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71544B1 - 줌렌즈 광학계 - Google Patents

줌렌즈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544B1
KR100671544B1 KR1020050049653A KR20050049653A KR100671544B1 KR 100671544 B1 KR100671544 B1 KR 100671544B1 KR 1020050049653 A KR1020050049653 A KR 1020050049653A KR 20050049653 A KR20050049653 A KR 20050049653A KR 100671544 B1 KR100671544 B1 KR 10067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focal length
optical system
lens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311A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544B1/ko
Priority to US11/403,882 priority patent/US7483210B2/en
Priority to JP2006115772A priority patent/JP2006343724A/ja
Priority to CNB2006100935921A priority patent/CN100489592C/zh
Publication of KR2006012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광학계는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각으로 수렴하는 제 1 렌즈유닛과, 제 1 렌즈유닛과 동일 광축상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상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2 렌즈유닛과, 제 2 렌즈유닛에 의해 가변된 상을 전달하는 제 3 렌즈유닛 및 제 3 렌즈유닛을 통과한 상을 포커싱하는 제 4 렌즈유닛을 포함하며, 제 3 렌즈유닛은, 음(-)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1 보정렌즈 유닛 및 제 1 보정렌즈 유닛의 광경로상 뒷편에 배치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2 보정렌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줌렌즈, 수차보정, 손떨림보정, 파우어배치, 광학계

Description

줌렌즈 광학계{Zoom lens optical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3CCD 줌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CCD 줌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제 3 렌즈유닛의 보정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3CCD 줌렌즈 광학계에 의하여 손떨림 보정이 되기 전후의 자오선 방향에서의 구면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3CCD 줌렌즈 광학계에 의하여 손떨림 보정이 되기 전후의 색상분포에 따른 수차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 1 렌즈유닛 120; 제 2 렌즈유닛
130; 제 3 렌즈유닛 131; 제 1 보정렌즈 유닛
132; 제 2 보정렌즈 유닛 140; 제 4 렌즈유닛
150; OLPF 160; 프리즘 조립체
170; CCD 조립체
본 발명은 줌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줌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에 구비되는 줌렌즈는 우수한 광학성능, 대구경, 고변배비를 가지면서 소형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형태의 줌렌즈는 포커스 조절을 위해 다수의 렌즈유닛이 정해진 궤적을 따라 동시에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는데, 촬영시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촬영을 하더라도 손떨림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사용자의 손떨림을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보정해주는 기술이 속속 채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카메라가 소형, 경량화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이전에 비해 손떨림이 더 심해지고 이동중의 촬영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떨림에 관한 문제의 해결이 깨끗한 영상을 얻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손떨림 보정의 원리는 손떨림에 의해 결상되는 화상의 이동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이동량만큼 화면의 움직임을 역으로 이동시켜 화면이 정지해 있는 것 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은 크게 전자식과 광학식 두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식 손떨림 보정은 CCD 구동제어방식과, 필드메모리 진동제어방식으로 구현되며, 광학식 손떨림 보정은 가변정각(可變頂角) 프리즘을 이용하는 방식과 렌즈 의 일부를 움직여서 보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하지만, 전자식 손떨림 보정의 경우에는 CCD 화소의 전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0~30% 정도의 화질열화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화질열화의 우려가 없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이 더 바람직하다.
도 1은 이와 같이 광학식 손떨림 보정을 구현할 수 있는 줌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은 3CCD 줌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으로, 제 1 렌즈유닛(10), 제 2 렌즈유닛(20), 제 3 렌즈유닛(30), 제 4 렌즈유닛(40), OLPF(Optical Low Pass Filter, 50), 프리즘 조립체(60) 및 CCD 조립체(70)를 포함한다.
제 1 렌즈유닛(10)은 볼록렌즈 2매와 오목렌즈 1매를 구비하며, 입사광을 소정의 각으로 수렴하도록 양(+)의 파우어를 가진다.
제 2 렌즈유닛(20)은 제 1 렌즈유닛(10)과 동일 광축상에 입사되는 상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광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 2 렌즈유닛(20)은 볼록렌즈 1매와 오목렌즈 2매를 포함하여 양(+)의 파우어를 가진다.
