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148B1 - bathchair - Google Patents
bath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6148B1 KR100676148B1 KR1020050048564A KR20050048564A KR100676148B1 KR 100676148 B1 KR100676148 B1 KR 100676148B1 KR 1020050048564 A KR1020050048564 A KR 1020050048564A KR 20050048564 A KR20050048564 A KR 20050048564A KR 100676148 B1 KR100676148 B1 KR 100676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portion
- side frame
- wheelchair
- toilet
- b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의 구름용 바퀴(2)가 일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양측의 제1측프레임부(3), 제2측프레임부(4) 그리고 상기 양측의 제1측프레임부(3) 및 제2측프레임부(4)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5)가 상면에 놓이는 중앙프레임부(10)를 구비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부(10)은 후방으로 개방되고 "U"자 형으로 형성되는 변기결합부(11)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프레임부(10)가 절첩되도록 하여 상기 제1측프레임부(3) 및 상기 제2측프레임부(4)를 접거나 펴서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1)에 앉은 상태에서 설치된 변기(6)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용변 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으로,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환자 그리고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용변 및 용변 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3),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4) and both sides of both sides to which the two wheels (2) ar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In the wheelchair having a central frame portion 10,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3 and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4 of the seat 5 for the user to sit on the upper surface, The center frame portion 10 has a toilet seat portion 11 that is open to the rear and formed in a "U" shape, so that the center frame portion 10 is folded so that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3 and By folding or unfolding the second side frame part 4 so that the user can sit and see the toilet, the toilet can be seen on the toilet 6 installed while sitting on the wheelchair 1, and easy after-stool processing. It is designed to help the elderly, especially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t relates to a wheelchair so that the back and the toilet can be easily processed.
휠체어, 변기 Wheelchair, toilet sea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휠체어에 대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wheelchair.
도 2는 본 발명 휠체어가 접히는 상태의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a fold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elchair.
도 3은 본 발명 휠체어의 중앙프레임부에 대한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center frame portion of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휠체어의 시트에 대한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elchai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휠체어 2 : 바퀴1: wheelchair 2: wheel
3 : 제1측프레임부 4 : 제2측프레임부3: first side frame portion 4: second side frame portion
5 : 시트 6 : 변기5: seat 6: toilet seat
7 : 상면시트 9 : 용변시트7: top sheet 9: toilet seat
10 : 중앙프레임부 11 : 변기결합부10: center frame portion 11: toilet seat coupling portion
20 : 전면프레임부 30 : 후면프레임부20: front frame portion 30: rear frame portion
40 : 크로스링크40: cross link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설치된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용변 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으로,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환자 그리고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용변 및 용변 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be able to see the toilet in the toilet seat installed in a state sitting on the wheelchair, and to facilitate the post-stool treatment, in particular, the elderly, patients and disabled people with inconvenient behavi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for facilitating stool and post-stool treatment.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노약자, 환자 그리고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장소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양측으로 구름용 바퀴가 달린 의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In general, the wheelchair is to allow the elderly, the patient and the disabled to easily move the place,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hair with wheels on both sides as a whole.
이와 같은 휠체어의 구체적인 형상은, 양측의 구름용 바퀴가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양측의 프레임과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되는 중앙프레임으로 구비된다. 이때 양측 프레임이 절접되도록 중앙프레임이 형성되며, 특히 중앙프레임에는 "X"자 형상의 크로스 링크가 중간에 하나 또는 두개 정도 구비되어, 절접이 용이하고, 펴서 사용할 경우에도 휠체어가 불편함이 없도록 구비된다.The specific shape of such a wheelchair is provided with a frame on both sides to which the wheels for rolling on both sides are rotatably attached and a center frame provided with a seat for the user to sit on. At this time, the center frame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frame is cut, in particular, the center frame is provided with one or two cross-links in the middle of the "X" shape, easy to fold, so that the wheelchair is not inconvenient even when stretched to use do.
