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170B1 - Formwork fasteners - Google Patents
Formwork faste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5170B1 KR100675170B1 KR1020050104967A KR20050104967A KR100675170B1 KR 100675170 B1 KR100675170 B1 KR 100675170B1 KR 1020050104967 A KR1020050104967 A KR 1020050104967A KR 20050104967 A KR20050104967 A KR 20050104967A KR 100675170 B1 KR100675170 B1 KR 1006751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close contact
- pull plate
- horizontal
- fasten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04G17/0751—One-piec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체결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FIG. 2.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구가 체결되는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거푸집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을 고정할 때 이용될 수 있으며 하부 수평 규준틀과 콘크리트 거푸집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fast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ener that can be used when fixing the formwork used to cast concrete walls and firmly fixing the lower horizontal scaffold frame and the concrete formwork to each other.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할 때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 규준틀에 거푸집을 올려놓고 쐐기핀 등으로 고정을 하게 된다. 그러나 하부 수평 규준틀과 거푸집 또는 이 거푸집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거푸집은 통상의 쐐기핀 등을 삽 입하여 고정하므로 쐐기핀 삽입을 위한 쐐기핀 삽입홀이 서로 일치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쐐기핀 삽입홀의 위치를 맞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하부 수평 규준틀과 그 위에 올려지는 거푸집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야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체가 설계된 형상대로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 규준틀과 그 위에 올려지는 거푸집이 나란하게 배치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concrete wall, the formwork is placed on the horizontal scaffold arranged at the bottom and fixed with wedge pins. However, the lower horizontal scaffolding frame and the formwork or another formwork arranged adjacent to the formwork are fixed by inserting a conventional wedge pin and the like, so that the wedge pin insertion holes for the wedge pin insertion must be in the same posi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easily match the position of the wedge pin insertion hol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ormwork. In particular, the lower horizontal scaffolding frame and the formwork mounted on it should be plac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crete wall to be poured is constructed in the designed shape, and it is not easy to arrange the horizontal scaffolding frame arranged on the bottom and the formwork placed on it.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할 때 수평 규준틀 및 그 위에 배치되는 거푸집이 간단한 작업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 규준틀과 상기 거푸집이 고정되어 거푸집의 고정 작업이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 벽체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거푸집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horizontal scaffolding frames and formwork disposed thereon to be placed next to each other in a simple operation while placing concrete walls and the horizontal scaffolding frame. The formwork is fixed to provide a formwork fastening that can be fixed and convenient to maintain the formwork, and also can increase the quality of the cast concrete wal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 규준틀 또는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측면에 밀착부가 제공된 몸체, 상기 몸체에서 연장된 경사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제공된 조임 및 해제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또 다른 거푸집에 끼워지며 상기 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당김판, 상기 당김판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밀착부에 일정한 거리가 띄워진 상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ber including a body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with the 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caffold frame or formwork, the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the tightening and releas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nd a second member fitted to another mol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a second member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pull plate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body is provided. Provide formwork fasteners.
상기 당김판은 거푸집에 제공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의 일측이 상기 몸체 밀착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ll plat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formwork, and one side of the lock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body contact portion direction.
상기 몸체에 제공된 밀착부는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ose contact portion provided in the body is preferably mad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상기 조임 및 해제부는 상기 몸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구멍 또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ightening and releasing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hole or extension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당김판은 플레이트가 접혀져 복수의 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ll plate is preferably a plate is folded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몸체에 제공된 경사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제공되며 밀착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면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lined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toward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close contac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 규준틀(1), 상기 수평 규준틀(1)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푸집(3), 그리고 상기 수평 규준틀(1)과 상기 거푸집(3)으로 고정하는 거푸집 체결구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rizontal scaffold frame (1)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in order to pour a concrete wall, the formwork (3) disposed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scaffold frame (1) And a form fastener fastened by the
상기 수평 규준틀(1)은 콘크리트 벽체를 세울 때 하부의 수평을 조절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높이를 맞추고 이와 동시에 거푸집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scaffold frame (1) is to adjust the level of the lower part at the same time to erect the concrete wall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the disassembly of the formwork can be used, a conventional one can be used.
또한, 상기 거푸집(3)은 상기 수평 규준틀(1) 위에 올려져 고정되는 콘크리트 벽체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mwork (3) is to make a concrete wall that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scaffolding frame (1) can be arranged in plurality.
