된 슬롯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또, 상기 걸쇠부재(70)는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홈바도어(50)의 일측단에 조립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상단에 체결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걸쇠부재(70)의 체결은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상단에 개구된 걸쇠홈(71)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개구가 형성된 걸쇠부재(70)의 중앙부가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립된다.Here, the fastening of the
또, 상기 걸쇠부재(70)의 끝단에 상기 걸쇠홈(7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판이 구성되어 상기 걸쇠부재(70)가 상기 걸쇠홈(71)의 내측면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또한, 상기 걸쇠부재(70)는 그 중앙부가 상기 걸쇠홈(71)을 통해 홈바도어(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에 의해 상기 걸쇠부재의 끝단에 형성된 판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댐퍼부재(80)는 그 전면으로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내측부분이 탄성을 갖는 스프링 또는 유압을 갖는 오일 등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또, 상기 댐퍼부재(80)는 상기 도어(20)의 양측단에 체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바도어(50)가 그 하단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홈바도어(50)의 양측 하단에 매입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댐퍼부재(80)는 상기 홈바도어(50)의 양측 하단에 상기 회전축이 돌출되도록 나사 등을 매개로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홈바도어(50)에 충진되는 단열재 등의 충진재에 의해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에서 고정된다.In addition, the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장고용 홈바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home ba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냉장고의 홈바도어(50)를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51)의 상부에 걸쇠부재(70)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의 양측 하단부에 댐퍼부재(80)를 고정하며, 상기 커브플레이트(52)의 내측면 상부에 무게추(90)를 밀착시킨다.The
상기 걸쇠부재와 댐퍼부재 및 무게추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에 커버플레이트(52)를 접합시켜 상기 홈바도어(50)를 형성한다.The
여기서, 상기 걸쇠부재(70)와 댐퍼부재(8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버플레이트(52)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상기 홈바도어(5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50) 일측에 개구된 주입구를 통해 발포재(53)가 주입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내부에 발포재가 충진되고, 고형화되면서, 상기 걸쇠부재와 댐퍼부재(80) 및 무게추(90)가 홈바도어(50)의 내부에 고정된다.In the state where the
이때, 상기 발포재(53)는 고온 고압 또는 상온 고압으로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로 충진되어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을 가압 및 가열하고,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가열은 상기 무게추(9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홈바도어(50)의 변형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냉장고(10)의 홈바도어(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10)의 도어(20)에 설치된 홈바도어(5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홈바도어(50)를 개방하도록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바도어(50)를 잠그는 걸쇠부재(70)와 래치어셈블리(60)가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을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폭 가압한다.When opening the
상기 홈바도어(50)의 외측면 상단이 가압되면, 상기 홈바도어(50)의 하단에 설치된 댐퍼부재(80)의 회전축을 축으로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이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폭 삽입된다.When the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은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내측으로 함입되면서,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상단에 체결된 걸쇠부재(70)가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서 더 삽입된다.Here, the upper end of the
상기 걸쇠부재(70)가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서 더 삽입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이 래치어셈블리(60)의 걸고리 작용부를 가압하여 상기 걸고리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의 개구에서 이탈된다.As the
이때,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 형성된 걸고리의 작용부가 가압되어 상기 걸고리가 걸쇠부재(70)의 개구에서 이탈됨과 더불어, 상기 걸고리의 작용부가 탄력적으로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걸쇠부재(70)를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밀어낸다.At this time, the acting portion of the hook formed in the
상기 걸쇠부재(70)의 개구에서 래치어셈블리(60)의 걸고리가 이탈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는 이동이 자유롭게되고, 상기 걸고리 작용부의 탄발작동에 의해 상기 걸쇠부재(70)가 냉장고(10) 도어(20)의 외측으로 가압된다.As the latch of the
상기 걸쇠부재(70)가 도어(20)의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도어(50)가 댐퍼부재(80)의 회전축을 축으로 소정폭 외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홈바도어(50)가 소정폭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홈바도어(5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상기 홈바도어(50)의 기울어진 면이 지면방향으로 중력을 받게된다.As the
상기 홈바도어(50)의 기울어진 면에 중력이 작용함과 더불어, 상기 댐퍼부재(80)의 회전축의 감쇠력 및 마찰력 등에 의해 상기 홈바도어(50)는 소정폭 회동된 상태에서 정지되려고 한다.Gravity act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에 설치된 무게추(90)에 상기 중력이 작용되면서 상기 무게추(90)는 상기 댐퍼부재(80)의 감쇠력 및 마찰력 보다 큰 중력에 의해 낙하되므로, 상기 홈바도어(50)는 소정폭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90)에 작용되는 중력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낙하 회동된다.At this time, the gravity weight is applied to the