그러나 이렇게 구비되는 종래의 휠체어는 시트의 중간이 막혀있으며, 중앙프레임이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휠체어에 앉은 채로 용변을 볼 수가 없고, 설치된 변기로 사용자가 옮겨서 용변을 보게 된다. 그러나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은 스스로 변기로 옮기기 용이하지 않아 타인의 도움으로 변기로 옮기거나 또는 도움이 없이는 변기로 장시간에 걸쳐 옮긴 후 용변을 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변을 본 후 용변 후 처리를 스스로 하기 곤란하여 타인의 도움으로 용변 후 처리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wheelchair provided with this is blocked in the middle of the seat, the center frame is formed in a complex shape, the seat can not see the toilet while sitting in the wheelchair, the user moves to the installed toilet to see the toilet. However, the patient, the elderly or the disabled are not easy to move to the toilet by themselves, there is a problem such as moving to the toilet with the help of others or moving to the toilet for a long time without assistance to see the toilet.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do post-stool treatment by yourself after seeing the stool, and the problem occurs such as post-stool treatment with the help of oth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설치된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용변 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으로,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환자 그리고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용변 및 용변 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be able to see the toilet in the toilet seat installed while sitting in a wheelchair, it is provided to facilitate post-stool treatment, in particular the elderly, patients and disabled people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There is an effect, such as to be able to easily perform the toilet and post-stool treat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의 구름용 바퀴가 일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양측의 제1측프레임부, 제2측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양측의 제1측프레임부 및 제2측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가 상면에 놓이는 중앙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부은 후방으로 개방되고 "U"자 형으로 형성되는 변기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프레임부가 절첩되도록 하여 상기 제1측프레임부 및 상기 제2측프레임부를 접거나 펴서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on both sides,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on both sides coupled to the rotatable wheels on both sides and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of both sides In the wheelchair having a central fram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rame portion and the seat for the user to sit on the upper surface, the center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ilet seat coupled to the rear opening and formed in the "U" shape, the center It provides a wheelchair to be folded so that the frame portion and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sit and see the toilet.
이때 상기 중앙프레임부은 상기 제1측프레임부 및 제2측프레임부를 연결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각각의 양측끝단이 각각 상기 제1측프레임부 및 제2측프레 임부 일측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의 전면프레임부와 후면의 후면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프레임부는 또한 일측이 상기 제1측프레임부 및 제2측프레임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서로 회동축에 의해 회동하는 한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크로스링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시트는 평상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상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의 저면으로 구비되어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용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변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center frame portion is the front surface coupled to each of the both ends of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 front frame portion and a rear frame portion of the rear side, wherein the center frame portion is also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to be rotated by a pair of frames rotated with each other by a rotation axis Further provided with a crosslink, the seat provides a wheelchair having a top sheet to sit normally, and a toilet seat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top sheet to form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또한 상기 제1측프레임부, 상기 제2측프레임부 또는 상기 중앙프레임부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어, 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항문을 씻도록 하는 비데용 물분사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변기결합부는 일측의 변기결합회동부에 의해 상기 제1측프레임부 또는 상기 제2측프레임부의 일측과 회동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측프레임부 또는 제1측프레임부 일측의 돌기인 변기결합부지지부에 의해 저면으로부터 지지되며, 상기 전면프레임부 및 상기 후면프레임부는 중간에 회동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변기결합부는 전면에 상기 전면프레임부의 절곡부를 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지지하는 돌출부인 전면프레임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ater spray nozzle for washing the user's anus by spray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the second side frame portion or the center frame portion. The toilet coupling part is pivot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part or the second side frame part by a toilet coupling pivoting part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ide frame part or one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part. It is supported from the bottom by a toilet engaging portion supporting portion that is a protrusion, the front frame portion and the rear frame portion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ent portion rotated, the toilet coupling portion is a projection for supporting the bent portion of the front frame portion upward from the bottom It provides a wheelchair further comprising a front frame support.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부는 내측으로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절곡부를 감싸거나 또는 노출하도록 상기 후면프레임부와 슬라이딩 작동하는 절곡부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면프레이부 및 상기 후면프레임부의 절곡부는 이중절곡되 며, 상기 제1측프레임부 및 상기 제2측프레임부는 상기 크로스링크를 저면으로부터 상향 지지하는 돌출부인 크로스링크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The rear frame portion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pring inwardly, and further includes a bent portion cover that slides with the rear frame portion to surround or expose the ben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front frame portion and the rear frame portion are double bent. The first side frame part and the second side frame part further provide a wheelchair having a cross link support part which is a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cross link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휠체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휠체어가 접히는 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휠체어의 중앙프레임부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후방의 변기가 변기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휠체어의 시트에 대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a fold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elchair, Figure 3 shows an illustration of the central frame portion of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oilet seat rear coupled