제 3 렌즈유닛(30)은 제 2 렌즈유닛(20)에 의해 가변된 상을 제 4 렌즈유닛(4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1매의 볼록렌즈로 구비된다.
제 4 렌즈유닛(40)은 제 3 렌즈유닛(30)을 통과한 상을 보정하도록 볼록렌즈 1매와 오목렌즈 1매를 포함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진다. 제 4 렌즈유닛(40)은 광축을 따라 움직이면서 변배작용에 따른 상점이동보정과 물체거리 변화에 따른 포커싱 작용을 한다.
OLPF(50)는 상기한 렌즈유닛(10,20,30,40)들을 통과하여 CCD 조립체(70)에 결상되는 빛이 핫픽셀을 형성하지 않도록, 유입된 빛의 파장을 일정 대역 미만으로 필터링한다.
프리즘 조립체(60)는 필터링된 빛을 색상별로 분해하여, 분해된 색상의 빛을CCD 조립체(70)의 각 색상별 CCD로 전달한다.
CCD 조립체(70)는 프리즘 조립체(60)를 통과하면서 색상별로 분해된 빛을 색상별로 결상할 수 있도록 R,G,B 컬러별로 1개의 CCD가 구비되는 3CCD 방식이다.
한편, 제 3 렌즈유닛(30)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광축에 대하여 상하 이동한다. 즉, 정지상태에서의 화상이 결상되는 위치를 A라고 한다면, 촬영중에 상이 흔들려 결상되는 위치가 B로 변경될 경우, 제 3 렌즈유닛(30)은 변경된 거리(A-B)만큼 제 3 렌즈유닛(30)을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상위치가 다시 A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제 3 렌즈유닛(30)을 단매의 렌즈만으로 구성할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떨림 보정시의 수차변동이 크고, 특히 색수차보정 및 OIS(Optical Image Stablizer)적용시 고해상도를 얻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떨림 보정시의 수차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색수차보정 및 OIS적용시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줌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광학계는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각으로 수렴하는 제 1 렌즈유닛과, 상기 제 1 렌즈유닛과 동일 광축상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상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2 렌즈유닛과, 상기 제 2 렌즈유닛에 의해 가변된 상을 전달하는 제 3 렌즈유닛 및 상기 제 3 렌즈유닛을 통과한 상을 포커싱하는 제 4 렌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렌즈유닛은, 음(-)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1 보정렌즈 유닛과 상기 제 1 보정렌즈 유닛의 광경로상 뒷편에 배치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2 보정렌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보정렌즈 유닛은 2개의 렌즈가 소정 초점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 2 보정렌즈 유닛은 2개의 렌즈가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정렌즈 유닛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보정렌즈 유닛의 초점거리를 ff(G7,G8), 상기 제 2 보정렌즈 유닛의 초점거리를 fr(G9,G10)이라고 할때, |ff/fr|<1.9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줌렌즈 광학계는 광각단의 초점거리을 fw, 망원단의 초점거리를 ft, 광각단의 후초점거리를 bflw, 망원단의 후초점거리를 bflt라 할 때, bflw/fw>3.7 및 bflt/ft>0.2의 조건을 만족하며, 상기 제 1 렌즈유닛으로부 터 상기 제 3 렌즈유닛까지의 전체 광각단의 초점거리를 fmw, 전체 망원단의 초점거리를 fmt라고 할 때, 0 < fm/fam <0.2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 때,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1
이고,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2
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식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경우 발생되는 화질열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렌즈유닛을 4매의 작은 렌즈경을 가지는 렌즈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음(-)의 파우어와 양(+)의 파우어를 가지도록 배열하였기 때문에,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 3 렌즈유닛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렌즈 이동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광학계는 제 1 렌즈유닛(110), 제 2 렌즈유닛(120), 제 3 렌즈유닛(130), 제 4 렌즈유닛(140), OLPF(Optical Low Pass Filter, 150), 프리즘 조립체(160) 및 CCD 조립체(170)를 포함한다.
제 1 렌즈유닛(110)은 볼록렌즈 2매(G2,G3)와 오목렌즈 1매(G1)를 구비하며, 입사광을 소정의 각으로 수렴하도록 양(+)의 파우어를 가진다.