이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50)는 사용자의 잠금 해제 조작만으로 상기 개구부(30) 및 홈바프레임(40)에서 소정폭 회동된 후에 상기 홈바도어(50)의 내부에 삽입된 무게추(90)에 작용되는 중력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낙하되면서 회동된다.Accordingly, the
또, 상기 홈바도어(50)가 상기 무게추(90)에 의해 소정각도 낙하 회동된 후에 상기 댐퍼부재(80)의 오일 및 스프링 등의 감쇠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중지되거나 감쇠되면서 개방된다.In addition, after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게추(90)는 홈바도어(50)의 커버플레이트(52)에 밀착 된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홈바도어(50)의 베이스플레이트(51)에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홈바도어(50)의 상측 내부 전체에 충진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홈바도어가 사용자의 누름 조작만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개/폐조작이 용이하게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bar door formed in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and closed only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home bar door is easy and thus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홈바도어가 자체 하중에 의해 자유 낙하되면서 개방되도록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홈바도어의 활용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ome bar door formed in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while falling freely by its own loa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home bar doo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9423A KR100673775B1 (en) | 2005-04-08 | 2005-04-08 | Refrigerator Home 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9423A KR100673775B1 (en) | 2005-04-08 | 2005-04-08 | Refrigerator Home B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6342A KR20060106342A (en) | 2006-10-12 |
KR100673775B1 true KR100673775B1 (en) | 2007-01-24 |
Family
ID=3762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94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3775B1 (en) | 2005-04-08 | 2005-04-08 | Refrigerator Home 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37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7639B1 (en) * | 2008-10-21 | 2015-07-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Home door of refrigerator |
EP3521736B1 (en) | 2011-08-05 | 2020-09-09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
KR101996813B1 (en) * | 2017-11-16 | 2019-07-08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 for refrigerator |
CN111202484B (en) * | 2020-03-11 | 2021-10-26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4914A (en) * | 2000-08-26 | 2003-03-26 |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카게 | Bicyclic heterocycles, medicame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their use,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
KR20040046467A (en) * | 2002-11-27 | 2004-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
2005
- 2005-04-08 KR KR1020050029423A patent/KR1006737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4914A (en) * | 2000-08-26 | 2003-03-26 |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카게 | Bicyclic heterocycles, medicame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their use,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
KR20040046467A (en) * | 2002-11-27 | 2004-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40046467 |
200324914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6342A (en) | 2006-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106338A (en) | Refrigerator with Home Bar Door | |
US9759477B2 (en) | Refrigerator | |
US8408664B2 (en) | Damper embedded in a home bar door of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20080038631A (en) | Damping structure of the door for refrigerator | |
KR20130053318A (en) | A latch device of sheet metal material and a refrigerator thereof | |
KR100673775B1 (en) | Refrigerator Home Bar | |
KR20080047148A (en) | Refrigerator home bar | |
KR20090133007A (en) | Home bar of refrigerator | |
KR100764282B1 (en) | Refrigerator Home Bar | |
KR100746421B1 (en) | Refrigerator home bar do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673779B1 (en) | Refrigerator with Home Bar Door | |
KR100746420B1 (en) | Hinge member of refrigerator home bar | |
KR101828395B1 (en) | Icebox with one-touch handle | |
KR100673781B1 (en) | Assembly structure of home bar door for refrigerator | |
KR100673783B1 (en) | Shaft groove reinforcement structure of home bar for refrigerator | |
KR20060100152A (en) | Refrigerator Home Bar Door | |
KR20060111002A (en) | Refrigerator Home Bar | |
KR20060100149A (en) | Refrigerator with Home Bar Door | |
KR100756701B1 (en) | Refrigerator Home Bar | |
CN101071028A (en) | Refrigerator drink cabinet door | |
CN216114951U (en) | door assembly for refrigerator | |
KR20060106337A (en) | Refrigerator Home Bar Door | |
KR20060128422A (en) | French Door Refrigerator | |
KR20060120801A (en) | Refrigerator Home Bar | |
KR100549070B1 (en) | St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