즉 본 발명 휠체어(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구름용 바퀴(2)가 일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양측의 제1측프레임부(3), 제2측프레임부(4), 그리고 상기 양측의 제1측프레임부(3) 및 제2측프레임부(4)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5)를 구비하는 중앙프레임부(10)로 하여 구비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1측프레임부(3), 제2측프레임부(4) 및 중앙프레임부(10)는 봉형 또는 파이프형의 다수의 절곡된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통상 사용되는 휠체어와 마찬가지로 장애자를 위해 구비되며, 전면 하측으로 사용자의 발을 올릴수 있는 발판도 구비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중앙프레임부(10)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시트(5)에 앉아, 바퀴(2)를 굴려 이동하도록 구비된 것이다.The first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서 구별되는 휠체어(1)는, 상기 중앙프레임부 (10)를 후방으로 개방되고 그 형상이 "U"자 형으로 형성되는 변기결합부(11)를 더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휠체어(1)의 시트(5)에 앉은 상태에서 후방의 변기(6)를 향하여 휠체어(1)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변기결합부(11)의 "U"자 형의 내측으로 변기(6)가 위치되도록 한 후, 용변을 보도록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휠체어(1)에 앉은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는 변기에 그대로 용변을 보게 된다. The
이때 상기 시트(5)는 평상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상면시트(7)와, 상기 상면시트(7)의 저면으로 구비되어 중앙에 통공(8)이 형성되어 용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변시트(9)로 하여, 시트(5)를 이중 구조로 하여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평상 시에는 상면시트(7)에 앉아 이동하도록 하며, 설치된 변기(6)로 이동하여 용변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상면시트(7)를 일측으로 치운 후 통공(8)이 형성된 용변시트(9)에 그대로 앉아서 용변을 보도록 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sheet (5) is provided with a top sheet (7) to sit on the usual, and the bottom sheet of the top sheet (7) as a toilet sheet (9)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 (8) in the center to enable toilet The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상기 중앙프레임부(10)은 상기 제1측프레임부(3) 및 제2측프레임부(4)를 연결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각각의 양측 끝단이 각각 상기 제1측프레임부(3) 및 제2측프레임부(4) 일측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의 전면프레임부(20)와 후면의 후면프레임부(30)를 구비하였다. The
그리고 상기 중앙프레임부(10)의 일측이 상기 제1측프레임부(3) 및 제2측프레임부(4)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서로 회동축(41)에 의해 회동하는 한쌍의 프레임(42)(43)으로 형성되는 크로스링크(40)를 더 구비하였다. One side of the
이때 상기 변기결합부(11) 일측으로 변기결합회동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제1측프레임부(3) 또는 상기 제2측프레임부(4)의 일측과 회동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측프레임부(4) 또는 제1측프레임부(3) 일측의 돌기인 변기결합부지지부(13)에 의해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지지되도록 하였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부(20) 및 상기 후면프레임부(30)는 중간에 회동되는 절곡부(21)(3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변기결합부(11)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프레임부(20)의 절곡부(21)를 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지지하는 돌출부인 전면프레임지지부(14)를 더 구비하였다. 그리고 전면프레임부(20) 및 후면프레임부(30)의 절곡부(21)(31)는 각각 양측의 프레임과 각각의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상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하향으로 펴지도록 구비되며, 이때 절곡부(21)(31)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하여 양측의 돌출부가 회동축으로 하여 각각 양측의 프레임과 회동결합되도록 하여, 그 구조 및 제작이 간단하도록 하였다.The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부(30)에는 내측으로 탄성 스프링(미도시 됨)을 구비하여, 상기 절곡부(31)를 감싸거나 또는 노출하도록 상기 후면프레임부(30)와 슬라이딩 작동하는 절곡부커버(3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면프레임부(20) 및 상기 후면프레임부(30) 각각의 절곡부(21)(31)는 이중절곡되도록 구비하였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측프레임부(3) 및 상기 제2측프레임부(4)는 상기 크로스링크(40)를 저면으로부터 상향 지지하는 돌출부인 크로스링크지지부(3')(4')를 더 구비하였다.The first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측프레임부(3), 상기 제2측프레임부(4) 또는 상기 중앙프레임부(10)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어, 물공급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 는 물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항문을 씻도록 하는 비데용 물분사노즐을 더 구비하였다. 그리하여 용변을 보는 것은 물론 용변을 보고 난 후, 용변 후 뒷처리도 본 발명 휠체어(1)에 앉은 상태에서 처리가 용이하도록 구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 휠체어(1)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바퀴(2)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측프레임부(3) 및 제2측프레임부(4) 사이의 중앙프레임부(10)의 상면으로 구비되는 시트(5)가 저부로 용변시트(9)가 위치되고 상부로 상면시트(7)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5) 위로 앉아 이동하게 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이렇게 사용자가 시트(5) 위에 앉은 채 휠체어(1)를 이용하다가 용변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변기(6)가 설치된 장소에서, 변기(6)를 후방으로 향하도록 위치한 다음에 휠체어(1)를 변기(6) 측으로 후진 시켜, 휠체어(1) 중앙프레임부(10)의 변기결합부(11)의 "U"자 형의 내측으로 변기(6)가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면시트(7)를 일측으로 체친 후, 통공(8)이 변기(6)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용변을 보게 된다.When the user uses the
용변 사용 후, 외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사용자의 용변후 처리의 비데용으로 사용되도록 비데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비데용 물분사노즐로부터 물이 분사되어, 용변후 처리가 되도록 하였다. After using the toilet, when the bidet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flows in is used for the bidet of the user after the toilet, water is sprayed from the bidet water spray nozzle, and the post-stool treatment Was made.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 휠체어(1)를 이용하여 손쉽게 휠체어(1)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 비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 약자,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용변 및 용변 후 처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wheelchair (1)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you can easily use the bidet while sitting on the wheelchair (1), and use the bidet, in particular, the elderly, patients or disabled people with discomfort, easy to use the toilet and toilet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post-processing.