제 2 렌즈유닛(120)은 제 1 렌즈유닛(110)과 동일 광축상에 입사되는 상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광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 2 렌즈유닛(120)은 볼록렌즈 1매(G6)와 오목렌즈 2매(G4,G5)를 포함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진다.
제 3 렌즈유닛(130)은 제 2 렌즈유닛(120)에 의해 가변된 상을 제 4 렌즈유닛(14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제 2 렌즈유닛(120)과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며, 전면에는 조리개(I)가 설치된다. 상기 제 3 렌즈유닛(130)은, 음(-)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1 보정렌즈 유닛(131) 및 상기 제 1 보정렌즈 유닛(131)의 광경로상 뒷편에 배치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을 포함한다. 이 때,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은 손떨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도 3b와 같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때, 움직이는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의 렌즈경은 작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1 보정렌즈 유닛(131)은 볼록렌즈(G7)와 오목렌즈(G8)를 각각 1매씩, 총 2매의 렌즈로 구성하고,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2 보정렌즈 유닛(132)는 볼록렌즈(G9)와, 오목렌즈(G10)를 각각 1매씩, 총 2매의 렌즈를 접합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보정렌즈 유닛(131)(132)의 광학적인 특성은 아래와 같다.
즉, 상기 제 1 보정렌즈 유닛(131)의 초점거리를 ff(G7,G8), 상기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의 초점거리를 fr(G9,G10)이라고 할때, |ff/fr|<1.9 의 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 3 렌즈유닛(130)의 렌즈 데이터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1에서의 수치는 순서대로 면의 순서, 면의 곡률반경(Radius),다음 면까지의 중심간격(D), 면의 오른쪽에 위치한 매질의 굴절율(Index)와 분산을 나타낸다.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3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4
비구면식Xa=CY2/(1+(1-(K+1)C2Y2)1/2)+AY4+BY6+CY8+DY10
Surf 8 비구면 계수
K:-2.060369
A:-.987313E-03 B:0.298559E-05 C:-.470051E-05 D:0.108446E-06
Surf 12 비구면 계수
K:0
A:-.928830E-04 B:0.195716E-04 C:0, D:0
Surf 13 비구면 계수
K=0
A:0.199317E-03 B:0.249446E-04 C:0 D:0
Surf 22 비구면 계수
K=0
A:-.195462E-03 B:-.146425E-04 C:0 D:0
Surf 23 비구면 계수
K=0
A:0.450217E-03 B:-.138232E-04 C:0 D:0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렌즈유닛(130)에 구비된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액츄에이터의 동력에 의하여,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한다.
제 4 렌즈유닛(140)은 제 3 렌즈유닛(130)을 통과한 상을 보정하도록 볼록렌즈 1매(G12)와와 오목렌즈 1매(G11)를 포함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진다. 제 4 렌즈유닛(140)은 광축을 따라 움직이면서 변배작용에 따른 상점이동보정과 물체거리 변화에 따른 포커싱 작용을 한다.
OLPF(150)는 상기한 렌즈유닛(110,120,130,140)들을 통과하여 CCD조립체(170)에 결상되는 빛이 핫픽셀을 형성하지 않도록, 유입된 빛의 파장을 일정 대역 미만으로 필터링한다.
프리즘 조립체(160)는 필터링된 빛을 색상별로 분해하여, 분해된 색상의 빛을CCD 조립체(170)의 각 색상별 CCD로 전달한다.