상기 수평 규준틀(1)과 상기 거푸집(3)은 서로 쐐기핀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쐐기핀 삽입홀(h)이 제공된다. The
본 발명의 거푸집 체결구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부재(5), 상기 제1 부재(5)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도록 결합되는 제2 부재(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5)는 수평 규준틀(1)에 측면이 밀착되는 밀착부(9)를 구비한 몸체(11), 상기 몸체의 측면에 연장되는 경사부(13),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조임 및 해제부(1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form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2 부재(7)는 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당김판(17), 상기 당김판(17)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1)의 밀착부(9)에 일정한 거리가 띄워진 상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19)를 포함한다.The
상기 몸체(11)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당김판(17)이 회전될 수 있도록 편심 위치에 구멍(21)에 제공된다. 상기 구멍(21)은 당김판(17)에 제공된 회전축(23)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1)에 구멍(21)이 제공되고 당김판(17)에 회전축(23)이 제공되어 결합된 구성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단지 회전 가능하게 제1 부재(5)와 제2 부재(7)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몸체(11)에서 편심 위치에 구멍(21)이 제공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몸체(11)의 측면에 제공되는 밀착부(9)가 수평 규준틀 (1)에 밀착되면서 제2 부재(7)의 당김판(17)이 거푸집(3)을 당겨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몸체(11)는 일면에 제공되는 밀착부(9)가 제공된다. 상기 밀착부(9)는 상기 구멍(21)의 회전 중심에서 거리(r2)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지점(P1, 회전 중심에서 가장 거리가 먼 지점)과의 거리(r1)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리(r1, r2)의 차이는 수평 규준틀(1)과 거푸집(3)이 고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nd the
상기 몸체(11)에 제공되는 경사부(13)는 몸체(11)의 밀착부(9) 부분의 하단이 회전축(23)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다(도2 기준). 상기 경사부(13)는 몸체가 회전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모양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13)가 몸체(1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수평 규준틀(1)과 거푸집(3)을 상, 하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것이다. The
또한, 상기 몸체(11)는 일측에 조임 및 해제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임 및 해제부(15)는 몸체(11)를 외력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23)의 회전 방향으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연장 삽입공(22)이 제공된다. 상기 연장 삽입공(22)은 상기 몸체(11)를 회전축(23)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바(bar) 형태의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 및 해제부(15)는 연장 삽입공(25)으로 이루어져 이에 바를 삽입하여 바를 이동시킴으로서 몸체(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단지 연장을 이용하여 몸체(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 부재(7)를 이루는 당김판(17)은 상기 구멍(21)에 끼워지는 회전축(23)에 연장되어 배치되며, 하부에는 거푸집(3)에 제공되는 쐐기핀 삽입공(h)에 끼워지는 걸림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당김판(17)은 몸체(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당김판(27)의 걸림부(27)가 상기 거푸집(3)을 몸체(11)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당김판(17)은 몸체(11)에 제공된 밀착부(9)와 나란한 면을 이루는 가이드부(19)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19)는 거푸집(3)이 수평 규준틀(5)에 밀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부(19)는 거푸집(3)의 모서리에 제공되는 돌출부분에 걸리어 수평 규준틀(1)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19)는 상기 당김판(27)은 서로 대략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본 발명에서 수평 규준틀(1)과 거푸집(3)을 체결구로 고정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거푸집(3)들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illustrating an example of fixing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거푸집 체결구의 체결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formwork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is way as follows.