그리고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휠체어(1)를 보관하고자 할겨우 또는 차량 등을 이용하여 휠체어(1)를 이동할 경우에는 중앙프레임부(10)을 절첩하여 휠체어(1)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사용할 경우에는 후면프레임부(30)의 절곡부커버(32)가 내측의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후면프레임부(30)의 중앙 측으로 이동하여 있기 때문에 절곡부(31)가 절곡되지 못하고 후면프레임부(30)가 막대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휠체어(1)를 불편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선 절곡부커버(32)를 일측으로 밀어 놓은 후, 변기결합부지지부(13)에 의하여 지지되는 변기결합부(11) 측을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전면프레임부(20) 및 후면프레임부(30) 각각의 절곡부(21)(31)가 절곡되면서 상향으로 위치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크로스링크(40)의 상부가 크로스링크지지부(3')(4')로부터 상향으로 위치이동하면서 양측 프레임(42)(43)이 내측으로 절첩되어, 전체적으로 양측의 제1측프레임부(3) 및 제2측프레임부(4)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절첩되게 된다. 이렇게 절첩된 본 발명 휠체어(1)의 전체 크기가 절첩되어 축소되기 때문에 차량에 실어 이동하기 용이하며, 또한 보관할 경우에는 차지하는 보관장소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An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2, if you want to keep the present invention wheelchair (1) or when using a vehicle to move the wheelchair (1) by folding th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설치된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용변 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으로,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환자 그리고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용변 및 용변 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to be able to see the toilet in the toilet seat installed while sitting in a wheelchair, it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treatment after the toilet, in particular, the elderly, patients and disabled people with a discomfort, easily And post-stool treatmen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564A KR100676148B1 (en) | 2005-06-07 | 2005-06-07 | bath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564A KR100676148B1 (en) | 2005-06-07 | 2005-06-07 | bath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7521A KR20060127521A (en) | 2006-12-13 |
KR100676148B1 true KR100676148B1 (en) | 2007-02-02 |
Family
ID=3773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85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6148B1 (en) | 2005-06-07 | 2005-06-07 | bath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61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0096B1 (en) * | 2011-11-29 | 2013-06-05 | 박재홍 | Wheelchair |
KR101458988B1 (en) * | 2013-05-14 | 2014-11-07 |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 Wheelchair |
KR101939344B1 (en) * | 2018-06-14 | 2019-01-16 | 전길자 | Wheelchair for pati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5840A (en) | 2000-11-30 | 2002-06-11 | Kenji Ueno | Foldable manual attendant-controlled wheelchair |
-
2005
- 2005-06-07 KR KR1020050048564A patent/KR1006761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5840A (en) | 2000-11-30 | 2002-06-11 | Kenji Ueno | Foldable manual attendant-controlled wheel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7521A (en) | 2006-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80100B2 (en) |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 |
US20160106617A1 (en) | Walker for Disabled Persons | |
US20210361500A1 (en) |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 |
JP4339829B2 (en) | Folding chair for bathroom | |
KR102147041B1 (en) | Wheelchair with bath function | |
KR100676148B1 (en) | bathchair | |
JP5814614B2 (en) | Folding chair for bathroom | |
US5020817A (en) | Wheelchair | |
KR101939344B1 (en) | Wheelchair for patient | |
KR102320543B1 (en) | wheel style portable toilet which is able to a boarding sitting posture | |
WO2013158321A1 (en) |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 |
JP4490722B2 (en) | Nursing shower chair | |
CN204743976U (en) | Shower defecation folding chair | |
KR920004946Y1 (en) | A chair for bathing | |
JP2017196111A (en) | Chair | |
JP5105129B2 (en) | Nursing wheelchair | |
KR101434715B1 (en) | Subsidiary apparatus for bath of patient | |
KR200425324Y1 (en) | Bathroom Attachable Folding Chair | |
KR102772748B1 (en) | safety seat | |
KR200226230Y1 (en) | Chamber pot chair for a patient | |
KR102597868B1 (en) | safety seat | |
JP7398503B2 (en) | bathroom wheelchair | |
JP7054290B1 (en) | Toilet railing device | |
CN211704384U (en) | Adult bath chair | |
KR200210831Y1 (en) | Bath Support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