CCD 조립체(170)는 프리즘 조립체(160)를 통과하면서 색상별로 분해된 빛을 색상별로 결상할 수 있도록 R,G,B 컬러별로 1개의 CCD가 구비되는 3CCD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광학계는 광각단의 초점거리를 fw, 망원단의 초점거리를 ft, 광각단의 후초점거리를 bflw, 망원단의 후초점거리를 bflt라 할 때, bflw/fw>3.7 및 bflt/ft>0.2의 조건을 만족하며, 상기 제 1 렌즈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3 렌즈유닛까지의 전체 광각단의 초점거리를 fmw, 전체 망원단의 초점거리를 fmt라고 할 때, 0 < fm/fam <0.2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 때,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5
이고,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6
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광학계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광학계가 구비된 캠코더 또는 스틸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사용시 필연적으로 손떨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이 발생된다. 이러한 화상의 변화를 자동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제어부는 손떨림에 의해 CCD 조립체(170)에 결상되는 상의 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의 이동량 만큼 상의 결상위치를 상하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보정동작은 제 3 렌즈유닛(130)에 마련된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2매 렌즈가 접합된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 3 렌즈유닛(130)을 음(-)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1 보정렌즈 유닛(131)과,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으로 분해해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면, 손떨림보정시의 렌즈 이동량을 최소화 하면서 수차의 변화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도 4a는 손떨림이 없는 고정된 상태에서의 자오선 방향에서의 구면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즉, 0.0 상면, 0.5 상면, 0.7 상면, 1.0 상면에서의 구결선방향에서의 파장이 0.4861㎛인 광에 대한 구면수차(a)와, 파장이 0.5876㎛인 광에 대한 구면수차(b) 및 파장이 0.6563㎛인 광에 대한 구면수차(c)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제 3 렌즈유닛(130)의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이 광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적용한 후의 각각의 파장에 대한 구면수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의 그래프와 같이, 손떨림 보정후에도 보정전과 거의 차이가 없는 자오선 방향에서의 구면수차가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손떨림 보정에 의해 고정된 상태와 유사한 상태로 상이 결상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5a는 손떨림이 없는 고정된 상태에서의 색상분포에 따른 수차특성이고, 도 5b는 제 3 렌즈유닛(130)의 제 2 보정렌즈 유닛(132)이 광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적용한 후의 색상분포에 따른 수차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 및 도 5b는 그래프의 수치와 양상이 거의 차이가 없으며, 이는 손떨림 보정에 의해 CCD 조립체(170)에 결상되는 상의 색상분포에 따른 수차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손떨림 현상이 적절하게 보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제 3 렌즈유닛이 음(-)의 파우어와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복수매의 렌즈군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떨림 보정시의 수차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색수차보정 및 OIS적용시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떨림 보정시의 수차변동이 최소화 되기 때문에, 제 3 렌즈유닛의 이동거리가 짧아 렌즈 이동시의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응답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각으로 수렴하는 제 1 렌즈유닛과, 상기 제 1 렌즈유닛과 동일 광축상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상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2 렌즈유닛과, 상기 제 2 렌즈유닛에 의해 가변된 상을 전달하는 제 3 렌즈유닛 및 상기 제 3 렌즈유닛을 통과한 상을 포커싱하는 제 4 렌즈유닛을 포함하는 줌렌즈 광학계에 있어서,
    상기 제 3 렌즈유닛은,
    음(-)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1 보정렌즈유닛; 및
    상기 제 1 보정렌즈유닛의 광경로상 뒷편에 배치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지는 제 2 보정렌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보정렌즈유닛의 초점거리를 ff(G7,G8), 상기 제 2 보정렌즈유닛의 초점거리를 fr(G9,G10)이라고 할때, |ff/fr|<1.9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광학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정렌즈 유닛은 2개의 렌즈가 소정 초점거리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광학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정렌즈 유닛은 2개의 렌즈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광학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정렌즈 유닛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광학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광각단의 초점거리를 fw, 망원단의 초점거리를 ft, 광각단의 후초점거리를 bflw, 망원단의 후초점거리를 bflt라 할 때, bflw/fw>3.7 및 bflt/ft>0.2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광학계.
  7. 제 1 항에 있어서,
    광각단의 초점거리를 fw, 망원단의 초점거리를 ft, 상기 제 1 렌즈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3 렌즈유닛까지의 전체 광각단의 초점거리를 fmw, 전체 망원단의 초점거리를 fmt라고 할 때, 0 < fm/fam < 0.2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광학계.