수평 규준틀(1)의 상부에 거푸집(3)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거푸집 체결구는 밀착부(9)가 수평 규준틀(1)의 정면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당김판(17)에 제공된 걸림부(27)가 거푸집(3)의 쐐기핀 삽입홀(h)에 삽입되도록 배치한다(도 4에 도시하고 있음).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바(bar)등의 연장 을 조임 및 해제부(15)에 제공된 연장 삽입공(22)에 삽입한 후 도 5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돌린다(편의상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면 몸체(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중심에서 가장 먼 지점(P1)이 수평 규준틀(3)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더욱 몸체(11)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밀착부(9)가 수평 규준틀(1)에 밀착되면서 거푸집(3)이 당김판(17)의 걸림부(27)에 의하여 당겨지는 것이다(도 4의 수평 화살표 방향).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9)는 상기 거푸집(3)이 수평 규준틀(1)에 더욱 잘 밀착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19)는 거푸집(3)이 틀어지지 않고(도 4의 틀어진 부분을 표시한 g 부분이 수평 규준틀과 일직선 됨) 수평 규준틀(1)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6에 도시하고 있음). 이러한 상태는 도 6에 도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거푸집(3)이 수평 규준틀(1) 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13)는 수평 규준틀(1)의 하부로 들어가면서 도 6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거푸집(3)과 수평 규준틀(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7)에 연장되며 몸체(11)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7a)는 거푸집(3)에 제공된 쐐기핀 삽입홀(h)에서 걸림부(27) 걸림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거푸집(3)이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단지 바(bar) 등을 이용하여 단지 조임 및 해제부(1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평 규준틀(1)과 거푸집(3)이 견고한 상태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Place the formwork (3) on top of the horizontal scaffold (1). And the form fastener is arranged so that the
따라서 간단한 작업성이 개선되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거푸 집(3)을 오차 범위 이내로 수평 규준틀(1)과 나란하게 배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밀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 체결구는 수평 규준틀(1)과 거푸집(3)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simple workability is improved to reduce the work maneuver, and also the precis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possible by placing the formwork (3) parallel to the horizontal scaffold frame (1) within the error range. In addition, the formwork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수평 규준틀(1)과 거푸집(3)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려면 단지 조임 및 해제부(9)를 상술한 설명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중심에서 몸체(11)의 가장 긴 거리 부분인 P1이 수평 규준틀(3)과 접촉되는 시점을 지나는 순간 결합상태가 해제되므로 거푸집의 철거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o release the coupling state of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거푸집 체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당김판(17) 회전축(23)과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작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본 실시 예는 2겹으로 플레이트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당김판을 제작하고, 또한 회전축을 원통형으로 가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실시 예는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나 원가 절감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formwork fasteners.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parts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 규준틀과 그 상부에 배치되는 거푸집을 용이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작업으로 수평 규준틀과 그 위에 배치되는 거푸집 또는 거푸집과 거푸집을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어 품질 좋은 콘크리트 벽체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nient effect by easily fixing the formwork disposed on the horizontal scaffolding frame and its top and maintaining a firm fixed st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horizontal scaffolding frame and the formwork or formwork and formwork in a simple operation has the effect of producing a quality concrete wall.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4967A KR100675170B1 (en) | 2005-11-03 | 2005-11-03 | Formwork faste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4967A KR100675170B1 (en) | 2005-11-03 | 2005-11-03 | Formwork fasten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5170B1 true KR100675170B1 (en) | 2007-01-29 |
Family
ID=3801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49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170B1 (en) | 2005-11-03 | 2005-11-03 | Formwork faste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517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339B1 (en) | 2011-01-04 | 2011-06-17 | 미래테크(주) | Formwork fasteners without wedge pins |
EP2631391A3 (en) * | 2012-02-22 | 2014-10-22 | Bautool AG | Guide rail supports with a rotating lock stop |
-
2005
- 2005-11-03 KR KR1020050104967A patent/KR1006751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339B1 (en) | 2011-01-04 | 2011-06-17 | 미래테크(주) | Formwork fasteners without wedge pins |
EP2631391A3 (en) * | 2012-02-22 | 2014-10-22 | Bautool AG | Guide rail supports with a rotating lock sto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87922A (en) | Concrete mold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ng beam by using the same | |
JP5090220B2 (en) | Concrete construction equipment | |
JP2009299307A (en) | Unit type scaffolding and connecting implement | |
KR100675170B1 (en) | Formwork fasteners | |
KR20090088106A (en) | Fixing mean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 | |
KR100249661B1 (en) |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co-owner of concrete wall structure | |
KR101722021B1 (en) | System pillar form | |
KR101247837B1 (en) | Form for construction work | |
KR200403876Y1 (en) | Quadrangle type Manhole mold | |
JP5004918B2 (en) | Formwork structure for decorative plate member | |
KR20060020027A (en) | Column form for concrete vertical structures | |
KR200321084Y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uro-form panel | |
KR20030079390A (en) | Mold support device | |
KR200292761Y1 (en) | The fixers of horizontal supporting bars to construct Al-forms for a wall | |
KR101247679B1 (en) | Panel joint unit | |
KR20010106108A (en) | A support member | |
KR101379897B1 (en) |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 |
KR200439960Y1 (en) | Outcorner Fixtures for Building Panels | |
KR20180052268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Form using Support | |
KR20060070494A (en) | Turnbuckle for multi-unit Euroform support | |
KR200441948Y1 (en) | Building Panel Fixture | |
KR200337176Y1 (en) | Concrete form aligner | |
KR102811150B1 (en) | Scaffolding support device for buildings | |
KR20100130317A (en) | Formwork variable fixture | |
KR20200001802U (en) | Blocking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