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79235B1 -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235B1
KR100679235B1 KR1020060014894A KR20060014894A KR100679235B1 KR 100679235 B1 KR100679235 B1 KR 100679235B1 KR 1020060014894 A KR1020060014894 A KR 1020060014894A KR 20060014894 A KR20060014894 A KR 20060014894A KR 100679235 B1 KR100679235 B1 KR 10067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 layer
layer
upper clad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오대곤
양계모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23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n-형으로 도핑된 제1 분산 브래그 반사경(Distributed Brag Reflector: DB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DBR상에 하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클래드층 상에 발광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활성층 상에 제1 성장 온도 범위에서 제1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온도 범위보다 낮은 제2 성장 온도 범위에서 제2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상에서 델타 도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클래드층의 일정 두께를 낮은 성장온도에서 에피 성장하고, 성장온도를 올려 클래드층의 나머지를 에피 성장하여 줌으로써 발광소자의 효율을 높이고 온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RCLED, 델타도핑(delta doping),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Optical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AlInP/AlGaInP/InGaP RCLED의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lInP/AlGaInP/InGaP RCLED의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의 캐비티(Ⅳ)영역을 확대한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200 : RCLED 110, 210 : 기판
120, 220 : 제1 분산 브래그 반사경 130, 230 : 하부 클래드층
140, 240 : 발광 활성층 150, 250 : 상부 클래드층
160, 260 : 제2 분산 브래그 반사경 170, 270 : 제1 전극
180, 280 : 제2 전극 141, 241 : 제1 장벽층
142, 242 : 제1 양자우물층 143, 243 : 제2 장벽층
144, 244 : 제2 양자우물층 145, 245 : 제3 장벽층
146, 246 : 제3 양자우물층 147, 247 : 제4 장벽층
251 : 상부 제1 클래드층 252 : 상부 제2 클래드층
253 : 상부 제3 클래드층 255 : 델타 도핑층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클래드층 중 일부를 낮은 온도에서 형성하고, 그 표면에 도펀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도핑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광섬유(Plastic Optical Fiber :POF) 통신에 이용되는 650nm 대역의 광통신용 광원으로는 수직공진 표면발광 레이저, 측면 발광 레이저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가 있다. 반도체 레이저와 비교할 때 통신용 LED는 출력 선형성이 좋고, 반사광에 의한 잡음 증대가 없으며, 긴 수명, 높은 신뢰성, 저렴한 가격 등의 이점이 있지만, 광 출력이 작고, 응답속도가 느리며, 광의 방사각이 커서 광섬유와의 결합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OF 시스템에 이용되는 광송신 부품으로 반도체 레이저와 발광 다이오드의 단점이 보완이 된 650nm 대역의 공진 발광 다이오드(Resonant Cavity Light Emitting Diode :RCLED)가 각광을 받고 있다.
RCLED는 일반적인 발광다이오드 구조에 캐비티(cavity) 영역을 마련하여 주고, 수직 공진 표면 발광 레이저 다이오드(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Diode)와 마찬가지로 캐비티의 양쪽에 거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분산 브래그 반사경(DBR :Distributed Brag Reflector)을 형성한다. 수직 공진 표면 발광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와의 차이점은 수직 공진 표면 발광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에는 활성층에서 만들어진 광자가 DBR을 거치며 레이징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이득(gain)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DBR과 제2 DBR의 반사율을 99.5 %이상으로 제작하는데 반하여, RCLED의 경우에는 제작 목적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한쪽 DBR의 반사율은 95% 정도로 제작하고, 나머지 한쪽 DBR의 반사율은 이보다 작은 10% ~ 50% 정도의 반사율을 갖도록 하여 제작한다. 또한, DBR에 사용된 한 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발광파장의 1/4이 되도록 하여 제작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RCLED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AlInP/AlGaInP/InGaP 에피 구조를 갖는 RCLED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lInP/AlGaInP/InGaP RCLED(100)는 n-형의 GaAs기판(110)과, 기판(110)상에 n-형으로 도핑된 AlxGa1-xAs/AlyGa1-yAs로 구성된 제1 DBR(120)과, 제1 DBR(120)상에 형성된 하부 클래드층(130)과, 하부 클래드층(130)상에 형성되는 발광 활성층(140)과, 발광 활성층(140)상에 형성되는 상부 클래드층(150)과, 상부 클래드층(150) 상에 형성되는 제2 DBR(160)을 포함한다. 기판(110)의 하부와 제2 DBR(160)의 상부에는 각각 전극(170,180)이 형성된다.