    단,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7
    이고,
    Figure 112005030696115-pat00008
KR1020050049653A 2005-06-10 2005-06-10 줌렌즈 광학계 KR10067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653A KR100671544B1 (ko) 2005-06-10 2005-06-10 줌렌즈 광학계
US11/403,882 US7483210B2 (en) 2005-06-10 2006-04-14 Zoom lens optical system
JP2006115772A JP2006343724A (ja) 2005-06-10 2006-04-19 ズームレンズ光学系
CNB2006100935921A CN100489592C (zh) 2005-06-10 2006-06-06 变焦透镜光学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653A KR100671544B1 (ko) 2005-06-10 2005-06-10 줌렌즈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311A KR20060128311A (ko) 2006-12-14
KR100671544B1 true KR100671544B1 (ko) 2007-01-19

Family

ID=3750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653A KR100671544B1 (ko) 2005-06-10 2005-06-10 줌렌즈 광학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83210B2 (ko)
JP (1) JP2006343724A (ko)
KR (1) KR100671544B1 (ko)
CN (1) CN10048959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28B1 (ko) 2008-08-06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망원 줌 렌즈
KR101499555B1 (ko) * 2009-03-19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2247B2 (ja) * 2007-08-31 2013-03-27 株式会社シグマ ズームレンズ
JP2012133185A (ja) * 2010-12-22 2012-07-12 Olympus Corp 撮像装置
JP6797774B2 (ja) * 2017-09-25 2020-1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08873276B (zh) * 2018-09-04 2023-10-24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高清透雾宽波段可见光摄像机镜头及成像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037A (ja) * 2001-02-19 2002-08-28 Canon Inc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2365540A (ja) * 2001-06-05 2002-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振れ補正機能搭載ズームレンズと手振れ補正機能搭載ビデオカメラ及び光学機器と光学装置
JP2003207715A (ja) * 2002-01-15 2003-07-25 Canon Inc 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4258509A (ja) * 2003-02-27 2004-09-16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
JP2005128186A (ja) * 2003-10-22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ズームレンズ、並びに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6779A (en) * 1994-03-15 1997-07-08 Nikon Corporation Optical system capable of correcting image position
JPH09218346A (ja) 1996-02-08 1997-08-19 Minolta Co Ltd 光学系
JPH1152242A (ja) 1997-08-07 1999-02-26 Minolta Co Ltd 手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ズームレンズ
JPH11237551A (ja) 1997-12-18 1999-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4242944B2 (ja) 1998-06-01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こ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2001116996A (ja) 1999-10-15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4109854B2 (ja) 2001-10-31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4226854B2 (ja) 2002-07-25 2009-02-18 株式会社シグマ 防振機能を有したリアフォーカス方式のズームレン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037A (ja) * 2001-02-19 2002-08-28 Canon Inc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2365540A (ja) * 2001-06-05 2002-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振れ補正機能搭載ズームレンズと手振れ補正機能搭載ビデオカメラ及び光学機器と光学装置
JP2003207715A (ja) * 2002-01-15 2003-07-25 Canon Inc 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4258509A (ja) * 2003-02-27 2004-09-16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
JP2005128186A (ja) * 2003-10-22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ズームレンズ、並びに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28B1 (ko) 2008-08-06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망원 줌 렌즈
KR101499555B1 (ko) * 2009-03-19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9592C (zh) 2009-05-20
CN1877388A (zh) 2006-12-13
US7483210B2 (en) 2009-01-27
KR20060128311A (ko) 2006-12-14
JP2006343724A (ja) 2006-12-21
US20060279852A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990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532916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1242378A (ja) 3群ズームレンズ
US8520317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4510178B2 (ja) ズームレンズ
JP2000284177A (ja) 3群ズームレンズ
JP2001116993A (ja) ズームレンズ
JPH1062686A (ja) インナーフォーカシングタイプのズームレンズ
CN101271248A (zh) 电子图像拾取装置
JP2001021804A (ja) ズームレンズ
JP2003287677A (ja) 広角ズームレンズ
JP2004212616A (ja) 可変焦点距離レンズ系
JP2004252196A (ja) 像シフト可能なズームレンズ
JP2006133370A (ja) 防振機能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
US7483210B2 (en) Zoom lens optical system
JP3826061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4789530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3619153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4242944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こ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KR100509374B1 (ko) 줌 렌즈
JP2007171248A (ja) ズームレンズ系及びズームレンズ系を備える撮像装置
JPH11101941A (ja) リヤーフォーカス式のズームレンズ
JP4194876B2 (ja) ズームレンズ
JP4672860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3950860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