통상 상부 및 하부 클래드층(130, 150) 및 발광 활성층(140)을 포함하여 캐비티(cavity)영역이라 한다. 캐비티 영역은 반(half) 파장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다. 클래드층(130, 150)은 Al(Ga)InP로 이루어지며, 발광 활성층(140)은 양자우물층(142, 144, 146)과 장벽층(141, 143, 145, 147)을 포함한다. 제2 DBR(160)은 p-형으로 도핑된 AlxGa1-xAs/AlyGa1-yAs로 구성된다. 도 1에서 제1 DBR(120)과 제2 DBR(160)에 사용된 AlxGa1-xAs/AlyGa1-yAs의 쌍의 개수와 각 층의 조성은 RCLED의 용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구성요소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BR에 사용된 물질의 밴드갭은 활성층에서 만들어진 발광파장을 흡수할 수 없도록 발광파장보다 더 큰 밴드갭을 갖는 Al0.45Ga0.55As보다 Al의 조성이 큰 물질을 사용한다. 만일 Al0.95Ga0.05As/Al0.5Ga0.5As을 이용하여 DBR을 구성하고 빛을 표면쪽으로 나오게 할 경우 제1 DBR의 경우는 높은 반사율을 갖도록 하기 위해 AlxGa1-xAs/AlyGa1-yAs을 대략 30 ~ 40 쌍으로 제2 DBR의 경우는 5 ~ 10 쌍을 적층하여 주면, 발광되는 빛이 기판의 반대방향인 표면쪽으로 나올 수 있다. AlGaInP계의 화합물 반도체는 대략 (AlxGa1-x)0.51In0.49P로 조성을 조절하여 주면 GaAs기판에 격자 정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650nm 파장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양자우물층과 장벽층의 화합물 조성과 박막두께는 양자우물층(142, 144, 146)의 경우 In0.49Ga0.51P를 8nm, 장벽층(141, 143, 145, 147)의 경우 (Al0.5Ga0.5)0.51In0.49P를 (9nm)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클래드층(150)은 장벽층(141, 143, 145, 147)보다 더 큰 밴드갭 을 갖도록 하기 위해 장벽층보다 더 큰 알루미늄(Al) 조성을 갖는 물질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 예에서는 AlInP를 클래드층으로 형성하였다. 이때 활성층(140)과 클래드층(130, 150)을 포함한 캐비티의 두께를 한 파장이 되게 에피 성장할 경우 AlInP의 두께는 대략 56nm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된 RCLED 구조의 경우에는, 운반자인 전자가 활성층인 양자 우물층에 구속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전도대의 밴드오프셋(band-offset)이 더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양자우물층에 구속되지 않고 p-형으로 도핑된 제2 DBR 방향으로 운반자 누설이 많아지게 되어 RCLED가 고온에서 광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RCLED를 구현할 때, 에피 성장이 용이하지 않고, 고온 구동이 제한적이라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vilokinen et al.의 Materials Seience and Engineering, B74 165(2000)에 개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기술적 한계의 근본적인 이유는 650nm RCLED의 활성층 물질로 사용되는 InGaP와 AlGaInP의 이종접합에 있어서 전도대(conduction band)의 밴드오프셋이 가전자대(valence band)의 밴드오프셋에 비해 작고, 전자의 유효질량(effective mass)이 작아서 그 이동이 손쉬운 반면에 상대적으로 정공의 유효질량이 매우 커서 그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운반자들의 거동이 온도에 대해 심하게 영향을 받게 되고 활성층에서의 운반자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며 이로 말미암아 전체적인 광소자의 특성이 열화(degradation) 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전 변환 효율이 우수하고 광특성에 대해 온도영향이 적은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델타 도핑을 이용하여 전위장벽을 형성하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운반자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n-형으로 도핑된 제1 분산 브래그 반사경(Distributed Brag Reflector: DB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DBR상에 하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클래드층 상에 발광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활성층 상에 제1 성장온도 범위에서 제1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성장온도 범위보다 낮은 제2 성장 온도 범위에서 제2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상에서 델타 도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델타 도핑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상에 상기 제2 성장온도 범위에서 제3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델타도핑 단계에서는 p-형 도펀트를 이용하여 도핑하며, 상기 p-형도펀트는 Zn, Mg, Be, C 등을 이용한다.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 및 상기 제3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는 상기 성장 온도 범위 또는 상기 도펀트에 따른 확산 거리 또는 상기 성장온도범위와 상기 도펀트에 따른 확산 거리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는 10 ~ 50nm 두께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3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 두께범위에서 선택되며,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와 같거나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 및 상기 제3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시키는 상기 제2 성장 온도 범위는 상기 제1 성장 온도범위보다 50 ~ 100℃ 범위만큼 낮은 온도범위이다. 상기 기판은 GaAs, Si, ZnO, Ge 또는 InP로 이루어진다.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 DBR; 상기 제1 DBR상에 형성되는 하부 클래드층; 상기 하부 클래드층상에 형성되는 발광 활성층; 상기 발광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제1 상부 클래드층; 상기 제1 상부 클래드층상에 형성되는 제2 상부 클래드층;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상에 형성되는 델타 도핑층; 및 상기 델타 도핑층상에 형성되는 제3 상부 클래드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델타도핑층은 p-형 도펀트를 이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lInP/AlGaInP/InGaP RCLED의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 는 고온에서 높은 광특성을 갖도록 제안하고 있는 RCLED의 단면도로 캐비티 영역의 에피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lInP/AlGaInP/InGaP RCLED(200)는 기판(210), 제1 분산 브래그 반사경층(220), 하부 클래드층(230), 발광 활성층(240), 상부 클래드층(250), 제2 분산 브래그 반사경층(260), 제1 및 제2 전극(270, 28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CLED(2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판(210)을 준비한다(S301). 기판(210)은 GaAs, Si, ZnO, Ge, 또는 InP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n-형의 GaAs기판을 이용한다. 그 다음, 기판(210)상에는 제1 분산 브래그 반사경층(DBR: distributed brag reflector)(220)이 형성된다(S302). 제1 DBR(220)은 n-형으로 도핑된 AlxGa1-xAs/AlyGa1-yAs로 구성된다.
제1 DBR(220)상에는 하부 클래드층(230)이 형성되며(S303), 하부 클래드층(130)상에는 발광 활성층(240)이 형성된다(S304). 발광 활성층(240)은 양자우물층(242, 244, 246)과 장벽층(241, 243, 245, 247)을 포함한다. 발광 활성층(240)상에는 상부 클래드층(250)이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클래드층(250)은 제1 상부 클래드층(미도시), 제2 상부 클래드층(미도시), 및 제3 상부 클래드층(미도시)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S305, S306, S308). 여기에서, 제2 상부 클래드층과 제3 상부 클래드층 사이에는 도핑된 델타 도핑층(미도시)이 형성된다(S307). 상부 클래드층(250) 상에는 제2 분산 브래그 반사경층(DBR: distributed brag reflector)(260)이 형성되며(S309), 제2 DBR(260)은 p-형으로 도핑된 AlxGa1- xAs/AlyGa1-yAs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 및 상부 클래드층(230, 250)은 Al(Ga)InP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기판(210)의 하면에는 제1 전극(270)이 형성되고, 제2 DBR(260)상에는 제2 전극(280)이 형성된다. 제1 전극(270)은 기판(210)상에 다른 층들을 모두 형성한 마지막 단계에 형성하거나 기판(210)을 준비한 다음 단계에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클래드층(230, 250) 및 발광 활성층(240)을 포함하는 영역을 캐비티(cavity) 영역(Ⅳ)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캐비티 영역(Ⅳ)은 반(half) 파장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도 2에서 제1 DBR(220)과 제2 DBR(260)에 사용된 AlxGa1-xAs/AlyGa1-yAs의 쌍의 개수와 각 층의 조성은 RCLED의 용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캐비티(Ⅳ)영역을 확대한 확대 측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캐비티 영역(Ⅳ)의 에피구조는 650℃의 온도에서 56nm 두께를 갖는 언도프된 AlInP 하부 클래드층(230)상에 9nm 두께로 에피 성장된 (Al0.5Ga0.5)0.51In0.49P 장벽층(241, 243, 245, 247)과 8nm 두께로 성장된 In0.49Ga0.51P 양자우물층(242, 244, 246)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발광 활성층(240)을 구성한다.
발광 활성층(240) 상에는 40nm 정도의 언도프된 AlInP의 제1 상부 클래드층(251)을 제1 온도 범위(예를 들면, 650℃)에서 에피 성장한 후, 제2 온도 범위(제1 온도 범위에서 대략 50 oC 낮춘 온도 범위)에서 8nm 두께로 언도프드된 AlInP층을 적층하여 제2 상부 클래드층(252)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제2 상부 클래드층(252) 상에서 델타 도핑을 진행한다. 델타 도핑을 진행할 때는, Zn, Mg, Be, C 등과 같은 p-형 도펀트를 이용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Zn을 이용하여 델타 도핑층(255)을 형성한다. 델타 도핑층(255)의 형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델타 도핑층(255) 상에는 제3 상부 클래드층(253)이 형성되는데, 제3 상부 클래드층(253)은 제2 상부 클래드층(252)과 마찬가지로 8nm두께로 언도프된 AlInP층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온도범위(650℃)에서 성장한 제1 상부 클래드층(251)과 이보다 낮은 제 온도 범위(600℃)에서 에피 성장한 제2 및 제3 상부 클래드층(252, 253)의 총 두께는 하부 클래드층(230)과 마찬가지로 대략 56nm 두께이다. 여기서, 저온 성장해주는 제2 및 제3 상부 클래드층(242, 253)의 두께는 성장온도를 고려하여 델타 도핑되는 p-형 도펀트의 확산에 따른 영향이 활성층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제2 온도 범위, 즉, 제2 및 제3 상부 클래드층(252, 253)의 성장온도를 600℃ 보다 더 낮춘다면 저온 성장되는 클래드층의 두께는 상기 두께보다 얇게 형성해도 된다. 한편, 제1 분산 브래그 반사경층(220), 하부 클래드층(230), 발광 활성층(240)은 제1 온도 범위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델타도핑층(255)을 형성하는 단계인 도 3의 (S307)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 온도 범위(650℃)의 성장온도에서 언도프된 AlInP의 제1 상부 클 래드층(251)을 40nm 두께로 에피 성장한 후, Ⅲ족 원소인 Al과 In소스인 TMAl과 TMIn을 배출(vent)하여 챔버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 다음, 오직 PH3 소스와 캐리어 가스인 H2만이 챔버에 유입되도록 한 후 온도를 600℃까지 낮춘다. 온도가 안정화 되면 TMAl과 TMIn 소스를 다시 챔버에 유입시켜 8nm 두께를 갖는 AlInP의 제2 상부 클래드층(252)을 에피 성장한다.
그 다음, 다시 TMAl과 TMIn 소스를 챔버 외부로 배출시켜 제2 상부 클래드층(252:AlInP)의 성장을 10초간 중지 한 다음, H2와 PH3과 함께 DEZn 소스를 30 ~ 60 초 동안 챔버 내부로 유입하여 Zn 델타 도핑층(255)을 형성한다. 다음, DEZn 소스의 유입을 중단하면서 바로 TMAl과 TMIn 소스를 유입시켜 제3 상부 클래드층(AlInP층)(253)을 8nm 성장하여 준다. 이후, 다시 Ⅲ족 원소의 소스를 끊고 오직 V족 소스가스와 H2 분위기에서 성장온도를 650℃까지 올려서 온도가 안정화된 후 AlGaAs/AlGaAs의 제2 DBR층(260)을 성장하여 준다.
일반적인 경우 p-형 도펀트들은 그 확산이 매우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확산작용에 의해 p-형 도펀트들이 활성층으로 유입될 경우 비발광성(non-radiative) 재결합 센터로 작용하여 광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델타 도핑시 그 확산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다른 층을 성장할 때 성장온도보다도 저온에서 델타 도핑을 하여주면, 도펀트의 확산거리가 매우 짧게 매우 좁은 영역에만 도핑이 될 수 있다.
이상, 전술에 따르면, Zn 도펀트의 확산을 막기 위해 클래드층의 소정 두께를 낮은 성장온도에서 에피성장하고, 전위 장벽층을 만들어 주는 동시에 원활한 정공의 공급을 위하여 Zn를 이용하여 델타 도핑을 실시한 후, 낮은 성장 온도에서 나머지 클래드층을 성장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델타 도핑층을 포함하는 클래드층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우물층에 구속되지 못하고 클래드층으로 누설되는 전자들에 전위 장벽 역할을 하여 광활성층에 운반자의 구속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높은 온도에서도 광전변환 효율이 우수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서 실시되는 Zn 델타 도핑층은 제작된 RCLED의 온도가 증가하였을 때 양자우물층에 구속되지 못하고 제2 DBR 영역으로 오버플로잉(over-flowing)되는 전자들에게 마치 전위 장벽처럼 작용하여 활성층에 전자의 구속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이 광특성이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광전변환 효율이 우수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델타 도핑을 사용하는 경우, 낮은 비저항을 갖는 n형 접촉층과 비저항이 높은 전류퍼짐 유도층을 결합하여 활성층에 전류를 균일하게 주입함으로써 고휘도 및 고발광효율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기판상에 n-형으로 도핑된 제1 분산 브래그 반사경(Distributed Brag Reflector: DB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DBR상에 하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클래드층 상에 발광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활성층 상에 제1 성장 온도 범위에서 제1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온도 범위보다 낮은 제2 성장 온도 범위에서 제2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상에서 델타 도핑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 도핑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상에 상기 제2 성장온도 범위에서 제3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도핑 단계에서는 p-형 도펀트를 이용하여 도핑하는 반도체 발광소 자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펀트는 Zn, Mg, Be, C에서 선택하여 도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 및 상기 제3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는
    상기 성장 온도 범위 또는 상기 도펀트에 따른 확산 거리 또는 상기 성장온도범위와 상기 도펀트에 따른 확산 거리에 의해 조절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는 10 ~ 50nm 두께 범위로 형성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 두께범위에서 선택되며,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의 두께와 같거나 다르게 형성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 및 상기 제3 상부 클래드층을 형성시키는 상기 제2 성장 온도 범위는 상기 제1 성장 온도범위 보다 50 ~ 100℃ 범위만큼 낮은 온도범위인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GaAs, Si, ZnO, Ge, 또는 InP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0.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 DBR;
    상기 제1 DBR상에 형성되는 하부 클래드층;
    상기 하부 클래드층상에 형성되는 발광 활성층;
    상기 발광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제1 상부 클래드층;
    상기 제1 상부 클래드층상에 형성되는 제2 상부 클래드층;
    상기 제2 상부 클래드층상에 형성되는 델타 도핑층; 및
    상기 델타 도핑층상에 형성되는 제3 상부 클래드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 도핑층은 p-형 도펀트를 이용하여 도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KR1020060014894A 2005-12-07 2006-02-16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79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9079 2005-12-07
KR1020050119079 2005-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235B1 true KR100679235B1 (ko) 2007-02-06

Family

ID=3810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894A KR100679235B1 (ko) 2005-12-07 2006-02-16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2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166A (ko) * 2009-08-28 2011-03-08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고전위 밀도의 중간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WO2011162479A2 (en) * 2010-06-24 2011-12-29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iode
KR101138976B1 (ko) 2010-03-24 2012-04-2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US8907360B2 (en) 2009-11-13 2014-12-09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US8963178B2 (en) 2009-11-13 2015-02-24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963183B2 (en) 2010-07-28 2015-02-24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4601A (ja) 1999-11-05 2000-04-21 Canare Electric Co Ltd 量子波干渉層を有した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素子を構成する量子波干渉層の設計方法
KR20040104959A (ko) * 2002-03-25 2004-12-13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도핑된 그룹 ⅲ-ⅴ 질화물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마이크로일렉트로닉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프리커서 구조물
KR20050061681A (ko) * 2003-12-18 2005-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갈륨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9686A (ko) * 2004-07-26 2006-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4601A (ja) 1999-11-05 2000-04-21 Canare Electric Co Ltd 量子波干渉層を有した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素子を構成する量子波干渉層の設計方法
KR20040104959A (ko) * 2002-03-25 2004-12-13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도핑된 그룹 ⅲ-ⅴ 질화물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마이크로일렉트로닉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프리커서 구조물
KR20050061681A (ko) * 2003-12-18 2005-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갈륨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9686A (ko) * 2004-07-26 2006-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166A (ko) * 2009-08-28 2011-03-08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고전위 밀도의 중간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36032B1 (ko) * 2009-08-28 2016-07-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고전위 밀도의 중간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9324919B2 (en) 2009-11-13 2016-04-26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907360B2 (en) 2009-11-13 2014-12-09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US8963178B2 (en) 2009-11-13 2015-02-24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343631B2 (en) 2009-11-13 2016-05-17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577157B2 (en) 2009-11-13 2017-02-21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128306B2 (en) 2009-11-13 2018-11-13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141480B2 (en) 2009-11-13 2018-11-27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38976B1 (ko) 2010-03-24 2012-04-2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CN102668135A (zh) * 2010-06-24 2012-09-12 首尔Opto仪器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
US9142715B2 (en) 2010-06-24 2015-09-2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WO2011162479A3 (en) * 2010-06-24 2012-02-16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iode
WO2011162479A2 (en) * 2010-06-24 2011-12-29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iode
US8963183B2 (en) 2010-07-28 2015-02-24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hav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1409B2 (en)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and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287958A1 (en) Laser Diod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Laser Diode Assembly
JP4367393B2 (ja) 透明導電膜を備えた半導体発光素子
JP3985283B2 (ja) 発光素子
JP2002111053A (ja) 半導体発光素子
KR100679235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692269B2 (ja) 半導体レー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530257B2 (en) Band offset in alingap based light emitters to improve temperature performance
US11942762B2 (en) Surface-emitting laser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320653B2 (ja) 半導体発光素子
KR20070000290A (ko) 비대칭 광도파층을 지닌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US7449720B2 (en) Epitaxial wafer for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s, a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20040227142A1 (en)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JP4310708B2 (ja) 半導体発光素子
US7230281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14552379B (zh) 谐振腔、激光单元、激光器和激光雷达
JP2011134967A (ja) 半導体発光素子
JP4320654B2 (ja) 半導体発光素子
US7259406B2 (en)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JP2006269568A (ja) 半導体レーザ素子
JP2007299949A (ja) 半導体発光素子
JP2007096162A (ja) 半導体発光素子
JP2019041102A (ja) レーザダイオード
JP2007096157A (ja) 半導体発光素子
JP2000196138A (ja) 半導体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